KR101218722B1 -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 Google Patents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722B1
KR101218722B1 KR1020100138859A KR20100138859A KR101218722B1 KR 101218722 B1 KR101218722 B1 KR 101218722B1 KR 1020100138859 A KR1020100138859 A KR 1020100138859A KR 20100138859 A KR20100138859 A KR 20100138859A KR 101218722 B1 KR101218722 B1 KR 101218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reinforcement
anchor nut
engaging portion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041A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포스
Priority to KR1020100138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7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에 관한 것으로, 터파기 공사를 실시하지 않고 앵커링과 복합하여 보강토 옹벽 공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옹벽 전면에 선단이 연결된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부를 앵커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앵커 너트의 구조를 개선한 것인바, 선단이 블록이나 패널(20)에 고정되는 띠형 섬유보강재(30)의 후단부를 앵커(40)에 연결하기 위한 앵커 너트에 있어서; 상기 앵커 너트(10)는 그 몸체(12)의 좌,우 측부에 보강재 걸림부(14)가 형성되고, 이 보강재 걸림부(14)의 외측에는 이탈방지턱(16)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Anchor nut for connecting reinforcing strip of slope wall}
본 발명은 절토부에 축조되는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를 앵커에 연결시공하기 위한 앵커 너트에 관한 것으로, 터파기 공사를 실시하지 않고 앵커링과 조합하여 보강토 옹벽 공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옹벽 전면에 선단이 연결된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부를 앵커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앵커 너트의 구조 즉, 앵커 너트에 형성되는 보강재 연결부의 구조를 개방형으로 형성하고, 이 보강재 연결부를 앵커 너트 몸체의 좌우측부 또는 후부에 대칭형태로 복수개 형성한 것이다.
보강토 옹벽은 뒷채움흙 속에 장력이 크고 흙과의 마찰력이 큰 망형 또는 띠형의 보강재를 수평으로 매립하여 수직에 가까운 전면벽을 구축하는 구조물이다.
종래의 전형적인 보강토 옹벽은 옹벽의 전면벽을 세울 기초지점까지 자연사면의 터파기선을 따라 터파기를 시행하고 저부에 기초부를 설치한 다음, 최하단층 보강재가 설치될 높이까지 성토 및 다짐을 실시하고, 최하단층의 전면 블록 설치 및 보강재의 포설작업을 시행한 후, 다음의 상층부들에 대한 성토·다짐·전면 블록 설치 및 보강재를 포설하는 층쌓기 작업을 반복하면서 전면블록과 성토체를 일체화시킨 보강토 옹벽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축조되는 보강토 옹벽은 콘크리트 옹벽과 같은 대규모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필요치 않으며, 성토체의 포설 및 다짐·보강재의 포설·전면블록의 조립 등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특수한 시공장비가 필요치 않고 시 공이 용이하며 공사기간이 비교적 짧다.
또한, 보강토 옹벽은 자체 중량과 강성에 의해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인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소형 전면블록과 보강재의 연결 및 보강재와 흙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저항하는 구조이므로 기초지반에 다소의 부등침하가 발생하여도 전면블록과 보강재의 기능 손상없이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은 공사자재(특히, 보강재)의 비용은 저렴하지만, 보강재의 포설길이를 확보하기 위한 자연사면의 터파기(절토)량이 많아 이 비용이 과다하게 들고 공사기간이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자연사면의 경사가 급한 경우에는 터파기 공사 중 붕괴 위험이 있어 적용범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으며, 기존의 성토 도로를 확장할 경우 상부 교통을 통제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468034호의 "앵커링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특허공개 제2010-0040230호의 "패널과 철근보강재를 띠형섬유보강재로 결속하는 절개면 보강토 옹벽구조", 특허공개 제2010-0104393호의 "옹벽용 띠형 보강재 연결기구", 실용신안등록 제0201063호의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보강재의 후단부를 앵커에 연결하는 작업에 있어서 하나의 앵커 너트에 하나의 폐쇄형 연결 고리만 형성되어 있는 아이 너트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하나의 연결 고리에 여러 개의 보강재를 끼워서 연결하는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 연결 고리에 끼워진 보강재의 정렬상태가 가능한 바닥에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좁은 폭으로 세워지고 겹치게 됨으로써 보강토체 내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흙과의 인발저항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단이 블록에 고정되는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부를 절토사면 내부에 박힌 앵커에 간편하게 걸어줄 수 있고, 이 앵커에 걸린 띠형 섬유보강재가 보강토체의 내부에 납작하게 펼쳐진 상태로 매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조된 보강토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단이 블록이나 패널에 고정되는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부를 앵커에 연결하기 위한 앵커 너트에 있어서; 상기 앵커 너트 몸체의 좌,우 측부 또는 후부에 외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보강재 걸림부가 형성되고, 이 보강재 걸림부에는 보강재가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재 걸림부는 기존의 폐쇄형 고리형 대신 앵커 너트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와 개방된 형태를 이룸으로써 보강재의 끝 부분을 접어서 신속 간편하게 걸어줄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보강재 걸림부는 보강재의 후단이 걸리는 뒷부분은 옹벽 전면과 평행상태를 이루고, 앞 부분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앵커 너트의 몸체쪽으로 갈수록 두께와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견고한 상태를 갖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이탈방지턱은 보강재 걸림부의 내측과 외측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보강재 걸림부에 걸어준 보강재가 외력을 받아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이탈방지턱은 보강재 걸림부의 후방이나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돌출형성된 형태의 앵커 너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앵커 너트는 보강재 걸림부를 앵커 너트의 몸체 측면에 개방상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옹벽 전면에 선단이 연결된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부를 접어서 앵커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터파기 공사를 실시하지 않고 앵커링과 조합하여 보강토 옹벽 공법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공사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앵커 너트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시공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앵커 너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앵커 너트의 시공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앵커 너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앵커 너트의 사시도,
도 6a,6b,6c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의한 앵커 너트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7a,7b,7c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의한 앵커 너트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8a,8b,8c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의한 앵커 너트의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앵커 너트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앵커 너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앵커 너트(10)는 선단이 옹벽(W)을 형성하는 블록이나 패널(20)에 고정되는 띠형 섬유보강재(30)의 후단부를 앵커(4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앵커 너트(10)는 그 몸체(12)의 좌,우 측부에 보강재 걸림부(14)가 대칭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보강재 걸림부(14)의 외측에는 띠형 섬유보강재(30)가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재 걸림부(14)는 기존의 폐쇄형 고리 대신 앵커 너트 몸체(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와 개방된 형태를 이룸으로써 띠형 섬유보강재(30)의 끝 부분을 접어서 신속 간편하게 걸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강재 걸림부(14)는 띠형 섬유보강재(30)의 후단이 걸리는 뒷부분(14a)은 옹벽(W) 전면과 평행상태를 이루고, 앞부분(14b)은 인장력이 가해질 때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앵커 너트(10)의 몸체(12)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와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구조적으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상기 이탈방지턱(16)은 보강재 걸림부(14)의 외측 후방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보강재 걸림부(14)에 걸어준 띠형 섬유보강재(30)가 공사도중 또는 시공 후 외력을 받아 측방향으로 미끄러지거나 보강재 걸림부(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앵커 몸체(12)의 내부에 설치되는 키이(도시 안됨)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 키이는 공지된 기술 중에서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기본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 예의 앵커 너트와 동일하나, 보강재 걸림부(14)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16)이 보강재 걸림부(14)의 상부측으로 돌출형성된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탈방지턱(1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는 반대로 보강재 걸림부(14)의 하부측으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서 상기 이탈방지턱(16)은 보강재 걸림부(14)의 외측 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제3실시 예에서와 같이 내측에도 외측의 이탈방지턱과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띠형 섬유보강재(30)의 걸린 상태가 유동되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며, 띠형 섬유보강재(30)를 걸때에는 중간부에 접힘홈이 형성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끼워서 걸어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릴(reel) 상태로 운반되어온 띠형 섬유보강재(30)를 보강토체의 측방향 즉, 옹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늘어뜨린 후 일단을 보강토체 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블록이나 패널(10)에 띠형 섬유보강재의 선단부를 걸거나 끼워서 고정하고,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부는 앵커(40)에 고정된 본 발명의 앵커 너트 몸체(12)의 일측에 형성된 보강재 걸림부(14)에 폭방향으로 접어서 걸어주고 다시 띠형 섬유보강재의 선단부를 블록이나 패널(10)에 연결한 후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부를 본 발명의 앵커 너트 몸체(12)의 타측에 형성된 보강재 걸림부(14)에 걸어주며, 이어서 인접한 다른 앵커에 고정된 앵커 너트에 띠형 섬유보강재를 상기와 같이 걸어주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띠형 섬유보강재를 중간에 끊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포설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더욱이 본 발명의 앵커 너트는 보강재가 연결되는 보강재 걸림부가 앵커 너트의 몸체 좌우측부에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우측의 보강재가 겹치지 않으면서 수평상태로 펼쳐지게 됨으로써 보강토체 내부에 매립시 인발저항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a,6b,6c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의한 앵커 너트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앵커 너트(10)의 몸체(12) 후부에 외측(상방)으로 개방된 복수(3개)의 보강재 걸림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재 걸림부(14)의 외측(상부)에는 이탈방지턱(16)이 형성되어 있어 이 보강재 걸림부(14)에 띠형 섬유보강재(30)의 후단부를 동시에 여러 개 겹치지 않도록 걸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몸체(12) 후방의 좌,우 측에 위치한 보강재 걸림부(14)는 도 6b의 평면도에서와 같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블록에 선단이 연결된 띠형 섬유보강재의 연결각도에 일치되도록 하여 보강재의 연결작업을 보다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자연스러운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강재 걸림부(14)의 앞 부분(14a)은 앵커(도시 안 됨)의 설치방향과 띠형 섬유보강재의 포설방향이 동축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고려하여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7b,7c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의한 앵커 너트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앵커 너트(10)의 몸체(12) 후부에 외측(좌,우 측방)으로 개방된 복수(2개)의 보강재 걸림부(14)가 형성되어 있고, 각 보강재 걸림부(14)의 외측에는 이탈방지턱(16)이 형성되어 있어 이 보강재 걸림부(14)에 띠형 섬유보강재(30)의 후단부를 겹치지 않도록 걸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2개의 보강재 걸림부(14)는 상,하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개방 방향이 좌우측으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어 띠형 섬유보강재(30)를 겹치지 않게 걸어줄 수 있다.
도 8a,8b,8c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의한 앵커 너트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앵커 너트(10)의 몸체(12) 후부에 중간부가 개방된 복수(2개)의 보강재 걸림부(14)가 형성되어 있어 이 보강재 걸림부(14)에 띠형 섬유보강재(30)의 후단부를 접어서 끼운 후 펼쳐주는 것에 의해 걸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2개의 보강재 걸림부(14)는 상,하로 배치되어 있으며, 좌우측은 폐쇄되고 중간부분이 개방되어 있어 2개의 띠형 섬유보강재(30)를 겹치지 않게 걸어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탈방지턱(16)이 개방측에 별도로 형성되는 대신 본체(12) 쪽으로 연결된 부분이 이탈방지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띠형 섬유보강재는 중간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힘홈이 형성된 상품명 "폴드락" 보강재가 있다.
10 : 앵커 너트
12 : 몸체
14 : 보강재 걸림부
14a : 뒷 부분
14b : 앞 부분
16 : 이탈방지턱
20 : 패널
30 : 띠형 섬유보강재
40 : 앵커

Claims (8)

  1. 선단이 블록이나 패널에 고정되는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부를 앵커에 연결하기 위한 앵커 너트에 있어서;
    상기 앵커 너트(10)는 그 몸체(12)의 좌,우 측부 또는 후부에 외측으로 개방된 복수의 보강재 걸림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 걸림부(14)의 외측에는 이탈방지턱(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걸림부(14)는 띠형 섬유보강재(30)의 후단이 걸리는 뒷부분(14a)은 옹벽(W)의 전면과 평행상태를 이루고, 앞부분(14b)은 인장력이 가해질 때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앵커 너트(10)의 몸체(12)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와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턱(16)은 보강재 걸림부(14)의 외측 후방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턱(16)은 보강재 걸림부(14)의 상부 또는 하부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턱(16)은 보강재 걸림부(14)의 내측에도 외측의 이탈방지턱(16)과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2) 후부에 형성되는 보강재 걸림부(14)의 앞 부분(14a)은 앵커의 설치방향과 띠형 섬유보강재의 포설방향이 동축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것을 고려하여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2) 후부의 보강재 걸림부(14)는 상,하로 배치되되, 그 개방 방향이 좌우측으로 어긋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2) 후부의 보강재 걸림부(14)는 중간부가 외부로 개방된 형태를 이루어 상기 보강재 걸림부(14)에 띠형 섬유보강재(30)의 후단부를 접어서 끼운 후 펼쳐주는 것에 의해 걸어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KR1020100138859A 2010-12-30 2010-12-30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KR101218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859A KR101218722B1 (ko) 2010-12-30 2010-12-30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859A KR101218722B1 (ko) 2010-12-30 2010-12-30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041A KR20120077041A (ko) 2012-07-10
KR101218722B1 true KR101218722B1 (ko) 2013-01-07

Family

ID=4671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859A KR101218722B1 (ko) 2010-12-30 2010-12-30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027B1 (ko) 2022-02-11 2023-10-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연결방법
KR102513974B1 (ko) * 2023-01-10 2023-03-24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깎기부 블록식 옹벽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8397A (en) * 1989-11-17 1991-03-12 Orton Michael V Alignment and lateral support member for use in laying common concrete blocks
KR100405270B1 (ko) * 2000-05-10 2003-11-12 지해산업개발 주식회사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방법과 그시공장치
JP2004324122A (ja) * 2003-04-22 2004-11-18 Jesupu:Kk 無機系植生基材を法面に吹き付ける際の植生基材層の固定治具
KR20100104393A (ko) * 2009-03-17 2010-09-29 윤기현 옹벽용 띠형 보강재 연결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8397A (en) * 1989-11-17 1991-03-12 Orton Michael V Alignment and lateral support member for use in laying common concrete blocks
KR100405270B1 (ko) * 2000-05-10 2003-11-12 지해산업개발 주식회사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방법과 그시공장치
JP2004324122A (ja) * 2003-04-22 2004-11-18 Jesupu:Kk 無機系植生基材を法面に吹き付ける際の植生基材層の固定治具
KR20100104393A (ko) * 2009-03-17 2010-09-29 윤기현 옹벽용 띠형 보강재 연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041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2772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band type fiber reinforcing material for reinforced-soil retaining-wall
JP2007530833A (ja) 補強土擁壁システム及び構築方法
KR101652163B1 (ko)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510297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0801480B1 (ko) 옹벽의 지오그리드 결합구조
KR20110077334A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101218722B1 (ko)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KR101217233B1 (ko) 친환경 울타리 및 그 설치 방법
KR102127377B1 (ko) 보강토 옹벽의 시공 공법
KR20140015019A (ko) 아치형 흙막이 벽체
KR20090056669A (ko)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KR101528725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KR101158523B1 (ko) 파일을 이용하여 설치된 도로확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KR101210368B1 (ko)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KR20100115919A (ko) 옹벽과 그 시공방법
KR101125072B1 (ko) 경관을 고려한 보강토 옹벽공법
KR102352069B1 (ko) 내진성능이 우수한 옹벽블록 보강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KR101015610B1 (ko)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경사판 앵커부재를 구비한 터널 구조물
KR101081840B1 (ko) 콘크리트와 함께 일체로 매립된 지주를 이용하여 인도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사면 가설인도의 설치공법
KR102178399B1 (ko) 내진성능이 우수한 보강지지구조를 구비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2009121231A (ja) 補強土構造物および盛土補強材の定着金具
JP2003003474A (ja)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ブロック
JP5800765B2 (ja) 落石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