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669A -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669A
KR20090056669A KR1020070123916A KR20070123916A KR20090056669A KR 20090056669 A KR20090056669 A KR 20090056669A KR 1020070123916 A KR1020070123916 A KR 1020070123916A KR 20070123916 A KR20070123916 A KR 20070123916A KR 20090056669 A KR20090056669 A KR 2009005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main body
soil
strip
wal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8493B1 (ko
Inventor
임상주
Original Assignee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4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보강토 옹벽이 토압과 같은 외부 압력에 의해 이탈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발저항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은 일단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옹벽블럭에 연결되며, 상기 옹벽블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옹벽블럭의 후방에 채워지는 토사에 매립되는 스트립 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토사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 상기 본체의 인발저항력을 증강시키는 마찰증강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은 짧은 길이와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도 토사와의 마찰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옹벽의 후방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옹벽블럭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다.
Figure P1020070123916
보강토 옹벽, 스트립, 마찰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Strip for fabricated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보강토 옹벽이 토압과 같은 외부 압력에 의해 이탈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인발저항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은 옹벽블럭과 보강재 및 뒷채움 흙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보강토 옹벽의 벽체를 구성하는 옹벽블럭은 뒷채움 흙의 유실을 방지하고, 보강재를 연결시키며, 구조물의 외관상 시각적 효과를 높이는 기능을 한다. 옹벽블럭에는 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Precast Concrete Panel), 금속재 전면판, 그리고 합성수지 전면판과 같은 것이 사용된다.
보강토 옹벽에 사용되는 보강재는 옹벽블럭을 향해 가압되는 토압이나 기타 외부 압력에 의해 옹벽블럭이 제 자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옹벽블럭에 체결되어 있으며, 뒷채움흙에 매립되어 토사와 보강재의 접촉에 따른 마찰력으로 옹벽블럭이 안정적으로 결합 및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은 뒷채움흙에 매립된 보강재와 토사 사이의 마찰에 의 해 유발되는 보강재의 인발 저항력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강재가 토사와 충분한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에는 보강재와 토사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주로 보강재의 길이를 늘리거나 폭을 넓혀 보강재와 토사 사이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켰다. 하지만 옹벽블럭의 후방으로 보강재가 충분히 연장될 수 없는 경우, 보강재의 인발 저항력이 충분하지 않아 옹벽블럭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토사와의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인발 저항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옹벽블럭의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보강재의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사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인발 저항력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옹벽블럭을 지지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은 일단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옹벽블럭에 연결되며, 상기 옹벽블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옹벽블럭의 후방에 채워지는 토사에 매립되는 스트립 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토사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 상기 본체의 인발저항력을 증강시키는 마찰증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토사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찰증강수단은 상기 옹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본체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엠보싱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증강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상기 옹벽블럭에 결합된 상기 본체의 일단을 향해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돌출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된 요철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은 일단이 옹벽블럭의 후면에 연결되며 상호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두 개의 스트립부재를 포함하는 메인교차부와, 상기 메인교차부에 연결되며 상호 교차하는 두 개의 보조 스트립부재를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교차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은 짧은 길이와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도 토사와의 마찰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옹벽의 후방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옹벽블럭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1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10)은 본체(11)와, 본체(11)에 마련되어 있는 마찰증강수단(13)을 구비한다.
본체(11)는 스트립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이 옹벽블럭(1)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옹벽블럭(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옹벽블럭(1)의 후방에는 토사가 채워지는데 이를 일반적으로 뒷채움 흙(2)이라고 칭한다. 본체(11)는 이 뒷채움 흙(2)에 매립되어 뒷채움 흙(2)과의 마찰에 따라 발생하는 인발 저항력을 통해 옹벽블럭(1)이 전방으로 이탈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체(11)에는 또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유입홀(12)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1)가 뒷채움 흙(2)에 매립되면 토사가 유입홀(12)로 유입되어 본체(11)가 뒷채움 흙(2)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게 되므로 옹벽블럭(1)이 옹벽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본체(11)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마찰증강수단(13)은 본체(11)에 설치되어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10)과 이에 접촉하는 토사 사이의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10)의 인발 저항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마찰증강수단(13)은 본체(11)의 상면과 하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4)와 복수개의 돌기(15)를 포함하는 엠보싱부를 구비한다.
돌출부(14)는 본체(11)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본체(11)의 상면과 하면에 세 개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돌출되어 있다. 옹벽블럭(1)을 지지하는 본체(11)는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며, 이 외압보다 본체(11)와 토사 사이의 마찰에 의한 인발 저항력이 더 클 때, 옹벽블럭(1)이 안정적으로 지지 될 수 있다. 돌출부(14)가 본체(11)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14)가 본체(1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보다 더 본체(11)와 토사 사이의 마찰력이 더욱 커지게 되므로 .
엠보싱부는 본체(11)의 상면과 하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15)를 갖는 것으로서, 돌기(15)에 의해 토사와의 접촉면적이 더욱 증가하게 되므로 본체(11)의 인발 저항력이 증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15)가 반구 형태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돌기(15)는 원통형이나 다각형 모양을 갖도록 형 성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2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20)은 옹벽블럭과 연결되며 옹벽블럭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뒷채움 흙에 매립되는 것으로, 스트립상의 본체(21)와, 본체(21)의 상하면에 돌출되는 돌출부(23)를 갖는다.
본체(21)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트립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유입홀(22)이 형성되어 있어서, 뒷채움 흙에 매립되었을 때 토사가 유입되어 본체(21)의 인발 저항력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돌출부(23) 역시 본체(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본체(21)의 상면과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의 측면은 본체(2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돌출부(23)의 측면에 의해 걸림턱(24)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21)가 길이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돌출부(23)의 걸림턱(24)에 걸리는 저항력이 커져 본체(21)가 옹벽블럭(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23)의 돌출높이가 높아질수록 돌출부(23)에 걸리는 저항력이 커져 옹벽블럭(1)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옹벽의 후방에 뒷채움 흙(2)을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이 작아 본체(21)의 연장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돌출부(23)의 돌출높이를 높게 하여 본체(21)의 길이가 짧아도 본체(21)의 인발 저항력이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출부(23)의 돌출높이가 높아질수록 옹벽블럭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기는 하 지만 돌출부(23)의 돌출높이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운반 및 설치상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돌출부(23)의 돌출높이는 운반과 설치가 용이한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제3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30)은 스트립상의 본체(31)와, 본체(31)의 상하면에 마련되는 요철부(32)를 구비한다.
요철부(32)는 본체(31)의 상면과 하면으로부터 옹벽블럭(1)에 결합되는 본체(31)의 일단을 향해 연장될수록 돌출 길이가 점진적으로 길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31)가 옹벽블럭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옹벽블럭을 지지할 때, 토사와의 저항력이 극대화되어 옹벽블럭에 대한 본체(31)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31)에 토사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31)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토사가 유입홀에 충진됨으로써 토사와 본체(31) 사이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40)은 일단이 옹벽블럭(1)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는 메인교차부(41)와, 메인교차부(41)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보조교차부(42) 및 제1 보조교차부(42)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보조교차부(43)를 구비한다.
메인교차부(41)는 상호 교차하는 두 개의 스트립부재(44)를 포함하는데, 상기 스트립부재(44)는 각각 일단이 옹벽블럭(1)의 후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립부재(44)가 상호 교차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교차부(41)는 전체적으로 'X'자 형이 된다.
제1 보조교차부(42)는 메인교차부(41)의 각각의 스트립부재(44)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립부재(44)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보조교차부(42)의 스트립부재(44)는 메인교차부(41)의 스트립부재(44)와 마찬가지로 상호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제2 보조교차부(43) 역시 제1 보조교차부(42)의 단부에서 상호 교차되도록 연장되는 두 개의 스트립부재(44)를 갖는다.
메인교차부(41)와 제1, 제2 보조교차부(42,43)의 상면과 하면에는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토사와의 접촉면적의 확장을 통해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40)과 토사 사이의 마찰력을 증강시키는 복수개의 마찰돌기(45)들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교차부(41)와 제1, 제2 보조교차부(42,43)를 이루는 스트립부재(44)들은 모두 상호 교차되도록 연장되기 때문에 각각의 스트립부재(44)들은 모두 옹벽블럭(1)의 후면에 대하여 수직방향과는 소정각도 어긋나게 연장된다. 따라서 옹벽블럭(1)이 옹벽으로부터 이탈하려는 외력을 받을 때, 이를 지지하는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40)이 옹벽블럭(1)을 지지하면서 받는 힘의 방향과, 각각의 스트립부재(44)들이 인장되는 인장방향이 상호 어긋나게 됨으로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40)의 인발 저항력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스트립부재(44)들이 연결된 사이 영역에는 토사가 매입될 수 있게 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40)의 인발 저항력은 더욱 커 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교차부(41)의 후방에 제1, 제2 보조교차부(42,43)가 연결되었으며, 이들이 모두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옹벽블럭(1)의 크기 또는 요구되는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40)의 인발 저항력을 고려하여 보조교차부의 갯수는 가감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10,20,30,40)은 모두 토사와의 마찰력이 증강될 수 있도록 돌출부나 요철부 또는 교차하는 스트립부재를 가지므로 길이가 짧아도 옹벽블럭(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인발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의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의 측면도,
도 4는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의 제4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11; 본체
12; 유입홀
13; 마찰증강수단
14; 돌출부
15; 돌기

Claims (5)

  1. 일단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옹벽블럭에 연결되며, 상기 옹벽블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옹벽블럭의 후방에 채워지는 토사에 매립되는 스트립 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토사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 상기 본체의 인발저항력을 증강시키는 마찰증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토사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찰증강수단은 상기 옹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본체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증강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엠보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증강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상기 옹벽블럭에 결합된 상기 본체의 일단을 향해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돌출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된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5.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옹벽블럭에 연결되며 상기 옹벽블럭의 후방에 채워지는 토사에 매립되어 상기 옹벽블럭의 붕괴 및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옹벽블럭의 후면에 연결되며 상호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두 개의 스트립부재(44)를 포함하는 메인교차부와,
    상기 메인교차부에 연결되며 상호 교차하는 두 개의 보조 스트립부재를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교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KR1020070123916A 2007-11-30 2007-11-30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KR10093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916A KR100938493B1 (ko) 2007-11-30 2007-11-30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916A KR100938493B1 (ko) 2007-11-30 2007-11-30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669A true KR20090056669A (ko) 2009-06-03
KR100938493B1 KR100938493B1 (ko) 2010-01-25

Family

ID=4098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916A KR100938493B1 (ko) 2007-11-30 2007-11-30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4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588B1 (ko) * 2019-05-14 2020-02-24 김정주 보강토 옹벽 구조
US20210332549A1 (en) * 2020-04-23 2021-10-28 The Taylor IP Group Soil reinforcing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2384899B1 (ko) * 2021-07-21 2022-04-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신장 구간과 신장 구간의 복합 구성에 의한 신장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보강재,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816B1 (ko) * 2011-01-14 2011-11-07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강재용 지오그리드에 결합되어 인발저항력을 향상시키는 마찰판
KR101080815B1 (ko) * 2011-01-14 2011-11-07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발저항력이 향상된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전면블록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1407503B1 (ko) * 2012-12-28 2014-06-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지반보강재 및 이를 구비하는 옹벽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737A (ko) * 1999-10-29 2000-02-07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앵커식 아연도 강판 및 이를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20010016465A (ko) * 2000-12-12 2001-03-05 홍성민 보강토 옹벽 및 사면 보강용 판상형 토사 보강재
KR100770311B1 (ko) * 2005-12-22 2007-10-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재 셀형식 옹벽 보강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588B1 (ko) * 2019-05-14 2020-02-24 김정주 보강토 옹벽 구조
US20210332549A1 (en) * 2020-04-23 2021-10-28 The Taylor IP Group Soil reinforcing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2384899B1 (ko) * 2021-07-21 2022-04-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신장 구간과 신장 구간의 복합 구성에 의한 신장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보강재,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493B1 (ko) 201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493B1 (ko)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US10392772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band type fiber reinforcing material for reinforced-soil retaining-wall
US20080286055A1 (en) Supporting Member,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Building Method Thereof
KR101700830B1 (ko) 보강토 옹벽블록과 그리드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1484258B1 (ko) 에이치빔 변형방지용 스티프너
KR100665022B1 (ko)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연결구
KR20150107226A (ko) Phc 파일의 선단 확장 기구
KR102560550B1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KR101015610B1 (ko)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경사판 앵커부재를 구비한 터널 구조물
KR100827009B1 (ko) 상하수도관 매설용 토류판
KR101032476B1 (ko) 강봉을 이용한 블럭식 암버럭 옹벽
KR101218722B1 (ko)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KR101398910B1 (ko) 선단확장형 파일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101701149B1 (ko) 강관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55915B1 (ko) 차수판을 구비하는 피에이치씨 파일
KR101407503B1 (ko) 지반보강재 및 이를 구비하는 옹벽구조물
KR101724407B1 (ko)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
KR102640957B1 (ko) 스트립을 결합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56816B1 (ko) 옹벽용 보강재의 고정방법
KR101867002B1 (ko) 변단면 보강체의 중공 삽입에 의한 보강구조를 가지는 흙막이용 phc 말뚝 및 그 시공방법
JP2002220834A (ja)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ブロック
KR101089661B1 (ko) 보강토 옹벽 블럭
KR101091846B1 (ko) 절토면 옹벽 시공용 커넥터
KR102131534B1 (ko) 파일보강체, 파일구조물 및, 파일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