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737A -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앵커식 아연도 강판 및 이를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앵커식 아연도 강판 및 이를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737A
KR20000006737A KR1019990047380A KR19990047380A KR20000006737A KR 20000006737 A KR20000006737 A KR 20000006737A KR 1019990047380 A KR1019990047380 A KR 1019990047380A KR 19990047380 A KR19990047380 A KR 19990047380A KR 20000006737 A KR20000006737 A KR 20000006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lvanized steel
steel sheet
retaining wall
steel plate
ancho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19990047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737A/ko
Publication of KR20000006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73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앵커식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평활한 아연도 강판(10)의 후단부에 지지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앵커부(12)를 굴곡형성시켜 기존 보강토(30)와의 마찰력에만 의존하던 지지방식에서 탈피하여 앵커부(12)의 추가적인 저항력에 의하여 옹벽(2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보강토 뒷채움재의 사용범위를 마찰각이 큰 사질토(沙質土) 뿐만 아니라 옹벽시공현장에 널려 있는 점성토(粘性土)등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토 옹벽 벽체의 횡방향 변위를 감소시키고, 시공현장의 흙을 유용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경제적이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 또한 절감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앵커식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An anchor type steel plate for supporting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by using it}
본 발명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앵커식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연도 강판 후단부에 지지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앵커부를 굴곡형성시켜 기존 보강토와의 마찰력에만 의존하던 지지방식에서 탈피하여 앵커부의 추가적인 저항력에 의하여 옹벽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보강토 뒷채움재의 사용범위를 마찰력이 높은 사질토 뿐만 아니라 옹벽시공현장의 점성토 등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부재로 사용되고 있는 아연도 강판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0.3 ~ 0.4㎝의 두께를 갖는 아연도 강판(1)을 10 ~ 14㎝ 내외의 폭으로 시공현장에 따라 약 4 ~ 11m 정도의 길이로 제작하여 조립식 옹벽(2)의 내측면에 부착된 연결브라켓(3)에 선단을 결합시켜 수평으로 상호 평행하게 깔고 그 위에 보강토(4)를 형성하는 뒷채움재를 덮고 단계별로 다짐작업을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아연도 강판(1)은 보강토(4)와의 마찰력에만 의존하여 옹벽(2)을 지지해주게 되는 것이어서 마찰각이 큰 사질토(沙質土)만 보강토 뒷채움재로 사용할 수 있었으므로 옹벽시공현장에 흔히 있는 점성토(粘性土) 등은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로 사용되는 아연도 강판의 인발에 의한 저항력을 보강재의 마찰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보강토내에 매몰된 상태에서 더욱 큰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의해 마찰각이 큰 사질토 외에도 옹벽시공현장에서 쉽게 입수할 수 있는 점성토 등도 보강토 뒷채움재로 유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앵커나 부속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아연도 강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아연도 강판을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연도 강판의 후단부에 지지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굴곡된 앵커부를 형성시켜 보강토의 압력에 의한 평면적인 마찰력 외에도 앵커식 지지에 의한 저항력의 향상을 도모하여 옹벽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옹벽시공에 있어서는 앵커부에 의한 저항력의 향상에 의하여 옹벽지지력의 향상과 아울러 보강토 뒷채움재의 사용범위를 마찰각이 큰 사질토 뿐만 아니라 옹벽시공현장의 점성토 등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보강토 옹벽 벽체의 횡방향 변위를 감소시켜 보다 안정적인 옹벽시공이 가능하고, 생대적으로 아연도 강판의 길이 및 폭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보강토 뒷채움용적을 감소시켜 토공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시공기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시공에 있어서는 옹벽의 보강토 뒷채움공간 즉, 암반이나 기타 건드릴 수 없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 짧은 아연도 강판을 사용해야만 할 경우, 비교적 짧게 제작된 아연도 강판 후단의 앵커부에 콘크리트 저항체를 현장에서 타설 양생한 후 보강토 뒷채움재를 덮고 다짐작업을 실시하여 요구로 하는 아연도 강판의 지지저항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기존의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옹벽 지지용 아연도 강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아연도 강판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 지지용 아연도 강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아연도 강판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옹벽 지지용 아연도 강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아연도 강판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옹벽시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옹벽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옹벽시공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연도 강판(보강재) 12 : 앵커부
12a,12b,12c : 돌출부 20 : 옹벽
22 : 연결브라켓 30 : 보강토
40 : 콘크리트 저항체 42 : 틀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재인 아연도 강판(10)의 후단에 횡방향으로 앵커부(12)가 형성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앵커부(12)는 대체로 아연도 강판(10)의 상방으로 돌출된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복수개의 돌출부(12a)(12b)(12c)는 서로 인접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도면중 부호 14는 아연도 강판(10)선단의 결합구멍으로, 이는 옹벽의 내측면에 부착된 연결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일치시켜 보울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첫번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아연도 강판(10)의 후단에 횡방향으로 앵커부(12)가 형성되어 있되, 이 앵커부(12)를 이루는 돌출부(12a)(12b)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앵커부(12)형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삼각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토와의 저항력을 감안하여 톱니형, 델타형, 반원형 또는 파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돌출부(12a)(12b)(12c)는 도 3 및 도 5의 정면도에서와 같이 아연도 강판(10)의 수평면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아연도 강판 생산공장에서 가공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는 달리 앵커부(12)가 아연도 강판(10)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즉, 길이방향을 따라 한개 이상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상기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의한 아연도 강판(10)은 앵커부가 보강토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형태, 즉 아연도 강판의 횡방향에 대한 보강토의 접촉면적을 넓혀 선박에서 사용되는 앵커(닻)와 같이 지지저항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에 의해 보강토의 압력에 의한 마찰저항과 더불어 굴곡형성된 앵커부의 앵커식 저항력발생에 의하여 보강재의 길이와 폭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그 역할과 기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아연도 강판을 이용한 옹벽시공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아연도 강판(10) 선단의 결합구멍(14)을 조립식 옹벽(20)내측면의 연결브라켓(22)에 일치시켜 보울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수평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하여 그위에 보강토(30)를 형성하는 뒷채움재를 덮고 다짐작업을 실시하면 된다.
도 9의 시공상태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연도 강판(10)은 그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앵커부(12)가 다짐작업된 보강토(30)의 유효거리상에서 앵커식 저항력 즉, 옹벽(20)이 보강토(30)에 의해 받게 되는 토압(土壓)인발력에 대항하는 저항력을 마찰저항과 동시에 발휘하게 되므로 옹벽지지력이 종전의 평활한 아연도 강판에 비해 향상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의 시공상태도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언급된 아연도 강판 즉, 앵커부(12)가 아연도 강판의 횡방향을 따라 인접형성된 것, 아연도 강판의 횡방향을 따라 이격형성된 것 및 앵커부(12)가 종방향으로 형성된 다양한 형태가 모두 혼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시공시에는 각 실시예의 아연도 강판을 동일한 형태의 것으로 시공할 수도 있고 도 8에서와 같이 혼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옹벽 후방의 보강토 뒷채움 공간이 여유가 없는 시공현장인 경우, 즉 단단한 암반이 있거나 또는 콘크리트 박스 등의 기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짧은 아연도 강판을 사용하여 옹벽을 보강해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아연도 강판(10)의 후단에 형성된 앵커부(12)주위에 저항력을 한층더 높일 수 있도록 콘크리트 저항체(40)를 형성시킨 것으로, 이 콘크리트 저항체 (40)는 예를 들면 20ℓ용량 양철 페인트 통 등을 재활용하여 틀(42)을 구성하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킨 후, 보강토(30)를 형성하는 뒷채움재를 덮고 다짐작업을 실시해주면 앵커부 (12)에 콘크리트 저항체(40)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옹벽 보강재인 아연도 강판(10)의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연도 강판의 후단부에 앵커부를 형성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앵커부에 의한 보강토와의 저항력 향상으로 옹벽지지력을 향상시켜 옹벽의 횡방향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평활한 띠형의 아연도 강판이 보강토의 압력에 의한 표면 마찰저항만에 의존할 때 마찰각이 작은 점성토 등을 사용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은 옹벽시공현장에 널려 있는 점성토도 보강토 뒷채움재로서 십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보강토 뒷채움재의 구입 및 운반에 소요되는 구입 및 물류비를 절감할 수도 있게 되며, 시공기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한 아연도 강판은 후단부에 굴곡 형성된 앵커부에 의하여 다수개를 겹친 상태에서 크레인 등으로 양중하거나 기타 운반시에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운반의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운반도중의 사고발생도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선단에 옹벽과의 연결을 위한 결합구멍이 형성된 아연도 강판(10)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 강판(10)의 후단부에 앵커부(12)가 굴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아연도 강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12)는 아연도 강판의 횡방향을 따라 굴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아연도 강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12)는 아연도 강판의 종방향을 따라 굴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아연도 강판.
  4. 후단에 앵커부(12)가 굴곡형성된 아연도 강판(10)선단의 결합구멍(14)을 조립식 옹벽(20)내측면의 연결브라켓(22)에 일치시켜 고정수단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수평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아연도 강판(10)후단의 앵커부(12)주위에 틀(42)을 형성하여 여기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양생시켜 콘크리트 저항체(40)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저항체(40)가 양생된 후 아연도 강판(10)상부에 보강토(30)를 형성하기 위한 뒷채움재를 덮어 다짐작업을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19990047380A 1999-10-29 1999-10-29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앵커식 아연도 강판 및 이를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20000006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380A KR20000006737A (ko) 1999-10-29 1999-10-29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앵커식 아연도 강판 및 이를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380A KR20000006737A (ko) 1999-10-29 1999-10-29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앵커식 아연도 강판 및 이를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737A true KR20000006737A (ko) 2000-02-07

Family

ID=1961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380A KR20000006737A (ko) 1999-10-29 1999-10-29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앵커식 아연도 강판 및 이를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73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369A (ko) * 2001-09-20 2003-03-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파형 옹벽보강재
KR100448442B1 (ko) * 2001-09-20 2004-09-13 주식회사 포스코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KR100615472B1 (ko) * 2006-01-24 2006-08-25 이정수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38493B1 (ko) * 2007-11-30 2010-01-25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369A (ko) * 2001-09-20 2003-03-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파형 옹벽보강재
KR100448442B1 (ko) * 2001-09-20 2004-09-13 주식회사 포스코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KR100615472B1 (ko) * 2006-01-24 2006-08-25 이정수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38493B1 (ko) * 2007-11-30 2010-01-25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8225A (en) Method of rehabilitating a waterfront bulkhead
KR100968048B1 (ko) 철재 토류판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62385B1 (ko) 각형 널말뚝과 그것을 이용한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76742B1 (ko) 강데크 보강슬래브 무교대 교량 및 이 시공 방법
KR20000006737A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앵커식 아연도 강판 및 이를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0473375B1 (ko) Phc 말뚝을 이용한 옹벽
KR101208419B1 (ko) 박스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압입공법
JPH11303087A (ja) 耐食性構造アンカーを使用した擁壁
KR100826895B1 (ko) 배면토 다짐에 유리한 응력저감형 옹벽
CN212001231U (zh) 一种钢构桥立柱连接基础结构
KR200361098Y1 (ko) 도로 사면 보강용 옹벽
JP2750363B2 (ja) 急勾配盛土
KR200452368Y1 (ko) 누수 방지가 가능한 파형강판용 베이스 채널
KR1007796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JP3120103B2 (ja) 道路の拡幅構造
JP2000096584A (ja) 鋼製土留め擁壁
JP2547946B2 (ja) 補強土構造
JP2621485B2 (ja) 構造物地中壁の築造方法
JP2860867B2 (ja) 道路拡幅工法
CN218374023U (zh) 一种格构式浅埋排水管道保护结构
KR100445459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구조체
JP3476235B2 (ja) U字溝施工方法
JP7314432B1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基礎構造の施工方法
JP3121753B2 (ja) 水路の沈下防止構造
KR200268971Y1 (ko) 도로확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