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424A -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 - Google Patents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424A
KR20020097424A KR1020010035357A KR20010035357A KR20020097424A KR 20020097424 A KR20020097424 A KR 20020097424A KR 1020010035357 A KR1020010035357 A KR 1020010035357A KR 20010035357 A KR20010035357 A KR 20010035357A KR 20020097424 A KR20020097424 A KR 20020097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shaft
rotational power
turre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6250B1 (ko
Inventor
추광식
김재실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창원대학 공작기계기술연구센터)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창원대학 공작기계기술연구센터), 이더블유에스 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민국 (창원대학 공작기계기술연구센터)
Priority to KR10-2001-0035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2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23B29/32Turrets adjustable by power drive, i.e. turret heads
    • B23B29/323Turrets with power operated angular 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20/00Machine tool components
    • B23Q2220/002Tool turr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1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제1샤프트(20)와, 상기 제1샤프트(20) 하단면에 형성된 제1베벨기어(30)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받고, 아이들기어부(16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도록하는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베벨기어(30)와 수직방향으로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 2베벨기어(50)와, 상기 제 2베벨기어(50)와 키(60)로 고정되게 형성되어 회전동력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샤프트(70)와, 상기 제2샤프트(70)의 내면에 형성된 중공부(170)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양 측면 끝단은 지지부재(120)와 조정캡(130)을 형성하여 너트a(100)와 너트b(110)로 연결고정되는 로드(90)와, 상기 조정캡(130)의 외부면에 세목나사를 형성하여 베벨기어뭉치의 세밀한 조정을 하는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베벨기어뭉치를 손 쉽게 분리하여 마모나 손상된 부품의 교체가 가능하고, 치합된 베벨기어의 세밀한 정도 조정이 가능하며, 정도 조정시 외부에서 조절이 가능함으로 수리시간의 단축과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adjustable structure of bevel gear for turret}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 하단면에 형성된 제 1베벨기어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받고, 피니언 스플라인 기어부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도록하는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시 선반(Numerrically Controlled Lathe)이나 머시닝센터(MC) 등에 설치되는 터렛은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고 다음 단계의 기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샤프트 하부에 베벨 기어부(7)가 형성된다.
종래의 베벨기어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2)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2)의 하면에 제 1베벨기어(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베벨기어(3)는 측면에 베어링(4)이 설치되고, 회전동력을 스플라인(7)에 전달한다. 상기 제 1베벨기어(3)는 샤프트(2)와 키(6)로 고정된다.
상기 스플라인(7)의 측면에는 제 1베벨기어(3)와 치합되는 제 2베벨기어(5)가 형성되고, 상기 제 2베벨기어(5)는 스플라인(7)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플라인(7)은 전면에 피니언기어(8)를 형성한다. 상기 피니언기어(8)는 그 하부에 위치한 또 하나의 기어부인 아이들 기어부(160)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하지만, 베벨기어의 정도 조정시 카바(9a)를 분해하고 칼라(9)를 분리하여 상기 칼라(9)를 현합연마하여 재장착하는 작업을 수차례 반복하여야 하며, 세밀한 조정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조정작업시 작업시간의 과다한 소요로 신속한 수리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베벨기어의 정도 조정시 분리하지 않고 그 외부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공작기계의 동작시 소음을 줄이고 벡레쉬 조정을 정확하게 수행하여 터렛의 인덱싱 정도를 향상시키는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동모터(1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제1샤프트(20)와, 상기 제1샤프트(20) 하단면에 형성된 제1베벨기어(30)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받고, 아이들기어부(16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도록하는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베벨기어(30)와 수직방향으로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 2베벨기어(50)와, 상기 제 2베벨기어(50)와 키(60)로 고정되게 형성되어 회전동력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샤프트(70)와, 상기 제2샤프트(70)의 내면에 형성된 중공부(170)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양 측면 끝단은 지지부재(120)와 조정캡(130)을 형성하여 너트a(100)와 너트b(110)로 연결고정되는 로드(90)와, 상기 조정캡(130)의 외부면에 세목나사를 형성하여 베벨기어뭉치의 세밀한 조정을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렛용 베벨기어 조정구조의 설치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렛용 베벨기어 조정구조의 베벨기어뭉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렛용 베벨기어 구조의 설치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동모터20; 제1샤프트
30; 제 1베벨기어31; 제 1베벨기어치형
40; 베어링41; 고정플레이트
50; 제 2베벨기어51; 제 2베벨기어치형
60; 키70; 제2샤프트
80; 피니언기어90; 로드(rod)
100; 너트a110; 너트b
120; 지지부재130; 조정캡
150; 세트스크류160; 아이들기어부
180; 칼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렛용 베벨기어의 고정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렛용 베벨기어 조정구조의 설치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렛용 베벨기어 조정구조의 베벨기어뭉치 분해사시도이다.
본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2샤프트(7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샤프트(70)의 측면에는 피니언기어(80)와 제 2베벨기어(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에 위치한 제 2베벨기어(50)는 그 중심축이 제2샤프트(70)와 90도 각도로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제2샤프트(70)와 키(60)로 접합된다. 또한 제2샤프트(70)의 좌,우 측면에는 베어링(40)이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기어(80)는 제2샤프트(70)의 하부에 위치한 또 하나의 기어부인 아이들 기어부(16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된다. 피니언기어(80)은 제2샤프트(70)에 키(60)로 고정된다.
상기 제2샤프트(70)의 내부 중심부에는 중공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170)의 내부에 로드(90)가 설치되는데, 상기 로드(90)는 중공부(170)와 접하지 않도록 중공부(170)보다 작은 지름으로 설치된다. 상기 로드(90)는 평행하게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각각 지지부재(120)와 조정캡(130)이 설치된다.
또한, 제 2베벨기어(50)와 베어링(40) 사이에는 칼라(180)가 설치된다. 상기 칼라(180)는 제 2베벨기어(50)와 키(60)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120)와 조정캡(130)은 로드(90)를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지지부재(120)와 조정캡(130)은 각각 로드(90)의 양 측면에는 너트a, b(100,110)가 형성되어 베벨기어뭉치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정캡(130)의 원주상에는 세목나사로 고정플레이트(41)에 결합되어 있고, 셋트스큐류(150)로 고정되게 한다.
본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의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0)의 회전동력을 제1샤프트(20)에 전달하고, 상기 제1샤프트(20)는 제 1베벨기어(30)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1샤프트(20)와 제 1베벨기어(30)의 측면에는 회전이 원활하도록하는 베어링(40)이 상,하로 두 개 설치된다.
상기 제 1베벨기어(30)는 회전 동력을 하부에 위치한 제 2베벨기어(50)에 전달한다. 상기 제 2베벨기어(50)는 제 1베벨기어(30)와 수직으로 형성되는데, 제 1베벨기어(30)의 수평회전 동력을 제 2베벨기어(50)의 수직회전 동력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제 2베벨기어(50)는 중앙부의 제2샤프트(70)와 키(60)로 일체로 결합되고, 제 2베벨기어(50)의 동력이 제2샤프트(70) 전체에 회전을 가져온다. 또한 제2샤프트(70)의 내부에는 로드(90)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로드(90)는 제2샤프트(70)이 회전하는 반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게 형성된다.
상기 로드(90)의 역할은 제 1베벨기어(30)와 제 2베벨기어(50)의 수직적 치합의 정도가 일치하지 않아, 소음이 발생하고, 벡레쉬의 발생으로 인덱싱 정도를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데, 로드(90)의 양측면에 부착된 너트a(100) 와 너트b(110)를 외부에서 단단히 다시 쪼임함으로써 제2샤프트(70)가 수평을 유지하고, 제 1베벨기어(30)와 정도조정이 가능해 진다.
상기 제 1베벨기어(30)의 치형(31)과 제 2베벨기어(50)의 치형(51)이 치합함으로써 각 베벨기어(30,31)의 중심선은 동일선상에 90도 각도를 유지한다. 상기 제1베벨기어(30)와 제2베벨기어(50)의 각각 치형(31,51)의 접촉상태는 조정캡(130)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A방향으로 이동하고, 왼쪽으로 돌리면 B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음과 벡래쉬를 조정한다. 상기 소음과 벡레쉬 조정 후에 세트스크류(150)로 고정한다.
상기 제2샤프트(70)의 측면에는 피니언기어(80)가 설치되는데, 상기 피니언기어(80)는 그 하부에 위치한 또 다른 아이들기어부(160)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제2샤프트(70)의 양 측면의 끝단에는 각각 베어링(4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베벨기어뭉치를 손 쉽게 분리하여 마모나 손상된 부품의 교체가 가능하고, 치합된 베벨기어의 세밀한 정도 조정이 가능하며, 정도 조정시 외부에서 조절이 가능함으로 수리시간의 단축과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구동모터(1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제1샤프트(20)와, 상기 제1샤프트(20) 하단면에 형성된 제1베벨기어(30)를 통해 회전동력을 전달받고, 아이들기어부(16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도록하는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베벨기어(30)와 수직방향으로 치합되어 회전하는 제 2베벨기어(50)와, 상기 제 2베벨기어(50)와 키(60)로 고정되게 형성되어 회전동력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샤프트(70)과, 상기 제2샤프트(70)의 내면에 형성된 중공부(170)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양 측면 끝단은 지지부재(120)와 조정캡(130)을 형성하여 너트a(100)와 너트b(110)로 연결고정되는 로드(90)와, 상기 조정캡(130)의 외부면에 세목나사를 형성하여 베벨기어뭉치의 세밀한 조정을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
KR10-2001-0035357A 2001-06-21 2001-06-21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 KR100436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357A KR100436250B1 (ko) 2001-06-21 2001-06-21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357A KR100436250B1 (ko) 2001-06-21 2001-06-21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24A true KR20020097424A (ko) 2002-12-31
KR100436250B1 KR100436250B1 (ko) 2004-06-16

Family

ID=2771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357A KR100436250B1 (ko) 2001-06-21 2001-06-21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2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591B1 (ko) * 2008-09-19 2010-10-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열발전용 자연순환형 태양열 흡수기
KR100985592B1 (ko) * 2008-09-19 2010-10-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열발전용 흡수기의 과열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668A (ja) * 1983-06-22 1985-01-11 Hitachi Ltd バツクラツシユ調整機構
JPH0351540Y2 (ko) * 1985-08-02 1991-11-06
JPH08177984A (ja) * 1994-12-28 1996-07-12 Fanuc Ltd バックラッシを調整可能に構成した歯車装置
JPH10202519A (ja) * 1997-01-23 1998-08-04 Seiko Seiki Co Ltd 溝研削用スピンド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591B1 (ko) * 2008-09-19 2010-10-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열발전용 자연순환형 태양열 흡수기
KR100985592B1 (ko) * 2008-09-19 2010-10-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열발전용 흡수기의 과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6250B1 (ko)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714105A (zh) 一种减速机蜗轮生产用径向圆弧槽加工设备
KR20020097424A (ko) 터렛용 베벨기어의 조정구조
US2915949A (en) End mill driving attachment
CN113175497B (zh) 用于回转台的传动装置
CN113231838B (zh) 一种数控回转工作台
CN204053147U (zh) 机床顶尖装置及使用该顶尖装置的机床
CN209954330U (zh) 一种高精度回转分度头
CN211490741U (zh) 一种数控分度盘
CN113118562A (zh) 一种基于车床加工齿轮的装置
JP4494861B2 (ja) 研削ウォームを形直しする形直し工具
CN111570825A (zh) 一种液压油缸活塞杆车削设备
CN213969020U (zh) 一种数控高精密机床动静压主轴
CN216096817U (zh) 一种轴齿滚齿用装夹装置
US3494252A (en) Attachment for holding the blank of a gear hobber
CN212495810U (zh) 一种能够稳定切换中心架的滚齿机
CN219443460U (zh) 一种数控车床的刀架托板行程加长机构
CN204584755U (zh) 一种多功能夹头
JP4027486B2 (ja) 歯切り装置を備えたnc旋盤
KR102648378B1 (ko) 가공툴의 방향성을 유지한 웜나사 가공장치
CN214684295U (zh) 一种数控机床刀盘架组件
CN210755210U (zh) 一种用于表壳加工的铣床主轴
CN211028984U (zh) 一种多轴箱式刀塔装置
CN210587368U (zh) 一种可调式双轴铣削动力头
CN216065882U (zh) 一种高精密数控电火花成型机床
KR101862602B1 (ko) 터릿 장착 타입의 가이드 부시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