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710A -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710A
KR20020096710A KR1020010035531A KR20010035531A KR20020096710A KR 20020096710 A KR20020096710 A KR 20020096710A KR 1020010035531 A KR1020010035531 A KR 1020010035531A KR 20010035531 A KR20010035531 A KR 20010035531A KR 20020096710 A KR20020096710 A KR 20020096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ir bag
cover
housing
ba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6710A/ko
Publication of KR2002009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71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덮개에 안전선을 부착하여 에어백이 전개되어 에어백 덮개가 개방될 때, 에어백 덮개가 윈드실드 글래스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은 차체의 운전석 전방의 인스트러먼트 패널 상에 설치되고, 그 상면이 개방된 에어백 하우징;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작동기체 팽창장치와 에어백을 구비하며, 에어백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 에어백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으며, 에어백이 전개될 때 에어백 하우징이 개방되도록 일측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에어백 덮개; 및 개방되는 에어백 덮개가 윈드실드 글래스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에어백 하우징과 에어백 덮개를 연결하여 에어백 덮개의 개방정도를 제한하는 안전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Air bag system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조수석 전방에 위치한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장착되는 에어백을 보호 및 지지하는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1)이 카울 크로스 부재(3)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에어백 하우징(1) 내에 에어백(7)이 설치된다. 에어백 덮개(2)는 인스트러먼트 패널(4)의 단턱에 장착되며, 에어백 덮개(2)의 한쪽 부분은 리벳결합에 의해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고정결합되고, 그 다른 부분들은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가결합 상태이다. 이러한 에어백 덮개(2)와 인스트러먼트 패널(4)의 결합에 의해, 차량의 충격에 의해 에어백(7)이 작동하여 전개되면 에어백 덮개(2)의 가결합된 단부가 제쳐지며 에어백 덮개(2)가 개방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조수석에 장착되는 에어백 덮개(2)는 에어백(이 작동하여 전개되면서 에어백 덮개(2)와 윈드실드 글래스(5)에 접촉하여 윈드실드 글래스(5)가 깨지면서 승객에서 상해를 입힐 수도 있으므로, 설계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에어백 덮개(2)와 윈드실드 글래스(5) 사이의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이러한 설계 기준은 에어백 덮개(2)가 개방되었을 경우와 윈드실드 글래스(5)간의 거리는 최소한 20mm(도 2에 도시된 A 부분 참조)의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는 제약 사항이 있었다.
하지만, 어린 아이가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매달려 서 있을 경우에 에어백이 전개되어도 상해가 일정기준을 넘지 않을 것을 법규화한 새로운 법규가 발표되면서, 상기와 같은 최소 20mm의 거리를 유지하는 설계는 더 이상 불가능하게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에어백 덮개에 안전선을 부착하여 에어백이 전개되어 에어백 덮개가 개방될 때, 에어백 덮개가 윈드실드 글래스와 충돌하지 않는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조수석에 장착된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 덮개가 열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에어백 덮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 덮개가 열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에어백 덮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 : 에어백 하우징20 : 에어백 덮개
18 : 안전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은, 차체의 운전석 전방의 인스트러먼트 패널 상에 설치되고, 그 상면이 개방된 에어백 하우징;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작동기체 팽창장치와 에어백을 구비하며, 에어백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 에어백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으며, 에어백이 전개될 때 에어백 하우징이 개방되도록 일측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에어백 덮개; 및 개방되는 에어백 덮개가 윈드실드 글래스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에어백 하우징과 에어백 덮개를 연결하여 에어백 덮개의 개방정도를 제한하는 안전선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덮개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에어백 덮개는 에어백 하우징(15),에어백 모듈(미도시), 에어백 덮개(20), 안전선(18)을 포함한다.
에어백 하우징(15)은 카울 크로스 부재(3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에어백 하우징(1) 내에 에어백(17)이 설치된다.
에어백 모듈(미도시)은 에어백(17)과 작동기체 팽창장치(미도시)로 이루어지며, 센서에 의해 충돌이 감지되면 작동기체장치가 폭발하여, 폭발된 가스로 인해 에어백(17)이 순간적으로 부풀게 된다. 충돌로부터 에어백이 완전 작동되는 시간은 보통 50/1,000초 정도의 짧은 시간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는 고체의 급격한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고압 가스를 이용하거나, 고압가스 용기에 저장된 기체를 이용한다.
에어백 덮개(20)의 양단부는 인스트러먼트 패널(16)의 단턱에 장착되며, 에어백 덮개(20)의 한쪽 단부는 리벳결합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되며, 그외 다른 부분들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가결합된다. 이러한 에어백 덮개(2)와 인스트러먼트 패널(4)의 결합에 의해, 차량의 충격에 의해 에어백(7)이 작동하여 전개되면 에어백 덮개(2)의 가결합된 단부가 제쳐지며 에어백 덮개(2)가 개방된다.
안전선(18)은 그 한쪽 단부는 에어백 덮개(20)의 밀봉 결합되는 부위의 일정부분에 형성된 고리부(13)에 결합되고, 그 다른쪽 단부는 에어백 하우징(15)의 일정지점에 형성된 고리부(14)에 결합된다.
차량의 충격에 의해 에어백(17)이 전개되면 에어백 덮개(2)의 가결합된 단부가 제쳐지며 에어백 덮개(20)가 개방되지만, 에어백 덮개(20)와 에어백 하우징(15) 사이에 장착된 안전선의 인장 작용에 의해 에어백 덮개(20)가 윈드실드 글래스(18)와 충돌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에어백 덮개에 안전선을 부착하여 에어백이 전개되어 에어백 덮개가 개방될 때, 에어백 덮개가 윈드실드 글래스와 충돌하지 않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차체의 운전석 전방의 인스트러먼트 패널 상에 설치되고, 그 상면이 개방된 에어백 하우징;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작동기체 팽창장치와 상기 에어백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덮으며, 에어백이 전개될 때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개방되도록 일측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에어백 덮개; 및
    상기 개방되는 에어백 덮개가 윈드실드 글래스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과 에어백 덮개를 연결하여 상기 에어백 덮개의 개방정도를 제한하는 안전선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
KR1020010035531A 2001-06-21 2001-06-21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 KR20020096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531A KR20020096710A (ko) 2001-06-21 2001-06-21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531A KR20020096710A (ko) 2001-06-21 2001-06-21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710A true KR20020096710A (ko) 2002-12-31

Family

ID=2771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531A KR20020096710A (ko) 2001-06-21 2001-06-21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7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8603A (zh) * 2017-03-31 2018-10-23 福特全球技术公司 具有可变延伸的机动车辆安全气囊滑槽门铰链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4838A (ja) * 1988-02-09 1989-08-1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H0225347A (ja) * 1988-07-15 1990-01-26 Nec Niigata Ltd データ密度変換制御回路
JPH0594030U (ja) * 1992-06-01 1993-12-2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H07164986A (ja) * 1993-12-13 1995-06-27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11192913A (ja) * 1998-01-07 1999-07-21 Denso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2000071920A (ja) * 1998-09-01 2000-03-07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4838A (ja) * 1988-02-09 1989-08-1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H0225347A (ja) * 1988-07-15 1990-01-26 Nec Niigata Ltd データ密度変換制御回路
JPH0594030U (ja) * 1992-06-01 1993-12-2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H07164986A (ja) * 1993-12-13 1995-06-27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11192913A (ja) * 1998-01-07 1999-07-21 Denso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2000071920A (ja) * 1998-09-01 2000-03-07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8603A (zh) * 2017-03-31 2018-10-23 福特全球技术公司 具有可变延伸的机动车辆安全气囊滑槽门铰链
CN108688603B (zh) * 2017-03-31 2022-05-31 福特全球技术公司 具有可变延伸的机动车辆安全气囊滑槽门铰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7061B1 (en) Airbag system within impact countermeasures
US6164685A (en) Deployment door for air bag module
KR20050053116A (ko) 커튼 에어백모듈을 구비한 차량의 프런트필러트림 결합구조
EP2070778A1 (en) Airbag apparatus
US6076849A (en) Motor vehicle dashboard assembly
KR20020096710A (ko) 자동차용 에어백 시스템
JP2005075141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397513B1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 연결장치
KR20020037201A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 연결장치
KR100475966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100547298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KR100419735B1 (ko)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WO2008054266A1 (en) An air-bag arrangement
KR200152894Y1 (ko) 자동차의 조수석측 에어백
KR100353064B1 (ko) 자동차의 승객용 에어 백 도어 구조
KR0138820Y1 (ko) 승객보호용 에어백
KR200157352Y1 (ko) 자동차의 조수석용 에어 백의 보호막 고정구조
KR100503535B1 (ko) 수평 마운팅식 조수석 에어백 구조
KR100520988B1 (ko) 차량용 측면 에어백
KR013102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00417384B1 (ko) 승객용 에어백 연결장치
KR200148525Y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구조
KR100547299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KR100579724B1 (ko) 차량의 에어백 도어
KR0138801Y1 (ko) 승객용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