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864A - 광섬유 어레이 - Google Patents

광섬유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864A
KR20020095864A KR1020010034169A KR20010034169A KR20020095864A KR 20020095864 A KR20020095864 A KR 20020095864A KR 1020010034169 A KR1020010034169 A KR 1020010034169A KR 20010034169 A KR20010034169 A KR 20010034169A KR 20020095864 A KR20020095864 A KR 20020095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substrate
shaped
rear cover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권식
정상훈
이호경
하타케야마야스히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테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테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테론
Priority to KR1020010034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5864A/ko
Publication of KR2002009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8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4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 G02B6/0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 G02B6/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formed by bundles of fibr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bres being the same at both ends, e.g. for transporting images with fibre bundle in form of pl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75Protection from bending or twi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9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using encapsulation for protection, e.g. adhesive, molding or casting res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기판상의 광섬유받침부와 리어커버사이의 접착면적을 최대로 확장시켜 광섬유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므로써 접착제의 경화에 따른 잔류응력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정렬된 광섬유가 뒤틀리지 않도록 하고, 기판상의 광섬유받침부에 대한 리어커버의 접착작업시 위치결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불량발생율을 현저하게 저감시키고,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의 앞부분에 탈피된 상태의 다수의 광섬유가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V형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면 뒷부분에는 탈피되지 않은 광섬유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섬유받침부가 형성된 육면체형의 기판과; 상기 기판상의 V형 그루브의 상부에 덮여지는 프론트커버와; 상기 기판상의 광섬유받침부의 상부에 덮여지는 리어커버를 포함하는 광섬유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받침부상의 광섬유가 놓여지는 부분을 벗어난 양쪽 가장자리에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V형 또는 U형의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홈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리어커버의 저면에는 각각 대응되는 결합홈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V형 또는 U형의 결합리브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기판상의 광섬유받침부와 리어커버사이의 접착면적이 결합홈의 내측 둘레면 만큼 확장되어 탈피되지 않은 광섬유부분에 대한 고정력이현저히 강화되기 때문에 접착제의 경화과정에서의 수축에 따른 광섬유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또, 리어커버를 광섬유받침부 위에 덮어주는 공정에서 결합리브를 결합홈에 끼워 맞추면 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한층 향상되는 것은 물론, 불량률이 현저히 저감된다.

Description

광섬유 어레이{OPTICAL FIBER ARRAY}
본 발명은 광섬유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상의 광섬유받침부와 리어커버사이의 접착면적을 최대로 확장시켜 광섬유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므로써 접착제의 경화에 따른 잔류응력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정렬된 광섬유가 뒤틀리지 않도록 하고, 기판상의 광섬유받침부에 대한 리어커버의 접착작업시 위치결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불량발생율을 현저하게 저감시키고,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광섬유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섬유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더 많은 수의 광섬유가 플래너웨이브가이드(Planar Waveguide :PLC)용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광섬유의 회선수 증가에 따라 웨이브가이드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회피하고, 밀도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표준형 웨이브가이드의 피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광섬유의 밀도를 증대시키고 웨이브가이드의 피치를 줄이기 위하여 광섬유에 연결된 광섬유 어레이의 광섬유 사이의 피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광섬유 어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섬유 어레이(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형의 기판(12)과, 기판의 상부에 덮여지는 커버(14)와, 상기 기판(12)상에 얹혀진 상태에서 여러 가닥으로 분기되어 정렬된 다음에 커버에 의하여 덮여지고, 접착제로써 고정되는 광섬유(16)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12)의 상면 앞부분에는 탈피된 상태에서 분기된 여러 가닥의 광섬유(16)가 일정한 간격으로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V형 그루브(V-Groove:18)가 형성된다.
또, 상기 기판(12)의 상면 뒷부분에는 탈피되지 않은 리본형태의 광섬유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섬유받침부(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기판(12)의 구성에서 상기 V형 그루브(18)와 광섬유받침부(20)의 형성높이는 광섬유(16)의 탈피된 부분과 탈피되지 않은 부분 사이의 두께차를 고려하여 서로 소정의 높이 만큼 단차(段差)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14)는 기판(12)의 상면 앞부분에 형성된 V형 그루브(18)의 위에 덮여지는 프론트커버(Front Cover:14a와, 상기 기판(12)의 상면 뒷부분에 형성된 광섬유받침부(20) 위에 덮여지는 리어커버(Rear Cover:14b)로 구분된다.
리어커버(14b)의 저면에는 그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탈피되지 않은 리본형태의 광섬유의 폭과 두께를 고려한 광섬유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광섬유 어레이(10)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하여 제조된다.
초기에 리본형태를 갖는 광섬유(16)의 선단부를 일정한 길이범위에 걸쳐 탈피시켜 광섬유가 여러 가닥으로 분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탈피되어 분기된 각 광섬유를 기판(12)의 상면 앞부분에 형성된 각 V형 그루브(18)내에 정렬하고, 탈피되지 않은 광섬유의 뒷부분은 기판의 상면 뒷부분에 형성된 광섬유받침부(20)상에 얹혀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V형 그루브(18)의 상부에는 프론트커버(14a)를, 광섬유받침부(20)의 상부에는 리어커버(14b)를 덮고, V형 그루부(18)와 프론트커버(14a) 사이 및 광섬유받침부(20)와 리어커버(14b) 사이에 접착제를 채우고 경화시키면 광섬유어레이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광섬유 어레이(10)의 구조에서는 기판(12)상의 광섬유받침부(20)와 리어커버(14b) 사이의 접착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기 광섬유받침부(20)와 리어커버(14b) 사이에 채워지는 접착제의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작용에 의하여 정렬된 상태의 광섬유(16)가 뒤틀리게 되어 광섬유의 특성이 저감되거나 심한 경우 광섬유의 손상우려가 높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광섬유 어레이의 구조에서는 별도의 위치결정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판(12)상의 광섬유받침부(20)상에 리어커버(14b)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지고 불량발생율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판상의 광섬유받침부와 리어커버사이의 접착면적을 최대로 확장시켜 광섬유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므로써 접착제의 경화에 따른 잔류응력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정렬된 광섬유가 뒤틀리지 않도록 한 광섬유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상의 광섬유받침부에 대한 리어커버의 접착작업시 위치결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불량발생율을 현저하게 저감시키고,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광섬유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광섬유 어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어레이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어레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어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 기판 62 : V형 그루브
64 : 광섬유받침부 66 : 결합홈
70 : 프론트커버 72 : 접착제주입공
80 : 리어커버 86 : 결합리브
90 : 광섬유 90a : 탈피된 부분
90b : 탈피되지 않은 부분 100 : 접착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어레이는 상면의앞부분에 탈피된 상태의 다수의 광섬유가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V형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면 뒷부분에는 탈피되지 않은 광섬유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섬유받침부가 형성된 육면체형의 기판과; 상기 기판상의 V형 그루브의 상부에 덮여지는 프론트커버와; 상기 기판상의 광섬유받침부의 상부에 덮여지는 리어커버를 포함하는 광섬유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받침부상의 광섬유가 놓여지는 부분을 벗어난 양쪽 가장자리에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V형 또는 U형의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홈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리어커버의 저면에는 각각 대응되는 결합홈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V형 또는 U형의 결합리브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론트커버의 상면에는 소정의 형태를 갖는 접착제주입공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어레이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어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벌명에 따른 광섬유 어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어레이(50)는 기본적으로 육면체형상의 기판(60)과, 기판의 상면 앞부분에 덮여지는 프론트커버(70)와, 기판의 상면 뒷부분에 덮여지는 리어커버(80) 및 기판상에 정렬되는 광섬유(90)로 구성된다.
상기 기판(60)의 상면 앞부분에는 소정의 길이 만큼 탈피된 상태에서 분기된 여러 가닥의 광섬유가 일정한 간격으로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V형 그루브(62)가 형성된다.
기판(60)의 상면 뒷부분에는 탈피되지 않은 리본형태의 광섬유(90)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광섬유받침부(64)가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광섬유받침부(64)상의 광섬유가 놓여지는 부분을 벗어난 양쪽 가장자리에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V형 또는 U형의 결합홈(6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도면에서는 일예로서 U형으로 도시됨).
기판(60)을 구성함에 있어서 광섬유(90) 앞쪽의 탈피된 부분(90a)과 광섬유 뒷쪽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90b) 사이의 두께차를 고려하여 V형 그루브(62)와 광섬유받침부(64)는 서로 소정의 높이 만큼 단차(段差)지도록 형성된다.
기판(60)의 상면 앞부분에 형성된 V형 그루브(62)의 위에 덮여지는 프론트커버(70)는 기판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으로부터 아랫쪽으로는 소정의 형상과 크기를 갖는 접착제주입공(72)이 형성된다.
기판(60)상의 광섬유받침부(64) 위에 덮여지는 리어커버(80)는 그 저면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광섬유(90)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90b)의 폭과 두께를 감안한 광섬유가이드홈(82)이 형성된다.
또, 리어커버(80)의 앞부분에는 결합시 경화제(100)를 주입하기 위하여 소정 크기의 개구부(84)가 형성된다.
기판(60)상의 광섬유받침부(64) 위에 덮여지는 리어커버(8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시 프론트커버(70)와 동일한 평면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의 육면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시 필요에 따라 프론트커버(70)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광섬유받침부(64)상에 형성된 각 결합홈(66)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리어커버(80)의 저면에는 각각 대응되는 결합홈(66)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V형 또는 U형의 결합리브(86)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어레이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초기에 리본형태를 갖는 다심 광섬유(90)의 앞부분을 일정한 길이범위에 걸쳐 탈피하여 광섬유가 여러 가닥으로 분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탈피되어 분기된 각 광섬유를 기판(60)의 상면 앞부분에 형성된 각 V형 그루브내(62)에 정렬시키고, 광섬유(90) 뒷쪽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90b)은 기판의 상면 뒷부분에 형성된 광섬유받침부(64)상에 얹혀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리어커버(80)의 저면 양쪽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리브(86)를 광섬유받침부(64)의 상면 양쪽에 형성된 결합홈(66)에 맞추어 끼우고, 상기 V형 그루브(62)의 상부에는 프론트커버(60)를 덮어준다.
프론트커버(70)상의 접착제주입공(72)과 리어커버(80) 앞쪽의 개구부(84)를 통하여 접착제(100)를 주입하면, 접착제가 프론트커버(70)와 V형 그루브(62) 사이 및 리어커버(80)와 광섬유받침부(64) 사이에 채워지게 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접착제가 경화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어레이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한 리어커버(80)의 저면과 광섬유받침부(64)의 사이의 접착면적은 결합홈(66)의 내측 둘레면 만큼 확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기판상의 광섬유받침부와 리어커버사이의 접착면적이 결합홈의 내측 둘레면 만큼 확장되어 탈피되지 않은 광섬유부분에 대한 고정력이 현저히 강화되기 때문에 접착제의 경화과정에서의 수축에 따른 광섬유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또, 리어커버를 광섬유받침부 위에 덮어주는 공정에서 결합리브를 결합홈에 끼워 맞추면 되므로 작업성 및 생산성이 한층 향상되는 것은 물론, 불량발생률이 현저히 저감된다.

Claims (2)

  1. 상면의앞부분에 탈피된 상태의 다수의 광섬유가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V형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면 뒷부분에는 탈피되지 않은 광섬유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섬유받침부가 형성된 육면체형의 기판과; 상기 기판상의 V형 그루브의 상부에 덮여지는 프론트커버와; 상기 기판상의 광섬유받침부의 상부에 덮여지는 리어커버를 포함하는 광섬유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받침부상의 광섬유가 놓여지는 부분을 벗어난 양쪽 가장자리에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V형 또는 U형의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홈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리어커버의 저면에는 각각 대응되는 결합홈에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 V형 또는 U형의 결합리브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어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커버의 상면에는 소정의 형태를 갖는 접착제주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어레이.
KR1020010034169A 2001-06-16 2001-06-16 광섬유 어레이 KR20020095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169A KR20020095864A (ko) 2001-06-16 2001-06-16 광섬유 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169A KR20020095864A (ko) 2001-06-16 2001-06-16 광섬유 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864A true KR20020095864A (ko) 2002-12-28

Family

ID=2770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169A KR20020095864A (ko) 2001-06-16 2001-06-16 광섬유 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58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5005A1 (en) * 2011-06-10 2012-12-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Optical waveguide ribbon with stack-positioning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5005A1 (en) * 2011-06-10 2012-12-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Optical waveguide ribbon with stack-position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284B1 (ko) 광 커넥터 페룰, 광 커넥터, 광 부품 및 광 배선 시스템
EP0896689B1 (en) Angled opto-mechanical connector
CN100356214C (zh) 光波导装置
US20050213922A1 (en) Stress relief in fibre optic arrays
JP5513588B2 (ja) 光コネクタ
US20060115217A1 (en) Multi-fiber ferrule and a mold therefor
US7103256B2 (en) Block base having tree-structured groove array, multi-core optical fiber block having tree-structured groove arrays, and method for aligning optical fiber arrays in the same
EP1004912A2 (en) A fiber optic conn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7233144A (ja) 多心モールド光ファイバ及び光配線方法及び光回路装置
KR20020095864A (ko) 광섬유 어레이
KR100407372B1 (ko) 광섬유 어레이
JPH08286079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
KR20020095866A (ko) 광섬유 어레이
JP5065112B2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JP6586796B2 (ja) コネクタ用ブーツ、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心線
WO2007080740A1 (ja) 光導波路デバイス及び光導波路デバイスの製造装置
US6498880B1 (en) Fiber optic ferrule
JP4017180B2 (ja) 多心光コネクタ
JP3543319B2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KR100421429B1 (ko)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JP5320192B2 (ja) 光フェルール成形金型及び光フェルールの製造方法
JPS61113011A (ja) 光フアイバ多心コネクタプラグの製造方法
RU2193788C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й кабель для многоканального акустооптического переключателя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0155232A (ja) 光ファイバアレイの製造方法
KR100219713B1 (ko) 기계식 광접속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