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221A - 의료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의료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221A
KR20020095221A KR1020027013995A KR20027013995A KR20020095221A KR 20020095221 A KR20020095221 A KR 20020095221A KR 1020027013995 A KR1020027013995 A KR 1020027013995A KR 20027013995 A KR20027013995 A KR 20027013995A KR 20020095221 A KR20020095221 A KR 20020095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section
cross
receiving recess
proxim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2796B1 (ko
Inventor
아우크툰미카엘
페터스만프레트
하젤훈클라우스
슈피커만후베르투스
Original Assignee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to KR102002701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7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요소의 결합 핀(17, 17', 17")을 수납하기 위한 임플란트(1)로서, 종방향 축(9), 원위 단부(3), 및 근위 단부(4)를 구비하고, 그 근위 단부(4)로부터 종방향 축(9)의 방향을 따라 임플란트(1)의 내부로 결합 핀(17, 17', 17")용 수납 리세스(10)가 연장되며, 임플란트(1)가 그 외측 표피 면에서 형상 결속 또는 마찰 결속에 의해 인체 또는 동물체의 뼈에 있는 수납 구멍의 내측 표피 면에 결합될 수 있고, 수납 리세스(10)에 맞춰진 결합 핀(17, 17', 17")이 클램핑, 가열 접합, 접착, 또는 시멘팅에 의해 그 수납 리세스(10) 속에 앵커 고정될 수 있는 임플란트(1)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요소는 앵커 고정 상태에서 그 횡단면이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에 있는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을 넘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헤드부(16)의 접촉면(18)에 의해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에 배정된 임플란트(1)의 접촉면(5)에 전면적으로 접한다. 수납 리세스(10)는 원통형 섹션(10Z)을 구비하고, 그 원통형 섹션(10Z)에는 횡단면이 점감되는 섹션(10V)이 연접된다. 결합 핀(17, 17', 17")도 역시 원통형 섹션(17Z)을 구비하고, 그 원통형 섹션(17Z)에는 횡단면이 점감되는 섹션(17V)이 연접된다.

Description

의료용 임플란트{MEDICAL IMPLANT}
그러한 유형의 임플란트 시스템은 예컨대 치의학 분야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 경우, 수납되는 의료용 요소는 예컨대 의치, 폐쇄 캡, 인상 포스트(impression post), 또는 치은 형성자(gingiva former)에 의해 형성된다. 임플란트는 예컨대 턱뼈 속에 나사 결합된다.
서두에 전제된 유형의 임플란트 시스템은 예컨대 US 5,961,328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의료용 요소의 결합 핀과 임플란트의 수납 리세스는 열쇠 잠금 원리에 따라 연동되는데, 그 경우에 반경 방향으로 결합 핀을 넘어 돌출되어 의료용 요소가 삽입된 상태에서 임플란트의 헤드부에 있는 그에 맞춰진 리세스 속에 맞물리는 로크 요소에 의해 비틀림에 대한 방지가 이뤄지게 된다. 수납 리세스는 임플란트의 근위 단부로부터 출발하여 우선 원추형 섹션을 구비하고, 그 원추형 섹션에는 그 횡단면이 원추형 섹션의 단부에서의 횡단면과 일치하는 원통형 섹션이 연접된다. 수납 리세스 속에 삽입된 의료용 요소의 결합 핀은 횡단면에 있어서 그 원위 단부 쪽으로 점감되는 형태를 나타내는데, 그 경우에 결합 핀의 외곽은 종단면에 있어서 오목하게 연장되고 톱니형 표면 구조를 구비한다. 그러나, 결합 핀의 횡단면은 원형이 아니라, 오히려 회전 대칭형 구성에 비해 일측으로 종방향 스트립이 빠져 있어 결합 핀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표피 면의 평탄면 섹션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한 공지의 임플란트 시스템은 한편으로 제조하기 매우 복잡하여 고가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의료용 요소의 헤드부에 연접된 원추형 섹션으로 힘을 전달하는 형식이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 즉, 횡단면의 형태가 점감됨으로 인해, 특히 의료용 요소가 한쪽으로 하중을 받을 때에 생기는 결합 핀의 종방향 축의 횡단 방향을 향한 힘을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약되고, 그럼으로써 최악의 경우에는 의료용 요소가 기울어지는 이동이 발생될 수 있다.
WO 99/29255로부터 공지된 의치는 하부, 중간부, 및 상부와, 상부 상에 씌어진 크라운으로 이뤄진다. 그러한 의치는 전체적으로 그 원추형 하부에 의해 임플란트에 있는 그에 맞춰진 역시 원추형의 수납 구멍 속에 삽입되는데, 임플란트는 사전에 턱뼈에 삽입되어 거기에서 충분히 교합되어야 한다. 결합 핀과 수납 리세스 사이의 결합 시에는 클램핑 콘(clamping cone)의 원리가 적용된다. 의치가 결합 핀의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여 비틀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히 삽입 과정 중에 의치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대한 의치의 각 위치가 정확히 맞춰져 조정될 수 있게 되지만, 특히 큰 하중이 걸릴 경우에는 임플란트 속에서 의치가 비틀리지 않도록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보장될 수 없다는 단점이 생긴다.
전술된 임플란트 시스템에 대한 대안은 의치와 임플란트 사이의 나사 결합인데, 그것은 간단하게 반전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가장 널리 보급된 연결 형식이다. 그러나, 그러한 나사 결합에서는 특히 의치의 수가 매우 많은 경우에 고정 나사를 돌려 끼우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는 것과, 흔히 그러한 시스템의 내구 수명이 불충분하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여겨진다. 즉, 나사 결합의 전체의 나사 피치가 제조 조건으로 인해 결코 동일한 지지 거동을 보이지 못하는데, 그것은 어떤 개별 섹션에서는 상승된 힘 또는 모멘트 전달이 일어나고 다른 섹션에서는 저하된 힘 또는 모멘트의 전달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유로, 일정하지 않은 부하 상태가 발생되고, 그 결과 의도하지 않은 변형 및 응력 집중이 일어나게 된다. 그로 인해, 나사 결합이 손상되거나 임플란트와 뼈 사이의 결합에 과부하가 걸려 최악의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완전한 망실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료용 요소의 결합 핀을 수납하기 위한 임플란트로서, 종방향 축,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구비하고, 그 근위 단부로부터 종방향 축의 방향을 따라 임플란트의 내부로 결합 핀용 수납 리세스가 연장되며, 임플란트가 그 외측 표피 면에서 형상 결속 또는 마찰 결속에 의해 인체 또는 동물체의 뼈에 있는 수납 구멍의 내측 표피 면에 결합될 수 있고, 수납 리세스에 맞춰진 결합 핀이 클램핑, 가열 접합, 접착, 또는 시멘팅에 의해 그 수납 리세스 속에 앵커 고정될 수 있으며, 의료용 요소가 앵커 고정 상태에서 그 횡단면이 임플란트의 근위 단부에 있는 수납 리세스의 횡단면을 넘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헤드부의 접촉면에 의해 임플란트의 근위 단부에 배정된 임플란트의 접촉면에 전면적으로 접하고, 수납 리세스의 횡단면의 외곽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으로 되지 않는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폐쇄 캡이 클립핑된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폐쇄 캡의 평면도이며;
도 3은 폐쇄 캡이 제거된 후의 임플란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임플란트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임플란트의 Ⅴ-Ⅴ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클립 요소의 맞물림 구역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임플란트 및 결합 핀의 횡단면이 상이하게 점감되기 시작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1과 유사하지만, 치은 형성자가 클램핑된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과 유사하지만, 치은 형성자에 전이 치은(trans-gingival) 교합용 슬릿이 구비된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작업실용 임플란트에 있는 임시 의치의 원재료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과 유사하지만, 완성된 임시 의치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에서의 임시 의치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0과 유사하지만, 최종적인 의치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과 유사하지만, 최종적인 의치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2와 유사하지만, 최종적인 의치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와 유사하지만, 결합 핀이 표피 면에 환형 홈을 구비한 최종적인 의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용 요소와 임플란트 사이의 결합이 간단하게 이뤄지되, 그러한 결합이 넓은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힘을 전달하고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게 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서두에 전제된 유형의 임플란트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에 따라 수납 리세스가 임플란트의 근위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원통형 섹션을 구비하고, 그 원통형 섹션에는 횡단면이 점감되는 섹션이 연접되며, 결합 핀이 의료용 요소의 헤드부를 기점으로 하여 마찬가지로 원통형 섹션을 구비하고, 그 원통형 섹션에는 횡단면이 점감되는 섹션이 연접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접촉면에서의 전면적인 접촉에 의해, 의료용 요소로부터 임플란트로의 균일한 힘 전달이 구현됨으로써 응력 집중 및 그에 따른 재료 과부하와 재료 손상이 방지되게 된다. 특히, 결합 핀의 원통형 섹션은 그에 맞춰진 수납 리세스의 원통형 섹션과 함께 확실한 고정을 실현시키고, 그러한 고정 상태에서는 아주 옆쪽에서 의료용 요소로 힘이 전달되더라도 의료용 요소와 임플란트의 내부 표피 면 사이의 분리 면에서 인장력 성분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에서는 의료용 요소가 가열 접합되었는지, 접착되었는지, 또는 시멘팅되었는지의 여부와 상관이 없이 분리 및 이탈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커지게 된다.
예컨대, (모따기된)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 타원형, 또는 달걀형의 형태나 임의의 다른 면 형태로 될 수 있는 원형이 아닌 횡단면은 의료용 요소의 결합 핀이 그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과 관련된 의료용 요소의 각 위치가 명확하게 규정됨으로써, 삽입 중에 의료용 요소의 위치를 복잡하게 조정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임플란트와 결합 핀 사이의 고유의 결합은 클램핑, 가열 접합, 접착, 또는 시멘팅에 의해 이뤄진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임플란트의 종방향 축의 방향으로 측정된 결합 핀의 원통형 섹션의 길이가 역시 임플란트의 종방향 축의 방향으로 측정된 수납 리세스의 원통형 섹션의 길이보다 더 작게 되도록 조치된다. 그럼으로써, 일측의 의료용 요소의 접촉면과 타측의 임플란트의 접촉면이 확실하게 접촉될 수 있게 되는데, 그것은 넓은 면적에 걸친 균일한 힘 전달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다. 그러한 길이상의 차이는 제작 공차를 고려하여 개별 요소가 최악의 경우에도 항상 접촉면의 구역에서 접촉되게 하도록 그 크기가 정해진다. 그러나, 그러한 길이 차이를 지나치게 크게 선택하는 것은 횡단면이 점감되는 구역에서 결합 핀과 수납 리세스 사이에 불필요하게 넓은 갭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회피되어야 한다.
매우 바람직한 구성은 접촉면이 환형으로 되고, 임플란트의 종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도록 하는데 있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임플란트의 제작 시의 비용이 매우 낮게 유지될 수 있다.
결합 핀을 수납 리세스 속에 삽입할 때에 상황 여하에 따라 나사 결합 이동을 저지할 수도 있는 압력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 고정된 상태에 있는 결합 핀과 수납 리세스의 벽 사이에 결합 핀의 원위 단부로부터 임플란트의 근위 단부까지 연장된 하나 이상의 배기 채널이 형성된다.
임플란트의 접촉면에 배기 채널로부터 임플란트의 표피 면까지 연장된 하나이상의 배기 홈이 마련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와 같이 하여, 결합 핀에 의해 밀려나오는 공기의 전혀 방해를 받지 않는 배출이 보장되게 된다.
결합 핀은 어떠한 경우에도 그 헤드부의 접촉면이 임플란트의 접촉면에 접할 때까지 수납 리세스 속에 삽입될 수 있게끔 수납 리세스에 대비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부가의 구성은 수납 리세스의 벽이 임플란트의 종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환형 홈을 구비하거나 나선형 홈을 구비하는데 있다. 그러한 환형 홈 또는 나선형 홈은 한편으로 조립 과정을, 특히 그 최종 단계에서의 조립 과정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배려된 것이다. 특히, 서로 접촉된 면의 압착이 방지되고, 결합 핀의 양호한 안내가 구현되게 된다. 또한, 결합 핀이 접착제, 접착제 링 등에 의해 고정되었을 때에 환형 홈 또는 나선형 홈 속에 나선형 접착제 비드가 생성되어 축 방향력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수납 리세스의 벽은 의료용 요소, 즉 예컨대 폐쇄 캡, 치은 형성자, 인상 포스트, 및/또는 임시 의치의 탄성 클립 요소가 형상 결속식으로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구비한다. 그럼으로써, 단지 일시적으로만 임플란트에 결합되어야 하는 모든 부품이 간단하게 수납 리세스에 삽입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정확한 위치로 임플란트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클립 요소는 해당 축 방향력에 의해 다시 해제될 수 있는 형상 결속에 의한 결합을 제공하고, 그 때문에 클립 요소는 가볍게 모따기되어 장애가 없는 분리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힘 전달은 전이 시간 동안 단부면을 경유하여 이뤄진다. 단지 일시적으로만 사용되는 부품과 임플란트 사이의 결합을 이루는데 드는 시간 소요가 현격히 줄어들고, 그것은 특히 다수의 임플란트를 동시에 공급할 경우에 상당한 시간 이득으로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바람직한 구성에서는 수납 리세스의 횡단면이 임플란트의 근위 단부의 인근에서 모따기된 장방형의 형태를, 그리고 그 바닥의 인근에서 모따기된 정방형의 형태를 구비하는데, 전술된 횡단면 형태간의 전이는 급격하지 않게 이뤄진다. 그 경우, 장방형의 짧은 변의 길이가 정방형의 변의 길이와 일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 횡단면이 임플란트의 근위 단부에서의 수납 리세스의 횡단면을 넘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헤드부의 접촉면에 의해 임플란트의 근위 단부에 배정된 임플란트의 접촉면에 전면적으로 접하고, 결합 핀의 횡단면의 외곽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으로 되지 않는 의료용 요소가 제공된다. 그럼으로써, 결합을 위태롭게 함이 없이 간단하게 비틀림이 방지되고, 보다 더 큰 토크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즉, 임플란트를 예컨대 예비 조립된 폐쇄 캡 또는 치은 형성자와 함께 뼈 속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는 결합 핀이 그 근위 단부의 인근에서 장방형의 형태의 횡단면을 구비하되, 그 횡단면의 모퉁이가 앵커 고정 상태에 배정된 지점에서의 수납 리세스의 횡단면의 장방형의 모퉁이보다 더 크게 모따기되거나 절단되고, 아울러 결합 핀이 그 원위 단부의 인근에서 모따기된 정방형의 형태의 횡단면을 구비하되, 그 횡단면의 모퉁이가 앵커 고정 상태에 배정된 지점에서의 수납 리세스의 횡단면의 정방형의 모퉁이보다 더 크게 모따기된다.
또한, 결합 핀의 원위 단부는 조립 상태에서 임플란트의 수납 리세스에 있는 오목부 속에 맞물릴 수 있는 축 방향으로 돌출된 클립 요소를 구비한다. 그럼으로써, 조립 시의 시간 소요가 나사 결합 또는 일시적인 접착 결합 및 시멘팅 결합에 비해 현저히 단축될 수 있게 된다.
클립 요소에 의한 형상 결속식 결합은 조립 상태에서 수납 리세스의 외부에 위치되는 그 표피 면의 섹션이 2개 이상의 대향된 리세스를 구비할 경우에 매우 간단하게 해제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리세스 속에는 펜치형 공구의 후크 형태의 접촉 요소가 도입되어 예컨대 클립핑된 폐쇄 캡, 클립핑된 치은 형성자, 인상 포스트, 및/또는 임시 의치를 상응하는 축 방향력의 인가에 의해 임플란트로부터 다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리세스가 V형 횡단면을 구비한 환형 홈을 형성할 경우에 폐쇄 캡, 치은 형성자, 인상 포스트, 및/또는 임시 의치를 제거하는 공구와 리세스 사이에 형상 결속이 간단하게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최종적인 의치의 경우에는 결합 핀의 표피 면이 결합 핀의 종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각각 연장되는 다수의 환형 홈을 구비하고, 그 환형 홈은 의치가 앵커 고정된 상태에서 수납 리세스의 벽에 있는 환형 홈과 대응되도록 조치된다.
도 1 내지 도 5로부터, 기본 형태가 대략 원추형이고 그 외측 표피 면에 수나사(2)를 구비한 티타늄제 임플란트(1)를 볼 수 있다. 그러한 임플란트(1)는 둥글게 된 원위 단부(3) 및 대략 환형의 단부면(5)에 의해 형성된 근위 단부(4)를 구비한다. 임플란트(1)는 단부면(5)에 인접된 섹션(6)에서 고광택 연마된 표피 면(7)을 구비한 원통형 형태로 된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나사 섹션(8)에서는 임플란트(1)가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단부면(5)으로부터 출발하여, 임플란트(1)의 종방향 축(9)에 평행하게 수납 리세스(10)가 연장되는데, 그 수납 리세스(10)는 섹션(6)의 전체 길이와 나사 섹션(8)의 부분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도 7에 따른 개략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납 리세스(10)는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우선 원통형 섹션(10Z)을 구비하고, 그 원통형 섹션(10Z)에는 횡단면이 점감되는 섹션(10V)이 연접된다. 그에 상응하여, 삽입시키려는 의치의 결합 핀(17)도 역시 헤드부(16)를 기점으로 하여 우선 그 직경이 원통형 섹션(10Z)에서의 수납 리세스(10)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원통형 섹션(17Z)을 구비한다. 결합 핀(17)의 원통형 섹션(17Z)에는 횡단면이 점감되는 섹션(17V)이 연접된다. 결합 핀(17)의 원통형 섹션(17Z)의 길이(6a)는 수납 리세스(10)의 원통형 섹션(10Z)의 길이(6b)보다 약간 짧기 때문에, 점감되는 구역(10V, 17V)에서 결합 핀(17)이 수납 리세스(10)의 벽(12)에 접촉되는 것이 배제된다. 오히려, 그와 같이 구성 요소를 끼워 맞춤으로써,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에서 접촉면(5,18)을 전면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보장되게 된다. 길이(6a, 6B)간의 차이는, 즉 결합 핀(17)에 있는 원형 에지(12a)와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에 있는 원형 에지(12b) 사이의 축 방향 간격은 최악의 경우에도 제작 공차가 항상 섹션(10V, 17V)에서 최소의 간격을 유지하게끔 그 크기가 정해진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길이 차이를 최대한으로 작게 유지하여 점감되는 구역(10V, 17V)에서의 갭 크기가 작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 섹션(10Z)에서의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은 모따기된 장방형의 형태를 일관되게 수반한다.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은 나사 구역(8)을 기점으로 연속적으로 점감되어 수납 리세스(10)의 바닥(11)에서는 그 횡단면이 모따기된 정방형(도 5를 참조)을 나타내게 된다. 나사 구역(8)에서는 모따기된 장방형의 횡단면 형태로부터 모따기된 정방형의 횡단면 형태로 전이되는 것이 연속적으로 급격하지 않게 이뤄진다.
도 1로부터 특히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납 리세스(10)의 벽(12)은 종방향 축(9)에 수직하게 정향된 다수의 환형 홈(13)을 구비한다. 또한, 그 벽(12)은 상부 및 하부 클립 홈(14o, 14u)을 구비하는데, 그 기능에 관해서는 도 6에 의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1)에는 대략 원통형의 헤드부(16) 및 그와 동축상으로 정향되어 수납 리세스(10) 속으로 연장되는 결합 핀(17)으로 이뤄진 폐쇄 캡(15)이 삽입된다. 헤드부(16)의 접촉면(18)은 마찰 결속의 형식으로 임플란트(1)의 단부면(5)에 접촉된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핀(17)은 상부 섹션에서 대략 장방형의 횡단면을 나타내는데, 그 모퉁이 구역은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의 모따기된 구역에서 결합 핀(17)과 수납 리세스(10)의 벽(12) 사이에 4개의 배기 채널(19a)이 형성되도록 절단된다. 따라서, 결합 핀(17)을 수납 리세스(10) 속에 끼워 넣을 때에 조립 과정을 방해하는 압력 형성이 일어남이 없이 공기가 밀어내어져 위쪽으로 반출될 수 있고, 그 공기는 임플란트의 단부면(5)에 마련되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4개의 배기 홈(19b)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다.
폐쇄 캡(15)은 이식 후에 단지 일시적으로만 임플란트(1)에 머무르기 때문에 클립 홈(14o)에 맞물리는 4개의 클립 요소(20)에 의해서만 임플란트(1)와 결합될 뿐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요소(20)를 상부 클립 홈(14o)에 맞물리는 대신에, 결합 핀(17)이 상응하는 길이로 될 경우에는 하부 클립 홈(14u)에 맞물리는 것도 가능하다.
폐쇄 캡(15)은 임플란트(1)의 제조업자에 의해 이미 임플란트에 삽입되어 있고, 한편으로 턱뼈에 대응 구멍을 만든 후에 도 2에 도시된 슬릿(21)에 맞물리는 나사 드라이버에 의해 임플란트(1)를 돌려 끼우는 역할을 한다. 결합 핀(17)의 횡단면 및 그에 맞춰진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이 장방형으로 됨에 의거하여, 토크가 폐쇄 캡(15)을 경유하여 임플란트(1)에 전달될 수 있다. 이식 후에는 폐쇄 캡(15)이 임플란트(1)에 머물러 다른 한편으로 수납 리세스(10)를 외래 오염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임플란트(1)를 턱뼈에 삽입하고 나서 폐쇄 캡(15)을 덮은 점막이 제2 시술에의해 다시 개방될 수 있을 정도까지 약 3 내지 6개월 후에 교합이 완료된다. 폐쇄 캡(15)이 제거되는데, 그를 위해 펜치형 공구를 헤드부(16)의 V형 환형 홈(22)에 맞물림으로써 전체의 폐쇄 캡(15)이 가벼운 잡아당김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 위쪽으로 임플란트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이제, 임플란트(10)의 수납 리세스(10) 속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치은 형성자(23)가 삽입된다. 치은 형성자의 고정 원리는 폐쇄 캡(15)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다. 도 8에는 치은 형성자(23)의 클립 요소(20)가 하부 환형 홈(14u) 속에 맞물리는 것이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클립 요소(20)가 상부 환형 홈(14o) 속에 맞물리는 치은 형성자(23)를 생각할 수도 있다.
도 9는 임플란트의 전이 치은 교합 시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슬릿을 구비한 치은 형성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그 속에 임시 의치의 원재료(24)가 역시 결합 핀(17)에 의해 삽입되어 있는 작업실용 임플란트(1L)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한 원재료(24)는 절두 원추형이고, 작업실용 임플란트(1L)의 단부면(5L)을 기점으로 하여 15°의 각도(α)로 확장된다. 그와 같이 하여, 인접 치아 또는 또 다른 임플란트에 대한 임플란트(1 또는 1L)의 경사 위치가 모든 방향으로의 넓은 각도 범위에서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원재료(24)의 결합 핀(17)도 역시 원재료(24)의 복잡하지 않는 고정 및 제거를 보장하는 클립 요소(20)를 구비한다.
도 11은 치공 작업실에서 절삭 가공에 의해 마감 가공되어 제작된 임시 의치(25)를 나타낸 것이다. 연마된 원재료 상에는 외부 세라믹 층이 부착된다.
이어서, 완성된 임시 의치(25)는 환자에 있는 임플란트(1) 속에 도입되어 환자가 최종적인 의치(28)를 제공받을 수 있을 때까지 클립 요소(20)에 의해 그 곳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도 12를 참조).
그러한 최종적인 의치(28)는 임시 의치(25)와 마찬가지로 그 헤드부에서 절두 원추형 원재료(27)(도 13을 참조)로 제작되는데, 그러한 원재료(27)는 넓은 각도 범위에서 모든 방향으로 경사 위치를 보정할 수 있게 해준다. 최종적인 의치(28) 또는 그 원재료(27)의 결합 핀(17')은 클립 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둥근 구역을 제외하고는 결합 핀(17')의 전 길이에 걸쳐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 형태에 맞춰지게 된다. 수납 리세스(10)의 벽(12)에 있는 환형 홈(13)에 의거하여, 결합 핀(17)은 원재료(27)의 헤드부의 단부면이 작업실용 임플란트(1L)의 단부면에 접촉될 때까지 아무런 문제가 없이 도입될 수 있게 된다. "원추형"의 시작을 달리 함으로써, 접촉면(5, 18)을 매개로 하여 마찰 결속에 의한 결합이 보장되게 된다(도 7을 아울러 참조). 그와 같이 원재료(27)가 작업실용 임플란트(1L) 속에 조립된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역시 세라믹 층(26)이 부착된 의치(28)의 최종적인 형태가 제작될 수 있게 된다(도 11을 참조).
최종적인 의치(28)가 작업실용 임플란트(1L)로부터 제거되어 턱뼈에 있는 임플란트(1) 속에 삽입됨으로써 처치가 완료된다. 그러한 조립 상태에서는 2개의 접촉면(5, 18)이 마찰 결속에 의해 서로 접하게 된다. 결합 핀(17)의 외측 표피 면과 수납 리세스(10)의 벽 사이에서도 마찰 결속이 이뤄지는데, 그러한 마찰 결속은 접착제 또는 시멘트에 의해 조성되거나 가열 접합의 경우에는 클램핑력에 의해 생성된다.
도 15에 따르면, 결합 핀(17')의 표피 면(29)과 헤드부의 접촉면(18)에는 적절한 접착제 또는 시멘트가 발라지는데, 그러한 접착제 또는 시멘트는 결합 핀(17')의 삽입 동안 수납 리세스(10)에 있는 환형 홈(13)을 거의 완전히 채우게 된다. 즉, 접착제의 경화 후에는 결합 핀(17') 상에 고착된 접착제 비드가 존재하여 임플란트(1)와의 형상 결속식 결합을 이루게 된다. 추가의 마찰 결속은 접촉면(8, 15)에 의해 이뤄지는데, 그 경우에 그 구역에는 접촉면의 표면 거칠기를 메울 정도로만 아주 얇게 접착제가 도포되어 그 접착제에도 불구하고 임플란트/의치 사이의 재료 접촉이 일어나게 된다. 어째든, 접착제가 접촉면(5, 18)의 옆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의치(28)와 임플란트(1) 사이의 결합의 강도는 결합 핀(17")의 표피 면에도 다수의 환형 홈(13")이 마련되어 수납 리세스(10)의 벽(12)에 있는 환형 홈(13)과 대응될 경우에 더욱 개선된다. 그러한 형식의 구성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그 경우에는 횡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접착제 링이 형성되어 의치(28)와 임플란트(1) 사이의 형상 결속식 결합을 이루게 된다.

Claims (17)

  1. 의료용 요소의 결합 핀(17, 17', 17")을 수납하기 위한 임플란트(1)로서, 종방향 축(9), 원위 단부(3), 및 근위 단부(4)를 구비하고, 그 근위 단부(4)로부터 종방향 축(9)의 방향을 따라 임플란트(1)의 내부로 결합 핀(17, 17', 17")용 수납 리세스(10)가 연장되며, 임플란트(1)는 그 외측 표피 면에서 형상 결속 또는 마찰 결속에 의해 인체 또는 동물체의 뼈에 있는 수납 구멍의 내측 표피 면에 결합될 수 있고, 수납 리세스(10)에 맞춰진 결합 핀(17, 17', 17")은 클램핑, 가열 접합, 접착, 또는 시멘팅에 의해 그 수납 리세스(10) 속에 앵커 고정될 수 있으며, 의료용 요소는 앵커 고정 상태에서 그 횡단면이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에 있는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을 넘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헤드부(16)의 접촉면(18)에 의해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에 배정된 임플란트(1)의 접촉면(5)에 전면적으로 접하고,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의 외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으로 되지 않는 임플란트(1)에 있어서,
    수납 리세스(10)는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를 기점으로 하여 원통형 섹션(10Z)을 구비하고, 그 원통형 섹션(10Z)에는 횡단면이 점감되는 섹션(10V)이 연접되며, 결합 핀(17, 17', 17")은 의료용 요소의 헤드부(16)를 기점으로 하여 마찬가지로 원통형 섹션(17Z)을 구비하고, 그 원통형 섹션(17Z)에는 횡단면이 점감되는 섹션(17V)이 연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요소의 결합 핀 수납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1)의 종방향 축(9)의 방향으로 측정된 결합 핀(17, 17', 17")의 원통형 섹션(17Z)의 길이(6a)는 역시 임플란트(1)의 종방향 축(9)의 방향으로 측정된 수납 리세스(10)의 원통형 섹션(10Z)의 길이(6b)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면(5)은 환형으로 되고, 임플란트(1)의 종방향 축(9)에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앵커 고정된 상태에 있는 결합 핀(17, 17', 17")과 수납 리세스(10)의 벽(12) 사이에 결합 핀(17, 17', 17")의 원위 단부면으로부터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까지 연장된 하나 이상의 배기 채널(19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5. 제4항에 있어서, 임플란트(1)의 접촉면(5)에는 배기 채널(19a)로부터 임플란트(1)의 표피 면까지 연장된 하나 이상의 배기 홈(19b)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납 리세스(10)의 벽(12)은 임플란트(1)의 종방향 축(9)에 수직한 평면에서 각각 연장되는 다수의 환형 홈(13)을 구비하거나 나선형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납 리세스(10)의 벽은 의료용 요소의 탄성 클립 요소(20)가 형상 결속식으로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은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의 인근에서 모따기된 장방형의 형태를, 그리고 그 바닥(11)의 인근에서 모따기된 정방형의 형태를 구비하되, 전술된 횡단면 형태간의 전이가 급격하지 않게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9. 제8항에 있어서, 장방형의 짧은 변의 길이는 정방형의 변의 길이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는 의치(25)를 수납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1. 그 횡단면이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에서의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을 넘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헤드부(16)의 접촉면(18)에 의해 임플란트(1)의 근위 단부(4)에 배정된 임플란트(1)의 접촉면(5)에 전면적으로 접하고, 결합 핀(17, 17', 17")의 횡단면의 외곽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으로 되지 않으며, 결합 핀(17, 17', 17")이 헤드부(16)를 기점으로 하여 원통형 섹션(17Z)을 구비하고, 그 원통형 섹션(17Z)에는 횡단면이 점감되는 섹션(17V)이 연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요소.
  12. 제11항에 있어서, 결합 핀(17, 17', 17")은 그 근위 단부의 인근에서는 장방형의 형태의 횡단면을 구비하되, 그 횡단면의 모퉁이가 앵커 고정 상태에 배정된 지점에서의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의 장방형의 모퉁이보다 더 크게 모따기되거나 절단되고, 그 원위 단부의 인근에서는 모따기된 정방형의 형태의 횡단면을 구비하되, 그 횡단면의 모퉁이가 앵커 고정 상태에 배정된 지점에서의 수납 리세스(10)의 횡단면의 정방형의 모퉁이보다 더 크게 모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요소.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결합 핀(17)의 원위 단부는 조립 상태에서 임플란트(1)의 수납 리세스(10)에 있는 오목부 속에 맞물릴 수 있는 축 방향으로 돌출된 클립 요소(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요소.
  14. 제13항에 있어서, 조립 상태에서 수납 리세스의 외부에 위치되는 그 표피 면의 섹션이 2개 이상의 대향된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요소.
  15. 제14항에 있어서, 리세스는 V형 횡단면을 구비한 환형 홈(2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요소.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료용 요소는 폐쇄 캡(15), 치은 형성자(23), 인상 포스트, 및/또는 의치(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요소.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 핀(17")의 표피 면은 결합 핀(17")의 종방향 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각각 연장되는 다수의 환형 홈(13")을 구비하고, 그 환형 홈(13")은 의치(28)가 앵커 고정된 상태에서 수납 리세스(10)의 벽(12)에 있는 환형 홈(13)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치(28).
KR1020027013995A 2000-04-19 2001-04-06 의료용 임플란트 KR100672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3995A KR100672796B1 (ko) 2000-04-19 2001-04-06 의료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9338.2 2000-04-19
KR1020027013995A KR100672796B1 (ko) 2000-04-19 2001-04-06 의료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221A true KR20020095221A (ko) 2002-12-20
KR100672796B1 KR100672796B1 (ko) 2007-01-23

Family

ID=3900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995A KR100672796B1 (ko) 2000-04-19 2001-04-06 의료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402A (ko) * 2009-12-08 2011-06-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00764A1 (de) * 1983-01-12 1984-07-12 Johannes Bademis Kieferimplantat aus einem implantatkoerper und einem darauf befestigbaren mobilen aufsatz
DE4127839A1 (de) * 1990-09-01 1992-03-19 Gerold Klaus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zahnersatz an einem implant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796B1 (ko) 200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0769B2 (en) Medical implant
KR1009216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AU2007200634B2 (en) Implant
US6726480B1 (en) Support for sustaining and/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EP2514390B1 (en) A set of dental components
US6488502B1 (en) Transfer element for transferring the position of a dental implant to a dental model
AU2002249391A1 (en) Implant
JP2003530952A (ja) インプラント
JP2019524384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構造物
JP3671004B2 (ja) 特にインプラントの空間的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柱状エレメント
US20180177573A1 (en) Dental implant system
MX2011012952A (es) Cabeza de tornillo mejorada.
KR100672796B1 (ko) 의료용 임플란트
JP2019202124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JP2014155799A (ja) セラミック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およびセラミック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を備えるセット
AU2006201123B2 (en) Medical implant
KR20220159730A (ko)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0672795B1 (ko) 임플란트
KR200346034Y1 (ko) 로킹테이퍼형 임플란트의 픽스쳐 고정용 임시 어버트먼트
ITRM940240A1 (it) Impianto endosseo e fresa di finitura per moncone protes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