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730A -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730A
KR20220159730A KR1020210067709A KR20210067709A KR20220159730A KR 20220159730 A KR20220159730 A KR 20220159730A KR 1020210067709 A KR1020210067709 A KR 1020210067709A KR 20210067709 A KR20210067709 A KR 20210067709A KR 20220159730 A KR20220159730 A KR 20220159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assembly
aligning
disposed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6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9730A/ko
Priority to US17/480,566 priority patent/US20220378556A1/en
Publication of KR2022015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7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shape following the gingival surface or the bone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이 제공된다.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dental implant assembly)를 구성하며,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에 결합되는 픽스쳐 결합체는,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결합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 결합체 정렬부, 및 상기 결합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상기 1 결합체 정렬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픽스쳐 결합체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체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결합 영역부의 외주연(outer circumference)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다.

Description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FIXTURE ENGAGEMENT STRUCTURE, FIXTURE AND DENTAL IMPLANT ASSEMBLY}
본 개시는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픽스쳐 결합체와 픽스쳐 간의 결합시에 신속한 위치 결정과 정확한 정렬을 실현하기 위한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와, 픽스쳐에 삽입 고정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어버트먼트의 상부를 감싸도록 접착되는 보철물로 구성된다.
픽스쳐는 턱뼈에 식립되어 치근의 역할을 하고, 보철물은 치아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어 인공치아의 외형을 이루며, 어버트먼트는 보철물을 픽스쳐에 고정시켜 보철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픽스쳐와 턱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최종 보철물은 기능성 및 미적 특성 모두를 위해 환자의 잔여 치아와 자연스럽게 맞춰지는 크기와 구성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환자의 턱뼈 모델이 사용되며 개별 환자에 대해 적절한 보철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델은 픽스처를 포함한다. 또한, 픽스처가 이미 식립된 상태이거나 이러한 식립 이전의 환자의 턱뼈에 대한 디지털 모델을 기초로 적절한 보철이 디지털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부드러운 잇몸 및 치아들의 형태에 맞게 조립식 어버트먼트가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처과 턱뼈 간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어버트먼트가 픽스처에 대해 일방으로 배치되어야 하는 어버트먼트/픽스처 간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는 픽스처와 주변 치아를 포함하는 턱뼈 중 하나 또는 모두에 대해 원하는 회전 관계로 배치되어야 한다. 시술자가 소정의 픽스처 또는 턱뼈 특징부에 대하여 어버트먼트를 정확한 회전 방향 또는 정렬 위치로 연결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는 제작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하여, 환자 맞춤형(customized) 어버트먼트는 픽스처와 주변 형태에 대해 의도적으로 회전 배향되거나 비대칭 형태로 형성된 상부 구조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시술자가 픽스처와 구강 내의 다른 특징부에 대해 정확하게 어버트먼트의 상부 구조를 회전 배향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는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술자는 어버트먼트와 인공 치아를 하나의 일체형 유닛 또는 환자의 구강 내에 조립되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수령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와 인공 치아를 환자에게 사용하려는 시술자는 임플란트 제작자가 의도한 바와 같은 정렬을 얻기 위해, 픽스처에 대한 어버트먼트의 회전 배향을 미리 인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시술자가 픽스쳐에 대한 어버트먼트의 정확한 배향을 확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시술자가 상기 정확한 배향을 간과하여 치명적인 시술 오류가 유발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의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연결 구조는 단순히 등간격 및 동일한 사이즈의 돌기와 홈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술자는 어버트먼트의 상부 구조와 주변 치아를 상호 비교하면서, 픽스쳐의 결합시 어버트먼트를 회전할 수 밖에 없다. 이는 시술자로 하여금 픽스쳐와 어버트먼트의 정확한 결합에 큰 곤란함을 줄 뿐만 아니라, 숙련된 시술자에게도 결합에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게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픽스쳐 결합체와 픽스쳐 간의 결합시에 신속한 위치 결정과 정확한 정렬을 실현하기 위한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dental implant assembly)를 구성하며,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에 결합되는 픽스쳐 결합체가 제공된다. 상기 픽스쳐 결합체는,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결합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 결합체 정렬부, 및 상기 결합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상기 1 결합체 정렬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픽스쳐 결합체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체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결합 영역부의 외주연(outer circumference)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가 복수인 경우 상기 외주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외주연 방향에 따른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서로 인접한 제 1 결합체 정렬부들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외주연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픽스쳐와 대면하는 측단(side end)에 위치되는 제 1 결합체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픽스쳐와 대면하는 측단에 제 2 결합체 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는 동일 레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픽스쳐와 대면하는 측단(side end)에 위치되는 제 1 결합체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픽스쳐와 대면하는 측단에 제 2 결합체 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는 테이퍼지도록(tapered)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픽스쳐는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영역부에 제공되며, 상기 픽스쳐와의 결합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보다 상기 픽스쳐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간격부의 측벽과 밀착하여 상기 픽스쳐 결합체가 상기 픽스쳐로 진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를 구성하며, 턱뼈에 식립됨과 아울러서 픽스쳐 결합체와 결합되는 픽스쳐가 제공된다. 상기 픽스쳐는, 상기 픽스쳐 결합체와 결합되는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 픽스쳐 정렬부, 및 상기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상기 1 픽스쳐 정렬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픽스쳐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픽스쳐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상기 영역부의 내주연(inner circumference)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 1 픽스쳐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를 가진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픽스쳐 정렬부가 복수인 경우 상기 내주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상기 제 1 픽스쳐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내주연 방향에 따른 상기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서로 인접한 제 1 픽스쳐 정렬부들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내주연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간격부들(spacing portions)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부들의 각각은 상기 픽스쳐 결합체와 대면하는 측단에 위치되는 픽스쳐 단부를 가지며, 상기 픽스쳐 단부들은 동일 레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부는 상기 픽스쳐 결합체와 대면하는 측단에 위치되는 픽스쳐 단부를 가지며, 상기 픽스쳐 단부는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픽스쳐 결합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들, 및 상기 픽스쳐 결합체와의 결합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보다 상기 픽스쳐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부는 상기 픽스쳐 결합체가 상기 픽스쳐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부의 측벽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픽스쳐는 상기 픽스쳐 결합체와 결합시에 최근접하게 배치되는 제 1 나사부, 상기 제 1 나사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나사부 및 상기 제 2 나사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경사를 갖도록 가공되는 제 3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나사부는 나선 형상의 제 2 마루부 및 상기 제 2 마루부보다 작은 중심축 반경을 갖는 제 2 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마루부 및 상기 제 2 저부의 중심축 반경들은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일정하며, 상기 제 2 마루부와 상기 제 2 저부 간 중심축 반경의 비는 1.13~1.18 : 1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쳐 및 상기 픽스쳐에 결합되는 픽스쳐 결합체를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플리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결합체는,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결합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 결합체 정렬부와, 상기 결합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상기 1 결합체 정렬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픽스쳐 결합체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체 정렬부를 포함한다. 상기 픽스쳐는, 상기 픽스쳐 결합체와 결합하는 영역부에서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와 매칭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 픽스쳐 정렬부와, 상기 영역부에서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와 매칭하도록, 방사상으로 상기 제 1 픽스쳐 정렬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픽스쳐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픽스쳐 정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결합 영역부의 외주연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상기 영역부의 내주연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 1 픽스쳐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를 가진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픽스쳐 결합체와 픽스쳐 간의 결합시에 신속한 위치 결정과 정확한 정렬을 실현하기 위한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명세서를 통해 당업자라면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도출되는 효과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 및 픽스쳐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A-A'선을 따라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로 예시된 어버트먼트의 사시도들 및 저면도이다.
도 4는 어버트먼트의 결합체 정렬부에 관한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어버트먼트의 결합체 정렬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의 부분 파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와 픽스쳐의 결합시 결합체 정렬부와 픽스쳐 정렬부 간의 정렬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와 픽스쳐의 결합에 의해 정렬되는 결합체 정렬부와 픽스쳐 정렬부의 확대 도면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와 픽스쳐의 결합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 관계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 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위치 관계의 표현, 예컨대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재된 것이고, 본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을 역으로 보는 경우에는, 명세서에 기재된 위치 관계는 반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 및 픽스쳐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 및 픽스쳐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A-A'선을 따라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10)는 픽스쳐 결합체(100), 픽스쳐(200; fixture) 및 이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스크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스쳐 결합체(100)는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쳐(200)에 결합되는 다양한 구조물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스쳐 결합체(100)는 보철물을 픽스쳐(200)와 연결하기 위한 상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구조는 상악 또는 하악을 덮는 잇몸을 메우도록 치과용 픽스처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스페이서, 또는 다른 잇몸 관통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크라운, 브릿지 또는 틀니와 같은 보철물은 어버트먼트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픽스쳐 결합체(100)는 예를 들어, 주문 제작된 어버트먼트, 어버트먼트 레플리카(replica), 어버트먼트 블랭크(blank), 스캔 어버트먼트, 디지털 전사 코핑(coping), 임프레션 픽업 요소 (impression pick-up element), 및 힐링 캡(healing ca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구조물일 수 있다.
디지털 전사 코핑은 회전 배향을 나타내는 일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픽스쳐(200)에 연결되도록, 스캐닝될 수 있으며, 디지털 파일이 어버트먼트 제작자에게 전송된다. 디지털 파일은 구별되는 특징부의 위치 및 배향은 물론 픽스쳐(200)의 위치 및 배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문 제작된 어버트먼트는 환자의 치아 및 주변 조직의 형태로 맞춰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자가 상기 주문 제작된 어버트먼트를 의도한 회전 배향으로 용이하게 맞출 수 있으면 매우 유용하다. 주문 제작된 어버트먼트 외에, 일반적인 어버트먼트도 픽스쳐(200)와 주변 형태에 대해 의도적으로 회전 배향되거나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100)는 픽스쳐(200)와의 정확한 위치 정렬을 위해 구현되며, 본 개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픽스쳐 결합체(100)는 일반적인 어버트먼트 또는 주문 제작된 어버트먼트 인 것을 예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환자 맞춤형으로 특정한 형태의 구조를 가짐에 따라 픽스쳐와의 정확한 위치 정렬이 필요한 다양한 구조물의 픽스쳐 결합체(100)에 적용됨은 물론이다.
픽스쳐(200)는 치과용 보철의 고정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픽스쳐(200)는 치과용 보철이 필요한 위치에서 턱뼈의 골조직 내에 미리 형성된 보어 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치과용 픽스처는 정상적으로는 보어 홀 내로 회전될 수 있다. 나사형 픽스쳐의 경우, 보어 홀은 사전에 암나사가 형성되거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픽스쳐(200)의 나사산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절단 리세스, 엣지, 또는 노치를 제공함으로써, 픽스쳐(200)는 자체 나사산 형성(self-tapping)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스쳐(200)의 치근측 단부는 2-4개의 절단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수의 절단 리세스도 물론 고려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주문 제작된 어버트먼트로 예시된 픽스쳐 결합체(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픽스쳐 결합체(100)는 보철물과 결합되는 정점(apical) 영역부(102), 픽스쳐(200)와 결합되는 부분을 제공하는 결합 영역부(104) 및 이들 영역부들(102, 104)를 관통하는 홀(1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을 참조하면, 픽스쳐 결합체(100)는 결합 영역부(104)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 1 결합체 정렬부(108), 제 2 결합체 정렬부(114), 결합체 정렬부들(108, 114) 사이에 위치되는 간극부(118; gap portion) 및 정렬부들(108, 114)의 하부에 제공되는 가이드부(112)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로 예시된 어버트먼트의 사시도들 및 저면도이다.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는 픽스쳐(200)와 결합되는 결합 영역부(104)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결합 영역부(104)의 외주연(outer circumference) 방향(도 4 및 도 5의 B)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는 픽스쳐 결합체(100)의 중심축(A-A'선)에서 외측을 향하는 반경 방향, 즉 방사상 방향(도 4 및 도 5의 C)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간극부(118)는 홈(groov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는 방사상 방향으로 홈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간극부(118)는 돌출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결합체 정렬부(108)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는 픽스쳐(200)와 대면하는 측단(side end)에 위치되는 제 1 결합체 단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결합체 단부(110)는 테이퍼지도록(tapered)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체 단부(110)의 테이퍼 형상은 픽스쳐(200)의 간격부(222; spacing portion)의 상단에 배치되는 픽스쳐 단부(22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 결합체(100)가 픽스쳐(200)에 위치 정렬하기 위해 회전하는 경우, 제 1 결합체 단부(110) 및 픽스쳐 단부(224)는 접촉 마찰하므로 시술자가 픽스쳐 결합체(100)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결합 영역부(104)에 방사상으로 제 1 결합체 정렬부(108)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픽스쳐 결합체(100)의 중심축(A-A'선)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C)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결합 영역부(104)의 외주연 방향(B) 및 방사상 방향(C)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어버트먼트의 결합체 정렬부에 관한 일 실시예이고, 도 5는 어버트먼트의 결합체 정렬부에 관한 다른 실시예이다.
제 1 결합체 정렬부(108)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면,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는 홈으로 형성되면,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방사상 방향(C)으로 홈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결합체 정렬부(114)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108, 114)에 대해 도 4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는 외주연 방향(B)을 따라 등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114)가 없는 경우,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는 6개 배치되도록, 60도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는 도 4에서와 같이, 4개로 배열된 경우, 2개의 제 1 결합체 정렬부(108)가 마주보도록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중심점(C)에 대해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1개의 제 2 결합체 정렬부(114)가 픽스쳐(200)의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와의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 정렬 및 가공의 편의를 위해, 외주연 방향(B)을 따라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외주연 방향(B)에 따른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가공 용이성, 픽스쳐(200)와의 오정렬 용이 확인 및 정확한 정렬을 위해, 서로 인접한 제 1 결합체 정렬부들(108)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외주연 사이즈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주연 방향(B)에 따른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픽스쳐(200)와의 오정렬시의 용이한 회전 및 신속한 위치 정렬을 위해, 서로 인접한 제 1 결합체 정렬부들(108)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외주연 사이즈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외주연 방향(B)을 따라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에서는,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방사상 방향(C)을 따라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보다 큰 사이즈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주연 방향(B)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결합체 정렬부(114)에 관한 실시예로 기재한다. 방사상 방향(C)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결합체 정렬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외주연 방향(B)을 따라 제 1 결합체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이를 통과하는 픽스쳐 결합체(100)의 직경 방향(또는 반경 방향)에 대해 대칭되도록 가공될 수 있으나, 제 2 결합체 정렬부(114)의 형태 및 배열은 중심점(C)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주연 방향(B)을 따른 제 2 결합체 정렬부(114)의 외주연이 중심점(C)에 대해 비대칭되는 범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114)의 외주연이 중심점(C)에 대해 대칭되는 범위까지 연장되면, 제 1 결합체 정렬부(108)의 개수가 과도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 결합체(100)가 픽스쳐(200) 상에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 1 결합체 정렬부(108)가 픽스쳐(200)의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에 깊게 삽입될 수 있어, 예정된 위치 정렬을 위한 추가 회전에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도 4에서와 같이, 중심점(C)에 대해 모든 제 1 결합체 정렬부(108)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작자가 이미 특정한 고유의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갖도록 제작된 어버트먼트가 제작자의 의도에 부합하여, 픽스쳐(200)에 정확하게 정렬 결합될 수 있다.
방사상 방향(C)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결합체 정렬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결합체 정렬부 자체가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중심점(C)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서, 중심점(C)에 대해 모든 제 1 결합체 정렬부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픽스쳐(200)와 대면하는 측단에 위치되는 제 2 결합체 단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결합체 단부(116)는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단부(116)의 테이퍼 형상은 픽스쳐 단부(224)및 제 1 결합체 단부(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 결합체(100)가 픽스쳐(200)에 위치 정렬하기 위해 회전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110. 116) 및 픽스쳐 단부(224)는 접촉 마찰하므로 시술자가 픽스쳐 결합체(100)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110. 116)는 후술한 단점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축(A-A'선)을 따른 길이 방향에서 동일 레벨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만약 제 1 결합체 단부(110)가 결합 영역부(104)의 하측 방향으로 제 2 결합체 단부(116)보다 더 길게 연장되면, 픽스쳐 결합체(100)가 픽스쳐(200) 내로 진입할 때,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 결합체(100)는 픽스쳐(200) 상에 부정확한 위치에 오정렬될 수 있으며, 추가 회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 개시된 실시예는 제 2 결합체 정렬부(114a, 114b)가 복수로 배치된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도 5에 예시된 제 2 결합체 정렬부(114a, 114b)는 이하의 사항을 제외하고 도 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픽스쳐 결합체(100)와 픽스쳐(200) 간의 특정 위치 정렬, 예컨대 제작자가 지정한 1개의 고유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위해, 도 5에 예시된 2개의 제 2 결합체 정렬부들(114a, 114b)은 서로 중심점(C)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만약 제 2 결합체 정렬부들(114a, 114b) 및 이에 상응하는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이 중심점(C)에 대해 대칭되는 경우, 예컨대 제작자가 정점 영역부(102)의 비대칭 가공으로 인해 1개의 고유 위치가 결정되더라도, 제작자가 의도하지 않은 위치 또는 배향으로 제 2 결합체 정렬부들(114a, 114b)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이 결합될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제 2 결합체 정렬부들(114a, 114b)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은 중심점(C)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결합체 정렬부들(114a, 114b)은 도 5에서와 같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제 1 결합체 정렬부들(108a)에 후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결합체 정렬부(114a, 114b)는 제 1 결합체 정렬부들(108a) 사이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교대로 배열될 수 있거나, 제 1 결합체 정렬부들(108a)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결합체 정렬부(114a, 114b)가 랜덤한 개수로 배열될 수도 있다. 고유의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갖도록 제작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쳐(200)에 정확하게 정렬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들에서 제 2 결합체 정렬부들(114a, 114b)은 모든 제 1 결합체 정렬부(108)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방사상 방향(C)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결합체 정렬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결합체 정렬부들은 복수로 배열될 수 있으며, 외주연 방향(B)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상술한 사항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픽스쳐 결합체(100)가 픽스쳐(200)의 제 1 영역부(202)의 개방 단부로 용이하게 진입함과 아울러서, 결합체 정렬부들(108, 114)가 픽스쳐 단부(224)상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도록, 가이드부(112) 는 결합 영역부(104)의 하부 끝단에 제공되며, 픽스쳐(200)와의 결합시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들(108, 114)보다 픽스쳐(20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12) 는 픽스쳐(200)의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218, 220)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부(222)의 측벽과 밀착되는 직경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제 1 결합체 정렬부(108)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220) 간의 오정렬로 인해, 제 1 결합체 정렬부(108)가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와 같은 부정확한 위치에 있더라도, 가이드부(112) 와 간격부(222)가 밀착됨으로써, 제 1 결합체 정렬부(108)가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에 깊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200) 상에 정확하게 위치 정렬하기 위한 픽스쳐 결합체(100)의 추가 회전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픽스쳐 결합체(100)에 대한 상술한 실시예는 제 1 결합체 정렬부(108)가 60도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체 정렬부(108)가 90도의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45도의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의 부분 파쇄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픽스쳐(200)는 피질골과 해면골로 이루어진 골조직에 삽입되어 인공 치근을 형성할 수 있다. 픽스쳐(200)는 대략 원기둥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 나선 형상의 마루부가 형성될 수 있다. 픽스쳐(200)가 중심축(A-A'선)을 따라 회전되면 피질골과 해면골에 삽입되면서, 미리 드릴에 의하여 골조직에 마련된 식립홀의 내주면에 나사홈을 형성하면서 식립될 수 있다. 이때, 픽스쳐(200)로 사용되는 소재는 일반적으로 티타늄으로 이루어지나, 그 외에도 인체에 거부 반응이 없는 것이라면 다른 종류의 금속 소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픽스쳐(200)는 골조직의 식립시에 피질골에 상응하는 제 1 영역부(202), 식립시에 해면골에 상응하는 제 2 영역부(204), 제 2 영역부(204)의 하측에 테이퍼지게 배치되는 제 3 영역부(206), 및 제 2 영역부(204)부터 제 3 영역부(206)까지 가로지르는 커팅부(214)및 픽스쳐 결합체(100)의 하단과 스크류(300)가 결합되는 수용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부(202)는 픽스쳐(200)가 삽입되었을 때 대부분 피질골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픽스쳐(200)의 상측을 형성하나, 제 1 영역부(202)의 하측 일부가 해면골에 식립될 수 있다. 제 1 영역부(202)는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가공되는 제 1 마루부(208a)와 이보다 작은 중심축 반경(중심축(A-A'선)으로부터 방사상 방향(C)을 향하는 반경)으로 형성된 제 1 저부(208b)를 갖는 복수의 제 1 나사부들(208)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마루부(208a)와 제 1 저부(208b)는 픽스쳐(200)의 중심축(A-A'선)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복수의 제 1 나사부들(208)은 외주면에서 중심축(A-A'선)의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 예컨대 동등한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 마루부(208a)는 외주연 방향에 따른 소정 지점부터 점진적으로 반경이 증가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질골 상측에서의 스트레스의 완화와 함께, 해면골 부근의 피질골에서의 고정력이 확보될 수 있다.
제 2 영역부(204)는 제 1 영역부(202)의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및 제 2 영역부들(202, 204) 사이에 다른 구조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영역부(204)는 대부분 해면골에 삽입되는 부분이나, 제 2 영역부(204)의 상측 일부가 피질골에 식립될 수 있다. 제 2 영역부(204)는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가공되는 제 2 마루부(210a)와 이보다 작은 중심축 반경으로 형성된 제 2 저부(210b)를 가지는 제 2 나사부(210)를 구비하고, 제 2 마루부(210a)와 제 2 저부(210b)는 중심축(A-A'선)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2 마루부(210a) 및 제 2 저부(210b)의 중심축 반경들은 중심축(A-A'선)을 따라 일정하며, 제 2 마루부(210a)와 제 2 저부(210b) 간 중심축 반경의 비(r1/r2)는 1.13~1.18 : 1일 수 있다. 반경의 비(r1/r2) 중 하한을 상술의 비로 설정함으로써, 골질이 약한 환자에 골조직과 마찰되는 밀도가 증가되어, 픽스쳐(200)가 골조직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반경의 비(r1/r2) 중 상한을 상술의 비로 설정함으로써, 픽스쳐(200)에 의한 골조직의 식립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증가되어 식립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나사부(210)는 제 1 나사부(208)에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립 토크의 급격한 증가없이 원활하게 픽스쳐(200)가 골조직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마루부(210a)는 제 1 마루부(208a)보다 작은 중심축 반경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마루부(210a)는 피질골 식립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3 영역부(206)는 제 2 영역부(204)의 하측에 배치되어 픽스쳐(200)의 최하단을 이루며, 초기에 골조직에 삽입되어 골조직 내부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한 진입 부분일 수 있다. 제 3 영역부(206)는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가공되는 제 3 마루부(212a)와 이보다 작은 중심축 반경으로 가공된 제 3 저부(212b)를 가지는 제 3 나사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 3 나사부(212)는 끝단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경사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제 3 마루부(212a)와 제 3 저부(212b)는 중심축(A-A'선)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커팅부(214)는 제 2 나사부(210)로부터 제 3 나사부(212)까지 가로지르며,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커팅부(214)는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상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나사부(210)를 가로지는 커팅부(214)에 의해, 제 3 영역부(206)에서 제 2 영역부(204)로의 용이한 삽입이 가능하다.
수용부(216)는 제 1 및 제 2 영역부들(202, 204)에 상응하는 픽스쳐(200) 내에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영역부(204)의 홀에 스크류(300)와 체결되도록 암나사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수용부(216)는 제 1 영역부(202)에 상응하는 홀이 상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제 1 영역부(202)의 홀은 가이드부(112) 와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들(108, 114)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스쳐 결합체(100)의 결합 영역부(104)가 수용부(216)에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으며, 픽스쳐 결합체(100)가 수용부(216)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픽스쳐(200)는 픽스쳐 결합체(100)와 결합하는 제 1 및 제 2 영역부들(202, 204)의 수용부(216)의 내주연(inner circumference) 방향을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218), 제 2 픽스쳐 정렬부(220), 픽츠쳐 정렬부들(218, 220) 사이에 위치되는 간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픽스쳐 정렬부(218)는 제 1 결합체 정렬부(108)와 매칭하도록, 수용부(216)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픽스쳐 정렬부(218)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내주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픽스쳐 정렬부(218)는 픽스쳐(200)의 중심축(A-A'선)에서 외측을 향하는 반경 방향, 즉 방사상 방향으로 홈의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간격부(222)는 융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결합체 정렬부(108)는 방사상 방향으로 홈 으로 형성된 경우, 제 1 픽스쳐 정렬부(218)는 융기된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픽스쳐 정렬부(218)가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제 2 픽스쳐 정렬부(220)는 제 2 결합체 정렬부(114)와 매칭하도록, 수용부(216)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픽스쳐 정렬부(220)는 제 1 픽스쳐 정렬부(218)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중심축(A-A'선)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C)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픽스쳐 정렬부(220)는 수용부(216)의 내주연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218)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픽스쳐 정렬부(220)는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제 2 결합체 정렬부(114)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픽스쳐 정렬부(218)가 홈 또는 돌출 형태로 형성되면, 제 2 픽스쳐 정렬부(220)도 제 1 픽스쳐 정렬부(218)와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픽스쳐 정렬부(220)가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4에 예시된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108, 114)에 매칭하는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218, 22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 1 픽스쳐 정렬부(218)는 내주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픽스쳐 정렬부(220)가 없는 경우, 제 1 픽스쳐 정렬부(218)는 6개 배치되도록, 60도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픽스쳐 정렬부(218)는 도 7에서와 같이, 4개로 배열된 경우, 2개의 제 2 픽스쳐 정렬부(220)가 마주보도록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중심점(C)에 대해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에서와 같이, 1개의 제 2 결합체 정렬부(114)가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와의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 정렬 및 가공의 편의를 위해, 내주연 방향을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218)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내주연 방향에 따른 제 2 픽스쳐 정렬부(220)는 가공 용이성, 픽스쳐 결합체(100)와의 오정렬 용이 확인 및 정확한 정렬을 위해, 서로 인접한 제 1 픽스쳐 정렬부들(218)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내주연 사이즈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내주연 방향에 따른 제 2 픽스쳐 정렬부(220)는 픽스쳐 결합체(100)와의 오정렬시의 용이한 회전 및 신속한 위치 정렬을 위해, 서로 인접한 제 1 픽스쳐 정렬부들(218)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외주연 사이즈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픽스쳐 정렬부(220)는 내주연 방향을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218)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에서는, 제 2 픽스쳐 정렬부(220)는 방사상 방향을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218)보다 큰 사이즈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주연 방향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에 관한 실시예로 기재한다. 방사상 방향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픽스쳐 정렬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내주연 방향을 따라 제 1 픽스쳐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픽스쳐 정렬부(220)는 이를 통과하는 픽스쳐(200)의 내경 방향(또는 내측 반경 방향)에 대해 대칭되도록 가공될 수 있으나,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의 형태 및 배열은 제 2 결합체 정렬부(114)와 마찬가지로, 중심점(C)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주연 방향을 따른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의 내주연이 중심점(C)에 대해 비대칭되는 범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의 내주연이 중심점(C)에 대해 대칭되는 범위까지 연장되면, 제 1 픽스쳐 정렬부(218)의 개수가 과도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 결합체(100)가 픽스쳐(200) 상에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 1 결합체 정렬부(108)가 픽스쳐(200)의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에 깊게 삽입될 수 있어, 예정된 위치 정렬을 위한 추가 회전에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2 픽스쳐 정렬부(220)는 도 7에서와 같이, 중심점(C)에 대해 모든 제 1 픽스쳐 정렬부(218)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작자가 이미 특정한 고유의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갖도록 제작된 어버트먼트가 제작자의 의도에 부합하여, 픽스쳐(200)에 정확하게 정렬 결합될 수 있다.
방사상 방향(C)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결합체 정렬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와 상응되도록, 중심점(C)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서, 중심점(C)에 대해 모든 제 1 픽스쳐 정렬부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114a, 114b)가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이하의 사항을 제외하고 도 7에서 이상의 설명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픽스쳐 결합체(100)와 픽스쳐(200) 간의 특정 위치 정렬을 위해, 도 5의 제 2 결합체 정렬부들(114a, 114b)과 상응하도록,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은 서로 중심점(C)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 2 픽스쳐 정렬부들(114a, 114b) 및 이에 상응하는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이 중심점(C)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이유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더하여,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은 도 5의 제 2 결합체 정렬부들(114a, 114b)과 대응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된 제 1 픽스쳐 정렬부에 후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도 5에서 설명한 다른 예의 제 2 결합체 정렬부와 상응하도록, 제 1 결합체 정렬부들(108a) 사이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교대로 배열될 수 있거나, 제 1 결합체 정렬부들(108a)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결합체 정렬부(114a, 114b)가 랜덤한 개수로 배열될 수도 있다. 고유의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갖도록 제작된 어버트먼트가 픽스쳐(200)에 정확하게 정렬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들에서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은 모든 제 1 결합체 정렬부(108)와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방사상 방향(C)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제 2 픽스쳐 정렬부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 2 픽스쳐 정렬부들은 복수로 배열될 수 있으며, 내주연 방향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상술한 사항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픽스쳐(200)에 대한 상술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픽스쳐 결합체(100)와 대응하도록, 제 1 픽스쳐 정렬부(218)가 60도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체 정렬부(108)가 다른 각도로 일정하게 이격되면, 제 1 픽스쳐 정렬부(218)도 90도의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45도의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간격부(222)는 도 8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픽스쳐 결합체(100)가 픽스쳐(200)로 진입하는 경우에, 가이드부(112) 의 측벽과 밀착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2) 의 설명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픽스쳐(200) 상에 정확하게 위치 정렬하기 위한 픽스쳐 결합체(100)의 추가 회전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와 픽스쳐의 결합시 결합체 정렬부와 픽스쳐 정렬부 간의 정렬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와 픽스쳐의 결합에 의해 정렬되는 결합체 정렬부와 픽스쳐 정렬부의 확대 도면들이다.
간격부(222)는 픽스쳐 결합체(100)와 대면하는 측단에 위치되는 픽스쳐 단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픽스쳐 단부(224)는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픽스쳐 단부(224)의 테이퍼 형상은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들(110, 116)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픽스쳐 결합체(10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들(110, 116) 및 픽스쳐 단부(224)는 접촉 마찰하므로 시술자가 픽스쳐 결합체(100)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픽스쳐 단부(224)는 도 7 내지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110, 116)와의 접촉을 통한 원활한 회전을 위해, 중심축(A-A'선)을 따른 길이 방향에서 동일 레벨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또한, 픽스쳐 단부(224)가 서로 다른 레벨로 배열되면,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218, 220)에 따른 홈들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 결합체(100)가 픽스쳐(200) 내로 진입할 때, 서로 대응하지 않는 결합체 정렬부(108, 114)와 픽스쳐 정렬부(218, 220)가 상호 결합되어 오정렬될 수 있으며, 올바른 정려를 위한 추가 회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픽스쳐 결합체(100)가 일반적 또는 주문제작된 어버트먼트인 것을 예시하여, 픽스쳐 결합체(100)와 픽스쳐(200) 간의 결합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에 따른 픽스쳐 결합체와 픽스쳐의 결합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픽스쳐 결합체(100)는 결합 영역부(104)의 외주연 방향(B)을 따라 60 도 등간격으로 돌출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결합체 정렬부(108), 제 1 결합체 정렬부(108)와 이격되며 돌출 배치되는 1 개의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결합체 정렬부(114)는 중심점(C) 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12) 는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108, 114)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108, 114)는 픽스쳐(200)와 대면하는 측단에 위치되는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110. 116)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110. 116)는 60도 테이퍼지도록 가공되고, 중심축(A-A'선)을 따른 길이 방향에서 동일 레벨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픽스쳐(200)는 제 1 및 제 2 영역부들(202, 204)의 수용부(216)의 내주연 방향을 따라, 제 1 결합체 정렬부(108)와 대응하는 홈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픽스쳐 정렬부(218),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114)와 상응하는 내주연 상에 홈 형태로 배치되는 1 개의 제 2 픽스쳐 정렬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간격부(222)는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218, 220)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간격부(222)는 상부 측단에 제 1 및 2 결합체 단부(110, 116)과 상응하도록 픽스쳐 단부(224)를 가질 수 있다.
픽스쳐 결합체(100)가 픽스쳐(200)의 수용부(216) 내에 진입하여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부(112) 는 픽스쳐 결합체(100)를 수용부(216)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으며, 간격부(222)의 측벽과 밀착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가이드부(112) 가 간격부(222)와 밀착되어 제 1 결합체 정렬부(108)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220) 간의 오정렬로 인해, 제 1 결합체 정렬부(108)가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와 같은 부정확한 위치에 있더라도, 가이드부(112) 와 간격부(222)가 밀착됨으로써, 제 1 결합체 정렬부(108)가 제 2 픽스쳐 정렬부(220)에 깊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픽스쳐(200) 상에 정확하게 위치 정렬하기 위한 픽스쳐 결합체(100)의 추가 회전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픽스쳐 결합체(100)가 픽스쳐(200)에 위치 정렬하기 위해 회전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들(110. 116)은 픽스쳐 단부(224)에 접촉 마찰하므로, 시술자가 픽스쳐 결합체(100)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시술자가 픽스쳐 결합체(100)를 픽스쳐 단부(224)상에 회전하면서. 서로 상이한 사이즈를 갖는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들(108, 114)은 각각 상응하는 고유의 형태로 가공된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218, 22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버트먼트가 특정한 고유의 위치 또는 회전 배향을 갖도록 제작된 경우, 시술자는 제작자의 의도에 부합하여, 픽스쳐 결합체(100)와 픽스쳐(200) 간의 정렬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고유의 결합 위치를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dental implant assembly)를 구성하며,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에 결합되는 픽스쳐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결합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 결합체 정렬부; 및
    상기 결합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상기 1 결합체 정렬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픽스쳐 결합체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체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결합 영역부의 외주연(outer circumference)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픽스쳐 결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가 복수인 경우 상기 외주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외주연 방향에 따른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서로 인접한 제 1 결합체 정렬부들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외주연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픽스쳐 결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픽스쳐와 대면하는 측단(side end)에 위치되는 제 1 결합체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픽스쳐와 대면하는 측단에 제 2 결합체 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는 동일 레벨을 갖도록 형성되는, 픽스쳐 결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픽스쳐와 대면하는 측단(side end)에 위치되는 제 1 결합체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픽스쳐와 대면하는 측단에 제 2 결합체 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체 단부는 테이퍼지도록(tapered) 형성되는, 픽스쳐 결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영역부에 제공되며, 상기 픽스쳐와의 결합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보다 상기 픽스쳐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간격부의 측벽과 밀착하여 상기 픽스쳐 결합체가 상기 픽스쳐로 진입하도록 형성되는, 픽스쳐 결합체.
  6.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를 구성하며, 턱뼈에 식립됨과 아울러서 픽스쳐 결합체와 결합되는 픽스쳐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결합체와 결합되는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 픽스쳐 정렬부; 및
    상기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상기 1 픽스쳐 정렬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픽스쳐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픽스쳐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상기 영역부의 내주연(inner circumference)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 1 픽스쳐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픽스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픽스쳐 정렬부가 복수인 경우 상기 내주연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상기 제 1 픽스쳐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내주연 방향에 따른 상기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서로 인접한 제 1 픽스쳐 정렬부들을 가상으로 연결하는 내주연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픽스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간격부들(spacing portions)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부들의 각각은 상기 픽스쳐 결합체와 대면하는 측단에 위치되는 픽스쳐 단부를 가지며, 상기 픽스쳐 단부들은 동일 레벨을 갖도록 형성되는, 픽스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부는 상기 픽스쳐 결합체와 대면하는 측단에 위치되는 픽스쳐 단부를 가지며, 상기 픽스쳐 단부는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픽스쳐.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결합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들, 및 상기 픽스쳐 결합체와의 결합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체 정렬부보다 상기 픽스쳐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픽스쳐 정렬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부는 상기 픽스쳐 결합체가 상기 픽스쳐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부의 측벽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픽스쳐.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기 픽스쳐 결합체와 결합시에 최근접하게 배치되는 제 1 나사부, 상기 제 1 나사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나사부 및 상기 제 2 나사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수렴되는 경사를 갖도록 가공되는 제 3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나사부는 나선 형상의 제 2 마루부 및 상기 제 2 마루부보다 작은 중심축 반경을 갖는 제 2 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마루부 및 상기 제 2 저부의 중심축 반경들은 상기 중심축을 따라 일정하며, 상기 제 2 마루부와 상기 제 2 저부 간 중심축 반경의 비는 1.13~1.18 : 1인, 픽스쳐.
  12. 턱뼈에 식립되는 픽스쳐 및 상기 픽스쳐에 결합되는 픽스쳐 결합체를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결합체는, 상기 픽스쳐와 결합되는 결합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 결합체 정렬부와, 상기 결합 영역부에 방사상으로 상기 1 결합체 정렬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픽스쳐 결합체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체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픽스쳐는, 상기 픽스쳐 결합체와 결합하는 영역부에서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와 매칭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 픽스쳐 정렬부와, 상기 영역부에서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와 매칭하도록, 방사상으로 상기 제 1 픽스쳐 정렬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픽스쳐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중심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픽스쳐 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체 정렬부는 상기 결합 영역부의 외주연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 1 결합체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제 2 픽스쳐 정렬부는 상기 영역부의 내주연 방향 및 방사상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상기 제 1 픽스쳐 정렬부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20210067709A 2021-05-26 2021-05-26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220159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709A KR20220159730A (ko) 2021-05-26 2021-05-26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
US17/480,566 US20220378556A1 (en) 2021-05-26 2021-09-21 Fixture engagement structure, fixture and dental implan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709A KR20220159730A (ko) 2021-05-26 2021-05-26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730A true KR20220159730A (ko) 2022-12-05

Family

ID=8419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709A KR20220159730A (ko) 2021-05-26 2021-05-26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78556A1 (ko)
KR (1) KR2022015973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32849S1 (en) * 2021-10-07 2024-06-25 Truabutment Korea, Inc. Fixture for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0097A1 (en) * 2011-09-14 2013-03-20 Dentsply IH AB A dental component, a dental fixture and a dental implant
BG3585U1 (bg) * 2020-01-31 2020-04-15 "Базалфикс" Еоод Зъбен имплан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78556A1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7406B2 (en) Dental component and a dental implant
KR102054022B1 (ko) 치과 부품, 치과 고정체, 및 치과 임플란트
US6227859B1 (en) Dental implant and device with a dental implant
AU2002249391C1 (en) Implant
US20080254411A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JP2013132553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連結ねじ
RU2637612C2 (ru) Набор для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US11484394B2 (en) Two-part modelling aid
ES2541027T3 (es) Implante dental
KR20220159730A (ko) 픽스쳐 결합체,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셈블리
US8998612B2 (en) Dental implant fixture and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KR102619856B1 (ko) 임플란트 시술 툴 세트
KR100807289B1 (ko) 임플란트 조립체
EP2497441B1 (en) Dental Implant System
EP3574866A1 (en) Dental implant
KR100419738B1 (ko) 치아 임플랜트 시스템
KR10217522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RU2791007C2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вставки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и комбинация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и инструмента для вставки
WO2020242979A1 (en) Dental impla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