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077A -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077A
KR20020095077A KR1020020028721A KR20020028721A KR20020095077A KR 20020095077 A KR20020095077 A KR 20020095077A KR 1020020028721 A KR1020020028721 A KR 1020020028721A KR 20020028721 A KR20020028721 A KR 20020028721A KR 20020095077 A KR20020095077 A KR 20020095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frame
heat
cutting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3983B1 (ko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이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264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9507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재 filed Critical 이광재
Priority to KR10-2002-0028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983B1/ko
Priority to CNB021529922A priority patent/CN1203979C/zh
Publication of KR20020095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heat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joining step and the severing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9Removing sc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로, 창틀용 플라스틱 샤시를 제작할 시 그 소재의 절단면을 열융착시켜 접합코자 할 경우 사용되는 플라스틱 접합기에 관련된 것으로, 소재를 클램핑시켜 놓고 가열판을 이용해 소재간의 열접합을 이루고, 그 열접합면에 형성된 비드를 표면의 상처를 주지않고 커터를 이용해 깔끔히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cutting section face heat joining and bead cutting device for plastic members}
본 발명은 예로, 창틀용 플라스틱 샤시를 제작할 시 그 소재의 절단면을 열융착시켜 접합코자 할 경우 사용되는 플라스틱 접합기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소재간의 열접합과 동시에 그 열접합면에 형성된 비드를 표면의 상처를 주지않고 깔끔히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는 열융착으로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플라스틱 소재는 열융착후에 거칠고 까끌까끌하고 불규칙하게 소재의 표면상으로 돌출되어 나타나는 접합부의 비드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수반된다.
종래 이러한 비드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줄 공구(file tool)를 사용하는 수작업에 의존하였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한 인건비가 상승하고 제품의 접합부 품질이 숙련공에 따라 결정되었다. 따라서 미숙련자나 숙련공이라 할 지라도 잘못 끌질작업을 하게되면 제품에 코팅된 표면에 흠집이 생겨 제품의 불량을 유발하였다.
특히 창틀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샤시의 경우 표면의 코팅층을 손상시키게 되어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한편, 플라스틱 소재의 열접합에 있어서는 접합부의 강도가 무었보다도 중요하다. 접합부의 강도는 비접합된 부분의 강도와 같거나 적어도 커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열접합부의 강도에 대한 설계도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각도로 접합되는 플라스틱 소재를 열융착시킨 후 접합부에 나타나는 비드를 손쉽고 깔끔하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접합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방향에서 본 열융착커팅모듈의 사시도.
도 3은 열융착커팅모듈의 저부에 배치된 가이드판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도 1의 B방향에서 본 열융착커팅모듈의 사시도.
도 5는 일례로 플라스틱 샤시 열접합부에 생긴 비드를 본 장치의 커터를 이용하여 절단해내는 상태도.
도 6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작동용 커터의 평면커팅 상태도.
도 6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직작동용 커터의 수직커팅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및 커팅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본 장치의 작동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 및 커팅의 동작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플라스틱 창틀 샤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리니어가이드
100,200 : 열융착커팅모듈
110 : 테이블
114 : 가이드블록
120 : 가아드판
130 : 고정틀
132A,132B,134A,134B : 물림판
135A,135B,135C,135D : 커터가드
140 : 이동틀
141 : 베이스
151,152 : 수평작동용 커터
170 : 가열판
172 : 이동블록
180 : 수직작동용 커터
300: 웨지장치
C1 : 가이드판 작동용 실린더
C2 : 이동틀 작동용 실린더
C3,C4 : 클램프 실린더
C5,C6 : 수평커터 작동용 실린더
C7 : 가열판 이동용 실린더
C8 : 가열판 고정실린더
C9 :수직커어 작동용 실린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방향에서 본 열융착커팅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열융착커팅모듈의 저부에 배치된 가이드판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B방향에서 본 열융착커팅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4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프레임이고,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리니어 가이드(11)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설치된 리니어 가이드(11)의 길이방향을 본 명세서에서X축 방향으로 지칭하고, 이 X축 방향과 평면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정하고, X,Y의 평면좌표에서 수직인 방향을 Z축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재란 열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의 소재를 의미한다. 그리고 모재들간의 접합부 길이방향 또는 이와 나란한 방향을 C축이라 정의한다.
상기 리니어 가이드(1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열융착커팅모듈(100,2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열융착커팅모듈(100,200)은 접합개소가 2군데 일 경우의 예에 적용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것이 단독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동시에 2개소에 열접합과 커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2개의 열융착커팅모듈(100,200)이 설치되고, 이들 열융착커팅모듈(100,200)은 각기 리니어가이드(11)의 길이가 허용하는 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융착커팅모듈(100,200)은 서로 동일한 구성과 작동을 하며 단지 프레임(10)상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것이 다르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어느 하나의 열융착커팅모듈(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열융착커팅모듈(200)은 상대적으로 다른 하나의 열융착커팅모듈(100)을 고정해놓고 이동과 고정이 가능하도록 웨지장치(300)를 더 갖는다.
여기서 웨지장치(300)란 기울기 결합을 통한 리니어가이드(11)를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고정 및 해제장치로서 이해하면 족하고 이러한 고정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쌍의 열융착커팅모듈(100,200)을 이용하면 모재의 길이에 적절히 대응하여 2개소의 접합면을 동시에 열융착한 후 커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열융착커팅모듈(100)은 도 5,7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어느 하나의 모재(B)를 고정시켜 놓고 고정된 모재(B)의 절단면에 다른 하나의 모재(A)측 절단면을 밀어붙이게 되어 있다. 이때 모재(A와B)의 절단면 사이에는 가열판(170)이 위치된 상태에서 모재(A,B)의 용융량만큼 가열판(170)이 움직일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두 모재(A,B)간의 일정량 융착이 이루어지면 상대적으로 이동한 모재(A)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가열판(170)을 후퇴시킨다. 그리고 다시 후퇴 위치한 모재(A)를 고정측 모재(B)의 열융착된 부위에 가압하여 절단면의 열접합을 이루고, 접합된 소재의 접합면 둘레에 형성된 수평비드(1)와 수직비드(2)를 각기 수평작동용 커터(151,152)의 수평 절삭운동과 수직작동용 커터(180)의 수직 절삭운동으로 제거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열융착커팅모듈(100)은 도 2,4와 같이 상기 한쌍의 리니어가이드(11)와 슬라이딩 결합된 한쌍의 리니어블록(111)을 갖는 테이블(110)을 포함한다. 따라서 테이블(110)은 리니어가이드(11)를 따라 X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테이블(110)에는 도 3과 같이 후술할 가이드판(120)의 수직 상승 및 하강을 허용하기 위해 관통된 개구부(11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110)의 밑면에는 도 3과 같이 가이드판 작동용 실린더(C1)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판 작동용 실린더(C1)의 작동로드에는 가이드블록(114)을 통해 가이드판(120)이 연결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블록(114)은 테이블(100)의 밑면에 입설된 가이드축(116)에 승강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블록(114)은 가이드축(116)에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판(120)과 일체로 테이블(110)의 상면으로 일정량 출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120)은 모재 절단면의 방향을 따르는 C축 방향으로 틸팅된 상태로 입설되어서 가이드판(120)이 상승 위치에 있을 경우 접합될 모재(A,B)의 위치와 자세를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판(120)을 상승시켜 놓고 모재(A,B)의 절단면을 가이드판(120)의 양쪽 넓은 면적에 접촉시킨 후 클램핑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상기 테이블(110)의 상면에는 분할된 한쌍의 고정틀(130)과 이동틀(14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틀(130)과 이동틀(140)은 상기 가이드판(120)의 연직방향을 마주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틀(140)은 고정틀(1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X축에 직교방향인 Y축방향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틀(140)은 베이스(141)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141)는 테이블(110)의 상면에 Y축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리니어가이드(118)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틀(130)과 이동틀(140)에는, 각기 상,하부에 모재(A와B)를 클램핑하기 위한 한쌍의 물림판(132A,132B)(134A,134B)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고정틀(130)측 하부의 물림판(132B)은 고정틀(130)의 베이스(131)에 고정되어 있고, 이동틀(140)측 하부의 물림판(134B)은 이동틀(140)의 베이스(14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틀(130)측 상부의 물림판(132A)은 고정틀(130)의 베이스(131)에 입설된 한쌍의 리니어가이드(136)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동틀(140)측 상부의 물림판(134A)은 이동틀(140)의 베이스(141)에 입설된 한쌍의 리니어가이드(146)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측 물림판(132A,134A)은 각기 고정틀(130)과 이동틀(140)의 상부에 장착된 클램프 실린더(C3,C4)의 작동로드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 실린더(C3,C4)의 작동로드의 동작방향에 따라 해당 물림판(132A,134A)은 업/다운 동작을 하게 되어 있다.
상기 물림판(132A,132B)(134A,134b)에는 각기 모재(A,B) 접합면의 열융착시 생성되는 비드를 모재의 표면으로부터 들고일어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후술할 수평작동용 커터(151,152)의 날부위를 그 주위에서 안내하는 커터가더(cutter guarder)(135A,135B,135C,135D)가 설치되어 있고, 각 커터가더의 선단면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터가드(135A와135B)(135C와135D)가 접근하여 이루는 형상은 대략 V자형의 안내홈(136)이 상하로 대칭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틀(130)측에 배치된 상,하부 물림판(132A,132B)측에는 모재(A,B)의 열접합면에 형성된 평면비드(1)를 절삭시켜 제거하기 위한 평면커터(151,15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평면커터(151,152)는 상기 커터가드(135A와135B)(135C와135D)의 선단부상을 따라 선형 운동하도록 각기 지지블록(153,154)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블록(153,154)은 각기 물림판(132A,132B)측에 고정 설치된 블록지지대(155,156)의 각 가이드축(157,158)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부측 지지블록(153)은 상부측 물림판(132A)에 고정 설치된 커터작동용 실린더(C5)의 작동로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측 지지블록(154)은 하부측 물림판(132B)에 고정 설치된 커터작동용 실린더(C6)의 작동로드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커터작동용 실린더(C5,C6)의 행정거리는 모재(A와 B) 접합면에 형성된 평면 비드의 길이보다 적어도 길게 갖어 한번의 왕복동작으로 표면 비드의 절삭제거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측 평면커터(151)의 날은 해당 상부측 커터가드(135A)의 밑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하부측 평면커터(152)의 날은 해당 하부측 커터가드(135B)의 상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도 6a 참조)
상기 이동틀(140)의 베이스(141)에는 상기 고정측 물림판(132A,132B)과 이동측 물림판(134A,134B)의 벌어진 틈새의 접합위치로 인입/퇴출 작동하는 가열판(170)이 배치되어 있고, 이 가열판(170)은 2축에 의한 동작제어를 받고 전기적으로 발열되게 되어 있다.
가열판(170)은 모재 접합면의 일직선상인 C축방향으로 설치된 제1가이드축(171)에 지지되게 되어 있고, 또 가열판(170)은 제1가이드축(17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블록(172)측 제2가이드축(173)에 슬라이딩 유동 및 고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이동블록(172)은 베이스(141)측에 고정된 가열판이동용 실린더(C7)에 의해 제1가이드축(171)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가이드축(173)에는 가열판(170)을 가이드축(173)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블록(174)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블록(174)은 상기 이동블록(172)측에 고정된 가열판 고정실린더(C8)의 로드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가열판 고정실린더(C7)는 공압의 흐름을 차단시켜 가열판(170)의 이동에 따른 흔들림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이때 가열판 고정실린더(C8)의 공압유로를 개방시켜 지지블록(174)을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양 모재의 접합부에서 똑같은 양으로 용융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틀(130)의 일측면에는 도4,5와 같이 수직커터작동용 실린더(C9)가 장착되어 있고, 수직커터작동용 실린더(C9)의 작동로드에는 이동블록(182)이 연결되어 있고, 이 이동블록(182)은 고정틀(130)의 측면에 입설된 한쌍의 나라한 가이드축(183)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블록(182)에는 모재 접합면의 수직부위의 비드를 절단시켜 제거하는 수직커터(180)가 장착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5는 본 장치의 제어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업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7의 (a)와 같이 모재(A와B)를 정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이드판(120)상승시켜 모재의 절단면을 가이드판(120)에 밀착시킨다.
다음, 도 7의 (b)와 같이 클램핑된 모재(A)를 후퇴 이동시키고, 가이드판(120) 하강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c)와 같이 가열판(170)을 진입시킨다.
다음, 도 7의 (d)와 같이 후퇴한 모재(A)를 고정측 모재(B)에 밀어붙여서 절단면을 가열시키고, 적당량이 용융되면 정지상태에서 예열을 가한다.
다음, 도 7의 (e)와 같이 모재(A)와 가열판(170)을 순차적으로 후퇴시키고, (f)와 같이 다시 모재(A)를 모재(B)측에 전진이동시켜 예열받은 잔량을 융착시키고 냉각의 시간을 갖는다.
끝으로 도 5와 같이 모재(A,B)의 접합면에 형성된 비드(1,2)를 수평커터(151,152) 및 수직커터(180)로 순차적으로 절단하여 제거시킨다.
위의 동작에 따른 블록흐름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프레임(10)상에 배치된 2개의 열융착커팅모듈(100,200)에 길이방향으로 모재(A)를 올려놓는 것부터 시작된다. 이때 이동틀(140)은 후퇴위치에 있다. 그리고 열융착커팅모듈(100,200)의 거리는 모재(A)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며 이때 어느 한쪽의 열융착커팅모듈(200)은 웨지장치(300)에 의해 리니어가이드(11)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웨지장치(300)란 프레임(10)상에 설치된 리니어가이드(11)의 원주면을 쐐기형태로 고정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플라스틱 모재(A)는 구체적으로 이동틀(140)의 하부측 물림판(134B)상면에올려진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판 작동용 실린더(C1)의 작동로드가 상승하여 가이드판(120)이 테이블(110)의 개구부(110a)를 통하여 모재(A)의 접합면(또는 절단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예로 창틀 플라스틱 샤시를 제작하기 위해 플라스틱 B모재와 플라스틱 C모재(도시안됨)의 절단면을 가이드판(120)의 넓은면에 밀착시킨다.
다음, 제어반(5)을 통해 클램핑 지령이 떨어지면 고정틀(130)과 이동틀(140)에 장착된 클램프 실린더(C3,C4)가 작동하여 각 실린더로드가 하강하고, 이에 연동하여 상부측 물림판(132A,134A)이 하강하여 모재(A,B,C)를 클램핑한다.
모재의 클램핑 동작이 완료되면, 이동틀 작동용 실린더(C2)가 작동하여 이동틀(140)은 후퇴동작한다. 이렇게 되면 모재(A와 B) 그리고 모재(A와 C)간의 절단면간에는 가열판(170)이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판(120)은 가이드판 작동용 실린더(C1)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여 가이드판(120)은 하강하여 원위치한다.
가이드판(120)의 하강 완료가 감지되면 가열판 작동용 실린더(C1)가 작동하여 가열판(170)이 벌어진 모재(A와B)의 사이로 들어와 도 7의 (c)와 같이 접합면 상에 위치한다. 이때 가열판(170)은 가이드축(173)에서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가열판(170)도 전기가 공급되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가 된다.
가열판(170)이 접합면상에 놓이면 이동틀 실린더(C2)가 전진 작동하여 모재 절단면을 가열시켜 일정량 용융시키고, 이때 용융량을 도시안된 센서로 감지한다.
예를 들어, A모재가 1000mm의 치수를 갖게 하려면 A모재의 최초 길이는 1005mm이고, 그 양측을 2mm 정도 용융시킨다.
용융량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이동틀(140)의 이동을 멈춤시키고 그 상태에서 가열판(170)으로 예열을 지속한다.
예열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이동틀 실린더(C2)가 작동되어 이동틀(140)이 원위치로 후퇴되고, 가열판 작동용 실린더(C7)도 작동하여 가열판(170)을 후퇴 동작시킨다.
이 상태에서 이동틀 실린더(C2)를 다시 전진 작동시키면 B모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A모재가 이동하여 서로 대향하는 가열면이 융착된다. 이때 잔량 0.5mm를 마주 밀착시켜서 융착시킨다.
이때 예로 모재(A와B)간의 접합면 부위에는 도 5와 같이 평면과 수직으로 열융착으로 올라온 비드(1,2)가 존재하게 되고, 이중 평면 비드는 마주하는 커터가이드(135A와 135C)(135B와 135D)의 사이에 형성된 V홈에 위치하게 된다.
모재간의 융착후 대기중에서 냉각이 완료되면 수평커터작동용 실린더(C5,C6)가 왕복 작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평면커터(151,152)가 수평 표면에 융기된 비드(1)를 위아래에서 동시에 절단해 낸다.
다음, 수직커터작동용 실린더(C8)가 수직으로 하강운동을 하면 수직커터(180)가 모재 접합면의 수직부위에 형성된 비드(2)를 절단해낸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제1 및 제2열융착커팅모듈(100,200)에서 동시에 진행된다.
따라서 예로 4각 형태로 플라스틱 창틀 샤시의 절단면을 열융착으로 접합시키고자 할 경우 방향만 바꾸게 되면 열접합 및 비드의 절단작업이 완료되어 도 9와 같이 사각의 창틀 플라스틱 샤시가 접합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의 절단면을 간단하게 열융착시킬 수 있고, 또 열융착면에 형성된 비드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플라스틱 소재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의 훼손이 발생될 수 없다. 또한 기계적으로 일련의 작업이 진행되므로 작업이 신속하고 생산성이 월등히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모두 플라스틱재로서 A모재의 양쪽 절단면에 B모재와 C모재의 각기 한쪽 절단면을 동시에 열융착시킨 후 2개소의 접합면에 융기된 평면비드와 수직비드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인 X축으로 리니어가이드(21,22)를 통해 양측 개소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각 접합면의 열융착을 수행하고, 접합면에 형성된 평면비드와 수직비드의 커팅을 수행하도록 서로 대칭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1열융착커팅모듈(100) 및 제2열융착커팅모듈(200)이 구비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열융착커팅모듈(100 또는 200)은,
    상기 프레임(10)의 리니어가이드(21,22)에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접합면에 연직된 방향으로 가이드판 출입용 개구부(112)를 갖는 테이블(110)와;
    상기 테이블(110)의 저부에 고정 배치된 실린더(C1)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판 출입용 개구부(112)를 통해 A,B모재의 접합면 위치로 승강작동되는 가이드판(120)과;
    상기 테이블(110)상의 일측에 고정 입설된 고정틀(130) 및 그의 타측에 상기 테이블(110)와 연결된 Y축실린더(C2)에 의해 X축과 평면적인 직교운동을 하는 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입설된 이동틀(140)과;
    상기 고정틀(130)과 이동틀(140)의 각기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고 동시에 각기 고정틀(130)과 이동틀(140)에 장착된 Z축 실린더(C3,C4)의 작동력에 의해 A모재와 B모재 및 C모재를 클램핑하고, 모재의 접합면에 연직된 쪽으로 단부를 향해 각기 대향하는 한쌍의 평면커터가이드(133,135)가 장착된 한쌍의 고정측 물림판(132,134) 및 이동측 물림판(142,144)과;
    상기 평면커터가이드(133,135)의 선단부상을 선형 운동하도록 상기 고정측 물림판(132,134)측에 슬라이딩 지지됨과 동시에 고정측 물림판(132,134)측에 고정 된 수평커터 작동용 실린더(C5,C6)에 연동하여 모재간의 수평접합면에 생긴 표면비드를 제거하는 수평커터(151,152)와;
    상기 이동측 물림판(142,144)상에 고정 설치된 가열판 작동용 실린더(C7)에 연동하여 접합면과 나란하게 슬라이딩 운동하는 지지블록(160)측에 연결되고, 모재가 클램핑된 상기 고정측 물림판(132,134)과 이동측 물림판(142,144)의 벌어진 틈새로 진입 퇴출 작동하는 가열판(170)과;
    상기 고정틀(130)상에 장착된 수직커터작동용 실린더(C8)에 연동하여 수직으로 작동하면서 모재 접합면의 수직부위의 비드를 제거하는 수직커터(18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170)은 절단면의 열융착시 열융착량 만큼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지지블록(160)에 Y축 방향으로 이동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최초의정위치를 잡기 위한 고정용 실린더(C8)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판(132A,132B)(134A,134b)에는 각기 모재(A,B) 접합면의 열융착시 생성되는 비드를 모재의 표면으로부터 들고 일어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작동용 커터(151,152)의 날부위를 그 주위에서 안내하도록 선단이 예각 단면을 갖는 커터가더(cutter guarder)(135A,135B,135C,135D)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KR10-2002-0028721A 2002-05-23 2002-05-23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KR10037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721A KR100373983B1 (ko) 2002-05-23 2002-05-23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CNB021529922A CN1203979C (zh) 2002-05-23 2002-08-30 热融接塑料物体并去除凸边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721A KR100373983B1 (ko) 2002-05-23 2002-05-23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077A true KR20020095077A (ko) 2002-12-20
KR100373983B1 KR100373983B1 (ko) 2003-02-26

Family

ID=2772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721A KR100373983B1 (ko) 2002-05-23 2002-05-23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73983B1 (ko)
CN (1) CN1203979C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448B1 (ko) * 2005-12-19 2007-10-04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창틀 골재의 열융착 장치용 비드 사상제거장치
KR20190025913A (ko) * 2016-07-07 2019-03-12 그라프 시너지 에스.알.엘. 플라스틱 프로파일형 엘리먼트를 밀봉하는 머신
KR20200034307A (ko) * 2018-09-21 2020-03-31 (주)엘지하우시스 창호프레임 무이음매 용접장치
KR102223892B1 (ko) * 2019-12-17 2021-03-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프로파일 용접 방법, 및 창호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223894B1 (ko) * 2019-12-17 2021-03-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프로파일 용접장치
KR102223893B1 (ko) * 2019-12-17 2021-03-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프로파일 용접 장치, 창호 프로파일 용접 방법, 및 창호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239864B1 (ko) * 2019-12-17 2021-04-1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프로파일 용접 장치, 창호 프로파일 용접 방법 및 창호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239863B1 (ko) * 2019-12-17 2021-04-1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프로파일 용접 장치, 창호 프로파일 용접 방법, 및 창호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242450B1 (ko) * 2019-12-17 2021-04-20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프로파일 용접 장치, 창호 프로파일 용접 방법 및 창호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273821B1 (ko) * 2021-03-11 2021-07-05 유진홍 창호 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851B1 (ko) * 2019-06-20 2021-07-08 최종성 합성수지제 창틀 프레임의 용접방법 및 그 장치
KR102370960B1 (ko) * 2021-08-26 2022-03-07 (주)삼송창호 창틀 접합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448B1 (ko) * 2005-12-19 2007-10-04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창틀 골재의 열융착 장치용 비드 사상제거장치
KR20190025913A (ko) * 2016-07-07 2019-03-12 그라프 시너지 에스.알.엘. 플라스틱 프로파일형 엘리먼트를 밀봉하는 머신
KR20200034307A (ko) * 2018-09-21 2020-03-31 (주)엘지하우시스 창호프레임 무이음매 용접장치
KR102223892B1 (ko) * 2019-12-17 2021-03-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프로파일 용접 방법, 및 창호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223894B1 (ko) * 2019-12-17 2021-03-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프로파일 용접장치
KR102223893B1 (ko) * 2019-12-17 2021-03-08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프로파일 용접 장치, 창호 프로파일 용접 방법, 및 창호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239864B1 (ko) * 2019-12-17 2021-04-1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프로파일 용접 장치, 창호 프로파일 용접 방법 및 창호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239863B1 (ko) * 2019-12-17 2021-04-1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프로파일 용접 장치, 창호 프로파일 용접 방법, 및 창호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242450B1 (ko) * 2019-12-17 2021-04-20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프로파일 용접 장치, 창호 프로파일 용접 방법 및 창호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273821B1 (ko) * 2021-03-11 2021-07-05 유진홍 창호 프레임 제조용 열 융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3983B1 (ko) 2003-02-26
CN1203979C (zh) 2005-06-01
CN1459369A (zh)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983B1 (ko)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CN210160565U (zh) 一种多头高效点焊机
US6273988B1 (en) Method for welding plastic members
KR20200005247A (ko) 창호프레임 가공용 열 융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865434B2 (ja) 樹脂管用融着機
KR102176173B1 (ko) 용접라인이 최소화된 플라스틱 창호용 용접기
KR100565121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CN112041153B (zh) 带有清除单元的焊接机器
CN116079175A (zh) 一种面向大间隙金属-玻璃激光复合焊接装置
JP4211083B2 (ja) 突き合せ溶接方法及び装置
US118199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n active joining force during laser welding of overlapping workpieces
CN115229497A (zh) 一种钣金件焊接及打磨设备
CN205166186U (zh) 切割焊接一体装置
KR200371140Y1 (ko) 비드 제거장치
CN219600450U (zh) 一种热熔装置和裁切设备
KR200323662Y1 (ko) 창틀골재용 열 융착장치의 클램프조립체
CN212885959U (zh) 一种工件自动化焊接工作站
CN213798148U (zh) 一种卧式双侧热板机
KR20070065120A (ko) 창틀 골재의 열융착 장치용 비드 사상제거장치
KR102334940B1 (ko) 용접라인이 최소화된 플라스틱 창호용 용접기
JPH0691759A (ja) 軟質異形型材の端面溶着装置
CN219319975U (zh) 一种自动化焊接牢固性检测装置
JPS6325009Y2 (ko)
CN214558195U (zh) 下推式波浪焊接机
TWI831238B (zh) 應用於自動化接布之布端修整裝置及其布端修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719

Effective date: 2006072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912

Effective date: 2006072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725

Effective date: 2006072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912

Effective date: 2006102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828

Effective date: 20070627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824

Effective date: 20070627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720

Effective date: 20071116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720

Effective date: 2007111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20

Effective date: 2008011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1120

Effective date: 20080116

EXTG Extinguishme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