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503A - 이통통신 단말기에서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 - Google Patents

이통통신 단말기에서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503A
KR20020093503A KR1020010032290A KR20010032290A KR20020093503A KR 20020093503 A KR20020093503 A KR 20020093503A KR 1020010032290 A KR1020010032290 A KR 1020010032290A KR 20010032290 A KR20010032290 A KR 20010032290A KR 20020093503 A KR20020093503 A KR 20020093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2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3503A/ko
Publication of KR2002009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5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내부의 충전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가 제거되더라도 파워 다운 등록 신호를 송신하여 기지국에서 단말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은, 배터리가 탈착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가 탈착되었을때에는 충전회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와, 상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비정상적으로 배터리가 탈착되었을때 이를 기지국으로 알림으로써 기지국은 단말기의 파워 오프 상태를 알 수 있어 불필요한 콜 시도를 하지 않아도 된다.

Description

이통통신 단말기에서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transmitting method for power down registr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제거시 기지국으로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내부의 충전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가 제거되더라도 파워 다운 등록 신호를 송신하여 기지국에서 단말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의 개략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단말기(10)에 엔드(END)키를 누르면 단말기(10)는 기지국(20)으로파워 다운 등록(registration)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20)으로부터 응답을 기다린다.
상기 단말기(10)가 기지국(20)으로부터 BS 응답을 받으면 단말기(10)는 하드웨어(H/W)적으로 파워 오프 모드로 이동하지만 배터리를 제거하는 경우 기지국(20)으로 파워 다운 등록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파워 오프 모드로 이동하므로 기지국(20)은 배터리가 제거된 단말기(10)에 대한 파워 다운 정보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단말기(10)에 호출이 왔을때 단말에 상대방 단말기(10)의 파워 다운 정보를 음성 메시지로 알려주지 못하고 콜을 시동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파워 다운 등록정보는 단말기(10)가 전원을 오프하였을때 기지국(20)에 단말의 파워 정보를 알리는 메시지로써 이 메시지를 참고하여 기지국(20)은 그 단말기에 호출이 왔을때 콜(call)을 시도한 단말기에 음성으로 단말기(10)의 정보(파워 오프)를 알려준다.
이와같이, 종래의 단말기(10)는 배터리를 제거하면 기지국(20)으로 파워 다운 등록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진행하지 않고 곧바로 하드웨어적인 파워 오프로 이동한다.
따라서, 기지국(20)은 단말기(10)의 파워 다운 정보를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호출 수신시 상대방 단말기(10)에 파워 다운 정보를 주지 못할뿐 아니라 콜을 시도해야 하는 불필요한 동작이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가 비정상적으로 탈착됨을 알려 기지국의 불필요한 콜 시도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의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의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말기 내부의 충전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20 : 기지국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은,
배터리가 탈착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가 탈착되었을때에는 충전회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와, 상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회로는 캐패시터를 사용한다.
상기 충전회로는 배터리 제거시 전원을 공급하여 단말기가 바로 파워 오프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말기 내부의 충전회로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단말기의 배터리(BAT)를 제거하면 도 3 에 도시된 단말의 내부 충전회로가 동작을 하여 곧바로 파워 오프로 이동하는 것을 막아주며, 그동안 단말기는 소프트웨어(S/W)적으로 배터리가 제거되는 것을 인식하고 단말기 파워 오프 모드로 가는 준비 작업을 한다.
엔드(END)키가 눌러졌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지국으로 파워 다운 등록정보를 송신하고 단말기는 기지국이 보내주는 BS 응답신호를 기다린다.
상기 단말기가 BS 응답 메시지를 받으면 소프트웨어적으로 파워 오프 코멘드를 주고 파워 오프로 이동한다.
결국, 단말기는 기지국에 자신의 파워 다운 메시지를 송신하고 파워 오프한다.
그리고, 단말기 내부의 충전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제거하더라도 파워 다운 등록정보를 송신하여 기지국에 단말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충전회로는 파워 다운 등록을 할 수 있는 전원을 얻을 수 있으며, 파워 다운 등록이 끝나면 소프트웨어적으로 파워 오프 코멘드를 주고 단말기는 파워 오프된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BAT)에 남아 있는 전원에 의해 액정(LCD)이 온(on)상태에 있을때 스위치(SW)를 온시켜 액정을 오프(off)시키게 된다.
도 2 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의 진행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10)에 장착된 메인 배터리를 제거한 후 단말기(10)내부의 충전회로를 동작시킨다.(S10,S20)
소프트웨어적으로 단말기(10)의 메인 배터리의 제거를 인식한 후 단말기(10)는 파워오프 모드로 이동할 준비를 한다.(S30,S40)
단말기(10)에서 기지국(20)으로 파워 다운 등록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면 기지국(20)에서 단말기(10)로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50)
이후, 단말기에 파워 오프 코멘드를 송부하여 파워 오프시킨다.(S60,S70)
이와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를 제거하더라도 파워 다운 등록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호출이 왔을때 파워 오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정상적으로 배터리가 탈착되었을때 이를 기지국으로 알림으로써 기지국은 단말기의 파워 오프 상태를 알 수 있어 불필요한 콜 시도를 하지 않아도 된다.

Claims (3)

  1. 배터리가 탈착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가 탈착되었을때에는 충전회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와,
    상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파워 다운 등록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통통신 단말기에서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충전회로는 캐패시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통통신 단말기에서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는 배터리 제거시 전원을 공급하여 단말기가 바로 파워 오프되는 것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통통신 단말기에서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
KR1020010032290A 2001-06-09 2001-06-09 이통통신 단말기에서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 KR20020093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290A KR20020093503A (ko) 2001-06-09 2001-06-09 이통통신 단말기에서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290A KR20020093503A (ko) 2001-06-09 2001-06-09 이통통신 단말기에서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503A true KR20020093503A (ko) 2002-12-16

Family

ID=2770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290A KR20020093503A (ko) 2001-06-09 2001-06-09 이통통신 단말기에서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350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503A (ko) * 2001-11-20 2003-05-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상태 메시지 송출 방법
KR20040001321A (ko) * 2002-06-27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접속 제어방법
KR20040033471A (ko) * 2002-10-14 2004-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 전원 low상태 관리 방법
KR100755250B1 (ko) * 2004-05-14 2007-09-05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낮은 배터리와 신호 상실 상태에 따른 이동국용 네트워크 자원의 급속 해제 방법,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및 이동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503A (ko) * 2001-11-20 2003-05-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상태 메시지 송출 방법
KR20040001321A (ko) * 2002-06-27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접속 제어방법
KR20040033471A (ko) * 2002-10-14 2004-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 전원 low상태 관리 방법
KR100755250B1 (ko) * 2004-05-14 2007-09-05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낮은 배터리와 신호 상실 상태에 따른 이동국용 네트워크 자원의 급속 해제 방법,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 및 이동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20859A (en) Power-saving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System
JPH10271231A (ja) 移動体通信装置、移動体通信装置の電源供給装置および電源供給方法、および、移動体通信装置に接続可能なデータ端末接続モデムカード
KR20060048692A (ko) 통신 시스템, 통신 단말 장치와 무선 키 장치
AU2005202864A1 (en) Head set apparatu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JP4561986B2 (ja) 無線端末機
US5438695A (en) Radio-link continuity keeping equipment in cellular telephone mobile station
CN101449482A (zh) 无线通信网络中的uma/gan保活机制
GB2305078A (en) Re-establishing direct link between cordless telephones
KR20020093503A (ko) 이통통신 단말기에서의 파워 다운 등록정보 송신방법
KR20010053847A (ko) 무선 단말기에서 통화중 배터리 교체 방법
KR101199839B1 (ko) Dbdm 단말기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70184873A1 (en) Dual-mode phone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0614940B1 (ko) 휴대폰 절전 방법 및 그 장치
KR100681517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CN111371145B (zh) 一种无线充移动电源的控制方法及无线充移动电源
KR1004037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3600077B2 (ja) 移動体通信装置の電力制御装置
JPH06164480A (ja) 無線機および網の電池交換時の通話継続方式
KR100233096B1 (ko) 무선단말기의 가입자 신원 확인카드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JP3493290B2 (ja) 携帯形情報通信用の端末における電源制御装置
JP3220923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287951B1 (ko) 휴대전화의 전력소비를 최소화 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108655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と、この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移動通信網および移動端末装置
JP3996866B2 (ja) 無線データ通信開始方法及び無線データ通信装置
KR2001005855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신시 절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