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517B1 -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517B1
KR100681517B1 KR1020050125650A KR20050125650A KR100681517B1 KR 100681517 B1 KR100681517 B1 KR 100681517B1 KR 1020050125650 A KR1020050125650 A KR 1020050125650A KR 20050125650 A KR20050125650 A KR 20050125650A KR 100681517 B1 KR100681517 B1 KR 10068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mobile communication
handover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5012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 상이한 이동통신망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 및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1 모뎀은 핸드오버 요청이 있는 경우에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제2 모뎀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 시에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핸드오버, WCDMA, CDMA, MB-MM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intersystem handover method in the multiband-multimode terminal}
도 1은 CDMA 이동통신망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존의 CDMA 이동통신망
110-1, 110-2, 110-3 : 오버레이 지역
120-1, 120-2, 200 : MB-MM 이동통신 단말기
210 : 마스터 모뎀
220 : 슬레이브 모뎀
250 : 저장부
255 : 출력부
266 : 배터리
본 발명은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도 원격지에 위치한 상대방과 음성 통화가 가능한 휴대형 장치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에는 음성 통신만이 가능하였으나, 점차 문자와 기호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방식,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음성과 문자 통신 방식은 비교적 데이터의 용량이 작아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CDMA'라 칭함)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적합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영상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에서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 데이터 출력 속도가 빠른 이동통신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적합한 시스템이 3세대(3GPP) 이동통신 시스템이며, 일 예로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 라 칭한다)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도 이동통신망 접속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즉,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하는 휴대형 단말기, W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하는 휴대형 단말기, CDMA 방식과 WCDMA 방식을 모두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CDMA 이동통신망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CDMA 방식의 서비스는 광범위한 영역(100)에서 제공되고 있으나 WCDMA 방식의 서비스는 CDMA 방식의 서비스 지역 내의 일부의 지역(110-1, 110-2, 110-3, 이하'110'으로 통칭함)에서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CDMA 서비스 지역 내의 일부 지역은 WCDMA 서비스 지역과 중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영역을 오버레이 지역(110)이라 할 수 있다. 물론, CDMA 서비스 지역 이외의 영역에 WCDMA 서비스 지역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오버레이 지역(110)은 기존의 2세대 이동통신망인 CDMA 이동통신망과 3세대 이동통신망인 WCDMA 이동통신망이 공존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버레이 지역(110) 내외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와 CDMA 방식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CDMA 모뎀과 WCDMA 모뎀을 모두 구비하고 있고, 각 모뎀 간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1, 120-2, 이하 '120'으로 통칭함)를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WCDMA 이동통신망과 CDMA 이동통신망을 상호 이동하는 경우 연속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단말기의 각 방식의 모뎀 간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에서 WCDMA 모뎀이 WCDMA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CDMA 모뎀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또는 그 반대의 경우), CDMA 모뎀은 WCDMA 모뎀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CDMA 이동통신망과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WCDMA 모뎀은 CDMA 모뎀과 CDMA 이동통신망이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면 구동 종료된다.
그런데, WCDMA 이동통신망과 CDMA 이동통신망의 경계 지역(Border Cell)에서는 양쪽 망이 모두 약전계(즉, 모뎀과 이동통신망이 주고 받는 신호의 세기가 매우 약한 상태)에 해당한다. 따라서, 양 모뎀이 모두 매우 높은 수치의 송신파워(TX Power)의 신호를 각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핸드오버 시에 순간적으로 매우 높은 전력을 필요로 한다. 이때,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남아있는 배터리 잔량(level)이 필요한 전력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단말기(120)의 전원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즉,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에 수행되는 핸드오버) 시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통신을 수행 중인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전원이 꺼지게 되어, 사용자는 다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원이 꺼진 단말기(120)에 다시 전원을 인가하는 등의 버튼을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단말기(120)의 전원이 꺼진 후 다시 전원이 인가되기 전까지의 기간 동안에 이동통신망에서 전송하는 신호들을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 시에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 시에 전원이 꺼지게 되어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버튼 조작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 시에 전원이 꺼진 후 다시 전원이 인가되기 전까지의 기간 동안에 이동통신망에서 전송하는 신호들을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 및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상이한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핸드오버 요청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고, 핸드오버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구동 개시 명령을 상기 제2 모뎀으로 전송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제2 모뎀은 상기 구동 개시 명령에 의하여 구동 개시되면 핸드오버가 완료되어 상기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핸드오버는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아이들(Idle)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 모뎀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 부족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 및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상이한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핸드오버 요청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뎀이 핸드오버를 위해 배터리 잔량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모뎀이 제2 모뎀으로 구동 개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구동 개시 명령에 의하여 구동 개시되면 핸드오버가 완료되어 상기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핸드오버는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모뎀이 아이들(Idle) 상태로 천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상기 제1 모뎀의 제어에 의해 출력부에서 배터리 부족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부가되는 서수(예를 들어, 제1, 제2)는 각 구성 요소가 각 단락 또는 명세서 전반적인 설명을 위해 기재되는 순서에 따라 부가한 것에 불과하며, 이는 각 구성 요소의 명칭을 특정하거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임 아님을 유념하여야 한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간의 통신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스터 모뎀은 WCDMA 모뎀인 것으로, 슬레이브 모뎀은 CDMA 모뎀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 한다. 다만,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모뎀이 CDMA 모뎀과 WCDMA 모뎀으로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레이브 모뎀을 2개 이상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하기의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제1 모뎀을 마스터 모뎀으로 하고 제2 모뎀을 슬레이브 모뎀이라고 편의상 정의하나 그 용어(즉, 제1, 제2, 마스터 및 슬레이브)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마스터 모뎀(210), 슬레이브 모뎀(220), 마스터 고주파 처리부(230),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40), 저장부(250), 출력부(255), 듀플렉서(260), 안테나(265) 및 배터리(266)를 포함한다.
마스터 모뎀(210)은 제1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일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방식은 복수의 통신방식(예를 들어, CDMA 방식, WCDMA 방식, TDMA 방식, GSM 방식 등)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일 수 있고, 마스터 모뎀(210)은 제1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방식이 WCDMA 통신방식이면 마스터 모뎀은 WCDMA 모뎀일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마스터 모드(즉, 마스터 모뎀(210)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기저대역(Base Band)의 각종 신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핸드오버 요청 여부에 대하여 판단한다. 핸드오버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마스터 모뎀(21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망(즉, WCDMA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핸드오버를 수행하라는 메시지(예를 들어, Universal Handover Direct Message, UHDM, 이하,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라 칭함)의 수신 여부에 의하여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WCDMA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수신신호 세기 정보(예를 들어, 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와 미리 설정된 임계값(Threshold value)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방법도 있다. 이와 같이, 핸드오버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들 방법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결합된 배터리(266)에 상응하는 배터리 잔량(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은 전압 값(Voltage level)으로 표시될 수 있음)을 검출하여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여도 배터리(266) 부족으로 인하여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원이 꺼질 것이다. 따라서, 마스터 모뎀(210)은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아이들(Idle) 상태로 천이(즉, 이동통신망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경로를 해제)하고, 배터리(266) 부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출력부(255)를 제어한다. 그러나, 비교 결과,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구동 개시 명령을 전송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배터리(266) 부족으로 인하여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원이 꺼질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은 표시부에 전지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임계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공정 단계에서 복수 회에 걸친 WCDMA 이동통신망과 CDMA 이동통신망의 경계 지역(Border cell)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원이 꺼지는 순간의 배터리(266) 레벨을 측정하여 그 값을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부터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예를 들어, 긍정 응답(ACK) 신호 등)를 수신하면 구동 종료된다. 물론, 마스터 모뎀(210)이 구동 개시 명령을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한 후 임의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간주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슬레이브 모뎀(220)은 제2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일 수 있다. 즉, 제2 통신방식은 복수의 통신방식(예를 들어, CDMA 방식, WCDMA 방식, TDMA 방식, GSM 방식 등) 중 마스터 모뎀(210)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방식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일 수 있고, 슬레이브 모뎀(220)은 제2 통신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방식이 WCDMA 방식인 경우, 제2 통신방식은 CDMA 통신방식일 수 있고, 슬레이브 모뎀(220)은 CDMA 방식의 모뎀일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모뎀(22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슬레이브 모드(즉, 슬레이브 모뎀(220)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기저대역(Base Band)의 각종 신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구동 개시 명령을 수신하면 구동 개시되어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또한, 핸드오버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긍정 응답(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마스터 고주파 처리부(230)는 WCDMA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단과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WCDMA 이동통신망으로 송신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며, 마스터 모뎀(210)이 망으로 송출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등 송수신되는 마스터 모드의 각종 고주파를 처리한다. 특히, WCDMA 이동통신망에서 송신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마스터 모뎀(210)에 송출한다.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40)는 CDMA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 리하는 수신단과 슬레이브 모뎀(220)으로부터 CDMA 이동통신망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며, 슬레이브 모뎀(220)이 CDMA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등 송수신되는 슬레이브 모드의 각종 고주파를 처리한다.
저장부(250)는 마스터 모뎀(210)에 연결되며,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마스터 모드(즉, 마스터 모뎀(210)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배터리 잔량과 비교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저장한다. 다만, 임계값은 마스터 모뎀(210)이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족하다.
출력부(255)는 마스터 모뎀(210)의 제어에 의해, 각종 사진, 영상, 문자, 및 음성 등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마스터 모뎀(210)의 제어에 의하여 배터리(266) 부족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는,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없어서 더 이상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없음을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이 때, 배터리(266) 부족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부(255)에 팝업창(pop-up)을 사용하여 저장부(250) 등에 미리 저장된 배터리(266) 부족 메시지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부족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들 방법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출력부(255)는 LCD 및/또는 스피커일 수 있다.
듀플렉서(260)는 상기 각 모드의 서로 다른 고주파 대역을 분리하고, 안테 나(265)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WCDMA 및/또는 CDMA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배터리(266)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동작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특히, 마스터 모뎀(210)에 의하여 잔량이 검출되며, 검출된 배터리 잔량은 마스터 모뎀(210)이 핸드오버를 위해 저장부(250)에 저장된 임계값과 비교된다. 여기서,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이 다양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도 2에서는 배터리(266)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내부에 내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배터리(266)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분리 가능하고, 단말기(200)의 전원 연결 단자 등과 연결되어 단말기(200)가 동작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마스터 모뎀(210)은 WCDMA 이동통신망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중(즉, 트래픽 상태)이고, 슬레이브 모뎀(220)은 구동 종료된 상태인 경우를 가정한다(단계 300).
단계 310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핸드오버(즉,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 요청 여부에 대하여 판단한다. 핸드오버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 다양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에서는 마스터 모뎀(210)이 WCDMA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했는지를 판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마스터 모뎀(210)은 WCDMA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Universal Handover Direct Message, UHDM)를 수신했는지에 대하여 판단한다.
판단 결과,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마스터 모뎀(210)은 WCDMA 이동통신망과 무선 통신을 계속하면 된다. 그러나,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핸드오버 시에 순간적으로 매우 높은 전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핸드오버 시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배터리 잔량이 필요한 전력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단말기의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스터 모뎀(21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배터리 잔량(Battery level)과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임계값을 비교한다(단계 320). 여기에서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임계값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공정 단계에서 복수 회에 걸친 WCDMA 이동통신망과 CDMA 이동통신망의 경계 지역(Border cell)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원이 꺼지는 순간의 배터리(266) 레벨을 측정하여 그 값을 임계값으로 설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임계값을 저장하는 저장부(250)는 마스터 모뎀(210)이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족하다.
단계 330에서,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 마스터 모뎀(210)은 무선 통신을 종료하고, 아이들(Idle) 상태로 천이한다. 즉, 마스터 모뎀(210)은 WCDMA 이동통신망과의 무선 경로를 해제한다.
단계 340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배터리(266) 부족 메시지가 출력부(255)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이 종료된 이유가 배터리(266) 부족임을 알리기 위함이다. 이 때, 배터리(266) 부족 메시지를 출력부(255)에 출력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출력부(255)에 팝업창(pop-up)을 사용하여 저장부(250) 등에 미리 저장된 배터리(266) 부족 메시지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단계 320에서의 판단 결과,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구동 개시 명령을 전송한다(단계 350).
단계 360에서, 슬레이브 모뎀(220)은 구동 개시되어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핸드오버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슬레이브 모뎀(220)은 마스터 모뎀(210)으로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예를 들어, 긍정 응답(ACK) 메시지 등)를 전송한다. 물론, 마스터 모뎀(210)이 구동 개시 명령을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도록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것으로 가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마스터 모뎀(210)은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구동 종료되고(단계 380), 슬레이브 모뎀(220)은 CDMA 이동통신망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단계 39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 시에 전원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 시에 전원이 꺼지게 되어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버튼 조작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 시에 전원이 꺼진 후 다시 전원이 인가되기 전까지의 기간 동안에 이동통신망에서 전송하는 신호들을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 및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상이한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핸드오버 요청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고, 핸드오버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여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구동 개시 명령을 상기 제2 모뎀으로 전송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제2 모뎀은 상기 구동 개시 명령에 의하여 구동 개시된 후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상기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는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아이들(Idle) 상태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 모뎀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 부족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 및 상기 제1 이동통신망과 상이한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핸드오버 요청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뎀이 핸드오버를 위해 배터리 잔량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모뎀이 제2 모뎀으로 구동 개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구동 개시 명령에 의하여 구동 개시된 후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상기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는 트래픽(Traffic) 핸드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모뎀이 아이들(Idle) 상태로 천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의 제어에 의해 출력부에서 배터리 부족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1020050125650A 2005-12-19 2005-12-19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100681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650A KR100681517B1 (ko) 2005-12-19 2005-12-19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650A KR100681517B1 (ko) 2005-12-19 2005-12-19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517B1 true KR100681517B1 (ko) 2007-02-09

Family

ID=3810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650A KR100681517B1 (ko) 2005-12-19 2005-12-19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8713A1 (en) * 2012-02-15 2013-08-15 T-Mobile Usa, Inc. Dynamically enabled wi-fi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3464A1 (en) 1999-07-07 2001-01-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dge of coverage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24091A (ko) * 2003-09-0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시스템과 동기시스템간의 핸드오버를 위한이동단말의 셀 탐색 방법 및 장치
KR20050049065A (ko) * 2003-11-21 2005-05-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더블유씨디엠에이에서씨디엠에이로의 핸드오버 방법
KR20050089346A (ko) * 2004-03-04 2005-09-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KR20050097718A (ko) * 2004-04-02 2005-10-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 핸드오버 한 이동통신단말의 초기 송신 전력 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3464A1 (en) 1999-07-07 2001-01-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dge of coverage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24091A (ko) * 2003-09-0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시스템과 동기시스템간의 핸드오버를 위한이동단말의 셀 탐색 방법 및 장치
KR20050049065A (ko) * 2003-11-21 2005-05-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더블유씨디엠에이에서씨디엠에이로의 핸드오버 방법
KR20050089346A (ko) * 2004-03-04 2005-09-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KR20050097718A (ko) * 2004-04-02 2005-10-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 핸드오버 한 이동통신단말의 초기 송신 전력 설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08713A1 (en) * 2012-02-15 2013-08-15 T-Mobile Usa, Inc. Dynamically enabled wi-fi
US10064241B2 (en) * 2012-02-15 2018-08-28 T-Mobile Usa, Inc. Dynamically enabled Wi-F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96452B (zh) 省电信号监听方法及装置
JP6285508B2 (ja) Lteデータおよびdsda音声の同時実施
US9807814B2 (en) User equipment with improved DRX performance
US7979097B2 (en) Power management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886261B2 (en) Multi-mode methods and devices utilizing battery power level for selection of the modes
US858886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583057B2 (en) Techniques to control a shared antenna architecture for multiple co-located radio modules
US8755747B2 (en) Techniques to control transmit power for a shared antenna architecture
EP1804426A1 (en)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of
US201101419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and Handover Management in a Multiple Wireless Technology Communication Device
US11076354B2 (en) Cell handover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9913279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radio connection, network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JPH11205217A (ja) アナログモードおよびディジタルモードを選択的に使用する機能を有するデュアルモード無線通信装置
WO2022017360A1 (zh) 直接通信启动控制方法及相关设备
WO2022021787A1 (zh) 一种天线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0681517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20080042367A (ko) Dbdm 단말기의 수신전계강도에 따른 전원 관리 장치 및방법
KR101199839B1 (ko) Dbdm 단말기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57088B1 (ko) 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100648640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위치 등록 방법
KR1007477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뎀 구동방법
WO2022166942A1 (zh) 发射链路的处理方法、装置及终端
KR100649123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착신호 처리 방법
CN117083924A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JP2005236506A (ja) 移動通信端末装置、移動通信端末の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