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123B1 -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착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착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123B1
KR100649123B1 KR1020050125903A KR20050125903A KR100649123B1 KR 100649123 B1 KR100649123 B1 KR 100649123B1 KR 1020050125903 A KR1020050125903 A KR 1020050125903A KR 20050125903 A KR20050125903 A KR 20050125903A KR 100649123 B1 KR100649123 B1 KR 100649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modem
terminal
communication network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50125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핸드오버 중 제1 이동통신망에 대해 수행한 호 연결 시도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발신단말 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한 후 핸드오버를 재개하는 제1 모뎀 및 발신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핸드오버 도중에 호 착신이 이루어진 경우, 수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드오버 완료 후에 사용자에게 발신단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핸드오버, WCDMA, CDMA, MB-MM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receiving call processing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도 1은 CDMA 이동통신망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존의 CDMA 이동통신망
110-1, 110-2, 110-3 : 오버레이 지역
120-1, 120-2, 200 : MB-MM 이동통신 단말기
210 : 마스터 모뎀
220 : 슬레이브 모뎀
250 : 컨트롤 경로
255 : 입력부
256 : 출력부
270 : 제1 이동통신망
271 : 제1망 RNC
272 : 제1망 MSC
280 : 제2 이동통신망
281 : 제2망 BSC
282 : 제2망 MSC
본 발명은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도 원격지에 위치한 상대방과 음성 통화가 가능한 휴대형 장치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에는 음성 통신만이 가능하였으나, 점차 문자와 기호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방식,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음성과 문자 통신 방식은 비교적 데이터의 용량이 작아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CDMA'라 칭함)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적합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영상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에서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 데이터 출력 속도가 빠른 이동통신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적합한 시스템이 3세대(3GPP) 이동통신 시스템이며, 일 예로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 라 칭한다)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도 이동통신망 접속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즉, 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하는 휴대형 단말기, W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하는 휴대형 단말기, CDMA 방식과 WCDMA 방식을 모두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CDMA 이동통신망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CDMA 이동통신망(100)은 광범위한 영역에서 제공되고 있으나 WCDMA 이동통신망은 CDMA 이동통신망(100) 내의 일부의 지역에서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CDMA 이동통신망(100) 내의 일부 지역은 WCDMA 이동통신망과 중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영역을 오버레이 지역(110)이라 할 수 있다. 물론, CDMA 이동통신망(100) 이외의 영역에 WCDMA 이동통신망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오버레이 지역(110)은 기존의 2세대 이동통신망인 CDMA 이동통신망(100)과 3세대 이동통신망인 WCDMA 이동통신망이 공존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한 WCDMA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오버레이 지역(110)에서는 WCDMA 이동통신망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버레이 지역(이하, 'WCDMA 이동통신망'으로 칭하고, CDMA 이동통신 서비스만을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을 'CDMA 이동통신망(100)'이라 칭함)(110) 내외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와 CDMA 방식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CDMA 모뎀과 WCDMA 모뎀을 모두 구비하고 있고, 각 모뎀 간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1, 120-2, 이하 '120'으로 통칭함)를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WCDMA 이동통신망(110)과 CDMA 이동통신망(100)을 상호 이동하는 경우 연속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WCDMA 이동통신 시스템과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통신 방식이 서로 상이하므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를 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WCDMA 이동통신망(110)에서 CDMA 이동통신망(100)으로 이동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핸드오버가 완료하기 전에 WCDMA 이동통신망(110)으로부터 발신자의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호 연결 요청(paging)이 수신되면 WCDMA 모뎀은 핸드오버의 수행을 정지하고, 통화 연결(Call connection)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WCDMA 모뎀은 WCDMA 이동통신망 (110)으로 무선 자원 연결(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RC connection)을 시도하고, 무선 자원이 연결되면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이하, '호 접속 요청 응답'이라 칭함) 신호를 WCDMA 이동통신망(110)으로 송출한 후 음성 및/또는 화상 신호를 수신하면 발신측 단말기와 통화 연결 상태가 된다.
그러나,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핸드오버 수행을 종료한 후, 발신측 단말기와 통화 연결(Call connection) 상태가 되기 전에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CDMA 이동통신망(100)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호 연결을 위한 시도는 더 이상 수행될 수 없으므로 중단된다. 이 후, WCDMA 모뎀은 CDMA 모뎀을 구동시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CDMA 모뎀은 아이들(Idle) 상태, WCDMA 모뎀은 구동 종료 상태로 각각 천이하지만,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 연결 시도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발신자 단말기와 무선통신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무선통신 연결 시도가 있었다는 것을 인지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적 경과와 복수번의 버튼 조작이 있어야 하는 불편함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오버 도중에 호 착신이 이루어진 경우, 수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드오버 완료 후에 사용자에게 발신단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을 제 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드오버 도중에 호 착신이 이루어진 경우 핸드오버 완료 후 즉시 발신단말로 무선통신 연결이 가능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 중 제1 이동통신망에 대해 수행한 호 연결 시도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발신단말 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한 후 핸드오버를 재개하는 제1 모뎀; 및 상기 발신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발신단말 연결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2 모뎀에 전송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뎀은 상기 발신단말 연결 명령에 따라 상기 발신단말 정보에 상 응하는 단말기와 제2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은 각각의 컨트롤 핀에 의하여 형성된 컨트롤 경로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 경로에 의하여 상기 발신단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발신단말 정보는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수신한 발신단말 식별 정보(IMSI)에서 검출한 단말기 식별 번호(MSIN)일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뎀이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 중 제1 이동통신망에 대해 수행한 호 연결 시도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긍정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모뎀이 발신단말 정보를 검출하여 제2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발신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가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은 입력부로부터 발신단 말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발신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단말기와 제2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은 각각의 컨트롤 핀에 의하여 형성된 컨트롤 경로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 경로에 의하여 상기 발신단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발신단말 정보는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수신한 발신단말 식별 정보(IMSI)에서 검출한 단말기 식별 번호(MSIN)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부가되는 서수(예를 들어, 제1, 제2)는 각 구성 요소가 각 단락 또는 명세서 전반적인 설명을 위해 기재되는 순서에 따라 부가한 것에 불과하며, 이는 각 구성 요소의 명칭을 특정하거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임 아님을 유념하여야 한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스터 모뎀은 WCDMA 모뎀인 것으로, 슬레이브 모뎀은 CDMA 모뎀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모뎀이 CDMA 모뎀과 WCDMA 모뎀으로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레이브 모뎀을 2개 이상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하기의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제1 모뎀을 마스터 모뎀으로 하고 제2 모뎀을 슬레이브 모뎀이라고 편의상 정의하나 그 용어(즉, 제1, 제2, 마스터 및 슬레이브)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마스터 모뎀(210), 슬레이브 모뎀(220), 마스터 고주파 처리부(230),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40), 컨트롤 경로(250), 입력부(255), 출력부(256), 듀플렉서(260) 및 안테나(265)를 포함한다.
마스터 모뎀(21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마스터 모드(즉, 마스터 모뎀(210)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기저대역(Base Band)의 각종 신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WCDMA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Power on), 초기 검색(Initial searching)을 실시하여 WCDMA 이동통신망에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된다. 아이들(Idle) 상태란, 단말기가 통화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통화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아이들(IDLE) 상태에서 제1 이동통신망(270)과 제2 이동통신망(280)의 경계 지역(Border cell)에 진입하게 되면, 슬레이브 모뎀(220)으로의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를 수행하기 위하여 구동 개시 명령을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한다.
또한, 핸드오버가 완료하기 전에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발신자의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호 연결 요청(paging)이 수신되면 핸드오버의 수행을 중단하고, 통화 연결(Call connection)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마스터 모뎀(210)은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무선 자원 연결(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RC connection)을 시도하고, 무선 자원이 연결되면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Paging response, 이하, '호 접속 요청 응답'이라 칭함) 신호를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송출한 후 음성 및/또는 화상 신호를 수신하면 발신측 단말기와 통화 연결(Call connection) 상태가 된다.
그러나, 마스터 모뎀(210)이 호 연결 요청을 수신하여 핸드오버 수행을 종료한 후, 발신측 단말기와 통화 연결(Call connection) 상태가 되기 전에 MB-MM 이 동통신 단말기(120)가 CDMA 이동통신망(100)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호 연결을 위한 시도는 더 이상 수행될 수 없으므로 마스터 모뎀(210)은 이를 중단시킨다. 예를 들어, 마스터 모뎀(210)은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의 호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한 후, 이에 상응하는 긍정 응답(ACK) 신호를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면 호 연결 시도를 중단시킬 수 있다. 또는, RRC 연결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quest)를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송출한 후, 이에 상응하는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setup)를 수신하지 못하면 호 연결 시도를 중단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마스터 모뎀(210)이 호 연결을 위하여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송출하는 다른 신호들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호 연결 시도를 중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상술한 이유로 인하여 호 연결이 중단되면, 핸드오버를 다시 수행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구동 개시 명령을 전송한다. 또한, 핸드오버 수행이 완료되면, 마스터 모뎀(210)은 발신단말 정보를 검출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한다. 이 때, 발신단말 정보는 예를 들어, 호 연결 요청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수신한 발신단말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에서 검출한 단말기 식별 번호(Mobile Station Identification Number, MSIN)일 수 있다.
슬레이브 모뎀(22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슬레이브 모드(즉, 슬레이브 모뎀(220)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기저대역 (Base Band)의 각종 신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2 이동통신망(28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원이 들어오면(Power on), 초기 검색(Initial searching)을 실시하여 제2 이동통신망(270)에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구동 개시 명령을 수신하면 구동 개시되어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발신단말 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상응하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출력부(256)를 제어한다. 또한, 입력부(255)로부터 발신단말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제2 이동통신망(280)에 접속하여 상응하는 발신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슬레이브 모뎀(220)이 제2 이동통신망(280)에 접속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마스터 고주파 처리부(230)는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단과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며, 마스터 모뎀(210)이 망으로 송출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등 송수신되는 마스터 모드의 각종 고주파를 처리한다.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40)는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단과 슬레이브 모뎀(220)으로부터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송출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며, 슬레이브 모뎀(220)이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송출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등 송수신되는 슬레이브 모드의 각종 고주파를 처리한다.
컨트롤 경로(250)는 마스터 모뎀(210)과 슬레이브 모뎀(220)간의 컨트롤 핀 (Control Pin)에 의해 형성되는데, 마스터 모뎀(210)과 슬레이브 모뎀(220)은 이 경로를 통해 임의의 신호를 주고 받는다. 특히, 마스터 모뎀(210)은 컨트롤 경로(250)를 통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발신단말 정보를 전송한다.
입력부(255)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각종 신호가 생성되며, 생성된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 및/또는 슬레이브 모뎀(220)에 입력한다. 특히,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발신단말 연결 명령을 생성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입력한다. 입력부(255)는 숫자 패드 및/또는 터치 패드일 수 있다.
출력부(255)는 마스터 모뎀(210) 및/또는 슬레이브 모뎀(220)의 제어에 의해, 각종 사진, 영상, 문자, 및 음성 등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마스터 모뎀(210)의 제어에 의하여 화상통신을 수행하는 상대방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전송한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슬레이브 모뎀(220)의 제어에 의하여 발신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이하, '발신단말 정보 메시지'라 칭함)를 출력한다. 이 때, 발신단말 정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일 예로, 출력부(255)에 팝업창을 사용하여 발신단말 정보 메시지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발신단말 정보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들 방법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출력부(255)는 LCD 및/또는 스피커일 수 있다.
듀플렉서(260)는 상기 각 모드의 서로 다른 고주파 대역을 분리하고, 안테 나(265)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제1 및/또는 제2 이동통신망(270, 280)으로부터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통신망(270)은 제1망 무선국 제어부(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271) 및 제1망 교환부(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칭함)(27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이동통신망(270)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망 RNC(271)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마스터 모뎀(21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Base Station, BS)(도시되지 않음)을 제어한다. 특히, 무선국을 제어하여 무선국에서 MB-MM 이동 통신 단말기(200, 즉 마스터 모뎀(210))으로 무선국 정보(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등)를 송출하도록 한다.
물론, 제1 이동통신망(270)에서 마스터 모뎀(210)으로 송출하는 각종 신호들은 제1망 RNC(271)가 마스터 모뎀(210)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을 제어하여 마스터 모뎀(210)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다만,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이동통신망 (270)이 마스터 모뎀(210)으로 각종 신호들을 송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반대로, 마스터 모뎀(210)에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도 무선국을 통해서 제1망 RNC(271)로 송출되는 것이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스터 모뎀(210)이 제1 이동통신망(270)에 신호들을 송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마스터 모뎀(210)은 호 연결을 위한 각종 신호들을 제1 이동통신망 (270)으로 송출한다.
제1망 MSC(272)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1 이동통신망(270)에 위치한 경우,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각종 식별자 관리,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 탐색 및 추적 등을 수행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동통신망(280)은 제2망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 이하, 'BSC'라 칭함)(281) 및 제2망 MSC(282)를 포함한다. 제2 이동통신망(280)은 패킷 교환 장치(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망 BSC(281)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슬레이브 모뎀(22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을 제어한다.
물론, 제2 이동통신망(280)에서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송출하는 각종 신호들은 제2망 BSC(281)가 슬레이브 모뎀(220)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을 제어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다만,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이동통신망 (280)이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각종 신호들을 송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반대로, 슬레이브 모뎀(220)에서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도 기지국을 통해서 제2망 BSC(281)로 송출되는 것이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슬레이브 모뎀(220)이 제2 이동통신망(280)에 신호들을 송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슬레이브 모뎀(220)은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송출한다.
제2망 MSC(282)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2 이동통신망(280)에 위치한 경우,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각종 식별자 관리,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 탐색 및 추적 등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먼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1 이동통신망(270)에서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이동하여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슬레이브 모뎀(220)으로의 핸드오버가 수행 중인 경우를 가정한다(단계 300). 이 때, 핸드오버는 아이들(Idle) 핸드오버인 경우를 가정한다.
단계 305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Paging)이 수신되었는지에 대하여 판단한다. 판단 결과,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은 계속 핸드오버를 수행하면 된다. 그러나,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은 호 연결을 위하여 핸드오버를 종료하여야 한다. 따라서,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핸드오버 중단 명령을 전송한다(단계 310).
슬레이브 모뎀(220)이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핸드오버 중단 명령을 수신하면, 마스터 모뎀(210)과 슬레이브 모뎀(220)은 핸드오버를 중단한다(단계 315). 이 때, 마스터 모뎀(210)과 슬레이브 모뎀(220)은 동시에 및/또는 순차적으로 핸드오버를 중단할 수 있다. 즉, 양 모뎀이 핸드오버를 중단하는 시점은 그 과 정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또한, 슬레이브 모뎀(220)은 핸드오버를 중단한다는 긍정 응답(예를 들어, ACK 등)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마스터 모뎀(210)이 핸드오버 중단 명령을 출력한 후 임의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부정 응답(예를 들어, NACK 등) 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긍정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가정할 수도 있다.
단계 320에서, 핸드오버를 중단한 슬레이브 모뎀(220)은 구동 종료된다. 물론,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여전히 제1 이동통신망(270)과 제2 이동통신망(280)의 경계 지역(Border cell)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슬레이브 모뎀(220)은 구동 종료되지 아니하고 핸드오버를 대기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단계 325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PRACH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송출한다. 이는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을 할당 받기 위한 기본 채널을 설정하기 위함이다.
단계 330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제1 이동통신망(270)이 AICH(Acquisition Indication Channel)을 통해서 송신하는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하였는지에 대하여 판단한다. 판단 결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마스터 모뎀(210)은 호 연결을 위한 시도를 중단하고(단계 335), 호 연결 요청(Paging)으로부터 발신단말 정보를 검출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한다(단계 340). 여기에서, 발신단말 정보는 호 연결 요청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수신한 발신단말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에서 검출한 단말기 식별 번호(Mobile Station Identification Number, MSIN)일 수 있다. 또한, 마 스터 모뎀(210)은 컨트롤 경로(250)를 통하여 발신단말 정보를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마스터 모뎀(210)은 발신단말 정보를 핸드오버가 완료되고, 마스터 모뎀(210)이 구동 종료되기 이전에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이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다양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마스터 모뎀(210)이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에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서 제2 이동통신망(280)만이 존재하는 곳으로 이동한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핸드오버를 다시 수행하기 위하여 구동 개시 명령을 전송한다(단계 345).
단계 350에서,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슬레이브 모뎀(220)으로의 핸드오버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마스터 모뎀(210)은 구동 종료된다(단계 351). 여기에서, 슬레이브 모뎀(220)은 핸드오버의 정상 수행을 마스터 모뎀(210)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예를 들어, 긍정 응답(ACK) 신호 등)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이 핸드오버를 위한 구동 개시 명령을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한 후, 임의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이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가정할 수도 있다.
단계 355에서, 슬레이브 모뎀(220)은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발신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상응하는 발신단말 정보 메시지가 출력부(256)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출력부(256)는 발신단말 정보 메시지 음성 메시지 또는 경고음의 형태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또는, 팝업창을 사용하여 미리 저장된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통신 불능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들 방법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출력부(256)에 발신단말 정보 메시지가 출력되면,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발신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연결할 것인지, 그냥 종료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고, 입력부(255)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출력한다(단계 360). 다만,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발신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경우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입력부(255)는 발신단말 연결 명령을 생성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입력한다. 물론, 사용자가 종료하는 경우를 선택한 경우에는 입력부(255)가 출력부에 표시된 발신단말 정보 메시지의 출력을 종료시키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입력할 것임은 자명하다(단계 365).
단계 370에서, 발신단말 연결 명령을 수신한 슬레이브 모뎀(220)은 제2 이동통신망(280)에 접속하여 발신단말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슬레이브 모뎀(220)이 제2 이동통신망(280)에 접속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330에서의 판단 결과, 마스터 모뎀(210)이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은 무선 자원을 할당 받기 위하여 제1 이동통신망 (270)으로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출한다(단계 380).
단계 385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의 RRC 연결 설정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마스터 모뎀(210)이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335 내지 단계 370을 수행한다. 그러나, 마스터 모뎀(210)이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은 호 연결 요청 응답(Paging response)을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송출하고(단계 390), 호 연결이 성립되면 발신단말과 무선통신을 수행한다(단계 395).
물론, 마스터 모뎀(210)이 호 연결을 위하여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송출하는 다른 신호들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호 연결 시도를 중단하고 상술한 단계 335 내지 단계 370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오버 도중에 호 착신이 이루어진 경우, 수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드오버 완료 후에 사용자에게 발신단말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측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핸드오버 도중에 호 착신이 이루어진 경우 핸드오버 완료 후 즉시 발신단말로 무선통신 연결이 가능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 중 제1 이동통신망에 대해 수행한 호 연결 시도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발신단말 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한 후 핸드오버를 재개하는 제1 모뎀; 및
    상기 발신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상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발신단말 연결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2 모뎀에 전송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뎀은 상기 발신단말 연결 명령에 따라 상기 발신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단말기와 제2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은 각각의 컨트롤 핀에 의하여 형성된 컨트 롤 경로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 경로에 의하여 상기 발신단말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 정보는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수신한 발신단말 식별 정보(IMSI)에서 검출한 단말기 식별 번호(MS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5.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뎀이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 중 제1 이동통신망에 대해 수행한 호 연결 시도에 대한 긍정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긍정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모뎀이 발신단말 정보를 검출하여 제2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발신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가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입력부로부터 발신단말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발신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단말기와 제2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은 각각의 컨트롤 핀에 의하여 형성된 컨트롤 경로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 경로에 의하여 상기 발신단말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 정보는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 채널(Paging channel)을 통하여 수신한 발신단말 식별 정보(IMSI)에서 검출한 단말기 식별 번호(MS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
KR1020050125903A 2005-12-20 2005-12-2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착신호 처리 방법 KR100649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903A KR100649123B1 (ko) 2005-12-20 2005-12-2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착신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903A KR100649123B1 (ko) 2005-12-20 2005-12-2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착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123B1 true KR100649123B1 (ko) 2006-11-24

Family

ID=3771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903A KR100649123B1 (ko) 2005-12-20 2005-12-2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착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730A (ko) * 2009-02-19 201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망 관리를 위한 추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3977A1 (en) 2003-10-02 2005-04-07 Vieri Vanghi Inter-system handoff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KR20050037892A (ko) * 2003-10-20 2005-04-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20050045294A (ko) * 2003-11-11 2005-05-1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더블유씨디엠에이에서씨디엠에이로의 핸드오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3977A1 (en) 2003-10-02 2005-04-07 Vieri Vanghi Inter-system handoff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KR20050037892A (ko) * 2003-10-20 2005-04-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20050045294A (ko) * 2003-11-11 2005-05-1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더블유씨디엠에이에서씨디엠에이로의 핸드오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730A (ko) * 2009-02-19 201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망 관리를 위한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655453B1 (ko) 2009-02-19 2016-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망 관리를 위한 추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314B1 (ko) 이중 sim 이중 활성을 구현하는 통신 방법, 및 단말
CA2510505C (en) Hybrid protocol to support communications with multiple networks
AU2008295911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exchange station, 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US8125960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station, and wireless access network apparatus
KR100990461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리소스 제어 프로세스의 데이터전송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79252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roviding high-performance dispatch services in a wireless system
US786473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ode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hand-over between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KR102091469B1 (ko) 서킷 스위치 폴백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4822168A (zh) 无线终端频段切换的引导方法和装置
WO2005091657A1 (en) Enhancement of packet transfer mode when circuit switched resources are requested
EP3139661A1 (en) User equipment and circuit switched domain fall-back switching method
US10887772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853778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JP4433152B2 (ja) マルチモードの遠隔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の方法
KR20080058372A (ko) 이동 장비 식별자의 효율적인 공유
US20230328789A1 (en) Busy indic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649123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착신호 처리 방법
WO2021249296A1 (zh) 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KR100783797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발신호 연결 방법
KR100649118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통신방식 전환 방법
KR100757088B1 (ko) 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100739888B1 (ko) Wcdma망에서 cdma망으로 핸드오버시cdma망과의 ppp 접속시간을 단축하는 방법
KR100648636B1 (ko) 멀티밴드-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멀티밴드-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WO2022068752A1 (zh) 通信资源激活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2022737A1 (zh) 信息传输方式的配置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