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797B1 -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발신호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발신호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797B1
KR100783797B1 KR1020050119319A KR20050119319A KR100783797B1 KR 100783797 B1 KR100783797 B1 KR 100783797B1 KR 1020050119319 A KR1020050119319 A KR 1020050119319A KR 20050119319 A KR20050119319 A KR 20050119319A KR 100783797 B1 KR100783797 B1 KR 100783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0225A (ko
Inventor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50119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797B1/ko
Publication of KR2007006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모뎀 및 제2 모뎀을 포함하고,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이 발신호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접근 시도 신호에 대한 비정상 연결이 연속적으로 n번 발생되면, 제2 모뎀으로 제2 이동통신망으로의 발신호 연결을 지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계 지역에서 제1 모뎀이 제1 이동통신망으로의 발신호 연결 실패시 자동으로 제2 모뎀이 제2 이동통신망으로 발신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핸드오버, WCDMA, CDMA, MB-MM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origination call connection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도 1은 CDMA 이동통신망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존의 CDMA 이동통신망
110-1, 110-2, 110-3 : 오버레이 지역
120-1, 120-2, 200 : MB-MM 이동통신 단말기
210 : 마스터 모뎀
220 : 슬레이브 모뎀
270 : 제1 이동통신망
271 : 제1망 RNC
272 : 제1망 MSC
280 : 제2 이동통신망
281 : 제2망 BSC
282 : 제2망 MSC
본 발명은 MB(Multiband)-MM(Multimode)(이하, 'MB-MM'이라 칭함)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도 원격지에 위치한 상대방과 음성 통화가 가능한 휴대형 장치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에는 음성 통신만이 가능하였으나, 점차 문자와 기호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방식,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음성과 문자 통신 방식은 비교적 데이터의 용량이 작아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CDMA'라 칭함)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적합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영상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에서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 데이터 출력 속도가 빠른 이동통신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적합한 시스템이 3세대(3GPP) 이동통신 시스템이며, 일 예로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 라 칭한다)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도 이동통신망 접속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즉,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하는 휴대형 단말기, W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하는 휴대형 단말기, CDMA 방식과 WCDMA 방식을 모두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CDMA 이동통신망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CDMA 방식의 서비스는 광범위한 영역(100)에서 제공되고 있으나 WCDMA 방식의 서비스는 CDMA 방식의 서비스 지역 내의 일부의 지역(110-1, 110-2, 110-3, 이하'110'으로 통칭함)에서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CDMA 서비스 지역 내의 일부 지역은 WCDMA 서비스 지역과 중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영역을 오버레이 지역(110)이라 할 수 있다. 물론, CDMA 서비스 지역 이 외의 영역에 WCDMA 서비스 지역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오버레이 지역(110)은 기존의 2세대 이동통신망인 CDMA 이동통신망과 3세대 이동통신망인 WCDMA 이동통신망이 공존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버레이 지역(110) 내외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와 CDMA 방식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CDMA 모뎀과 WCDMA 모뎀을 모두 구비하고 있고, 각 모뎀 간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1, 120-2, 이하 '120'으로 통칭함)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WCDMA 이동통신망과 CDMA 이동통신망이 공존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각 이동통신망과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 간에는 무선 채널 환경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종래의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WCDMA 모뎀은 발신호(Origination call) 연결을 위하여 아이들(Idle) 상태에서 발신호 연결 설정 요청(CM(Connection Management)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출력하기에 앞서, RACH(Random Access Channel)을 통하여 WCDMA 이동통신망(110)으로 접근 시도 신호(즉, 액세스 프리앰블(Access Preamble) 신호)를 출력한다. 접근 시도 신호를 수신한 WCDMA 이동통신망(110)은 이에 대한 긍정 응답(ACK : Acknowledgement) 신호를 WCDMA 모뎀으로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WCDMA 모뎀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요청하는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WCDMA 이동통신망(110)으로 출력한다. WCDMA 이동통신망(110)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WCDMA 모뎀이 WCDMA 망으로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WCDMA 이동통신망(110)으로 송신하면 MB-MM 이동통신 단 말기(120)는 무선 자원(Radio Resource)를 획득하게 된다. 무선 자원을 획득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비로소 WCDMA 이동통신망(110)으로 발신호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CM(Connection Management) Service Request)를 출력한다.
그런데, W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과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교환하는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는 경계 지역(Border Cell)에서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WCDMA 이동통신망으로 위치등록을 하기 위한 접근 시도 신호(액세스 프리앰블(Access Preamble) 신호)를 출력하여도 WCDMA 이동통신망에서 AICH(Acquisition Indication Channel)을 통해서 송신하는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이로 인해,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위치등록을 위하여 더 높은 파워의 접근 시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을 발생하여도 WCDMA 이동통신망에서 송신하는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무선 자원을 획득하지 못하므로 발신호 연결에 실패하게 되고, 아이들(Idle) 상태로 환원한다. 이후,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는 WCDMA 이동통신망(110)에서 수신한 수신신호코드전력(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을 확인하고, CDMA 모뎀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더라도 CDMA 모뎀은 아이들(Idle) 상태를 유지한다. 즉,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있어서, WCDMA 모뎀이 WCDMA 이동통신망(110)으로의 발신호 연결 실패 후, CDMA 모뎀이 CDMA 이동통신망(100)으로의 발신호 연결을 자동으로 시도하지는 못한다.
또한, CDMA 이동통신망(110)에 위치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CDMA 모뎀이 경계 지역(Border Cell)에 위치하여 발신호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에도 발신호의 세기가 미약하여 발신호 연결에 실패할 수 있다. 이때, CDMA 이동통신망(100)과 WCDMA 이동통신망(110)은 상호 호환이 되지 아니하므로 상호 스위칭(Switching)할 수 없고, CDMA 모뎀은 아이들(Idle) 상태로 환원된다.
따라서, 종래의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의할 경우,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발신호가 연결될 때까지 복수회에 걸쳐서 발신호 연결 시도를 위한 버튼 조작을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경계 지역(Border Cell)에 위치한 경우, 이동하지 않는다면 어떠한 방식의 이동통신망(100, 110)에도 발신호 연결을 할 수 없어,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계 지역에서 제1 모뎀이 제1 이동통신망으로의 발신호 연결 실패시 자동으로 제2 모뎀이 제2 이동통신망으로 발신호 연결을 시도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계지역에서 발신호 연결을 위하여 사용자의 복수회에 걸친 버튼 조작이 필요없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입장에서 발신호 연결시 통화의 연속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망간의 경계지역에서 발신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모뎀 및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제1 모뎀이 발신호 연결(origination connection)을 위한 복수의 접근 시도 신호에 대한 비정상 연결이 연속적으로 n(2 이상의 자연수)번 발생되면, 상기 제2 모뎀으로 제2 이동통신망으로의 발신호 연결을 지시하되, 상기 비정상 연결은 무응답 상태(No ACK) 또는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부정 응답(NACK) 신호의 수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비정상 연결이 n-1번 발생된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뎀 으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하도록 하는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고, 비정상 연결이 n번 발생된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뎀으로 수신단 전화번호 및 발신호 연결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비정상 연결이 n-2번 발생된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뎀으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하도록 하는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비정상 연결이 n-1번 발생된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뎀으로 수신단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비정상 연결이 n번 발생된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뎀으로 발신호 연결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단, 상기 n은 3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은 각각의 컨트롤 핀에 의해 형성된 컨트롤 경로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컨트롤 경로를 통해 상기 발신호 연결을 상기 제2 모뎀으로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비정상 연결이 연속적으로 n(2 이상의 자연수)번 발생되기 전에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뎀으로 구동 종료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 및/또는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모뎀 및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이 제1 이동통 신망으로부터 발신호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접근 시도 신호에 대한 비정상 연결이 연속적으로 n(2 이상의 자연수)번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2 모뎀으로 제2 이동통신망으로의 발신호 연결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정상 연결은 무응답 상태(No ACK) 또는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부정 응답(NACK) 신호의 수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은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비정상 연결이 n-1번 발생되었음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 모뎀으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하도록 하는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발신호 연결의 지시를 위해, 상기 제2 모뎀으로 수신단 전화번호 및 발신호 연결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은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비정상 연결이 n-2번 발생되었음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 모뎀으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하도록 하는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비정상 연결이 n-1번 발생되었음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 모뎀으로 수신단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발신호 연결의 지시를 위해, 상기 제2 모뎀으로 발신호 연결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상기 n은 3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은 각각의 컨트롤 핀에 의해 형성된 컨트롤 경로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컨트롤 경로를 통해 상기 발신호 연 결의 지시를 상기 제2 모뎀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은 상기 비정상 연결이 연속적으로 n(2 이상의 자연수)번 발생되기 전에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긍정 응답(ACK) 신호가 상기 제1 모뎀에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2 모뎀으로 구동 종료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은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2 모뎀으로부터 발신호 연결 성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뎀이 구동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부가되는 서수(예를 들어, 제1, 제2)는 각 구성 요소가 각 단락 또는 명세서 전반적인 설명을 위해 기재되는 순서에 따라 부가한 것에 불과하며, 이는 각 구성 요소의 명칭을 특정하거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임 아님을 유념하여야 한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을 하나씩 구비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 및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레이브 모뎀을 2개 이상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하기의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제1 모뎀을 마스터 모뎀으로 하고 제2 모뎀을 슬레이브 모뎀이라고 편의상 정의하나 그 용어(즉, 제1, 제2, 마스터 및 슬레이브)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이동통신망(270, 280) 간의 통신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구비된 마스터 모뎀(210)은 WCDMA 모뎀인 것으로, 슬레이브 모뎀(220)은 CDMA 모뎀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과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이동통신망(270)은 WCDMA 이동통신망이고, 슬레이브 모뎀(220)과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이동통신망(280)은 CDMA 이동통신망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1 이동통신망(270) 및 제2 이동통신망(280)은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포함되는 모뎀이 CDMA 모뎀과 WCDMA 모뎀으로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마스터 모뎀(210), 슬레이브 모뎀(220), 마스터 고주파 처리부(230),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40), 컨트롤 경로(250), 듀플렉서(260) 및 안테나(265)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표시부, 입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마스터 모뎀(21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마스터 모드(즉, 마스터 모뎀(210)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기저대역(Base Band)의 각종 신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1 이동통신망(27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Power on), 초기 검색(Initial searching)을 실시하여 제1 이동통신망(270)에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된다. 또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의 발신호 연결을 위하여 접근 시도 신호(예를 들어, 액세스 프리앰블(Access preamble) 신호 등),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요청 메시지,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및/또는 발신호 연결 설정 요청(CM(Connection Management)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마스터 모뎀(210)이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접근 시도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이동통신망(270)이 이를 수신하면 긍정 응답(ACK) 및/또는 부정 응답(NACK : Negative Acknowledgement)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그러나, 제1 이동통신망(270)이 접근 시도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는 마스터 모뎀(210)은 아무런 응답이 없는 무응답(즉, No ACK) 상태가 된다. 마스터 모뎀(210)이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하거나 무응답(No ACK) 상 태가 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Back-Off Time)이 경과한 후에 송신 파워를 높여서 다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접근 시도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마스터 모뎀(210)이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무응답(No ACK)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를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제1 접근 시도 신호(즉, 마스터 모뎀(210)이 첫번째 출력한 접근 시도 신호)에 대한 응답인 제1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하면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구동 명령을 출력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을 활성화한다. 또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제2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하면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현재 시도하고 있는 수신단 전화 번호를 출력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이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의 발신호 연결에 실패한 경우(예를 들어,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제3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발신호 연결 명령을 출력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이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의 발신호 연결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수신단 전화번호와 발신호 연결 명령은 동시에 출력할 수도 있다. 물론, 마스터 모뎀(210)이 출력한 접근 시도 신호들에 대한 무응답 상태(No ACK)인 경우에도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와 동일함은 자명하다.
슬레이브 모뎀(22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슬레이브 모드(즉, 슬레이브 모뎀(220)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기저대역(Base Band)의 각종 신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MB-MM 이동통신 단말기 (200)가 제2 이동통신망(28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Power on), 초기 검색(Initial searching)을 실시하여 제2 이동통신망(270)에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발신호 연결을 위한 구동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도 활성화되어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된다. 아이들 상태란, 단말기가 통화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통화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수신단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발신호 연결 명령을 수신하면,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수신한 수신단 전화 번호를 바탕으로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발신호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수신단 전화번호와 발신호 연결 명령을 동시에 수신한 경우에도 수신한 수신단 전화 번호를 바탕으로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발신호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마스터 고주파 처리부(230)는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단과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며, 마스터 모뎀(210)이 망으로 출력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등 송수신되는 마스터 모드의 각종 고주파를 처리한다. 특히, 제1 이동통신망(270)이 출력하는 접근 시도 신호에 대한 긍정 응답(ACK) 및/또는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하여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슬레이브 고주파 처리부(240)는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단과 슬레이브 모뎀(220)으로부터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며, 슬레이브 모뎀(220)이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출력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등 송수신되는 슬레이브 모드의 각종 고주파를 처리한다.
컨트롤 경로(250)는 마스터 모뎀(210)과 슬레이브 모뎀(220)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경로이다. 특히, 컨트롤 경로(250)를 이용하여 마스터 모뎀(210)은 구동 명령, 수신단 전화 번호 및/또는 발신호 연결 명령 등을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출력한다.
듀플렉서(260)는 상기 각 모드의 서로 다른 고주파 대역을 분리하고, 안테나(265)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제1 및/또는 제2 이동통신망(270, 280)으로부터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통신망(270)은 제1망 무선국 제어부(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271) 및 제1망 교환부(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칭함)(272)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이동통신망(270)은 기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 PDSN)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망 RNC(271)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마스터 모뎀(21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도시되지 않음)을 제어한다.
물론, 제1 이동통신망(270)에서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하는 각종 신호들은 제1망 RNC(271)가 마스터 모뎀(210)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을 제어하여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다만,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이동통신망 (270)이 마스터 모뎀(210)으로 각종 신호들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반대로, 마스터 모뎀(210)에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무선국을 통해서 제1망 RNC(271)로 출력되는 것이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스터 모뎀(210)이 제1 이동통신망(270)에 신호들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반대로, 마스터 모뎀(210)에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무선국을 통해서 제1망 RNC(271)로 출력되는 것이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스터 모뎀(210)이 제1 이동통신망(270)에 신호들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제1 이동통신망(270)은 마스터 모뎀(210)으로 접근 시도 신호(즉, 액세스 프리앰블(Access Preamble) 신호)에 대한 긍정 응답(ACK) 및/또는 부정 응답(NACK) 신호 및/또는 RRC 연결 설정 메시지 등을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접근 시도 신호, RRC 연결 요청 메시지,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및/또는 발신호 설정 요청 메시지 등을 출력한다.
제1망 MSC(272)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1 이동통신망(270)에 위치한 경우,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각종 식별자 관리,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 탐색 및 추적 등을 수행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동통신망(280)은 제2망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 이하, 'BSC'라 칭함)(281) 및 제2망 MSC(282)를 포함한다. 제2 이동통신망(280)은 패킷 교환 장치(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망 BSC(281)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슬레이브 모뎀(220)과 무 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을 제어한다.
제2망 MSC(282)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2 이동통신망(280)에 위치한 경우,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각종 식별자 관리,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 탐색 및 추적 등을 수행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구비된 마스터 모뎀(210)은 WCDMA 모뎀인 것으로, 슬레이브 모뎀(220)은 CDMA 모뎀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과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이동통신망(270)은 WCDMA 이동통신망이고, 슬레이브 모뎀(220)과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2 이동통신망(280)은 CDMA 이동통신망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이동통신망(270) 및 제2 이동통신망(280)은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포함되는 모뎀이 CDMA 모뎀과 WCDMA 모뎀으로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이동통신 방식(예를 들어, TDMA 방식, GSM 방식 등)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이동통신망(270)의 서비스 영역에서 아이들(Idle) 상 태로 동작하던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마스터 모뎀(210)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발신호(Origination call)를 제1 이동통신망(270)에 연결하기 위하여 먼저 제1 접근 시도 신호를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출력한다(단계 300).
단계 305에서, 제1 접근 시도 신호를 수신한 제1 이동통신망(270)은 이에 대한 제1 부정 응답(N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이 때, 제1 이동통신망(270)은 접근 시도 신호의 파워가 충분하고 무선 자원(Radio Resource) 충분한 경우에는 긍정 응답(ACK) 신호를,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부정 응답(N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물론, 제1 이동통신망(270)이 접근 시도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아무런 응답을 출력하지 않을 것이며, 이 경우 마스터 모뎀(210)은 무응답 상태(No ACK)로 유지될 것이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제1 이동통신망(270)이 부정 응답(N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고, 제1 이동통신망(270)이 긍정 응답(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하는 경우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물론, 마스터 모뎀(210)이 출력한 접근 시도 신호들에 대한 무응답 상태(No ACK)인 경우에도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와 동일함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단계 310에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제1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구동 명령을 출력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을 구동시킨다.
단계 320에서, 마스터 모뎀(21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 슬레이브 모뎀(220) 은 활성화되고 초기 검색(Initial searching)을 실시하여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된다.
이 때, 슬레이브 모뎀(220)의 구동 완료를 마스터 모뎀(210)이 인식하여야 하는데, 그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모뎀(220)이 마스터 모뎀(210)으로 구동 완료를 보고하는 신호(예를 들어, ACK 등)를 출력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마스터 모뎀(210)이 구동 명령을 출력한 후 미리 설정된 임의의 시간이 경과하면 슬레이브 모뎀(220)이 구동 완료된 것으로 가정하도록 설정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이들 방법들을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330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이 구동 완료되면, 제1접근 시도 신호보다 미리 설정된 만큼의 파워를 높여서 제2 접근 시도 신호를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출력한다.
단계 335에서, 제2 접근 시도 신호를 수신한 제1 이동통신망(270)은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이 때에도, 제1 이동통신망(270)은 긍정 응답(ACK) 신호 및/또는 부정 응답(N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도 부정 응답(N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따라서, 제1 이동통신망(270)은 제2 접근 시도 신호에 대한 제2 부정 응답(N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단계 340에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제2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수신단 전화 번호를 출력한다. 이로 인해, 슬레이브 모뎀(220)은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발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다. 이때에도,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이 수신단 전화 번호를 수신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다양하고, 이를 구현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350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이 발신호를 제2 통신망(280)에 연결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제2 접근 시도 신호보다 미리 설정된 만큼의 파워를 높여서 제3 접근 시도 신호를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출력한다.
단계 355에서, 제3 접근 시도 신호를 수신한 제1 이동통신망(270)은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이 때에도, 제1 이동통신망(270)은 긍정 응답(ACK) 신호 및/또는 부정 응답(N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도 부정 응답(N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제1 이동통신망(270)은 제3 접근 시도 신호에 대한 제3 부정 응답(N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단계 360에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부터 제3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발신호 연결 명령을 출력한다.
단계 370에서, 발신호 연결 명령을 수신한 슬레이브 모뎀(220)은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발신호 연결을 시도한다. 슬레이브 모뎀(220)이 CDMA 모뎀인 경우, CDMA 이동통신망으로 발신호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슬레이브 모뎀(220)이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정상적으로 발신호 연결을 수행한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은 구동 종료될 수 있다(단계 380). 슬레이브 모뎀(220)이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발신호 연결을 시도하여도 경계 지역에서는 연결에 실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발신호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으므로 마스터 모뎀(210)은 구동 종료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부터 발신호 연결 성공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그동 종료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도 3을 참조한 실시예에서와 달리, 마스터 모뎀(210)이 제2 접근 시도 신호에 대응한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 300 내지 단계 330의 과정은 동일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410에서, 제2 접근 시도 신호를 수신한 제1 이동통신망(270)은 이에 대한 긍정 응답(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10)으로 출력한다.
단계 420에서,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한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구동 종료 명령을 출력하고, 구동 종료 명령을 수신한 슬레이브 모뎀(220)은 구동을 종료한다(단계 425). 이 때, 슬레이브 모뎀(220)의 구동 종료를 마스터 모뎀(210)이 인식하여야 하며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모뎀(220)이 마스터 모뎀(210)으로 구동 종료를 보고하는 신호(예를 들어, ACK 등)를 출력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마스터 모뎀(210)이 구동 종료 명령을 출력한 후 미리 설정된 임의의 시간이 경과하면 슬레이브 모뎀(220)이 구동 종료된 것으로 가정하도록 설정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이들 방법들을 구현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430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전송한다. 이때, RRC 연결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초기단말식별자(Initial UE identity)와 RRC 연결 이유(Establishment caus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단말식별자는 단말 고유의 식별자로서, 전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해당 단말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440에서, 제1 이동통신망(270)은 마스터 모뎀(210)으로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하면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의 최대 전송 회수는 특정 값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메시지에는 초기단말식별자와 함께 무선망임시식별자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및 무선베어러 설정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망임시식별자는 제1 이동통신망(270)이 연결상태의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할당하는 단말 식별자로서, RRC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RRC 연결이 맺어진 이후 마스터 모뎀(210)은 초기단말식별자 대신에 무선망임시 식별자를 사용하여 제1 이동통신망(270)과 교신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초기단말식별자는 단말 고유의 식별자인데 이를 빈번하게 사용하게 되면 유출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안상의 이유로 초기단말식별자는 RRC 연결 과정에서만 잠시 사용되고 이후에는 무선망임시식별자가 사용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연결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마스터 모뎀(210)은 먼저 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초기단말식별자와 자신의 식별자를 비교하여, 수신한 메시지가 자신에게 전송된 메시지인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자신에게 전송된 메시지인 경우, 마스터 모뎀(210)은 제1 이동통신망(270)이 할당한 무선망임시식별자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RRC 연결 설정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망(270)에 전송한다. 이 때,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20)의 성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460에서, 마스터 모뎀(210)이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망(270)에 성공적으로 전송하면, 마스터 모뎀(210)은 제1 이동통신망(270)에 발신호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호 연결 설정 요청(CM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 성공적으로 제1 이동통신망(270)에 발신호 연결을 완료한다.
여기에서는 제1 이동통신망(270)이 제2 접근 시도 신호에 대응하여 긍정 응답(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20)으로 출력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 이동통신망(270)이 제1 및/또는 제3 접근 시도 신호에 대응하여 긍정 응답(ACK) 신호를 마스터 모뎀(220)으로 출력하는 경우에도 마스터 모뎀(210)이 제1 및/또는 제3 접근 시도 신호에 대응한 긍정 응답(ACK)을 수신한 이후에 상술한 단계 420 내지 단계 460을 수행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마스터 모뎀(210)이 수신단 전화번호와 발신호 연결 명령을 동시에 출력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 300 내지 단계 335의 과정은 동일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510에서, 마스터 모뎀(210)은 제2 부정 응답(NACK)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단 전화번호 및 발신호 연결명령을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출력한다. 마스터 모뎀(210)이 무응답(No ACK) 상태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단계 520에서, 슬레이브 모뎀(220)은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수신한 수신단 전화번호를 기초로 하여 발신호 연결을 시도한다. 슬레이브 모뎀(220)이 CDMA 모뎀인 경우, CDMA 이동통신망으로 발신호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슬레이브 모뎀(220)이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정상적으로 발신호 연결을 수행한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은 구동 종료될 수 있다(단계 530). 슬레이브 모뎀(220)이 제2 이동통신망(280)으로 발신호 연결을 시도하여도 경계 지역에서는 연결에 실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시 제1 이동통신망(270)으로 발신호 연 결을 시도할 수도 있으므로 마스터 모뎀(210)은 구동 종료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마스터 모뎀(210)은 슬레이브 모뎀(220)으로부터 발신호 연결 성공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구동 종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은 경계 지역에서 제1 모뎀이 제1 이동통신망으로의 발신호 연결 실패시 자동으로 제2 모뎀이 제2 이동통신망으로 발신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계지역에서 발신호 연결을 위하여 사용자의 복수회에 걸친 버튼 조작을 요하지 않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입장에서 발신호 연결시 통화의 연속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통신망간의 경계지역에서 발신호 연결이 수행되지 않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제1 모뎀 및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제1 모뎀이 발신호 연결(origination connection)을 위한 복수의 접근 시도 신호를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한 후 상기 접근 시도 신호에 대한 비정상 연결이 연속적으로 n(2 이상의 자연수)번 발생되면, 제2 이동통신망으로의 발신호 연결을 상기 제2 모뎀으로 지시하되,
    상기 비정상 연결은 무응답 상태(No ACK) 또는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부정 응답(NACK) 신호의 수신이고,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은 각각의 컨트롤 핀에 의해 형성된 컨트롤 경로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컨트롤 경로를 통해 상기 발신호 연결을 상기 제2 모뎀으로 지시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비정상 연결이 n-1번 발생된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뎀으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하도록 하는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고, 비정상 연결이 n번 발생된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뎀으로 수신단 전화번호 및 발신호 연결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 모뎀 및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제1 모뎀이 발신호 연결(origination connection)을 위한 복수의 접근 시도 신호를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한 후 상기 접근 시도 신호에 대한 비정상 연결이 n-2(n은 3이상의 자연수)번 발생된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뎀으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하도록 하는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비정상 연결이 n-1번 발생된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뎀으로 수신단 전화번호를 전송하며, 상기 비정상 연결이 n번 발생된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뎀으로 발신호 연결 명령을 상기 제2 모뎀으로 전송하되,
    상기 비정상 연결은 무응답 상태(No ACK) 또는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부정 응답(NACK) 신호의 수신이고,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은 각각의 컨트롤 핀에 의해 형성된 컨트롤 경로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컨트롤 경로를 통해 상기 발신호 연결을 상기 제2 모뎀으로 지시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4. 삭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비정상 연결이 연속적으로 n번 발생되기 전에 긍정 응답(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뎀으로 구동 종료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6. 제1 모뎀 및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이 제1 이동통신망으로의 발신호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접근 시도 신호를 송출한 후, 상기 접근 시도 신호에 대한 비정상 연결이 연속적으로 n(2 이상의 자연수)번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2 모뎀으로 제2 이동통신망으로의 발신호 연결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정상 연결은 무응답 상태(No ACK) 또는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부정 응답(NACK) 신호의 수신이고,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은 각각의 컨트롤 핀에 의해 형성된 컨트롤 경로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컨트롤 경로를 통해 상기 발신호 연결의 지시를 상기 제2 모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비정상 연결이 n-1번 발생되었음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 모뎀으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하도록 하는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발신호 연결의 지시를 위해, 상기 제2 모뎀으로 수신단 전화번호 및 발신호 연결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
  8. 제1 모뎀 및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이 제1 이동통신망으로의 발신호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접근 시도 신호를 송출한 후, 상기 접근 시도 신호에 대한 비정상연결이 n-2(n은 3이상의 자연수) 발생되었음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 모뎀으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하도록 하는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비정상 연결이 연속적으로 n-1번 발생되었음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 모뎀으로 수신단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비정상 연결이 연속적으로 n번 발생되었음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 모뎀으로 제2 이동통신망으로의 발신호 연결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정상 연결은 무응답 상태(No ACK) 또는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부정 응답(NACK) 신호의 수신이고,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은 각각의 컨트롤 핀에 의해 형성된 컨트롤 경로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컨트롤 경로를 통해 상기 발신호 연결의 지시를 상기 제2 모뎀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
  9. 삭제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연결이 연속적으로 n번 발생되기 전에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부터 긍정 응답(ACK)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2 모뎀으로 구동 종료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2 모뎀으로부터 발신호 연결 성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뎀이 구동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호 연결 방법.
KR1020050119319A 2005-12-08 2005-12-08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발신호 연결 방법 KR100783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319A KR100783797B1 (ko) 2005-12-08 2005-12-08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발신호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319A KR100783797B1 (ko) 2005-12-08 2005-12-08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발신호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225A KR20070060225A (ko) 2007-06-13
KR100783797B1 true KR100783797B1 (ko) 2007-12-07

Family

ID=3835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319A KR100783797B1 (ko) 2005-12-08 2005-12-08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발신호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7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0642B2 (en) 2009-10-30 2014-01-14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proximity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8391871B2 (en) 2009-10-30 2013-03-05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proximity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980A (ko) * 1997-04-24 1998-11-16 윤종용 이중모드 휴대폰의 시스템 모드 선택방법
KR20010030762A (ko) * 1997-09-29 2001-04-16 밀러 럿셀 비 대체 통신 시스템을 획득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980A (ko) * 1997-04-24 1998-11-16 윤종용 이중모드 휴대폰의 시스템 모드 선택방법
KR20010030762A (ko) * 1997-09-29 2001-04-16 밀러 럿셀 비 대체 통신 시스템을 획득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225A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216B2 (en) Handling of collision between SR procedure and PDU session establishment procedure for PDU session handover
US11212863B2 (en) Dual connection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network, apparatus, and system
US10433368B2 (en) Methods for re-synchronizing a communication mode with a peer devic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EP2938149B1 (en) Method of establishing multiple links with multiple component carriers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8125960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station, and wireless access network apparatus
US7826846B2 (en) Hand 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973364B1 (en) Method for enhancing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for a radio resource control procedur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EP1991024B1 (en) Method of transmitting paging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WO2005091657A1 (en) Enhancement of packet transfer mode when circuit switched resources are requested
CN104822168A (zh) 无线终端频段切换的引导方法和装置
EP3672325A1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an evolved packet system bearer context
US20220418009A1 (en) Ue capability signaling to support enhancements of a random access operation for 5g new radio (nr) in unlicensed spectrum (nr-u)
JP4433152B2 (ja) マルチモードの遠隔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の方法
WO2013157438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EP41322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inactive state, and user equipment
KR100783797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발신호 연결 방법
KR100798191B1 (ko) 다차원 이동통신망에서의 부하분담을 위한 이동 단말의 호설정 방법
WO20221601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and reestablish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869406B2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CN116602006A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路径切换的方法及设备
KR100648636B1 (ko) 멀티밴드-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멀티밴드-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KR100649123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착신호 처리 방법
US202401556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ndom access, and terminal device
KR20050066135A (ko) WCDMA망에서 cdma 2000 1x 망으로 핸드오프를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4178309A1 (en) Handling of collision between pdu session establishment and modification proced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