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640B1 -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위치 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위치 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640B1
KR100648640B1 KR1020050125902A KR20050125902A KR100648640B1 KR 100648640 B1 KR100648640 B1 KR 100648640B1 KR 1020050125902 A KR1020050125902 A KR 1020050125902A KR 20050125902 A KR20050125902 A KR 20050125902A KR 100648640 B1 KR100648640 B1 KR 100648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priority
location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5012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뎀 및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위치 등록이 필요한 경우 제1 모뎀과 제2 모뎀 중 우선 순위를 가진 우선 순위 모뎀이 위치 등록을 실시하지 아니하는 시점에서 비우선 순위 모뎀이 위치 등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동시에 복수의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하지 않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핸드오버, WCDMA, CDMA, MB-MM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Multiband-multimode terminal and location update method for multiband-multimode terminal}
도 1은 CDMA 이동통신망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존의 CDMA 이동통신망
110-1, 110-2, 110-3 : 오버레이 지역
120-1, 120-2, 200 : MB-MM 이동통신 단말기
210 : 마스터 모뎀
220 : 슬레이브 모뎀
250 : 마스터 고주파 검출부
260 : 슬레이브 고주파 검출부
270 : 마스터 저장부
280 : 슬레이브 저장부
본 발명은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도 원격지에 위치한 상대방과 음성 통화가 가능한 휴대형 장치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에는 음성 통신만이 가능하였으나, 점차 문자와 기호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방식,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음성과 문자 통신 방식은 비교적 데이터의 용량이 작아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CDMA'라 칭함)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적합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영상 신호가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에서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 데이터 출력 속도가 빠른 이동통신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에 적합한 시스템이 3세대(3GPP) 이동통신 시스템이며, 일 예로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 라 칭한다)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도 이동통신망 접속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즉, 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하는 휴대형 단말기, W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하는 휴대형 단말기, CDMA 방식과 WCDMA 방식을 모두 수용하고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CDMA 이동통신망이 기본적으로 구축된 통신 환경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CDMA 이동통신망(100)은 광범위한 영역에서 제공되고 있으나 WCDMA 이동통신망은 CDMA 이동통신망(100) 내의 일부의 지역에서만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CDMA 이동통신망(100) 내의 일부 지역은 WCDMA 이동통신망과 중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영역을 오버레이 지역(110)이라 할 수 있다. 물론, CDMA 이동통신망(100) 이외의 영역에 WCDMA 이동통신망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오버레이 지역(110)은 기존의 2세대 이동통신망인 CDMA 이동통신망(100)과 3세대 이동통신망인 WCDMA 이동통신망이 공존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한 WCDMA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오버레이 지역(110)에서는 WCDMA 이동통신망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오버레이 지역(이하, 'WCDMA 이동통신망'으로 통칭함)(110) 내외에서 WCDMA 방식의 서비스와 CDMA 방식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CDMA 모뎀과 WCDMA 모뎀을 모두 구비하고 있고, 각 모뎀 간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1, 120-2, 이하 '120'으로 통칭함)를 구비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아이들(Idle)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각 기지국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확인하고, 만일 현재 위치한 영역이 바로 전에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한 영역과 상이한 경우에는 위치 등록을 위한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여 위치 정보를 변경한다. 이는, 추후 이동통신망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출하는 신호에 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제대로 찾아서 송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모뎀 간의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 시에 상응하는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WCDMA 모뎀과 CDMA 모뎀이 동시에 상응하는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WCDMA 모뎀은 WCDMA 이동통신망(110)으로, CDMA 모뎀은 CDMA 이동통신망(100)으로 위치 등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때, W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2.1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1.8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즉, 주파수 대역 인접하여 있기 때문에), 양 모뎀이 동시에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하게 되면 심한 주파수 간섭을 초래한다. 또한, 주파수 간섭은 비정상적인 위치 등록 및/또는 위치 등록 실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시에 복수의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하지 않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복수의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함으로 인한 인접한 주파수 간섭을 초래하지 않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복수의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함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위치 등록 및/또는 위치 등록 실패를 초래하지 않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 및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위치 등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우선 순위를 가진 우선 순위 모뎀이 위치 등록을 실시하지 아니하는 시점에서 비우선 순위 모뎀이 위치 등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전원 인가에 의해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최종적으로 구동된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간의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 시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한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일 수 있다.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제2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신호의 파워를 증폭하기 위한 제2 증폭부 및 상기 제1 모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2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파워를 검출하여 상기 제1 모뎀으로 전송하는 제1 고전력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신호의 파워를 증폭하기 위한 제1 증폭부 및 상기 제2 모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파워를 검출하여 상기 제2 모뎀으로 전송하는 제2 고전력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고전력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직류값과 비교하기 위한 제1 임계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고전력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직류값과 비교하기 위한 제2 임계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2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 고전력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직류값과 상기 제1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임계값이 적은 경우에만 제1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인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제2 고전력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직류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임계값이 적은 경우에만 제2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 및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위치 등록을 실시함에 있어서 우선 순위를 가지지 아니하는 비우선 순위 모뎀이 우선 순위 모뎀이 상응하는 이동통신망으로의 위치 등록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이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실시하지 아니하는 시점에서 상기 비우선 순위 모뎀이 상응하는 이동통신망으로의 위치 등록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이 제공된다.
전원 인가에 의해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최종적으로 구동된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간의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 시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한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일 수 있다.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인 경우,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위치 등록을 실시함에 있어서 우선 순위를 가지지 아니하는 비우선 순위 모뎀이 우선 순위 모뎀이 상응하는 이동통신망으로의 위치 등록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뎀이 제1 고전력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제2이동통신망에 송출한 위치 등록 신호에 상응하는 직류값과 제1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임계값이 적은 경우에만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주파 검출부는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제2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신호의 파워를 증폭하기 위한 제2 증폭부 및 상기 제1 모뎀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1 모뎀에 결합되는 제1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인 경우,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위치 등록을 실시함에 있어서 우선 순위를 가지지 아니하는 비우선 순위 모뎀이 우선 순위 모뎀이 상응하는 이동통신망으로의 위치 등록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모뎀이 제2 고전력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한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직류값과 제2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2 모뎀은 상기 제2 임계값이 적은 경우에만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주파 검출부는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신호의 파워를 증폭하기 위한 제1 증폭부 및 상기 제2 모뎀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제2 모뎀에 결합되는 제2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부가되는 서수(예를 들어, 제1, 제2)는 각 구성 요소가 각 단락 또는 명세서 전반적인 설명을 위해 기재되는 순서에 따라 부가한 것에 불과하며, 이는 각 구성 요소의 명칭을 특정하거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임 아님을 유념하여야 한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마스터 모뎀은 WCDMA 모뎀인 것으로, 슬레이브 모뎀은 CDMA 모뎀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모뎀이 CDMA 모뎀과 WCDMA 모뎀으로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슬레이브 모뎀을 2개 이상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하기의 설명의 편리성을 위하여 제1 모뎀을 마스터 모뎀으로 하고 제2 모뎀을 슬레이브 모뎀이라고 편의상 정의하나 그 용어(즉, 제1, 제2, 마스터 및 슬레이브)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마스터 모뎀(210), 슬레이브 모뎀(220), 마스터 증폭부(230), 슬레이브 증폭부(240), 마스터 고전력 검출부(250), 슬레이브 고전력 검출부(260), 마스터 저장부(270), 슬레이브 저장부(280), 듀플렉서(290) 및 안테나(295)를 포함한다.
마스터 모뎀(21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마스터 모드(즉, 마스터 모뎀(210)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기저대역(Base Band)의 각종 신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WCDMA 이동통신망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Power on), 초기 검색(Initial searching)을 실시하여 WCDMA 이동통신망에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된다. 아이들(Idle) 상태란, 단말기가 통화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통화 및/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아이들(Idle) 상태에서 시간 기준 위치 등록(Time Based Registration) 및/또는 영역 기준 위치 등록(Zone Based Registration)을 수행하기 위하여 W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한다. 이 때, 슬레이브 모뎀(220)이 우선 순위 모뎀인 경우라면, 마스터 모뎀(210)은 마스터 고전력 검출부(250)를 제어하여 슬레이브 모뎀(220)이 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송출한 위치 등록 신호에 상응하는 직류(DC)값을 수신한 후, 수신한 직류값(이하, '마스터 직류값'이라 칭함)과 마스터 저장부(270)에 저장되어 있는 마스터 임계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마스터 직류값에 비하여 마스터 임계값이 적은 경우에만 마스터 모뎀(210)은 W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위치 등록을 실시한다. 마스터 모뎀(210)이 W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위치 등록을 실시하는 과정은 당업자에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전원이 인가되어 마스터 모뎀(210)이 WCDMA 이동통신망으로 위치 등록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함은 자명하다.
슬레이브 모뎀(220)은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슬레이브 모드(즉, 슬레이브 모뎀(220)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통신 모드)로 동작할 때, 기저대역(Base Band)의 각종 신호 처리와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제2 이동통신망(280)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원이 들어오면 (Power on), 초기 검색(Initial searching)을 실시하여 제2 이동통신망(270)에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된다. 또한, 아이들(Idle) 상태에서 시간 기준 위치 등록 및/또는 영역 기준 위치 등록을 수행하기 위하여 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위치 등록을 실시한다. 이 때, 마스터 모뎀(210)이 우선 순위 모뎀인 경우라면, 슬레이브 모뎀(220)은 슬레이브 고전력 검출부(260)를 제어하여 마스터 모뎀(210)이 W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송출한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직류(DC)값을 수신한 후, 수신한 직류값(이하, '슬레이브 직류값'이라 칭함)과 슬레이브 저장부(280)에 저장되어 있는 슬레이브 임계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슬레이브 직류값에 비하여 슬레이브 임계값이 적은 경우에만 슬레이브 모뎀(220)은 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위치 등록을 실시한다. 슬레이브 모뎀(220)이 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위치 등록을 실시하는 과정은 당업자에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슬레이브 모뎀(220)이 CDMA 이동통신망으로 위치 등록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함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경우, 마스터 모뎀과 슬레이브 모뎀이 동시에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각각의 이동통신망(즉, 마스터 모뎀은 WCDMA 이동통신망(110) 및 슬레이브 모뎀은 CDMA 이동통신망(100))으로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하여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마스터 모뎀 (210)과 슬레이브 모뎀(220) 간의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각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함에 있어서 우선 순위 모뎀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WCDMA 이동통신망에서 CDMA 이동통신망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WCDMA 모뎀인 마스터 모뎀(210)이, 그 반대인 CDMA 이동통신망에서 WCDMA 이동통신망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CDMA 모뎀인 슬레이브 모뎀(220)이 우선 순위 모뎀일 수 있다. 또한, 전원이 꺼져있던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원이 꺼질 때 구동되던 모드의 모뎀이 우선 순위 모뎀이 될 수 있다. 즉,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전원이 꺼질 때 WCDMA 이동통신망에 위치하고 있던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이, CDMA 이동통신망에 위치하고 있던 경우에는 슬레이브 모뎀(220)이 우선 순위 모뎀이 될 수 있다.
물론, 우선 순위 모뎀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터 증폭부(230)는 마스터 모뎀(210)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증폭하여 듀플렉서(290)로 전달한다.
슬레이브 증폭부(240)는 슬레이브 모뎀(220)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증폭하여 듀플렉서(380)로 전달한다.
마스터 고전력 검출부(High Power Detector, HDET)(250)는 마스터 모뎀(210)에 의하여 제어되고, 슬레이브 모뎀(220)이 송출하고 슬레이브 증폭부(240)에 의해 증폭된 위치 등록 신호의 송신 파워(Transmission power, TX power)를 검출하 여 이에 상응하는 직류값(즉, 마스터 직류값)으로 변환한 후, 마스터 직류값을 마스터 모뎀(320)으로 전송한다. 마스터 고전력 검출부(250)는 마스터 모뎀(210)에 의하여 제어되지 아니하고, 슬레이브 모뎀(220)이 위치 등록 신호를 송출하면 자동으로 송신 파워를 검출하여 이에 상응하는 직류값(즉, 마스터 직류값)을 마스터 모뎀(21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슬레이브 고전력 검출부(High Power Detector, HDET)(260)는 슬레이브 모뎀(220)에 의하여 제어되고, 마스터 모뎀(210)이 송출하고 마스터 증폭부(230)에 의해 증폭된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의 송신 파워(Transmission power, TX power)를 검출하여 이에 상응하는 직류값(즉, 슬레이브 직류값)으로 변환한 후, 슬레이브 직류값을 슬레이브 모뎀(320)으로 전송한다. 슬레이브 고전력 검출부(260)는 슬레이브 모뎀(220)에 의하여 제어되지 아니하고, 마스터 모뎀(210)이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하면 자동으로 송신 파워를 검출하여 이에 상응하는 직류값(즉, 슬레이브 직류값)을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마스터 저장부(270)는 마스터 모뎀(210)에 연결되며,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마스터 모드(즉, 마스터 모뎀(210)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마스터 직류값과 비교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마스터 임계값을 저장한다. 단, 마스터 임계값은 마스터 모뎀(210)이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족하다.
슬레이브 저장부(280)는 슬레이브 모뎀(220)에 연결되며,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슬레이브 모드(즉, 슬레이브 모뎀(220)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모 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슬레이브 직류값과 비교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슬레이브 임계값을 저장한다. 단, 슬레이브 임계값은 슬레이브 모뎀(220)이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족하다.
듀플렉서(290)는 상기 각 모드의 서로 다른 고주파 대역을 분리하고, 안테나(295)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각 이동통신망(즉, WCDMA 이동통신망 및/또는 CDMA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WCDMA 이동통신망에서 CDMA 이동통신망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MB-MM 이동통신 단말기(120)에서의 위치 등록 방법에 의하는 경우는 마스터 모뎀(210) 및 슬레이브 모뎀(220)이 동시에 각 이동통신망으로 위치 등록을 시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의 위치 등록 방법은 마스터 마스터 모뎀(210)과 슬레이브 모뎀(220) 중 각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위치 등록을 우선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우선 순위 모뎀을 결 정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마스터 모뎀(210)이 우선 순위 모뎀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WCDMA 이동통신망에서 CDMA 이동통신망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우선 순위 모뎀이 WCDMA 모뎀인 마스터 모뎀(210)이 우선 순위 모뎀인 경우를 가정한다. 물론, 우선 순위 모뎀을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마스터 모뎀(210)은 WCDMA 이동통신망에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먼저, 슬레이브 모뎀(220)은 구동 종료 상태에서(단계 300) 마스터 모뎀(210)으로부터 핸드오버를 위한 구동 개시 명령을 수신하였는지에 대하여 판단한다(단계 310).
판단 결과, 슬레이브 모뎀(220)이 구동 개시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슬레이브 모뎀(220)이 구동 개시되어 CDMA 이동통신망 초기 검색(Initial searching)을 실시한 후,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된다.
단계 330에서, 아이들(Idle) 상태의 슬레이브 모뎀(220)은 CDMA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실시하기 전에 슬레이브 고전력 검출부(260)를 제어하여 슬레이브 직류값을 수신한다. 슬레이브 직류값은 우선 순위 모뎀인 마스터 모뎀(210)이 WCDMA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마스터 증폭기에서 증폭하고, 이를 슬레이브 고전력 검출부(260)에서 검출하여 상응하는 직류값(즉, 슬레이브 직류값)으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 물론, 슬레이브 고전력 검출부(260)는 슬레이브 모뎀(220)의 제어에 의하여 슬레이브 직류값을 검출하지 아니하고, 슬레이브 모뎀(220)의 제어가 없어도 마스터 증폭부(230)에서 증폭된 위치 등록 요청 메 시지를 출력하기만 하면 이를 검출하여 상응하는 슬레이브 직류값을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340에서, 슬레이브 모뎀(220)은 슬레이브 직류값과 슬레이브 저장부(280)에 저장되어 있는 슬레이브 임계값을 비교한다. 판단 결과, 슬레이브 직류값이 슬레이브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우선 순위 모뎀인 마스터 모뎀(210)이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WCDMA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슬레이브 모뎀(220)은 위치 등록 신호를 송출하지 아니하고, 마스터 모뎀(210)의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 송출이 끝날 때까지 대기한다.
그러나, 판단 결과 슬레이브 직류값이 슬레이브 임계값보다 적은 경우는 우선 순위 모뎀인 마스터 모뎀(210)이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WCDMA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지 아니하는 경우이다. 물론, 슬레이브 모뎀(220)이 슬레이브 고전력 검출부(260)를 제어하기 이전에 마스터 모뎀(210)이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하고 WCDMA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긍정 응답(ACK) 및/또는 부정 응답(NACK) 메시지 수신을 기다리고 있는 경우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마스터 모뎀(210)과 슬레이브 모뎀(220)이 동시에 위치 등록을 시도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슬레이브 모뎀(220)은 슬레이브 고전력 검출부(260)로부터 새로운 슬레이브 직류값이 수신되는지 미리 설정한 임의의 시간동안 대기할 수 있다. 이 때, 새로운 슬레이브 직류값이 수신되면 다시 단계 340을 수행한다.
우선 순위 모뎀인 마스터 모뎀(210)이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판단되면(즉, 판단 결과 슬레이브 직류값이 슬레이브 임계값보다 적고 임의의 시간동안 슬레이브 모뎀(220)에 슬레이브 직류값이 수신되지도 않은 경우로 판단되면), 슬레이브 모뎀(220)은 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access)하여 위치 등록을 실시하고(즉, 위치 등록 신호를 송출하고)(단계 350), 슬레이브 모뎀(220)의 위치 등록은 완료된다(단계 360). 슬레이브 모뎀(220)이 CDMA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위치 등록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바,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WCDMA 이동통신망에서 CDMA 이동통신망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CDMA 이동통신망에서 WCDMA 이동통신망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에서 우선 순위 모뎀을 슬레이브 모뎀(220)으로, 슬레이브 고전력 검출부(260)을 마스터 고전력 검출부(250)로, 슬레이브 임계값을 마스터 임계값으로 변경하면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전원이 꺼져있던 MB-MM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위치 등록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마스터 모뎀(210)이 WCDMA 이동통신망에서 아이들(Idle) 상태로 구동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트래픽(Traffic) 상태인 경우에도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시에 복수의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하지 않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시에 복수의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함으로 인한 인접한 주파수 간섭을 초래하지 않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시에 복수의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출함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위치 등록 및/또는 위치 등록 실패를 초래하지 않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 및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위치 등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우선 순위를 가진 우선 순위 모뎀이 위치 등록을 실시하지 아니하는 시점에서 비우선 순위 모뎀이 위치 등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 인가에 의해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최종적으로 구동된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간의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 시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한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제2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신호의 파워를 증폭하기 위한 제2 증폭부 및 상기 제1 모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2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파워를 검출하여 상기 제1 모뎀으로 전송하는 제1 고전력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신호의 파워를 증폭하기 위한 제1 증폭부 및 상기 제2 모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파워를 검출하여 상기 제2 모뎀으로 전송하는 제2 고전력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전력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직류값과 비교하기 위한 제1 임계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전력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직류값과 비교하기 위한 제2 임계값을 저장하기 위한 제2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 고전력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직류값과 상기 제1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임계값이 적은 경우에만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인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제2 고전력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직류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임계값이 적은 경우에만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1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모뎀 및 제2 이동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MB(Multiband)-MM(Multimode)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위치 등록을 실시함에 있어서 우선 순위를 가지지 아니하는 비우선 순위 모뎀이 우선 순위 모뎀이 상응하는 이동통신망으로의 위치 등록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이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실시하지 아니하는 시점에서 상기 비우선 순위 모뎀이 상응하는 이동통신망으로의 위치 등록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전원 인가에 의해 상기 MB-MM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최종적으로 구동된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간의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 시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한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인 경우,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위치 등록을 실시함에 있어서 우선 순위를 가지지 아니하는 비우선 순위 모뎀이 우선 순위 모뎀이 상응하는 이동통신망으로의 위치 등록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뎀이 제1 고전력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제2이동통신망에 송출한 위치 등록 신호에 상응하는 직류값과 제1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 모뎀은 상기 제1 임계값이 적은 경우에만 상기 제1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주파 검출부는 상기 제2 모뎀이 상기 제2 이동통신망으로 송출 하는 신호의 파워를 증폭하기 위한 제2 증폭부 및 상기 제1 모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1 모뎀에 결합되는 제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우선 순위 모뎀인 경우,
    상기 제1 모뎀과 상기 제2 모뎀 중 위치 등록을 실시함에 있어서 우선 순위를 가지지 아니하는 비우선 순위 모뎀이 우선 순위 모뎀이 상응하는 이동통신망으로의 위치 등록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모뎀이 제2 고전력 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한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직류값과 제2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2 모뎀은 상기 제2 임계값이 적은 경우에만 상기 제2 이동통신망에 위치 등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주파 검출부는 상기 제1 모뎀이 상기 제1 이동통신망으로 송출 하는 신호의 파워를 증폭하기 위한 제1 증폭부 및 상기 제2 모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제2 모뎀에 결합되는 제2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KR1020050125902A 2005-12-20 2005-12-2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위치 등록 방법 KR100648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902A KR100648640B1 (ko) 2005-12-20 2005-12-2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위치 등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902A KR100648640B1 (ko) 2005-12-20 2005-12-2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위치 등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640B1 true KR100648640B1 (ko) 2006-11-23

Family

ID=3771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902A KR100648640B1 (ko) 2005-12-20 2005-12-20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위치 등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6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720A (ko) * 2004-04-02 2005-10-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mm-mb) 이동 통신 단말의동기-비동기 간 모드 전환 방법
KR20050097722A (ko) * 2004-04-02 2005-10-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 및 모드 전환방법
KR20050109115A (ko) * 2004-05-13 2005-1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mm-mb) 이동 통신 단말의비동기-동기 간 모드 전환 방법
KR20060079892A (ko) * 2005-01-03 2006-07-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비동기 간모드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720A (ko) * 2004-04-02 2005-10-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mm-mb) 이동 통신 단말의동기-비동기 간 모드 전환 방법
KR20050097722A (ko) * 2004-04-02 2005-10-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단말 및 모드 전환방법
KR20050109115A (ko) * 2004-05-13 2005-1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mm-mb) 이동 통신 단말의비동기-동기 간 모드 전환 방법
KR20060079892A (ko) * 2005-01-03 2006-07-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비동기 간모드전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7639B1 (en) Managing associations in ad hoc networks
US8385252B2 (en)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RU2454018C2 (ru) Синхронизация между беспровод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в экономичном режиме питания
CN101926203B (zh) 受助的初始网络捕获和系统确定
KR100933104B1 (ko)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EP2190247B1 (en) Neighbor cell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standby mobile terminal
US20110246637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US2009007387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etwork search method thereof
US20100093280A1 (en) Bluetooth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8513718B (zh) 一种网络通信方法和终端
RU2010139467A (ru) Эффективное назначение частоты для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в совместно существующих системах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20130223335A1 (en) Multi-mod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thereof
KR100797121B1 (ko) 멀티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의 파워 세이빙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5622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호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56119B1 (ko) 이동 단말들을 위한 무선 신호 검색 지원 방법 및 시스템
JP5272833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JP2005333378A (ja) 無線lanモード切替方法及び無線lan端末
KR100648640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위치 등록 방법
JP200422173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複合携帯端末
US8264993B2 (en) Method for minimizing current consumption at handover in multimode terminal and terminal for use in the same
KR100757088B1 (ko) 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100681517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mb-mm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각 모뎀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JP2002084210A5 (ko)
KR100648636B1 (ko) 멀티밴드-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멀티밴드-멀티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KR100649123B1 (ko) Mb-mm 이동통신 단말기와 mb-mm 이동통신 단말기의착신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