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560A -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560A
KR20020091560A KR1020010030332A KR20010030332A KR20020091560A KR 20020091560 A KR20020091560 A KR 20020091560A KR 1020010030332 A KR1020010030332 A KR 1020010030332A KR 20010030332 A KR20010030332 A KR 20010030332A KR 20020091560 A KR20020091560 A KR 20020091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structure
support
horizontal support
vertical support
support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150B1 (ko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김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현 filed Critical 김석현
Priority to KR10-2001-003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1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E04G7/14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for clamping the members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로 결합/분리를 간단하게 할수 있도록 하여 운반 및 시공이 편리하도록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건물시공시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갱폼에 고정되는 상ㆍ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의 세로지지대에 복수의 가로지지대를 결합하되, 상기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의 교차부분을 체결수단으로 결합/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A WORKING DESK ASSEMBLING FRAMEWORK OF GANG FORM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단위작업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의 결합/분리를 간단히 하도록 하여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자재의 재사용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철근을 배근하여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골격의 외측에 다수의 거푸집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기간 동안 양생시킴으로서 건물물의 골조를 시공한다.
이와 같은 거푸집은 다수개의 목재 판넬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고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이 파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였고, 철근의 배근공사 및 건물 외장공사를 위해 별도의 비계를 설치하고, 이는 한번 사용하고 난 후에는 재활용이 불간능하였다.
그래서, 최근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건물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대형 거푸집, 소위 갱폼이 개발되어 고층건물을 신축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작업대가 갱폼에 설치된 상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는 상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과 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2)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단위작업대 프레임(1)(2)은 세로지지대(3)와, 상기 세로지지대(3)에 일정간격으로 용접설치되는 복수개의 가로지지대(4)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위작업대 프레임(1)(2)을 갱폼(5)의 외면에 일정간격으로 볼트 결합한 후 가로지지대(4) 상부에 발판(도면상 미도시)을 배치하여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외장공사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위작업대 프레임(1)(2)은 세로지지대(3)의 길이가 건물의 한층 정도의 길이로 길고, 여기에 용접 결합된 가로지지대(4)에 의해 부피가 커 작업현장까지의 운반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반비가 과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양생이 끝난 후에 세로지지대(3)와 가로지지대(4)로 구성된 단위작업대 프레임(1)(2)을 재활용하지 못하고, 절단하여 폐기 처분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로 결합/분리를 간단하게 할수 있도록 하여 운반 및 시공이 편리하도록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위작업대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세로지지대 20:가로지지대
30: 파이프 클램프 40: 고정브라켓트
50: 고정볼트 60: 보강부재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건물 시공시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갱폼에 고정되는 상ㆍ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의 세로지지대에 복수의 가로지지대를 결합하되, 상기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의 교차부분을 체결수단으로 결합/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클램프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가로지지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브라켓트의 양단을 세로지지대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를 관통되게 고정볼트로 결합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가로지지대에 용접고정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를 관통시키는 고정볼트로 결합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가로지지대의 일면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가로지지대의 상하측에 앵글을 부착하고 볼트로 고정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작업대는 상ㆍ하부 단위작업대가 한쌍을 이루는 것이고, 각각의 단위작업대는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며, 다만, 본 발명의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는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의 교차부분을 체결수단으로 결속하여 결합/분리가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는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의 교차부분에 체결수단으로 비계용 클램프(30)로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비계용 클램프(30)는 동일한 구조의 제1결속부(31)와 제2결속부(32)가 90˚로 교차되게 구성되어 있고, 각각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를 결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계용 클램프로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를 결속하게 되면, 조립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해체시 분해가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는 세로지지대(10)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40)와, 복수의 고정볼트(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트(40)는 판을 절곡하여 일면이 개방된 "ㄷ"형상으로 삽입홈(41)을 형성시키고, 상기 삽입홈(41)에 가로지지대(20)를 삽입시켜 이를 고정볼트(50)로 세로지지대(10)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트(40)의 양단부 또한 고정볼트(50)로 세로지지대(10)에 고정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는 가로지지대(20)의 일면에 판상의 보강부재(60)를 용접하고, 이를 세로지지대(10)에 고정볼트로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보강부재(60)는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중앙부분이 가로지지대(20)에 용접되며, 상하측으로 판이 돌출되게 구성되어져 3개의 고정볼트(50)로 세로지지대(10)에 가로지지대(20)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는 보강부재(60)를 판상으로 이루어지고록 하되, 상기 판의 일면이 가로지지대(20)에 용접하고, 상측으로 삼각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를 세로지지대(10)에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는 보강부재(60)를 앵글 형태로 가로지지대(20)의 상하면에 고정하고, 이를 세로지지대(10)에 밀착시킨 후에 고정볼트(50)로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앵글이 고정된 가로지지대(20)를 세로지지대(10)에 밀착하여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는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의 교차 부분의 직각으로 부착되는 보강부재(60)를 가로지지대(20)에 용접하여 이를 세로지지대(10)에 밀착하여 고정볼트(50)로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구조는 세로지지대(10)에 가로지지대(20) 단부를 교차시키고, 이를 다양한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는 공장에서 가로지지대(20)에 제2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의 보강부재(60) 등을 용접하게 되고, 이를 세로지지대(10)와 함께 공사현장으로 운반하게 된다.
그러면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임으로 부피가 크지 않으므로 운반작업이 간단하고, 운반비도 저렴하게 된다.
그리고, 공사현장에 도착해서 세로지지대(10)의 일정위치에 복수의 가로지지대(20)를 위치시켜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의 체결수단으로 가로지지대(20)와 세로지지대(10)를 결속하게 되면 설치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공사가 완성되어 작업대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파이프 클램프(30) 또는 고정볼트(50)를 제거하여 분해한 후 다른 공사장으로 이동시켜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는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로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공사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함으로서, 운반이 쉽고, 운반비도 대폭 절감되는 것이다.

Claims (6)

  1. 건물 시공시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갱폼에 고정되는 상ㆍ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의 세로지지대(10)에 복수의 가로지지대(20)를 결합하되, 상기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의 교차부분을 체결수단으로 결합/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클램프(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가로지지대(20)가 삽입되는 삽입홈(4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트(40)의 양단을 세로지지대(10)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가로지지대(20)와 세로지지대(10)를 관통되게 고정볼트(50)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가로지지대(20)에 용접고정되는 보강부재(60)와, 상기 가로지지대(20)와 세로지지대(10)를 관통시키는 고정볼트(50)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60)는 상기 가로지지대(20)의 일면에 고정된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60)는 상기 가로지지대(20)의 상하측에 앵글을 부착하고 볼트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KR10-2001-0030332A 2001-05-31 2001-05-31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KR100433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332A KR100433150B1 (ko) 2001-05-31 2001-05-31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332A KR100433150B1 (ko) 2001-05-31 2001-05-31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560A true KR20020091560A (ko) 2002-12-06
KR100433150B1 KR100433150B1 (ko) 2004-05-31

Family

ID=2770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332A KR100433150B1 (ko) 2001-05-31 2001-05-31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1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618B1 (ko) * 2006-06-23 2006-11-10 김도열 각형 몰드프레임용 행거장치
KR200470032Y1 (ko) * 2012-08-13 2013-11-25 박기정 어닝시스템의 브라켓 장치
KR20160131195A (ko) * 2015-05-06 2016-11-16 (주)태건정공 갱폼 하부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329B1 (ko) 2009-02-13 2011-05-23 조응래 건축용 비계의 보조결합구
KR101333863B1 (ko) 2010-12-17 2013-11-27 고재용 가설방음벽 설치용 체결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6925U (ko) * 1976-01-20 1977-07-20
JPS5481634U (ko) * 1977-11-21 1979-06-09
JP3131317B2 (ja) * 1992-11-07 2001-01-31 ホリー株式会社 折畳式足場及び折畳式足場の組立方法
KR200146049Y1 (ko) * 1996-05-29 1999-06-15 안영옥 연속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용 발판
KR200213539Y1 (ko) * 1998-07-30 2001-03-02 고복희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200233656Y1 (ko) * 2001-03-08 2001-10-06 김석현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618B1 (ko) * 2006-06-23 2006-11-10 김도열 각형 몰드프레임용 행거장치
KR200470032Y1 (ko) * 2012-08-13 2013-11-25 박기정 어닝시스템의 브라켓 장치
KR20160131195A (ko) * 2015-05-06 2016-11-16 (주)태건정공 갱폼 하부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150B1 (ko) 200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1889A2 (en) Form panel
KR100433150B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200303750Y1 (ko) 건축물 축조용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100612938B1 (ko)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H11148226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およびその締結金具
JP2656748B2 (ja) コンクリート用組立枠形成構造
KR200233656Y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KR100885662B1 (ko) 중간 지지대의 최소화가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200317407Y1 (ko) 트러스데크 패널
KR102397960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 및 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의 제작방법
KR102187442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래브 양생용 거푸집
KR200271517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의 보강장치 및 그 서포트
KR200247691Y1 (ko) 건축물 벽체거푸집용 단위 조립체
KR200362854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20110030851A (ko) 갱폼용 조립형 알루미늄재 안전발판
KR100345526B1 (ko) 익스팬디드 메탈을 이용한 철근트러스
KR20100057991A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274915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 보강대의 서포트
KR930008542Y1 (ko) 조립건축물의 골조 연결장치
KR960008860Y1 (ko)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
KR101554631B1 (ko) 길이방향 강도가 보강된 플라스틱 안전발판
KR20110018601A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