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860Y1 -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 - Google Patents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860Y1
KR960008860Y1 KR2019930031632U KR930031632U KR960008860Y1 KR 960008860 Y1 KR960008860 Y1 KR 960008860Y1 KR 2019930031632 U KR2019930031632 U KR 2019930031632U KR 930031632 U KR930031632 U KR 930031632U KR 960008860 Y1 KR960008860 Y1 KR 960008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wall
construction
braces
ply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1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086U (ko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박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선 filed Critical 박종선
Priority to KR2019930031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860Y1/ko
Publication of KR9500190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0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4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wo-dimensional frame-like elements, e.g. of rods in L- or H-shape, with or without br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
제1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합벽 버팀대 시공틀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합벽 버팀대 시공틀의 조립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 확대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C-C단면도.
제5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합벽 버팀대 시공틀의 해체도.
제6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합벽 버팀대 시공틀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 버팀대 2 : 바닥 버팀대
3 : 간격 버팀대 4 : 연결 브라켓
본 고안은 건축물 및 토목구조물의 옹벽공사 시공시 옹벽 콘크리트타설용 거푸집 설치공사에 사용하는 옹벽 및 합벽 거푸집 버팀대 시공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옹벽 거푸집 설치시 삼승각재(100X100X3960)를 사용하여 거푸집에 수평방향의 버팀목으로 거푸집을 일렬로 정리하고 수직방향의 버팀목으로 거푸집을 세운 다음 거푸집의 횡하중동을 받쳐주고 수직을 맞추기 위하여 사선방향의 버팀목을 세우게 되는데 이때 삼승각재가 너무 무거워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많은 삼승각재가 소요되어 작업량이 많아지며 다량의 사선방향 버팀목 사용으로 콘크리트타설시 점검이 곤란하여 품질관리가 어려울뿐만 아니라 건설공사의 특성상 매공사마다 다른 규격의 삼승각재 사용으로 가설자재 재사용율이 매우 낮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비되고 재료가 손실되어 많은 공사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원 고안은 형강제로 바닥지지재와 벽지지재를 형성하고 이들을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여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을 성다음 이렇게 형성한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을 운반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부 또는 전부 분해상태로 건축공사 현장에까지 이동한 다음 간단한 체결 작업으로 이들을 조립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행하며, 일부 구간공사가 끝나면 곧 바로 이들을 해체하여 다른구간으로 운반하여 반복 사용한 후 현장공사가 모두 끝나면 후속현장이나 자재창고로 운반하도록 하므로서 공사기간의 단축과 공사 인원의 감축으로 건축공사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원고안에 따른 버팀대 시공틀의 분해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원 고안에 따른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은 옹벽 쪽에 위치하는 벽 버팀대(1)과, 상기 벽 버팀대(1)와, 상기 벽 버팀목(1)의 하단쪽에 조립되며 지하바닥쪽에 위치하는 바닥 버팀대(2)와, 상기 벽 버팀대(1)와 바닥 버팀대(2)의 사이에 사선으로 조립되는 간격 벼팀대(3)와, 상기 벽 버팀대(1) 및 바닥 버팀대(2)와 상기 간격 버팀대(3)들을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이들을 분해 해체하는데 사용되는 연결 브라켓(4) 및 체결구(B)를 구비한다.
벽 버팀대(1)는 옹벽쪽에 위치하여 측벽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받치거나 또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부착시키는 것으로, 버팀대 몸체(11)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구멍(12)을 가공하며, 벽 버팀대(1)의 한쪽 끝단부 가까이에는 한 개의 벽 버팀대(1)에 다른 한 개의 벽 버팀대(1)를 연결하여 버팀대(1)의 길이를 2배이상 연장하고자 할 때에 체결구(B)를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연장구멍(15)을 가공한다.
상기 벽 버팀대(1) 또는 바닥 버팀대(2)중 어느 한쪽의 버팀대 끝단부를 그 폭을 작게 하거나 직경을 작게하거나 하여 다른 한쪽 버팀대 끝단부에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합부(3)를 형성한다.
위에서 2가지의 버팀대중 어느 하나를 벽 버팀대로 하고 다른 하나를 바닥 버팀대로 명칭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명칭하고 있을 뿐으로, 제품에 따라 상기 벽 버팀목과 바닥 버팀대의 종류가 고정적으로 정하여 지는 것은 아니며, 다만 이들 버팀대를 공사 현장에 운반하여 조립할 때에 어느 한쪽의 버팀대를 벽쪽에 세우면 이것이 벽 버팀대(1)가 되는 것이며 따라서 다른 한쪽은 지하 바닥쪽에 위치하게 되여 이것은 바닥 버팀대(2)가 되는 것이다.
간격 버팀대(3)는 상기 벽 버팀대(1)와 상기 바닥 버팀대(2)의 사이에 연결되어 벽 버팀대(1)에 가해지는 하중을 바닥 버팀대(2) 쪽으로 전달하게 되는 것으로 그 몸체(31)의 양쪽 끝단부 가까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구멍(32)을 가공한다.
연결 브라켓(4)은 상기 버팀대(1,2,3) 사이를 연결하거나 또는 분해 할 때 사용되는 중간 부재로서 그 몸체(4)의 양 끝단부에 체결구멍(42)을 각각 가공한다.
상기 각 버팀대(1,2,3)와 연결 브라켓(4)은 그 전부 또는 그 일부를 H형강, I형강, ㄷ채널형강등과 같은 형강재 또는 길고 강한 판재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을 형성할 때 상기 각 요소들간에 결합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그 크기나 직경의 대소를 고려하여 강재를 선별하여 제조하면 될 것이다.
체결구(B)는 본원 고안에서 전부를 체결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리벳, 분할핀, 분할너트 등 지금까지 알려지고 사용되어 오던 체결구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에는 위와 같이 만들어지는 요소들을 사용하여 옹벽 또는 합벽 버팀대 시공틀의 조립하는 조립상태를 확대도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옹벽의 폭 크기 및 높이에 따라 이에 알맞는 벽 버팀대(1)와 바닥 버팀대(2)를 선정하고 이 벽 및 바닥 버팀대(1과 2)의 사이를 연결하고자 하는 간격 버팀대(3)의 수지와, 벽 및 버팀대(1과 2)의 사이에 배열 설치하고자 하는 간격 버팀대(3)의 배치위치를 선정한 다음 각각의 배치 위치에 알맞는 길이를 갖는 간격 버팀대(3)를 선정하며 이에 소요되는 연결 브라켓(4)과 체결구(B)를 준비한다.
그리고 벽 버팀대(1)와 바닥 버팀대(2)에 체결구(B)를 사용하여 연결 브라켓(4)의 한쪽을 결합하고 벽 버팀대(1)의 최하단부에 바닥 버팀대(2)의 형합부(23)를 맞추고 이들 사이를 체결구(B)로 체결 한 다음 연결 브라켓(4)의 다른 한쪽에 간격 버팀대(3)를 체결구(B)를 사용하여 결합한다.
체결구(B)로 연결 브라켓(4)에 간격 버팀대(3)를 결합 할때에는 벽면과 바닥면의 경사 각도나 지형을 고려하여 간격 버팀데(3)를 배열 한 다음 간격 버팀대(3)에 체결구멍(32)의 알맞는 위치를 선정하여 체결구(B)를 끼워넣도록 한다.
제5에는 위와같이 조립되는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을 분해하고 있는 각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간격 버팀대(3)를 연결 브라켓(4)의 한쪽에 체결되어있는 체결구(B)를 풀어내고 연결 브라켓(4)의 다른 한쪽과 벽 버팀대(1) 또는 바닥 버팀대(2)와 체결되어 있는 체결구(B)는 완전히 풀어 해체하지 아니하고 체결구(B)를 조금 느슨하고 풀고 연결 브라켓(4)을 벽 버팀대(1)나 바닥 버팀대(2)에 수납시킨 다음 이와같이 연결 브라켓(4)이 벽 버팀대(1)나 바닥 버팀대(2)에 수납된 상태로 이들을 보관 또는 운반하도록 하며, 공사 현장에 운반하고 나서는 벽 버팀대(1)나 바닥 버팀대(2)에 수납된 연결 브라켓(4)을 꺼낸 다음 이 연결 브라켓(4)을 다른 한쪽에 간격 버팀대(3)와 결합하도록 하면 옹벽 버팀대 시공틀의 결합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단축될 수 있을 것이다.
제6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옹벽 버팀대 시공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조립된 옹벽 버팀대 시공틀의 사이에 간격 봉(5)를 개재하여 여러개의 옹벽 버팀대 시공틀을 배열 한 다음 벽 버팀대(1)에 가로 지지봉(6)을 개재하여 거푸집(7)을 장치하거나 또는 가로 지지봉(6)을 삭제하고 거푸집(7)을 직접 벽 버팀대(1)에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8)을 타설하는 것이다.
콘크리트의 타설이 끝나면 옹벽 버팀대 시공틀을 분해하여 거푸집(7)을 해체하고 옹벽 버팀대 시공틀을 다음 사용장소 또는 보관장소로 운반하도록 한다.
제7도에는 본원 고안에 따른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건축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서는 지하로 3M 정도의 깊이만 판 다음 옹벽이나 바닥 시공을 하는 경우도 있겠으나, 3M 이상 수 10M 까지의 지하공사를 하여야 할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이와같이 깊이가 깊은 옹벽이나 합벽 시공을 할때에는 위와 같은 실시예에서 설명한 버팀대 시공틀의 구성을 단위 구성으로하고 여기서 연장하고자 하는 높이 만큼 벽 버팀대(1) 또는 바닥 버팀대(2)를 연결하여 가면서 공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원 고안에 따른 합벽 버팀대 시공틀을 사용하므로서 건설 현장에서 종래와 같이 무겁고 많은 삼승각재를 사용하므로 인하여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것을 줄이고 목재의 손실을 줄여 건설공사에 있어서, 인력과 시간이 매우 절약되고 나아가 공사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것이며, 이 효과를 다시 요약하여 정리하여보면 자재의 조립화로 인한 편리성과, 자재의 경량화로 인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공기단축과 인건비 절감을 도모하였으며, 자재의 강재화로 목재사용에서 발생하는 재료의 손실을 줄이고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건설공사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작업방법을 과학화하여 품질향상을 이루어 건설공사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였다.

Claims (1)

  1. 몸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구멍을 가공한 벽 버팀대와, 몸체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구멍을 가공하며 상기 벽 버팀대의 한쪽 단부와 결합과 분해가 가능하도록된 바닥 버팀대와, 몸체의 양쪽 단부에 체결구멍을 가공하고 상기 벽 버팀대와 상기 바닥 버팀대의 사이에 연결되어 벽 버팀대에 가해지는 하중을 바닥 버팀대에 전달하는 간격 버팀대와, 몸체의 양쪽 단부에 체결구멍을 가공하고 상기 벽 버팀대와 바닥 버팀대 및 간격 버팀대를 상호 연결 결합 또는 분해하는데 사용되는 연결 브라켓과, 상기 각 요소들을 결합체결하는 체결구를 구비한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
KR2019930031632U 1993-12-31 1993-12-31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 KR960008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632U KR960008860Y1 (ko) 1993-12-31 1993-12-31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632U KR960008860Y1 (ko) 1993-12-31 1993-12-31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086U KR950019086U (ko) 1995-07-24
KR960008860Y1 true KR960008860Y1 (ko) 1996-10-10

Family

ID=1937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1632U KR960008860Y1 (ko) 1993-12-31 1993-12-31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8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086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2969B (fi) Rakennuksen runko
CA2249921C (en) Modular shoring frame and system
US4553729A (en) Multi-panelled concrete forming structure for forming flat curved walls
KR102334512B1 (ko) 상호 작용하여 임시 계단을 형성하는 계단 모듈
CZ279361B6 (cs) Bednicí panel
KR100924652B1 (ko) 허니콤부재를 이용한 토건용 거푸집 패널
KR102387052B1 (ko)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
CN111712601A (zh) 建筑系统
US6581898B2 (en) Bearing block for alignment and handling of concrete forms
KR100484513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KR100736380B1 (ko) 트러스 거푸집
KR100484512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KR960008860Y1 (ko) 옹벽 및 합벽 버팀대 시공틀
US3826460A (en) Monolithic structure forming means with metal tubular bracing
KR970004945B1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식 천장보 구조물 전용 조립식 철제 거푸집
US3905574A (en) Concrete forming system
CN204728688U (zh) 一种建筑用组合模板
KR102296982B1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100433150B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JPH06280382A (ja) 組立足場ユニット
JP2656748B2 (ja) コンクリート用組立枠形成構造
JPH0754427A (ja) 壁体の構築工法及びその装置
KR970005543Y1 (ko) 거푸집용 지지대
KR200255525Y1 (ko) 조립식 건물의 지붕 구조
JP2614425B2 (ja) コンクリート用組立枠結合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