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656Y1 -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 Google Patents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656Y1
KR200233656Y1 KR2020010006255U KR20010006255U KR200233656Y1 KR 200233656 Y1 KR200233656 Y1 KR 200233656Y1 KR 2020010006255 U KR2020010006255 U KR 2020010006255U KR 20010006255 U KR20010006255 U KR 20010006255U KR 200233656 Y1 KR200233656 Y1 KR 200233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pport
gangform
building
support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김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현 filed Critical 김석현
Priority to KR2020010006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656Y1/ko

Links

Landscapes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로 각각 제작하여 현장에서 쉽게 조립하도록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고층건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갱폼과, 상기 갱폼의 외측에서 볼트로 조립되는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가 일체로 이루진 복수의 상ㆍ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과, 상기 세로지지대의 외측에 고정된 파이프 클램프 및 안전바 고정편과, 상기 세로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발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WORKING DESK OF GANG FORM FOR A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를 현장에서 볼트 조립하도록 하여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해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철근을 배근하여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골격의 외측에 다수의 거푸집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기간 동안 양생시킴으로서 건물을 신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거푸집은 다수개의 목재 판넬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고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이 파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였고, 건물 외장공사를 위해 별도의 비계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건물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대형 거푸집, 소위 갱폼이 개발되어 고층건물을 신축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갱폼은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어 반영구적을 사용가능하며 외장공사를 하기 위해서 다단식의 작업대를 설치하여 갱폼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갱폼에 설치되는 단위작업대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는 세로지지대(1)와, 상기 세로지지대(1)에 일정간격으로 용접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로지지대(2)와, 상기 세로지지대(1)의 외측에 설치되는 파이프 클램프(3) 및 안전바 고정편(4)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복수개 제작하여 갱폼의 외면에 일정간격 볼트 결합한 후 가로지지대(2) 상부에 발판을 배치하여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외장공사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위작업대 프레임은 세로지지대(1)의 길이가 건물의 한층 정도의 길이로 길고, 여기서 용접 결합된 가로지지대(2)에 의해 부피가 커서 작업현장까지의 운반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반비가 과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도색하기 위해서는 용접 후에 스프레이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 페인트가 불필요하게 많이 소모되고, 바람에 날려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용접작업, 스프레이 작업, 운반작업에 따라 작업인원이 많이 필요하여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양생이 끝난 후에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절단하여 폐기 처분해야만 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안전바 고정편은 평철을 절곡하여 역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개방된 면에 통해 각파이프를 삽입시킨 후에 개방된 면의 상하측에서 볼트 결합함으로서, 자재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로 별도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쉽게 조립하도록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위작업대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상부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상부 단위작업대 프레임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상ㆍ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단위작업대 프레임이 갱폼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단위작업대 프레임이 갱폼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A: 상ㆍ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
10: 세로지지대 20:가로지지대
30: 파이프 클램프 40: 안전바 고정편
50: 볼트 60: 지지편
200: 갱폼 210: 판넬
300: 발판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층건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갱폼과, 상기 갱폼의 외측에서 볼트로 조립되는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가 일체로 이루진 복수의 상ㆍ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과, 상기 세로지지대의 외측에 고정된 파이프 클램프 및 안전바 고정편과, 상기 세로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발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로지지대에 지지편을 부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바 고정편은 상기 세로 및 가로지지대와 동일한 사각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단위작업대 프레임은 갱폼에 직접 결합되는 상부 단위작업대 프레임과 상기 상부 단위작업대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작업대 프레임으로 나누어지는데 동일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함으로써 설명상의 번잡함을 줄이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단위작업대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위 작업대 프레임(100)은 갱폼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직으로 길게 연장된 세로지지대(10)와 상기 세로지지대(1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가로지지대(20)로 구성되고, 상기 세로지지대(10)의 일측면에는 파이프 클램프(30)와 안전바 고정편(40)이 고정되어져 있다.
상기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는 별도로 제작되어 현장해서 볼트(50) 및 너트로 조립되고, 조립 후에 상부의 하중에 견딜수 있도록 가로지지대(20)에는 각파이프, 앵글등의 지지편(60)이 고정되어져 있다.
상기 지지편(60)은 폐자재를 활용하여 용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바 고정편(40)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줄(도면상 미도시)이 이동가능 하게 하는 안전바를 고정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를 제작하고 남은 폐자재를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안전바 고정편(40)의 단면은 지지대(10)(20)와 동일한 사각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A)은 상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세로지지대(10)에 복수개의 파이프 클램프(30) 및 안전바 고정편(40)이 고정되고,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가 볼트(50) 조립되는 것도 동일하다.
다만, 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A)은 세로지지대(1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측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도 7 참조)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단위작업대 프레임이 갱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건물 외벽에 갱폼(200)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되게 건물 내벽에는 판넬(210)이 설치되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볼트로 결합되어 공간부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또한, 갱폼(200)에는 상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의 하측에는 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A)이 볼트로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ㆍ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100A)의 가로지지대(20)에 수평되게 발판(300)이 설치되어 외장공사시에 작업하기 편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상ㆍ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100A)을 복수개 공장에서 제작하게 되는데 이때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는 각파이프를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파이프 클램프(30), 안전바 고정편(40) 및 지지편(60) 등을 용접으로 소정위치에 부착한 후 디핑(deeping)작업에 의해 외관을 페인트 도색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상ㆍ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100A)은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로 분리된 상태에서 고층건물의 신축 공사장으로 이동함으로서, 운반작업이 간단하고, 운반비도 저렴하게 된다.
운반된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는 공사장에서 볼트(50)로 현장 조립하여 갱폼(200)의 일측에 가로지지대(20)의 일면을 볼트 조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을 갱폼(200)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하고, 세로지지대(10)의 외측에 형성된 파이프 클램프(30)와 안전바 고정편(40)에 수평으로 파이프 및 각파이프를 삽입시켜 고정시키게 되며, 가로지지대(20)사이에 발판을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A)을 체결하게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는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로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공사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함으로서, 운반이 쉽고, 운반비도 대폭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단위작업대 프레임은 도색작업도 쉽을 뿐만 아니라 도색작업에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폐자재를 활용하여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사가 끝난 후에 철거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고층건물의 외벽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갱폼(200)과, 상기 갱폼(200)의 외측에서 볼트(50)로 조립되는 세로지지대(10)와 가로지지대(20)가 일체로 이루진 복수의 상ㆍ하부 단위작업대 프레임(100)(100A)과, 상기 세로지지대(10)의 외측에 고정된 파이프 클램프(30) 및 안전바 고정편(40)과, 상기 세로지지대(10)의 상측에 안착되는 발판(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20)에 지지편(60)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 고정편(40)은 상기 세로 및 가로지지대 (10)(20)와 동일한 사각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KR2020010006255U 2001-03-08 2001-03-08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KR200233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255U KR200233656Y1 (ko) 2001-03-08 2001-03-08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255U KR200233656Y1 (ko) 2001-03-08 2001-03-08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656Y1 true KR200233656Y1 (ko) 2001-10-06

Family

ID=7305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255U KR200233656Y1 (ko) 2001-03-08 2001-03-08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6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150B1 (ko) * 2001-05-31 2004-05-31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150B1 (ko) * 2001-05-31 2004-05-31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715892U (zh) 现浇墙体快装标模支撑结构及系统
KR200233656Y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KR100433150B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200331403Y1 (ko) 건축용 갱폼의 하부작업대
KR100336713B1 (ko)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JPH03260264A (ja) 柱型枠の施工法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200146508Y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KR200291526Y1 (ko) 거푸집용 판넬
JP4067091B2 (ja) 型枠用残存多孔枠、コンクリート躯体およびコンクリート躯体の施工方法
KR20050076059A (ko) 교각 시공용 거푸집
KR100278767B1 (ko) 보 성형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CN212895932U (zh) 一种承重良好的组合式箱梁圆弧支撑架
KR101985310B1 (ko) 갱폼을 이용한 개선된 기능의 외벽 시공방법
JPH0754480A (ja) 枠組足場ならびにその組立、解体方法
JP2011117130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施工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スラブ施工用具
US20230063061A1 (en) Stringer
CN210264071U (zh) 移动式pc构件生产车间
JP2008196176A (ja) 使い分け可能な仮設足場用ブラケット
KR200307607Y1 (ko)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KR19990020706U (ko) 철근콘크리트거푸집용 판넬
CA3129562A1 (en) Stringer
KR200362085Y1 (ko) 스틸 하우스용 형강
JP2023096500A (ja) 安全通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