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422A -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422A
KR20020091422A KR1020010030095A KR20010030095A KR20020091422A KR 20020091422 A KR20020091422 A KR 20020091422A KR 1020010030095 A KR1020010030095 A KR 1020010030095A KR 20010030095 A KR20010030095 A KR 20010030095A KR 20020091422 A KR20020091422 A KR 20020091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valve
defrost
ai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2533B1 (ko
Inventor
김용찬
장인규
조홍현
Original Assignee
세협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협기계(주) filed Critical 세협기계(주)
Priority to KR2001003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5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9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 A47F3/0443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47F3/0447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7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각 진열선반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열공간마다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상품에 알맞은 저장온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앞쪽이 개방된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앞쪽이 개방된 내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의 수직부에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진열선반과,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의 수직면 사이에 설치되고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에어커튼용 공기가 순환하는 커튼순환통로를 형성하며 내부케이스와의 사이에 냉각순환용 공기가 순환하는 냉각순환통로를 형성하는 중간케이스와, 커튼순환통로에 설치되고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내부케이스의 개방된 앞쪽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용 송풍기와, 냉각순환통로에 설치되며 각 진열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냉각순환용 송풍기와, 냉각순환통로에 각 진열공간에 대응하여 한쌍씩 설치되는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동시스템을 포함하는 쇼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Showcase and Operating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 진열공간마다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진 증발기를 설치하여 하나가 제상하는 동안에 다른 하나가 냉동/냉장 기능을 수행하므로 내부의 온도변화가 작고 각 진열공간마다 서로 다른 저장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케이스는 냉동/냉장 식품이나 상품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 및 저장하면서 판매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냉동시스템이 적용된 제품으로, 주로 가게나 슈퍼마켓, 대형 할인매장, 쇼핑센터, 청과물 상점 등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주로 쇼케이스는 상품의 판매를 위하여 사용하는 제품이므로, 냉동/냉장 식품이나 상품을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 상품의 진열이나 구매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쇼케이스는 수평으로 설치하여 위쪽으로 상품을 진열하고 꺼내는 수평식과, 수직으로 설치하여 앞쪽으로 상품을 진열하고 꺼내는 수직식이 있다. 또 쇼케이스는 입구에 도어가 설치되는 방식과, 도어를 설치하지 않고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오픈식이 있다.
종래의 쇼케이스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에 설치되어 진열구역을 나누는 칸막이와, 내부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냉동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칸막이는 수직식의 경우에는 상품을 진열하는 선반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냉동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시스템이 적용되며, 공기의 흐름을 강제로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포함된다.
또 상기한 프레임에는 송풍기에 의해 흐름이 형성되는 공기가 순환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최근에는 백화점이나 대형 할인매장 등의 설립으로 쇼케이스의 크기도 대형으로 제작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쇼케이스에 있어서 냉동시스템을 계속하여 운전하면, 냉각을 행하는 증발기 표면에 결빙현상이 발생하여 냉각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쇼케이스는 증발기 표면에 생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수단으로 제상히터를 설치하거나 바이패스회로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쇼케이스는 제상(증발기의 성에 제거)을 행하는 동아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품의 품질에 변하가 발생한다.
그리고 쇼케이스를 대형으로 대형으로 제작하여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동시에 진열하는 경우에 단순히 진열위치를 상하로 나누는 것에 의해 저장온도를 분리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각 상품에 알맞는 저장온도로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단으로 설치되는 진열선반에 대응하여 각각 쌍으로 이루어지는 증발기를 설치하고 순차적으로 교대로 제상을 행하는 것에 의해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각 진열선반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열공간마다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상품에 알맞은 저장온도를 제공할 수 있는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운전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운전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이 제안하는 쇼케이스는 단면형상이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앞쪽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외부케이스와, 상기한 외부케이스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단면형상이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앞쪽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내부케이스와, 상기한 내부케이스의 수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진열선반과, 상기한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의 수직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한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에어커튼용 공기가 순환하는 하나이상의 커튼순환통로를 형성하며 상기한 내부케이스와의 사이에 냉각순환용 공기가 순환하는 복수의 냉각순환통로를 형성하는 중간케이스와, 상기한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의 커튼순환통로의 수평부 또는 상기한 외부케이스와 중간케이스 사이의 커튼순환통로의 수직부에 설치되고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내부케이스의 개방된 앞쪽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하나이상의 에어커튼용 송풍기와, 상기한 중간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수직면 사이의 냉각순환통로에 설치되며 각 진열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냉각순환용 송풍기와, 상기한 냉각순환통로에 각 진열공간에 대응하여 한쌍씩 설치되는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동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한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의 위쪽에는 커튼순환통로의 공기가 상품이 진열되는 쪽으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한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의 아래쪽에는 상품이 진열되는 쪽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형성한다.
상기한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한 흡입구로 흡입되는 것에 의하여 에어커튼이 형성된다.
상기한 냉동시스템은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기상으로 증발시키는 복수의 증발기와, 상기한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한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저압으로 팽창시켜 공급하며 상기한 각 증발기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팽창밸브와, 상기한 증발기에 대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상수단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이 제안하는 쇼케이스의 운전 제어방법은 상기한 에어커튼용 송풍기 및 냉각순환용 송풍기를 작동시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공기순환작동과, 상기한 냉동시스템의 압축기를 작동시켜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상기한 냉각순환용 송풍기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상기한 진열공간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냉각작동과, 상기한 냉동시스템의 증발기에 성에가 발생하여 냉각효율이 저하되면 한쌍으로 이루어진 증발기중에 하나의 증발기는 계속하여 냉각을 수행하고 성에가 많이 발생한 다른 하나의 증발기에 대해서는 제상을 행하는 제상작동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일실시예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앞쪽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외부케이스(10)와, 상기한 외부케이스(1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단면형상이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앞쪽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내부케이스(11)와, 상기한 내부케이스(11)의 수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공간(22)을 형성하는 복수의 진열선반(20)과, 상기한 외부케이스(10)와 내부케이스(11)의 수직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한 외부케이스(10)와의 사이에 에어커튼용 공기가 순환하는 하나이상의 커튼순환통로(12)를 형성하며 상기한 내부케이스(11)와의 사이에 냉각순환용 공기가 순환하는 복수의 냉각순환통로(35), (36), (37)를 형성하는 중간케이스(13)와, 상기한 외부케이스(10)와 내부케이스(11) 사이의 커튼순환통로(12)의 수평부 또는 상기한 외부케이스(10)와 중간케이스(13) 사이의 커튼순환통로(12)의 수직부에 설치되고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내부케이스(11)의 개방된 앞쪽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하나이상의 에어커튼용 송풍기(30)와, 상기한 중간케이스(13)와 내부케이스(11) 수직면 사이의 냉각순환통로(35), (36), (37)에 설치되며 각 진열공간(22)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와, 상기한 냉각순환통로(35), (36), (37)에 각 진열공간(22)에 대응하여 한쌍씩 설치되는 복수의 증발기(41), (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동시스템(40)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복수의 증발기(41), (42)는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가 쌍을 이루어 각 진열공간(22)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한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는 상기한 각각의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에 대응하여 제1송풍기(31) 및 제2송풍기(32)가 쌍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한 외부케이스(10)와 내부케이스(11)의 위쪽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튼순환통로(12)의 공기가 상품이 진열되는 쪽으로 토출되는 토출구(14)를 형성한다.
또 상기한 외부케이스(10)와 내부케이스(11)의 아래쪽에는 상품이 진열되는 쪽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6)를 형성한다.
상기한 토출구(1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한 흡입구(16)로 흡입되는 것에 의하여 에어커튼이 형성되며, 이 에어커튼에 의하여 내부의 저온공기와 외부의 고온공기 사이가 차단된다.
상기한 내부케이스(11)의 수직면(18)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진열공간(22)의 공기가 각각 복수의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쪽으로 흡입되고, 각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각각 냉각순환용 제1송풍기(31) 및 제2송풍기(32)에 의하여 진열공간(22)으로 토출되도록 다수의 그릴구멍(19)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내부케이스(11)와 중간케이스(13)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각순환통로(35), (36), (37)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그릴구멍(19)과 각각의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를 통과한 냉각공기가 상기한 커튼순환통로(12)로 유출되지 않고 각 냉각순환용 제1송풍기(31) 및 제2송풍기(32)를 통과하여 그릴구멍(19)으로 토출되어 각층의 진열공간(22)을 순환하도록 안내한다. 상기한 냉각순환통로(35), (36), (37)는 커튼순환통로(12)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한 중간케이스(13)에 의하여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한 커튼순환통로(12)는 상기한 각 진열공간(22)과 직접 연통되지 않으며, 상기한 토출구(14)와 흡입구(16)를 통해서만 연통된다.
상기에서 중간케이스(13)를 열전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면, 상기한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와 접촉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다시 커튼순환통로(12)를 통과하는 공기와 중간케이스(13)가 접촉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공기도 냉각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냉각순환용 제1송풍기(31) 및 제2송풍기(32)와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쌍을 이루어 상기한 냉각순환통로(35), (36), (37)에 하나이상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 및/또는 증발기(41), (42)는 각각 진열공간(22)에 대응하여 한쌍씩 짝지워 하나이상씩 배열하여 설치한다.
즉 진열공간(22)을 가로로 길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고, 구역마다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하나의 진열선반(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맨 아래층의 진열공간(22)을 2개이상의 구역으로 나누어 복수의 쌍으로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 및 증발기(41), (42)를 설치한다.
상기한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 및 증발기(41), (4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두개씩 한쌍으로 서로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한쪽이 제상되는 동안 다른쪽에서 정상적인 냉각을 행하도록 구성하므로, 지속적인 냉각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한 에어커튼용 송풍기(30)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열공간(22)을 가로로 길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구역으로 나누어 2개 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냉동시스템(4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기상으로 증발시키는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증발기(41), (42)와, 상기한 증발기(41), (42)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47)와, 상기한 압축기(47)에서 압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48)와, 상기한 응축기(48)에서 응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저압으로 팽창시켜 공급하며 상기한 각 증발기(41), (42)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팽창밸브(49), (50)와, 상기한 각 증발기(41), (42)에 대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상수단인 복수의 제상히터(43), (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팽창밸브(49), (50)는 상기한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에 각각 제1팽창밸브(49) 및 제2팽창밸브(50)를 대응하여 설치한다.
또 상기한 제상히터(43), (44)는 상기한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제상히터(43)와 제2제상히터(44)가 쌍을 이루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냉동시스템(4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상이 이루어지는 동안 냉매가 팽창밸브(49), (50)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제상밸브(45) 및 제2제상밸브(46)가 각각의 제1팽창밸브(49) 및 제2팽창밸브(50)와 응축기(47) 사이(각 팽창밸브(45), (46)의 앞)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쇼케이스의 운전 제어방법의 일실시예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을 온시키고 작동을 개시하면, 상기한에어커튼용 송풍기(30)가 온으로 작동하여 상기한 커튼순환통로(12)에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상기한 토출구(14)로 토출하고 상기한 흡입구(16)로 흡입하는 것에 의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상기한 냉각순환용 제1송풍기(31) 및 제2송풍기(32)가 온으로 작동되어 상기한 각각의 냉각순환통로(35), (36), (37)에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각 진열공간(22)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작동이 이루어진다(S10).
또 상기한 냉동시스템(40)의 압축기(47)가 각각 온으로 되어 작동을 시작하므로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한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와 접하는 공기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냉각작동이 이루어진다(S10).
상기한 냉각작동중에는 상기한 제1제상밸브(45) 및 제2제상밸브(46)는 개방상태를 유지하며, 상기한 제1제상히터(43) 및 제2제상히터(44)는 오프상태를 유지한다(S10).
상기와 같은 냉각작동중에는 상기한 압축기(47)에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8)로 공급하고, 응축기(48)에서 열교환을 거쳐 액냉매로 응축된 냉매는 각각의 팽창밸브(49), (50)를 통과하여 저압으로 팽창된 상태로 각각의 증발기(41), (42)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통하여 기체로 증발하고,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한 압축기(47)로 유입되고 상기한 과정을 순환한다.
이 때 상기한 에어커튼용 송풍기(30)가 작동함에 따라 진열공간(22)쪽의 공기는 흡입구(16)를 통하여 유입되고, 커튼순환통로(12)를 통하여 토출구(14)로 토출되며, 상기한 토출구(14)로 토출된 공기는 진열공간(22)을 외부와 차단하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면서 다시 흡입구(16)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가 작동함에 따라 각층의 진열공간(22) 내부의 공기는 상기한 내부케이스(11) 수직면(18)의 그릴구멍(19) 및 각 증발기(41), (42)를 통과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각 냉각순환통로(35), (36), (37)로 유입된다.
상기한 냉각순환통로(35), (36), (37)로 유입되면서 상기한 각 증발기(41), (42)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각된 공기는 상기한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의 작동에 따라 그릴구멍(19)을 통과하여 다시 진열공간(22)으로 토출되고 냉각을 위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각 진열공간(22)에 대응하여 설치된 각 증발기(41), (42)의 작동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각 진열공간(22)의 저장온도를 다르게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냉각작동을 수행중에 상기한 냉동시스템(40)의 제1증발기(41) 또는 제2증발기(42)에 성에가 발생하여 냉각효율이 저하되면 한쌍으로 이루어진 증발기(41), (42)중에 하나의 증발기(예를 들면 제2증발기(42))는 계속하여 냉각을 수행하고 성에가 많이 발생한 다른 하나의 증발기(예를 들면 제1증발기(41))에 대해서는 제상을 행하는 제상작동을 수행한다(S20).
즉 상기와 같이 냉각작동을 수행하는 도중에 각 증발기(41), (42)에 성에가 생성되어 냉각효율이 저하되면, 순차적으로 증발기(41), (42)에 대한 제상을 행한다.
상기에서 냉각효율의 저하됨에 따른 제상의 수행여부에 대한 판단은 예를 들면 상기한 증발기(41), (42)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저항)을 측정하여 공기의 흐름이 소정의 설정값 이하로 원활하지 못하면 성에가 많이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상작동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적인 냉각작동을 수행중에 제1증발기(41)에 대한 제상신호(공기의 흐름을 측정하여 설정값이하인지의 여부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상개시 여부를 판단하고(S21), 제1증발기(41)에 제상신호(제상개시신호)가 입력되지 되지 않았으면 다시 제2증발기(42)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상개시 여부를 판단하고(S25), 제2증발기(42)에 대해서도 제상신호(제상개시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정상적인 냉각작동을 행한다.
상기한 단계(S21)에서 제1증발기(41)에 대한 제상신호(제상개시신호)가 입력되면, 제1증발기(41)에서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1제상밸브(49)를 폐쇄하여 냉매의 유입을 차단하고, 제상을 행하는 동안 더워진 공기가 진열공간(22)으로 토출되어 냉동/냉장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송풍기(31)를 오프시키고, 제상을 행하기 위하여 제상수단인 제1제상히터(43)를 온시키므로 제1증발기(41)에 발생된 성에를 녹여 제거하는 제상작업을 진행한다(S22).
상기와 같이 제상이 진행되어 제1증발기(41)에 대한 제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예를 들면 설정된 시간동안 제상을 행하도록 설정된 경우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3), 제상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제상을 행하고 제상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1제상히터(43)를 오프시켜 제상작업을 정지하고, 다시 제1증발기(41)에서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제1제상밸브(49)를 개방하여 냉매를 유입시키며, 냉각된 공기가 진열공간(22)으로 토출되어 순환되도록 제1송풍기(31)를 온시키어 정상적인 냉각작동으로 복귀한다(S24).
또 상기한 제2증발기(42)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5)에서 제2증발기(42)에 대한 제상신호(제상개시신호)가 입력되면, 제2제상밸브(50)를 폐쇄하여 냉매가 제2증발기(4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더워진 공기가 진열공간(22)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송풍기(32)를 오프시키고, 제상을 행하기 위하여 제상수단인 제2제상히터(44)를 온시키므로 제2증발기(42)에 발생된 성에를 녹여 제거하는 제상작업을 진행한다(S26).
상기와 같이 제상이 진행되어 제2증발기(42)에 대한 제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7), 제상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제상을 행하고 제상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2제상히터(44)를 오프시켜 제상작업을 정지하고, 다시 제2증발기(42)에서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제2제상밸브(50)를 개방하여 냉매를 유입시키며, 냉각된 공기가 진열공간(22)으로 토출되어 순환되도록 제2송풍기(32)를 온시키어 정상적인 냉각작동으로 복귀한다(S28).
상기와 같이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제상을 행하는 동안에도 다른 하나가 작동하여 진열공간(22)에 대한 냉각을 행하므로, 진열공간(22)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고, 거의 일정한 냉동/냉장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제상수단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기(48)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액냉매를 각 팽창밸브(49), (50)를 통과시키지 않고 직접 증발기(41), (42)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관(51), (52)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관(51), (52)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증발기(41), (42)를 통과한 고온고압의 액냉매가 다른 증발기(42), (41)에 대응되는 각 팽창밸브(50), (49)로 공급되도록 보조연결관(55), (56)을 설치한다.
즉 냉매가 제1팽창밸브(49)를 통하지 않고 제1증발기(41)로 공급되도록 제1바이패스관(51)을 설치하고, 냉매가 제2팽창밸브(50)를 통하지 않고 제2증발기(42)로 공급되도록 제2바이패스관(52)을 설치한다.
이 때 상기한 제1바이패스관(51) 및 제2바이패스관(52)은 상기한 제1제상밸브(45) 및 제2제상밸브(46) 앞쪽에서 분기하고, 팽창밸브(49), (50)와 증발기(41), (42) 사이에서 합기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1바이패스관(51) 및 제2바이패스관(52)에는 각각 냉매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바이패스밸브(53) 및 제2바이패스밸브(54)를 설치한다.
상기에서는 제1제상밸브(45) 및 제2제상밸브(46)와 제1바이패스밸브(53) 및 제2바이패스밸브(54)를 각각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제1바이패스관(52) 및 제2바이패스관(52)의 분기점에 3방향 밸브를 설치하여 바이패스관(51), (52) 또는 팽창밸브(49), (50)로의 냉매흐름을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와 압축기(47) 사이에는 각각 액냉매가 압축기(47)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매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액냉매차단밸브(59) 및 제2액냉매차단밸브(6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보조연결관(55), (56)은 제1증발기(41)와 제1액냉매차단밸브(59) 사이에서 분기하고 제2팽창밸브(50)의 앞쪽에서 합기하는 제1보조연결관(55)과, 제2증발기(42)와 제2액냉매차단밸브(60) 사이에서 분기하고 제1팽창밸브(49)의 앞쪽에서 합기하는 제2보조연결관(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보조연결관(55) 및 제2보조연결관(56)에는 각각 냉매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제1보조밸브(57) 및 제2보조밸브(58)를 설치한다.
상기에서는 제1액냉매차단밸브(59) 및 제2액냉매차단밸브(50)와 제1보조밸브(57) 및 제2보조밸브(58)를 각각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제1보조연결관(55) 및 제2보조연결관(56)의 분기점에 3방향 밸브를 설치하여 보조연결관(55), (56) 또는 압축기(47)로의 냉매흐름을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제상수단으로 바이패스관(51), (52)을 설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쇼케이스의 운전 제어방법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을 온시키고 작동을 개시하면, 상기한 에어커튼용 송풍기(30)가 온으로 작동하고, 상기한 냉각순환용 제1송풍기(31) 및제2송풍기(32)가 온으로 작동되어 상기한 각각의 냉각순환통로(35), (36), (37)에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각 진열공간(22)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작동이 이루어진다(S30).
또 상기한 냉동시스템(40)의 압축기(47)가 각각 온으로 되어 작동을 시작하므로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한 제1증발기(41) 및 제2증발기(42)와 접하는 공기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냉각작동이 이루어진다(S30).
상기한 냉각작동중에는 상기한 제1제상밸브(45) 및 제2제상밸브(46)는 개방상태를 유지하며, 상기한 제1바이패스밸브(53) 및 제2바이패스밸브(54)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한 제1액냉매차단밸브(59) 및 제2액냉매차단밸브(60)는 개방상태를 유지하며, 상기한 제1보조밸브(57) 및 제2보조밸브(58)는 폐쇄상태를 유지한다(S30).
상기와 같은 냉각작동중에는 상기한 압축기(47)에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8)로 공급하고, 응축기(48)에서 열교환을 거쳐 액냉매로 응축된 냉매는 각각의 팽창밸브(49), (50)를 통과하여 저압으로 팽창된 상태로 각각의 증발기(41), (42)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통하여 기체로 증발하고,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한 압축기(47)로 유입되는 상기한 과정을 순환하여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정상적인 냉각작동(S30)을 수행중에 제1증발기(41) 또는 제2증발기(42)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면 제상작동을 수행한다(S40).
상기한 제상작동은 상기한 제1증발기(41)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상개시 여부를 판단하고(S41), 제1증발기(41)에 제상신호(제상개시신호)가 입력되지 되지 않았으면 다시 제2증발기(42)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상개시 여부를 판단하고(S45), 제2증발기(42)에 대해서도 제상신호(제상개시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정상적인 냉각작동을 행한다.
상기한 단계(S41)에서 제1증발기(41)에 대한 제상신호(제상개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한 제1제상밸브(45)를 폐쇄하고 제1바이패스밸브(53)를 개방하여 고온고압의 액냉매가 제1팽창밸브(49)를 통과하지 않고 제1바이패스관(51)을 통하여 제1증발기(41)로 유입시키는 것에 의하여 성에를 녹여 제거하고, 상기한 제1액냉매차단밸브(59)를 폐쇄하고 제1보조밸브(57)를 개방하여 제1증발기(41)를 통과한 액냉매가 압축기(47)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증발을 위하여 상기한 제1보조연결관(55)을 통하여 제2팽창밸브(50)로 유입시키고, 제상을 수행하는 동안 더워진 공기가 진열공간(22)으로 토출되어 냉동/냉장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송풍기(31)를 오프시키는 제상작업을 진행한다(S42).
상기와 같이 제상이 진행되어 제1증발기(41)에 대한 제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3), 제상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제상을 행하고 제상이 완료된 경우에는 다시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교환을 수행하기 위하여 냉매가 제1팽창밸브(49)를 통과하여 제1증발기(41)로 유입되도록 제1제상밸브(45)를 개방하고 제1바이패스밸브(53)를 폐쇄하며, 제1증발기(41)를 통과하면서 증발된 냉매가 압축기(47)로 유입되도록 상기한 제1액냉매차단밸브(59)를 개방하고 제1보조밸브(57)를 폐쇄하며, 냉각된 공기가 진열공간(22)으로 토출되어 순환되도록 제1송풍기(31)를 온시키어 정상적인 냉각작동으로 복귀한다(S44).
또 상기한 제2증발기(42)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5)에서 제2증발기(42)에 대한 제상신호(제상개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한 제2제상밸브(46)를 폐쇄하고 제2바이패스밸브(54)를 개방하여 고온고압의 액냉매가 제2팽창밸브(50)를 통과하지 않고 제2바이패스관(52)을 통하여 제2증발기(42)로 유입시키는 것에 의하여 성에를 녹여 제거하고, 상기한 제2액냉매차단밸브(60)를 폐쇄하고 제2보조밸브(58)를 개방하여 제2증발기(42)를 통과한 액냉매가 압축기(47)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증발을 위하여 상기한 제2보조연결관(56)을 통하여 제1팽창밸브(49)로 유입시키고, 제상을 수행하는 동안 더워진 공기가 진열공간(22)으로 토출되어 냉동/냉장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송풍기(32)를 오프시키는 제상작업을 진행한다(S46).
상기와 같이 제상이 진행되어 제2증발기(42)에 대한 제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7), 제상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제상을 행하고 제상이 완료된 경우에는 다시 냉매의 증발에 의한 열교환을 수행하기 위하여 냉매가 제2팽창밸브(50)를 통과하여 제2증발기(42)로 유입되도록 제2제상밸브(46)를 개방하고 제2바이패스밸브(54)를 폐쇄하며, 제2증발기(42)를 통과하면서 증발된 냉매가 압축기(47)로 유입되도록 상기한 제2액냉매차단밸브(60)를 개방하고 제2보조밸브(58)를 폐쇄하며, 냉각된 공기가 진열공간(22)으로 토출되어 순환되도록 제2송풍기(32)를 온시키어 정상적인 냉각작동으로 복귀한다(S48).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에 의하면, 쌍으로 이루어진 증발기중에서 하나의 증발기에 대하여 제상을 행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증발기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진열공간에 대한 냉동/냉장이 유지되므로 항상 일정한 냉동/냉장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상이 행해지는 동안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곧바로 진열공간으로 유입되지 않아 온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품을 항상 고품질의 상태로 보관 및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진열공간에 대응하여 증발기를 설치하므로, 진열공간마다 진열되는 상품에 맞추어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양한 상품을 각각 최적의 상태로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다.

Claims (8)

  1. 단면형상이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앞쪽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외부케이스와,
    상기한 외부케이스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단면형상이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앞쪽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내부케이스와,
    상기한 내부케이스의 수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진열선반과,
    상기한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의 수직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한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에어커튼용 공기가 순환하는 하나이상의 커튼순환통로를 형성하며 상기한 내부케이스와의 사이에 냉각순환용 공기가 순환하는 복수의 냉각순환통로를 형성하는 중간케이스와,
    상기한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의 커튼순환통로의 수평부 또는 상기한 외부케이스와 중간케이스 사이의 커튼순환통로의 수직부에 설치되고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내부케이스의 개방된 앞쪽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하나이상의 에어커튼용 송풍기와,
    상기한 중간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수직면 사이의 냉각순환통로에 설치되며 각 진열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냉각순환용 송풍기와,
    상기한 냉각순환통로에 각 진열공간에 대응하여 한쌍씩 설치되는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동시스템을 포함하는 쇼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냉동시스템은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기상으로 증발시키는 복수의 증발기와,
    상기한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한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저압으로 팽창시켜 공급하며 상기한 각 증발기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팽창밸브와,
    상기한 증발기에 대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상수단을 포함하는 쇼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의 증발기는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가 쌍을 이루어 각 진열공간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한 팽창밸브는 상기한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에 각각 제1팽창밸브 및 제2팽창밸브가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한 냉각순환용 송풍기는 상기한 각각의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에 대응하여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가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쇼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상수단은 상기한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제상히터와 제2제상히터가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제상히터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제1팽창밸브 및 제2팽창밸브와 응축기 사이에는 냉매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1제상밸브 및 제2제상밸브가 설치되는 쇼케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팽창밸브 및 제2팽창밸브와 응축기 사이에는 냉매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1제상밸브 및 제2제상밸브가 설치되고,
    상기한 제상수단은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액냉매를 제1팽창밸브 및 제2팽창밸브를 통과시키지 않고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제1바이패스관 및 제2바이패스관과, 상기한 제1바이패스관 및 제2바이패스관에 설치하고 각각 냉매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1바이패스밸브 및 제2바이패스밸브와, 상기한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 설치하고 냉매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1액냉매차단밸브 및 제2액냉매차단밸브와, 상기한 제1증발기와 제1액냉매차단밸브 사이에서 분기하고 제2팽창밸브의 앞쪽에서 합기하는 제1보조연결관과, 상기한 제2증발기와 제2액냉매차단밸브 사이에서 분기하고 제1팽창밸브의 앞쪽에서 합기하는 제2보조연결관과, 상기한 제1보조연결관 및 제2보조연결관에 설치하고 각각 냉매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1보조밸브 및 제2보조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쇼케이스.
  6.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품이 진열되는 진열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진열선반과,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의 수직면 사이에 커튼순환통로를 형성하며 내부케이스와의 사이에 냉각순환통로를 형성하는 중간케이스와, 커튼순환통로에 설치되는 에어커튼용 송풍기와, 냉각순환통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냉각순환용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와,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가 쌍을 이루어 구성되는 복수의 증발기와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와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냉매를 저압으로 팽창시켜 공급하며 상기한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팽창밸브 및 제2팽창밸브와 상기한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에 대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상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냉동시스템을 포함하는 쇼케이스에 있어서,
    에어커튼용 송풍기 및 냉각순환용 송풍기를 작동시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공기순환작동과,
    냉동시스템의 압축기를 작동시켜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상기한 냉각순환용 송풍기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진열공간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냉각작동과,
    상기한 냉동시스템의 증발기에 성에가 발생하여 냉각효율이 저하되면 한쌍으로 이루어진 증발기중에 하나의 증발기는 계속하여 냉각을 수행하고 성에가 많이 발생한 다른 하나의 증발기에 대해서는 제상을 행하는 제상작동으로 이루어지는 쇼케이스의 운전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한 제상수단인 제1제상히터와 제2제상히터가 쌍을 이루어 설치되고, 상기한 제1팽창밸브 및 제2팽창밸브와 응축기 사이에는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제상밸브 및 제2제상밸브가 설치되는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순환작동은 상기한 에어커튼용 송풍기가 온으로 작동하여 상기한커튼순환통로에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상기한 냉각순환용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가 온으로 작동되어 상기한 각각의 냉각순환통로에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각 진열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한 냉각작동은 상기한 제1제상밸브 및 제2제상밸브는 개방상태를 유지하며 상기한 제1제상히터 및 제2제상히터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한 냉동시스템의 압축기가 온으로 되어 작동을 시작하므로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한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와 접하는 공기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한 제상작동은 냉각작동을 수행중에 제1증발기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상개시 여부를 판단하고, 제1증발기에 제상신호가 입력되지 되지 않았으면 다시 제2증발기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상개시 여부를 판단하고, 제2증발기에 대해서도 제상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냉각작동을 수행하고, 제1증발기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면 제1제상밸브를 폐쇄하고 제1송풍기를 오프시키고 제1제상히터를 온시키어 제1증발기에 발생된 성에를 녹여 제거하는 제상작업을 진행하고, 제1증발기에 대한 제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제1증발기에 대한 제상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제상을 행하고 제상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1제상히터를 오프시키고 제1제상밸브를 개방하며 제1송풍기를 온시키어 냉각작동으로 복귀하고, 상기한 제2증발기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면 제2제상밸브를 폐쇄하고 제2송풍기를 오프시키고 제2제상히터를 온시키므로 제2증발기에 발생된 성에를 녹여 제거하는 제상작업을 진행하고, 제2증발기에 대한 제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제2증발기에 대한 제상이 완료되지 않은경우에는 계속하여 제상을 행하고 제상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2제상히터를 오프시키고 제2제상밸브를 개방하며 제2송풍기를 온시키어 냉각작동으로 복귀하도록 이루어지는 쇼케이스의 운전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팽창밸브 및 제2팽창밸브와 응축기 사이에는 제1제상밸브 및 제2제상밸브를 설치하고, 응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액냉매를 제1팽창밸브 및 제2팽창밸브를 통과시키지 않고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1바이패스관 및 제2바이패스관을 설치하고, 상기한 제1바이패스관 및 제2바이패스관에 각각 냉매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1바이패스밸브 및 제2바이패스밸브를 설치하고, 상기한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 각각 제1액냉매차단밸브 및 제2액냉매차단밸브를 설치하고, 상기한 제1증발기와 제1액냉매차단밸브 사이에서 분기하고 제2팽창밸브의 앞쪽에서 합기하는 제1보조연결관을 설치하고, 상기한 제2증발기와 제2액냉매차단밸브 사이에서 분기하고 제1팽창밸브의 앞쪽에서 합기하는 제2보조연결관을 설치하고, 상기한 제1보조연결관 및 제2보조연결관에 각각 냉매의 흐름을 개폐하는 제1보조밸브 및 제2보조밸브를 설치하는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순환작동은 상기한 에어커튼용 송풍기가 온으로 작동하여 상기한 커튼순환통로에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상기한 냉각순환용 제1송풍기 및 제2송풍기가 온으로 작동되어 상기한 각각의 냉각순환통로에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각 진열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한 냉각작동은 상기한 제1제상밸브 및 제2제상밸브는 개방상태를 유지하며 상기한 제1바이패스밸브 및 제2바이패스밸브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한 제1액냉매차단밸브 및 제2액냉매차단밸브는 개방상태를 유지하며 상기한 제1보조밸브 및 제2보조밸브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한 냉동시스템의 압축기가 온으로 되어 작동을 시작하므로 냉매를 순환시켜 상기한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와 접하는 공기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한 제상작동은 상기한 제1증발기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상개시 여부를 판단하고, 제1증발기에 제상신호가 입력되지 되지 않았으면 다시 제2증발기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상개시 여부를 판단하고, 제2증발기에 대해서도 제상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냉각작동을 수행하고, 제1증발기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한 제1제상밸브를 폐쇄하고 제1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며 상기한 제1액냉매차단밸브를 폐쇄하고 제1보조밸브)를 개방하며 제1송풍기를 오프시키는 제상작업을 진행하고, 제1증발기에 대한 제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제상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제상을 행하고 제상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1제상밸브를 개방하고 제1바이패스밸브를 폐쇄하며 상기한 제1액냉매차단밸브를 개방하고 제1보조밸브를 폐쇄하며 제1송풍기를 온시키어 냉각작동으로 복귀하고, 제2증발기에 대한 제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한 제2제상밸브를 폐쇄하고 제2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며 상기한 제2액냉매차단밸브를 폐쇄하고 제2보조밸브를 개방하며 제2송풍기를 오프시키는 제상작업을 진행하고, 제2증발기에 대한 제상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제2증발기에 대한 제상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제상을 행하고 제상이 완료된 경우에는 제2제상밸브를 개방하고 제2바이패스밸브를 폐쇄하며 상기한 제2액냉매차단밸브를 개방하고 제2보조밸브를 폐쇄하며 제2송풍기를 온시키어 냉각작동으로 복귀하도록 이루어지는 쇼케이스의 운전 제어방법.
KR20010030095A 2001-05-30 2001-05-30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KR100412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0095A KR100412533B1 (ko) 2001-05-30 2001-05-30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0095A KR100412533B1 (ko) 2001-05-30 2001-05-30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422A true KR20020091422A (ko) 2002-12-06
KR100412533B1 KR100412533B1 (ko) 2003-12-31

Family

ID=2770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30095A KR100412533B1 (ko) 2001-05-30 2001-05-30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5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970A (ko) * 2002-08-23 2004-03-02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오픈 쇼케이스의 냉기 순환 구조
KR102335375B1 (ko) * 2021-06-28 2021-12-06 (주)국제티엔씨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0155A1 (en) * 2007-11-27 2009-06-04 Carrier Commercial Refrigeration, Inc. Refrigerated shelf
MX349582B (es) * 2010-03-29 2017-08-04 Applied Design & Eng Ltd Mejoras en o que se refieren a aparatos exhibidores refrigerados.
KR101392015B1 (ko) * 2013-09-30 2014-05-07 김경욱 쇼케이스 및 쇼케이스 관리시스템
KR101994408B1 (ko) 2017-07-19 2019-07-01 주식회사 금강물산 쇼 케이스 냉각 시스템의 제상 운전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970A (ko) * 2002-08-23 2004-03-02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오픈 쇼케이스의 냉기 순환 구조
KR102335375B1 (ko) * 2021-06-28 2021-12-06 (주)국제티엔씨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2533B1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561B1 (ko) 연속 운전식 쇼케이스
KR100412533B1 (ko)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JPH09113100A (ja) 低温ショーケースの除霜装置
CN100541073C (zh) 制冷储藏库
KR100276513B1 (ko) 저온쇼케이스
KR101145223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2204008B1 (ko) 냉장고
JPH08254385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除霜方式
KR20030081927A (ko) 냉장 쇼케이스
JPH08303918A (ja) 低温ショーケース
KR200230030Y1 (ko) 쇼케이스
JP6974089B2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2017089901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2018031487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2016223688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制御方法
JP2016223687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6630495B2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7365821B2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2020098085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8245798A (ja) ショーケース
JP4237023B2 (ja) ショーケースの制御装置
JP7229670B2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2021153855A (ja) ショーケース
JP2017086158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2951169B2 (ja) ショーケース等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