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030Y1 -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030Y1
KR200230030Y1 KR2020010002890U KR20010002890U KR200230030Y1 KR 200230030 Y1 KR200230030 Y1 KR 200230030Y1 KR 2020010002890 U KR2020010002890 U KR 2020010002890U KR 20010002890 U KR20010002890 U KR 20010002890U KR 200230030 Y1 KR200230030 Y1 KR 200230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air
display space
frame
circula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찬
장인규
Original Assignee
세협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협기계(주) filed Critical 세협기계(주)
Priority to KR2020010002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0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030Y1/ko

Links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각 진열공간마다 서로 다른 저장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통로가 형성되며 단면형상이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수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품이 진열되는 복수의 진열선반과, 프레임의 순환통로에 설치되고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에어커튼용 송풍기와, 순환통로와 각 진열선반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열공간 사이에 설치되며 각 진열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냉각순환용 송풍기와, 각 진열공간과 순환통로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동시스템을 포함하는 쇼케이스를 제공한다.
냉동시스템은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기상으로 증발시키는 복수의 증발기와,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저압으로 팽창시켜 공급하며 각 증발기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팽창밸브와, 증발기에 대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상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쇼케이스 {Showcase}
본 고안은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으로 진열선반을 설치하고 각층의 진열선반에 각각 증발기를 설치하여 냉각을 행하고 순차적으로 제상을 행하므로 제상시 내부의 온도상승을 방지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케이스는 냉동/냉장 식품이나 상품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냉동시스템이 적용된 제품으로서, 주로 가게나 슈퍼마켓, 대형 매장, 쇼핑센터 등에 설치된다.
주로 쇼케이스는 상품의 판매를 위하여 사용하는 제품이므로, 냉동/냉장 식품이나 상품을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 상품의 진열이나 구매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쇼케이스는 수평으로 설치하여 위쪽으로 상품을 진열하고 꺼내는 수평식과, 수직으로 설치하여 앞쪽으로 상품을 진열하고 꺼내는 수직식이 있다.
또 쇼케이스는 입구에 도어가 설치되는 방식과, 도어를 설치하지 않고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오픈식이 있다.
종래의 쇼케이스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에 설치되어 진열구역을 나누는 칸막이와, 내부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냉동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칸막이는 수직식의 경우에는 상품을 진열하는 선반으로 기능한다.
상기한 냉동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시스템이 적용되며, 공기의 흐름을 강제로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포함된다.
상기한 프레임에는 송풍기에 의하여 흐름이 형성되는 공기가 순환되도록 통로가 형성된다.
최근에는 백화점이나 대형 할인매장 등의 설립으로 쇼케이스의 크기도 대형으로 제작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쇼케이스에 있어서 냉동시스템을 계속하여 운전하면, 냉각을 행하는 증발기 표면에 결빙현상이 발생하여 냉각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쇼케이스는 증발기 표면에 생성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수단으로 제상히터를 설치하거나 바이패스회로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쇼케이스는 제상(증발기의 성에 제거)을 행하는 동안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품의 품질에 변화가 발생한다.
그리고 쇼케이스를 대형으로 제작하여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동시에 진열하는 경우에 단순히 진열위치를 상하로 나누는 것에 의해 저장온도를 분리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각 상품에 알맞는 저장온도로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단으로 설치되는 진열선반에 대응하여 각각 증발기를 설치하고 순차적으로 제상을 행하는 것에 의해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각 진열선반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열공간마다 서로 다른 저장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쇼케이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쇼케이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쇼케이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동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냉동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쇼케이스는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통로가 형성되며 단면형상이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의 수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품이 진열되는 복수의 진열선반과, 상기한 프레임의 순환통로에 설치되고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하나이상의 에어커튼용 송풍기와, 상기한 순환통로와 상기한 진열선반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열공간 사이에 설치되며 각 진열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냉각순환용 송풍기와, 상기한 각 진열공간과 순환통로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동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한 프레임의 위쪽에는 순환통로의 공기가 상품이 진열되는 쪽으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한 프레임의 아래쪽에는 상품이 진열되는 쪽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형성한다.
상기한 토출구의 바깥쪽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한 흡입구로 흡입되는 것에 의하여 에어커튼이 형성된다.
상기한 냉동시스템은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기상으로 증발시키는 복수의 증발기와, 상기한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한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저압으로 팽창시켜 공급하며 상기한 각 증발기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팽창밸브와, 상기한 증발기에 대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상수단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쇼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쇼케이스의 일실시예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통로(12)가 형성되며 단면형상이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한 프레임(10)의 수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품이 진열되는 복수의 진열선반(20)과, 상기한 프레임(10)의순환통로(12)에 설치되고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하나이상의 에어커튼용 송풍기(30)와, 상기한 순환통로(12)와 상기한 진열선반(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열공간(22) 사이에 설치되며 각 진열공간(22)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 (33)와, 상기한 각 진열공간(22)과 상기한 순환통로(12)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증발기(41), (42), (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동시스템(40)을 포함한다.
상기한 프레임(10)의 위쪽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에어커튼용 송풍기(30)에 의하여 강제로 흐름이 형성되는 순환통로(12)의 공기가 상품이 진열되는 쪽으로 토출되는 토출구(14)를 형성한다.
또 상기한 프레임(10)의 아래쪽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품이 진열되는 쪽의 공기가 상기한 에어커튼용 송풍기(30)의 흡입작용에 의하여 상기한 순환통로(12)로 유입되는 흡입구(16)를 형성한다.
상기한 토출구(14)의 바깥쪽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한 흡입구(16)로 흡입되는 것에 의하여 에어커튼이 형성되어, 내부 저온공기와 외부 고온공기 사이를 차단한다.
상기한 프레임(1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진열공간(22)의 공기가 각각 증발기(41), (42), (43)쪽으로 흡입되고, 각 증발기(41), (42), (43)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각각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 (33)로부터 진열공간(22)으로 토출되도록 내면판(18)에 다수의 그릴구멍(19)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프레임(10)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그릴구멍(19)과 증발기(41), (42), (43)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한 순환통로(12)로 유출되지 않고 각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 (33)를 통과하여 각층의 진열공간(22)을 순환하도록 안내하는 보조통로(35), (36), (37)를 형성한다.
상기한 각 보조통로(35), (36), (37)는 순환통로(12)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한 순환통로(12)는 상기한 각 진열공간(22)과 직접 연통되지 않으며, 상기한 토출구(14)와 흡입구(16)를 통해서만 연통된다.
상기한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 (33) 및 증발기(41), (42), (4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상기한 보조통로(35), (36), (37)에 설치한다.
상기에서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 (33) 및/또는 증발기(41), (42), (43)는 각각 진열공간(22)에 대응하여 하나이상씩 배열하여 설치한다.
즉 진열공간(22)을 가로로 길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냉각효율을 향상시키고, 구역마다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하나의 진열선반(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맨 아래층의 진열공간(22)을 2개이상의 구역으로 나누어 복수의 쌍으로 냉각순환용 송풍기(31) 및 증발기(41)를 설치한다.
상기한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 (33) 및 증발기(41), (42), (4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두개씩 한쌍으로 서로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한쪽이 제상하는 동안 다른쪽에서 정상적인 냉각순환을 행하도록 구성하므로, 지속적인 냉각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에어커튼용 송풍기(30)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열공간(22)을 가로로 길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구역으로 나누어 2개 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냉동시스템(40)은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기상으로 증발시키는 복수의 증발기(41), (42), (43)와, 상기한 증발기(41), (42), (43)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46)와, 상기한 압축기(46)에서 압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48)와, 상기한 응축기(48)에서 응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저압으로 팽창시켜 공급하며 상기한 각 증발기(41), (42), (43)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팽창밸브(51), (52), (53)와, 상기한 증발기(41), (42), (43)에 대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상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제상수단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증발기(41), (42), (43)에 설치되는 제상히터(61), (62), (63)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제상수단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기(48)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액냉매를 각 팽창밸브(51), (52), (53)를 통과시키지 않고 직접 증발기(41), (42), (43)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관(54), (55), (56)을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관(54), (55), (56)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증발기(41), (42), (43)를 통과한 고온고압의 액냉매가 다른 증발기(41), (42), (43)에 대응되는 각 팽창밸브(51), (52), (53)로 공급되도록 보조연결관(57), (58), (59)을 설치한다.
또 응축기(48)와 각 증발기(41), (42), (43)를 연결하는 관, 각 증발기(41), (42), (43)와 압축기(46)를 연결하는 관, 상기한 바이패스관(54), (55), (56), 상기한 보조연결관(57), (58), (58)는 각각 냉매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관(54), (55), (56)을 이용하여 제상수단을 구성하는 경우의 제상과정을 증발기(4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증발기(41)에 대한 제상을 하기 위해서는 응축기(48)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액냉매를 팽창밸브(51)를 통과하지 않고 바이패스관(54)을 통과하여 증발기(41)로 공급되도록 각 개폐밸브의 개폐를 행하고, 증발기(41)를 통과한 냉매가 직접 압축기(46)로 공급되지 않고 보조연결관(57)을 통하여 다른 증발기(42)의 팽창밸브(52)로 공급되도록 각 개폐밸브의 개폐를 행하도록 구성한다.
이 때 증발기(42)와 증발기(43)는 정상적으로 각 팽창밸브(52), (53)를 통과하면서 저압으로 팽창된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을 행하여 표면에 접촉하는 공기의 냉각을 행하도록 각 개폐밸브의 개폐를 행한다.
상기와 같이 고온고압의 액냉매가 증발기(41)를 통과하면, 증발기(41)의 표면에 생성된 성에가 점차적으로 녹아 제거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쇼케이스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전원을 온시키면, 상기한 냉동시스템(40)의 압축기(46) 및 에어커튼용 송풍기(30)와 각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 (33)가 작동을 시작한다.
상기한 압축기(46)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48)로 공급하고, 응축기(48)에서 열교환을 거쳐 액냉매로 응축된 냉매는 각각의 팽창밸브(51), (52), (53)를 통과하여 저압으로 팽창된 상태로 각각의 증발기(41), (42), (43)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통하여 기체로 증발하고, 냉매는 상기한 압축기(46)로 유입되고 상기한 과정을 순환한다.
이 때 상기한 에어커튼용 송풍기(30)가 작동함에 따라 진열공간(22)쪽의 공기는 흡입구(16)를 통하여 유입되고, 순환통로(12)를 통하여 토출구(14)로 토출된다.
상기한 토출구(14)로 토출된 공기는 진열공간(22)을 외부와 차단하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면서 흡입구(16)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한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 (33)가 작동함에 따라 각층의 진열공간(22) 내부의 공기는 상기한 프레임(10) 내면판(18)의 그릴구멍(19) 및 각 증발기(41), (42), (43)를 통과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각 보조통로(35), (36), (37)로 유입된다.
상기한 보조통로(35), (36), (37)로 유입된 냉각된 공기는 상기한 냉각순환용 송풍기(31), (32), (33)의 작동에 따라 그릴구멍(19)을 통과하여 진열공간(22)으로 토출되고 순환하게 된다.
상기에서 각 증발기(41), (42), (43)의 작동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각층 진열공간(22)의 저장온도를 다르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작동중에 각 증발기(41), (42), (43)에 성에가 생성되어 냉각효율이 저하되면, 순차적으로 증발기(41), (42), (43)에 대한 제상을 행한다.
즉 증발기(42) 및 증발기(43)은 계속하여 정상적인 작동을 계속하고, 증발기(41)에는 제상수단이 작동하여 제상을 행한다.
또는 각 층의 증발기(41), (42), (43)를 복수의 쌍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층에서 하나의 증발기에 대한 제상을 행하는 동안 쌍을 이룬 다른 증발기는 냉각을 행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작동과정을 통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제상수단이 제상히터(61), (62), (63)인 경우에는 제상히터(61)가 작동하여 증발기(41)에 대한 제상을 행하고, 냉각순환용 송풍기(31)는 작동을 정지하여 제상되는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보조통로(35)를 통하여 진열공간(22)으로 곧바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 상기에서 제상수단이 바이패스관(54), (55), (56)인 경우에는 응축기(48)를 통과한 냉매가 팽창밸브(51)를 통과하지 않고 곧바로 증발기(41)로 유입되도록 구성하여 증발기(41)에 대한 제상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시간동안 제상을 행하고, 다시 원래 상태로 증발기(41)가 냉각을 행하도록 복귀시키고, 냉각순환용 송풍기(31)를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성에가 많이 발생한 다른 증발기(41), (42), (43)에도 행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쇼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쇼케이스에 의하면, 증발기에 대한 제상을 행하는 경우에도 제상을 행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곧바로 진열공간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진열공간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고, 일정한 저장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고품질의 상품성을 장기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각 진열공간의 온도를 서로 다르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상품을 소비자가 구매하기 편하도록 모아서 진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상품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저장 및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통로가 형성되며 단면형상이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위쪽에는 토출구를 형성하며 아래쪽에는 흡입구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의 수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품이 진열되는 복수의 진열선반과,
    상기한 프레임의 순환통로에 설치되고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하나이상의 에어커튼용 송풍기와,
    상기한 순환통로와 상기한 진열선반에 의하여 형성되는 진열공간 사이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각 진열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복수의 냉각순환용 송풍기와,
    상기한 각 진열공간과 상기한 순환통로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동시스템을 포함하는 쇼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은 각 진열공간의 공기가 각각 증발기쪽으로 흡입되고 각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각각 냉각순환용 송풍기로부터 진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순환통로와 진열공간을 나누는 내면판을 포함하고,
    상기한 내면판에는 다수의 그릴구멍을 형성하며,
    상기한 프레임에는 상기한 그릴구멍과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한 순환통로를 통하지 않고 각 냉각순환용 송풍기를 통과하여 각층의 진열공간을 순환하도록 안내하는 보조통로를 형성하는 쇼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냉동시스템은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기상으로 증발시키는 복수의 증발기와,
    상기한 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한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에 의하여 액상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한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저압으로 팽창시켜 공급하며 상기한 각 증발기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팽창밸브와,
    상기한 증발기에 대하여 제상을 행하는 제상수단을 포함하는 쇼케이스.
KR2020010002890U 2001-02-07 2001-02-07 쇼케이스 KR200230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90U KR200230030Y1 (ko) 2001-02-07 2001-02-07 쇼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890U KR200230030Y1 (ko) 2001-02-07 2001-02-07 쇼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030Y1 true KR200230030Y1 (ko) 2001-07-19

Family

ID=7309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890U KR200230030Y1 (ko) 2001-02-07 2001-02-07 쇼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0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969A (ko) * 2002-08-23 2004-03-02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오픈 쇼케이스의 냉기 순환 구조
KR100839749B1 (ko) 2004-09-30 2008-06-19 캐리어 코포레이션 커튼 공기 도입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057A (ko) * 1992-01-31 1993-08-26 이희종 오픈쇼케이스의 증발기 2단 분사장치
KR930017531A (ko) * 1992-02-21 1993-09-20 이희종 오픈쇼케이스의 제상시 고내온도 상승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6057A (ko) * 1992-01-31 1993-08-26 이희종 오픈쇼케이스의 증발기 2단 분사장치
KR930017531A (ko) * 1992-02-21 1993-09-20 이희종 오픈쇼케이스의 제상시 고내온도 상승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969A (ko) * 2002-08-23 2004-03-02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오픈 쇼케이스의 냉기 순환 구조
KR100839749B1 (ko) 2004-09-30 2008-06-19 캐리어 코포레이션 커튼 공기 도입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2932B2 (e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fan-powered rear discharge
CA2445767C (en) Evaporator for medium temperature refrigerated merchandiser
AU2002254641A1 (en) Evaporator for medium temperature refrigerated merchandiser
EP1184634B1 (en) A refrigerated merchandis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refrigerated merchandiser system
JP2007085611A (ja) ショーケース
US20010042383A1 (e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flow baffle
KR20060103333A (ko) 중온 냉장 판매대
US20010042384A1 (e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transverse fan
KR100377616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 시스템
KR100412533B1 (ko)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KR200230030Y1 (ko) 쇼케이스
KR200395162Y1 (ko) 냉장·온장 겸용 쇼케이스
CN100541073C (zh) 制冷储藏库
KR101145223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200443435Y1 (ko) 냉각실을 갖는 쇼케이스
JP4599207B2 (ja) ショーケース
KR102204008B1 (ko) 냉장고
JPH08303918A (ja) 低温ショーケース
JP2002267317A (ja) 冷蔵庫
KR20210087154A (ko) 현관용 물품 보관 시스템
KR20030027368A (ko) 독립냉각 냉장고
KR200242394Y1 (ko) 쇼케이스의 적상방지장치
JP2005315495A (ja) 冷凍システム及び低温ショーケース
KR100271584B1 (ko) 세미간냉및쾌속제상냉장고
JP3875563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