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375B1 -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 Google Patents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375B1
KR102335375B1 KR1020210084271A KR20210084271A KR102335375B1 KR 102335375 B1 KR102335375 B1 KR 102335375B1 KR 1020210084271 A KR1020210084271 A KR 1020210084271A KR 20210084271 A KR20210084271 A KR 20210084271A KR 102335375 B1 KR102335375 B1 KR 102335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unit
wine
air supply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백
고요한
Original Assignee
(주)국제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국제티엔씨 filed Critical (주)국제티엔씨
Priority to KR102021008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7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82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 A47F3/0486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for charging, display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at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는 일측에 도어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와인병을 진열하는 진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부와, 일측이 상기 냉기공급부와 연결되며,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진열부에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냉기를 전달하는 복수의 덕트부와, 상기 본체부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냉기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SHOWCASE TYPED WINE REFRIGERATOR}
본 발명은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인을 보관하는 쇼케이스에 냉기를 순환시켜 신선도를 유지시키도록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와인은 일정한 온도로 보관되어야 최상의 풍미를 유지시킬 수 있다. 고급 와인일수록 보관이 까다롭다. 특히, 마케팅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와인병에 붙어 있는 라벨의 경우 온도가 상승하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와인은 맛과 품질에 상관없이 상품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때문에 다양한 와인을 판매하는 판매점에서는 쇼케이스를 이용하여 와인을 보관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1147호(2016년 7월 8일 공개)는 냉장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진열된 물품이 저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냉기를 발생시키는 증발기와 일정 높이 간격으로 물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이 설치된 진열장 본체,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상기 진열장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분출되도록 설치되는 덕트, 상기 덕트의 내부에 상기 선반의 하부로 냉기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안내판을 마련하여 덕트의 분출구 및 다수의 냉기분출구에서 냉기가 분출됨에 따라 진열장 본체의 전체 온도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온도의 냉기를 공급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합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하나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다단의 선반을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시키거나, 고장시 와인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단으로 보관되는 와인에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른 온도로 냉기를 공급하여 보관할 수 있는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진열부에 서로 다른 온도범위의 냉기를 구분하여 공급할 수 있는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진열부에 진열된 와인병의 라벨을 비전검사하여 보관정보에 따른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원격에서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냉장고의 고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는 일측에 도어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와인병을 진열하는 진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부와, 일측이 상기 냉기공급부와 연결되며,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진열부에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냉기를 전달하는 복수의 덕트부와, 상기 본체부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냉기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기공급부는 복수의 상기 덕트부 중 일부와 연결되어 제1 온도범위의 냉기를 공급하는 제1 증발기와, 복수의 상기 덕트부 중 일부와 연결되어 제2 온도범위의 냉기를 공급하는 제2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공급부는 상시에 구동되는 제1 압축기와, 비상시에 구동되는 제2 압축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축기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압축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열부에 진열된 상기 와인병의 라벨을 비전검사하는 비전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인병의 상기 라벨을 비전검사하여 상기 와인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온도범위로 상기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압축기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고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압축기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획득하여 인증하면 고장처리를 인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단으로 보관되는 와인에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른 온도로 냉기를 공급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진열부에 서로 다른 온도범위의 냉기를 구분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진열부에 진열된 와인병의 라벨을 비전검사하여 보관정보에 따른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원격에서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냉장고의 고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에서 냉기가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중 냉기공급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중 덕트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중 덕트부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의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의 비전검사부 및 입체스캔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서 입체스캔부에 따라 와인병의 라벨의 불량을 검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에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에서 냉기가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중 냉기공급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중 덕트부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중 덕트부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100)는 본체부(110), 진열부(120), 냉기공급부(130), 덕트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와인병(10)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다양한 음료병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와인병(10)은 내부에 와인이 담겨진 것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부(110)는 박스형상으로 일측에 도어(111)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어(111)는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체부(110)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진열부(120), 덕트부(140)를 수용한다. 본체부(110)의 크기는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상부에 후술하는 냉기공급부(130)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본체부(110)의 내측 바닥면에는 진열부(120)가 연결될 수 있는 브라켓 또는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진열부(12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와인병(10)을 진열한다. 예를 들어, 진열부(120)는 와인병(10)을 기울어진 형태로 진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진열부(120)는 본체부(110)의 중앙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냉기공급부(130)로부터 냉기가 공급시 순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진열부(120)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와인병(10)을 적층할 수 있도록 한다. 진열부(120)의 단수는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진열부(120)는 본체부(110)의 바닥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거나, 레일을 따라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는 본체부(110) 내의 설치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진열부(120)에는 로드셀(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로드셀은 진열대에 와인병(10)이 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무게를 감지한다. 로드셀은 진열부(120)의 각 층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드셀은 진열부(120)에서 와인병(10)이 거치되는 지지바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50)는 진열부(120)에서 생성하는 무게정보를 기초로 현재 진열부(120)에 진열된 와인병(10)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진열부(120)에 와인병(10)이 진열되지 않은 경우 불필요한 냉기 공급을 차단하거나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함이다.
냉기공급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내측 하부로 냉기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냉기공급부(130)는 응축기(131)와 증발기(132)를 통해 열교환으로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냉기공급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축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시에 구동되는 제1 압축기(133-1)와, 비상시에 구동되는 제2 압축기(1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시로 제1 압축기(133-1)가 구동되다가, 제1 압축기(133-1)가 고장나는 경우 제2 압축기(133-2)가 구동될 수 있다. 제1 압축기(133-1)와 제2 압축기(133-2)는 동시에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압축기(133)의 고장으로 인한 냉기 공급의 차단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냉기공급부(130)는 복수의 증발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범위의 냉기를 공급하는 제1 증발기(132-1)와, 제2 온도범위의 냉기를 공급하는 제2 증발기(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온도범위와 제2 온도범위는 서로 다른 온도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진열부(120)에 진열되는 와인병(10)에 보관된 와인의 성분에 따라 보관온도를 다르게 설정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화이트와인과 레드와인은 서로 다른 온도범위로 보관될 수 잇다.
또한, 냉기공급부(130)는 헤드박스(134)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박스(134)는 덕트부(140)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헤드박스(13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덕트부(140)에 냉기가 주입되도록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헤드박스(13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기공급부(130)가 2중의 온도범위의 냉기를 공급하는 경우, 헤드박스(134)는 복수로 형성되어 냉기를 온도범위에 따라 덕트부(140)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냉기공급부(130)는 소음을 감지할 수 있다. 냉기공급부(130)는 응축기(131), 증발기(132), 압축기(133), 펌프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녹음하고 이를 제어부(150)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냉기공급부(130)는 소리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냉기공급부(130)는 소음이 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 소음정보를 녹음하게 된다. 이러한 소음정보는 내부의 구성품들의 고장 여부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냉기공급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리감지센서가 설치되어 각 구성품에 따른 소음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덕트부(140)는 일측이 냉기공급부(130)와 연결되어 진열부(120)로 냉기를 전달한다. 덕트부(140)는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덕트부(140)는 단면이 'ㄷ'자 형상의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덕트부(140)는 복수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덕트부(140)는 진열부(120)에 서로 다른 높이에서 냉기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부(140)는 본체부(110) 내에서 도어(111)가 형성된 진열부(120)의 정면이 아닌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냉기가 진열부(120)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냉기가 진열부(120)의 앞쪽인 도어(111) 방향에서 공급되면 열손실에 의해 냉기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의 덕트부(140)는 복수의 증발기(132)와 분할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덕트부(140) 중 일부는 제1 온도범위의 냉기를 공급하는 제1 증발기(132-1)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덕트부(140) 중 나머지 일부는 제2 온도범위의 냉기를 공급하는 제2 증발기(132-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중의 온도범위의 냉기를 서로 다른 덕트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진열부(120)에 진열된 다양한 와인병(1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증발기(132-1) 또는 제2 증발기(132-2)와 연결되는 덕트부(140)의 개수는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달라 질 수 있다.
또한, 덕트부(140)의 일측에는 차단판(141)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판(141)은 복수의 덕트부(140)의 냉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덕트부(140) 중 제1 증발기(132-1)와 연결된 덕트부(140)와, 제2 증발기(132-2)와 연결된 덕트부(140)를 서로 구분하기 위해 차단판(141)이 사용될 수 있다. 차단판(141)을 이용하여 덕트부(140)를 구분하여 온도범위가 서로 다른 냉기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판(141)은 덕트부(1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진열부(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차단판(141)의 개수 및 위치는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서 (a)는 덕트부(140)에 차단판(141)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덕트부(140)에 차단판(141)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덕트부(140)는 텔레스코프(telescope) 형태로 접이식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도 있다. 이는 진열부(120)의 높이에 따라 덕트부(140)의 길이를 가변시켜 냉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덕트부(14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142)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142)는 각각의 덕트부(1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142)는 후술하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열부(120)의 높이에 따라 복수의 덕트부(14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 진열부(120)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손쉽게 덕트부(140)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서 (a)는 덕트부(140)가 길이가 연장되기 전의 모습이고, (b)는 구동모터(142)에 의해 덕트부(140)의 길이가 증가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제어부(150)는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냉기공급부(130)를 제어한다. 이 경우, 본체부(110)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냉기공급부(130)의 냉기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를 미달하는 경우 냉기공급부(130)의 냉기 공급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범위 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냉기공급부(130)가 상시에 구동되는 제1 압축기(133-1)와, 비상시에 구동되는 제2 압축기(133-2)를 포함하는 경우 구동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제1 압축기(133-1)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되지 않는 경우, 제2 압축기(133-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는 제1 압축기(133-1)가 고장시 본체부(1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와인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제2 압축기(133-2)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냉기공급부(130)의 냉기 공급량을 최대한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진열부(120)에 로드셀이 형성된 경우 무게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150)는 진열부(120)에서 생성하는 무게정보를 기초로 현재 진열부(120)에 진열된 와인병(10)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진열부(120)에 진열된 와인병(10)이 없는 경우 냉기공급부(130)를 제어하여 냉기 공급을 차단하거나 줄일 수 있다. 이는 진열부(120)에 와인병(10)이 진열되지 않은 경우 불필요한 냉기 공급을 차단하거나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냉기공급부(130)에 소음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소음정보를 획득하여 분석한다. 이 경우, 정상범위의 소음정보인 정상소음정보가 미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기공급부(130) 중 응축기(131), 증발기(132), 압축기(133), 펌프 등 각 구성품에 따른 정상소음정보가 구분되어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소음정보를 기 설정된 정상소음정보과 비교하여 기 설정치를 초과하면 고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고장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알림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의 구성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의 비전검사부 및 입체스캔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100)는 비전검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전검사부(160)는 진열부(120)에 진열된 와인병(10)의 라벨(11)을 비전검사한다. 예를 들어, 비전검사부(160)는 와인병(10) 전체를 촬영하거나, 와인병(10)의 라벨(11) 영역을 식별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정보는 제어부(150)로 출력된다. 비전검사부(160)는 본체부(110)나 진열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전검사부(160)는 본체부(110)나 진열부(120)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비전검사부(160)를 이용하여 전체 와인병(10)의 라벨(11)을 촬영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비전검사부(160)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전검사부(16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와인병(10) 또는 와인병(10)의 라벨(11)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와인병(10)의 라벨(11)을 비전검사하여 와인의 식별정보(20)를 획득한다. 이는 와인의 종류와 보관온도를 자동으로 판단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와인병(10)의 식별정보(20)에 따라 기 설정된 온도범위로 냉기공급부(130)를 제어하여 냉기를 공급한다. 제어부(150)는 진열부(120)에 같은 층에 진열된 복수의 와인병(10) 중 설정된 보관온도가 현재 냉기의 온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온도범위의 냉기가 공급되어야 하는 와인병(10)이 같은 진열대에 보관된 경우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서 입체스캔부에 따라 와인병의 라벨의 불량을 검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100)는 입체스캔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체스캔부(170)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와인병(10)의 표면을 입체스캔한다. 입체스캔부(170)는 본체부(110) 또는 진열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스캔부(170)는 3D 스캐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와인병(10) 표면의 종이재질의 라벨(11)을 스캔할 수 있다. 이는 와인병(10)에 형성된 라벨(11)이 들뜨거나 훼손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입체스캔부(170)는 본체부(110) 또는 진열부(120)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수의 와인병(10)의 라벨(11)을 입체스캔할 수 있다. 입체스캔부(170)는 와인병(10) 표면의 라벨(11)에 대한 스캔정보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입체스캔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스캔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입체스캔부(17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스캔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150)는 와인병(10) 중 라벨(11)의 표면 높이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훼손이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입체스캔부(170)를 통해 라벨(11)의 면적을 확인하고, 곡면 형태에서의 높이 변위를 계산하여 훼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와인병(10)의 종이재질의 라벨(11)이 훼손된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200)로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관리자에게 와인병(10) 라벨(11)의 상태가 훼손되었음을 알림으로써 상품가치가 떨어진 와인병(10)을 빠르게 교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에서 (a)는 라벨(11)이 정상상태를 나타내고, (b)는 라벨(11)이 훼손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6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에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100)는 통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80)는 로라(LoRa) 방식의 저전력 무선통신이 가능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80)는 사용자 단말(200)로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100)의 온도상태나, 냉기공급부(130)의 동작상태, 소비전력 등을 전송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는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100)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80)는 관리자서버로 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자서버에서는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200)로 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1 압축기(133-1)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 고장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 푸시알람 형태로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150)가 사용자 단말(200)로 고장신호를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 압축기(133-1)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획득하여 인증하면 고장처리를 인증한다. 이는 관리자가 실제 현장에 와서 고장 상태를 점검했는지 여부를 인증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100)의 고장상태를 보다 신속하게 파악하고, 관리자의 점검 여부를 인증함으로써 고장수리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110 : 본체부
111 : 도어
120 : 진열부
130 : 냉기공급부
131 : 응축기
132 : 증발기
132-1 : 제1 증발기
132-2 : 제2 증발기
133 : 압축기
133-1 : 제1 압축기
133-2 : 제2 압축기
134 : 헤드박스
140 : 덕트부
141 : 차단판
142 : 구동모터
150 : 제어부
160 : 비전검사부
170 : 입체스캔부
180 : 통신부

Claims (5)

  1. 일측에 도어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와인병을 진열하는 진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하부로 냉기를 공급하되, 상시에 구동되는 제1 압축기와, 비상시에 구동되는 제2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기공급부;
    일측이 상기 냉기공급부와 연결되며,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진열부에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냉기를 전달하되, 텔레스코프 형태의 접이식으로 길이가 가변되며, 일측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상기 진열부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의 덕트부;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냉기공급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압축기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압축기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고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압축기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획득하여 인증하면 고장처리를 인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공급부는,
    복수의 상기 덕트부 중 일부와 연결되어 제1 온도범위의 냉기를 공급하는 제1 증발기와, 복수의 상기 덕트부 중 일부와 연결되어 제2 온도범위의 냉기를 공급하는 제2 증발기를 포함하는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와인병의 표면을 입체스캔하여 종이재질로 된 라벨의 훼손 여부를 감지하는 입체스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벨의 면적을 확인하고, 곡면 형태에서의 높이 변위를 계산하여 상기 라벨의 훼손 여부를 판단하는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부에 진열된 상기 와인병의 라벨을 비전검사하는 비전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인병의 상기 라벨을 비전검사하여 상기 와인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온도범위로 상기 냉기를 공급하는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5. 삭제
KR1020210084271A 2021-06-28 2021-06-28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KR102335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271A KR102335375B1 (ko) 2021-06-28 2021-06-28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271A KR102335375B1 (ko) 2021-06-28 2021-06-28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375B1 true KR102335375B1 (ko) 2021-12-06

Family

ID=7890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271A KR102335375B1 (ko) 2021-06-28 2021-06-28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377B1 (ko) * 2022-07-21 2023-02-08 박지인 와인 냉장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814A (ko) * 1997-12-26 1999-07-15 최진호 쇼케이스의 원격제어장치
KR20020091422A (ko) * 2001-05-30 2002-12-06 세협기계(주)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KR20100090011A (ko) * 2009-02-05 2010-08-13 주식회사 청우정공 두 개의 냉동 냉장시스템을 구비한 냉동 냉장고의 구동 제어방법
KR20160081147A (ko) * 2014-12-30 2016-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냉장 진열장
KR20160082106A (ko) * 2014-12-30 2016-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냉장 진열장
KR20190102141A (ko) * 2019-07-22 2019-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 냉장고에 탑재된 인공 지능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4814A (ko) * 1997-12-26 1999-07-15 최진호 쇼케이스의 원격제어장치
KR20020091422A (ko) * 2001-05-30 2002-12-06 세협기계(주) 쇼케이스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KR20100090011A (ko) * 2009-02-05 2010-08-13 주식회사 청우정공 두 개의 냉동 냉장시스템을 구비한 냉동 냉장고의 구동 제어방법
KR20160081147A (ko) * 2014-12-30 2016-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냉장 진열장
KR20160082106A (ko) * 2014-12-30 2016-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냉장 진열장
KR20190102141A (ko) * 2019-07-22 2019-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 냉장고에 탑재된 인공 지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377B1 (ko) * 2022-07-21 2023-02-08 박지인 와인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171B2 (en) Food keeping refrigerator
KR101071032B1 (ko) 식품보관 냉장고
US6619052B1 (en) Variable air curtain velocity control
EP3213960B1 (en) Refrigerated storage unit
JP2004532964A (ja) 冷蔵庫の冷気循環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335375B1 (ko) 쇼케이스형 와인 냉장고
US201703008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al Monitoring in a Retail Facility
US11703274B2 (en) Inventory indication mechanism utilizing visual indicia
KR101966748B1 (ko) 인공지능형 냉장냉동 저장창고 시스템
KR102298477B1 (ko) 냉장 및 냉동 창고 제어 시스템
CN100541067C (zh) 食品储藏冰箱和食品储藏方法
US6775994B1 (en) Refrigerated display merchandiser with variable air curtain
KR101816772B1 (ko) 오픈 쇼케이스의 냉기공급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
US20230404294A1 (en) Process for optimising the position of refrigerator air guides in order to achieve increased energy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KR100849195B1 (ko) 지그비를 이용한 쇼케이스 관리 시스템
KR20170016546A (ko) 보관 온도가 서로 다른 신선화물의 동시 운반이 가능한 냉장 컨테이너
JP4936356B2 (ja) ショーケース
KR102162285B1 (ko) 자동 온도 조절이 가능한 무인택배시스템
JP2012115587A (ja) ショーケースの商品検知装置
CN210696886U (zh) 货柜及售货机
KR100194439B1 (ko) 쇼케이스의 상품량 검출장치 및 방법
KR102210394B1 (ko) 손 온도 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화장품 냉장고
CN214067675U (zh) 一种基于图像的智能冷藏车
US115256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frost lighting in refrigerated cases
CN115077163A (zh) 物品存放柜及物品存放柜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