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110A -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 - Google Patents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110A
KR20020088110A KR1020010027001A KR20010027001A KR20020088110A KR 20020088110 A KR20020088110 A KR 20020088110A KR 1020010027001 A KR1020010027001 A KR 1020010027001A KR 20010027001 A KR20010027001 A KR 20010027001A KR 20020088110 A KR20020088110 A KR 20020088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code
base station
toll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8110A/ko
Publication of KR2002008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11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료도로에서 자동으로 통행요금을 징수하는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은,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탑재장치를 장착한 차량이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에 진입하여, 상기 노변기지국으로 차량탑재장치의 제조회사를 나타내는 제조회사코드와, 상기 차량탑재장치의 고유의 번호를 나타내는 제품식별코드와, 상기 차량탑재장치를 장착한 차량의 종류 및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차량정보코드를 포함한 차량식별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노변기지국이 전송받은 차량식별번호를 단말제어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 제어기에서 차량탑재장치 및 차량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특별한 체계가 정의되지 않았던 차량탑재장치의 식별번호체계를 정의함으로써, 다른 기종의 기지국이라도 표준화된 식별번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호환이 가능하고, 한꺼번에 차량번호 및 차종정보와 함께 차량탑재장치의 정보를 읽어올 수 있으므로 시간과 채널이 절약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Method of Car Cognition for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은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에서의 차량식별번호체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탑재장치로부터 노변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차량식별번호의 체계를 정의하는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탑재장치의 차량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와 같은 유료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은 통행 요금을 지불하게 되어 있는데, 이를 위하여 유료도로를 들어가는 입구 및 출구에 톨게이트(Toll Gate)를 설치하여 요금을 징수하게 된다.
종래에는 각각의 톨게이트에 사람을 배치하여 차량이 진입 및 출입할 때 차량을 정지시키고 요금을 계산하여 내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톨게이트에 배치해야 하는 많은 인력과, 요금을 내기 위하여 정차하는 차량으로 인한 차량 운행 지체, 유류비용 낭비 등의 손실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현재 단거리 무선 전용통신 시스템 기술을 이용한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단거리 무선 전용통신 시스템(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은, 5.8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도로 주변에 설치하는 노변기지국(RSU; Road Side Unit)과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탑재장치(OBU; On-Board Unit)사이에 무선 통신하는 방법으로 노변기지국에 연결된 안테나에 의해서 형성되는 통신가능 영역(Communication Zone)내를 차량탑재장치가 장착된 차량이 통과할 경우만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단거리 무선 전용통신방식은 노변기지국이 보내는 전파를 차량탑재장치가 반사하여 통신을 하는 수동형 방식과, 상기 노변기지국 및 차량탑재장치가 전파 발신할 수 있어서 전파를 통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능동형 방식으로 나뉜다.
본 발명에서 응용하는 단거리 무선 전용통신 방식은 능동형 방식을 취하고 있다.
ETC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탑재장치가 노변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정보는 차량번호 및 차종정보와, 차량탑재장치의 식별번호, 스마트 카드번호 등이 있으며, 상기 정보를 전송받은 노변기지국이 요금정산용 단말 제어기로 차량정보와 스마트 카드 정보를 전송하여, 요금정산용 단말 제어기가 차량을 정확히 인식해야만 요금 징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는 차량탑재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차량식별번호에 대한 정해진 체계가 없었기 때문에, 상기 차량정보를 전송하는 차량탑재장치에 따라서 그 체계가 서로 달랐다.
따라서, 서로 제조회사가 다른 노변기지국 또는 기종이 다른 노변기지국은 차량탑재장치가 전송하는 식별번호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지국의 기종에 따라 인식되는 식별번호의 체계가 달랐던 것을, 서로 다른 기종의 기지국과의 통신에 있어서도 호환될 수 있는 차량탑재장치의 식별번호 체계를 정의함으로써, 다른 기종의 기지국을 통과하는 차량도 무리 없이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탑재장치의 차량인식방법을 제공함에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통행 요금 징수 방법의 동작 순서에 따른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탑재장치의 차량식별번호 체계 및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의 간단한 설명>
10 : 안내 표시기20 : 차종분류기
30 : 노변 기지국40 : 차량탑재장치
50 : 요금정산용 단말 제어기60 : 차량촬영장치
70 : 요금정산결과 표시기80 : 지역 서버
본 발명에 따른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탑재장치를 장착한 차량이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에 진입하여, 상기 노변기지국으로 차량탑재장치의 제조회사를 나타내는 제조회사코드와, 상기 차량탑재장치의 고유의 번호를 나타내는 제품식별코드와, 상기 차량탑재장치를 장착한 차량의 종류 및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차량정보코드를 포함한 차량식별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노변기지국이 전송받은 차량식별번호를 단말제어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 제어기에서 차량탑재장치 및 차량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조회사코드는 제조회사가 속한 국가번호와, 제조회사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품식별코드는 차량탑재장치의 제조 연월일 및 제조된 순서에 따른 제품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정보코드는 차량이 제조된 국가번호와, 차종에 따른 고유 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종류코드와, 차량의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량인식방법을 사용하는 능동형 단거리 무선 전용통신 방식을 이용한 개방형 톨게이트에서의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은 도 1의 구성과 같으며, 도 1은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은 차종 정보 및 스마트 카드 정보를 가지고, 독자적으로 그 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차량탑재장치(40)와, 상기 차량탑재장치(40)를 장착한 차량운전자에게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전용 차선임을 알리기 위한 안내표시기(10)와, 상기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기 위한 차종분류기(20)와, 상기 차량탑재장치(4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도료이용료를 정산하기 위한 노변기지국(30)과, 상기 차종분류기(20) 및 노변기지국(30)을 관리하며 서버에 정산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요금정산용 단말 제어기(50)와 도료이용료 위반 및 오류차량이 번호판을 찍기 위한 차량촬영장치(60)와, 상기 차량탑재장치(40)를 장착한 차량 운전자에게 정산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요금정산 결과 표시기(70)와, 각 지역별 도로 요금소의 정산 결과를 모아서 저장, 관리하는 지역서버(8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메시지는 도 2 및 도 3과 같으며, 도 2는 통행 요금 징수 방법의 동작 순서에 따른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탑재장치의 차량식별번호 체계 및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차량탑재장치(40)를 장착한 차량이 톨게이트로 접근하여, 통신영역에 들어서면, 안내표시기(10)가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 의해 요금을 계산한다는 것을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알리고, 상기 톨게이트에 설치된 차종 분류기(20)가 상기 차량의 길이, 높이, 폭 등의 정보를 스캔하여 차종정보를 요금정산용 단말 제어기(50)로 전송한다(S1).
또한, 상기 차량에 장착된 차량탑재장치(40)가 상기 노변기지국(30)으로 차종정보 및 스마트카드 정보를 전송한다(S2).
이때, 상기 차종정보에는 차량식별정보가 포함되는데, 도 3과 같은 식별번호 체계를 가지는 정보이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차량탑재장치(40)를 만든 제조회사에 대한 제조회사코드가 16비트를 이루고 있으며, 차량탑재장치 고유의 제품식별코드가 64비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차량탑재장치(40)를 장착한 차량의 차종정보코드가 차량종류에 대한 식별번호 16비트와, 차량번호에 대한 40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3에 사용 예를 보면, 한국의 LG전자에서 제작한 차량탑재장치라는 표시의 '1234'와 2001년 4월 4일 10000000째 제품이라는 뜻의 '2001040410000000' 와 차량이 한국의 차량이고, 승용차인 경우 '1101' 차량번호가 '서울 01 가 1234' 일 경우 '0101011234'로 이루어진 십진수 숫자를 이진수로 하여 하나의 숫자 당 8비트로 이루어진 총 16+64+16+40=136 비트로 이루어진 식별번호 체계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식별번호체계에 의하여 노변기지국(30)은 서로 제조 회사가 다르다거나, 기종이 틀리더라도 호환이 될 수 있고, 하나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차종정보, 차량정보, 차량탑재장치의 고유식별번호에 대한 정보까지 모두 보낼 수 있다.
차종식별번호와 스마트 카드정보를 전송 받은 노변기지국(30)은 그 정보를요금정산용 단말 제어기(50)로 전송하고(S3), 상기 요금정산용 단말 제어기(50)에서는 상기 차종분류기(20)에서 전송한 차종정보와, 상기 차량탑재장치(40)에서 전송된 차종정보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고(S4), 차량요금 면제차량인가를 판단하고 (S5), 블랙 리스트에 등록된 차량인가를 검색하여(S6), 차종정보가 일치하고, 요금 면제 차량이 아니며, 블랙 리스트에 등록되지 않은 차량일 경우, 요금을 계산하고(S7), 상기 차량의 차종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차량이면 차량촬영장치(60)로 신호를 보내어,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요금을 계산한 요금정산용 단말 제어기(50)는 노변기지국(30)으로 요금처리정보를 전송하고(S8), 노변기지국(30)은 상기 전송 받은 요금처리정보와 진입요금소 정보를 차량탑재장치(40)로 전송한다(S9).
또한, 상기 노변기지국(30)은 요금처리에 따른 최종결과정보를 요금정산용 단말 제어기(50)로 전송하여(S10), 상기 요금정산용 단말 제어기(50)에서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고(S11), 오류가 없다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고, 오류가 생기면 차량촬영장치(60)로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도록 한다.
또, 상기 노변기지국(30)은 최종 요금 처리결과 정보를 차량탑재장치(40)로 전송한다(S12)
또한, 상기 요금정산용 단말 제어기(50)는 비정상적으로 요금징수 과정을 거친 차량인 경우, 즉, 차종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거나, 블랙 리스트에 등록된 차량이거나, 요금 처리상에 오류가 발생한 차량인 경우 차량촬영장치(60)가 차량번호를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차량촬영장치(60)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를 받아(S13), 지역서버로 전송하도록 하고(S14), 정상적으로 요금징수가 이루어진 차량의 경우는, 요금 정산 결과 정보를 지역서버(80)로 전송한다(S14)
상기와 같이 요금정산이 처리되면, 요금정산결과 표시기(70)에서 요금 정산결과를 표시하도록 한다(S15). 이때 요금정산 결과를 표시하는 것은 오류에 대한 메시지 또는 통행요금과 스마트카드의 잔액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탑재장치의 차량식별번호 표시방법은 특별한 체계가 정의되지 않았던 차량탑재장치의 식별번호체계를 정의하여 차량탑재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다른 기종의 기지국이라도 표준화된 식별번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호환이 가능하고, 한꺼번에 차량번호 및 차종정보와 함께 차량탑재장치의 정보를 읽어올 수 있으므로 시간과 채널이 절약하고, 차량정보를 포함하므로 차량탑재장치를 허가없이 타 차량에 부탁하여 대여할 수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탑재장치를 장착한 차량이 노변기지국의 통신영역에 진입하여, 상기 노변기지국으로 차량탑재장치의 제조회사를 나타내는 제조회사코드와, 상기 차량탑재장치의 고유의 번호를 나타내는 제품식별코드와, 상기 차량탑재장치를 장착한 차량의 종류 및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차량정보코드를 포함한 차량식별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노변기지국이 전송받은 차량식별번호를 단말제어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 제어기에서 차량탑재장치 및 차량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회사코드는 제조회사가 속한 국가번호와, 제조회사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식별코드는 차량탑재장치의 제조 연월일 및 제조된 순서에 따른 제품번호를 포함하는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코드는 차량이 제조된 국가번호와, 차종에따른 고유 코드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종류코드와, 차량의 번호를 포함하는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
KR1020010027001A 2001-05-17 2001-05-17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 KR20020088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001A KR20020088110A (ko) 2001-05-17 2001-05-17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001A KR20020088110A (ko) 2001-05-17 2001-05-17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110A true KR20020088110A (ko) 2002-11-27

Family

ID=2770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001A KR20020088110A (ko) 2001-05-17 2001-05-17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811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0229A (ja) * 1994-12-27 1996-07-12 Mitsubishi Heavy Ind Ltd 料金収受システム
JPH0962982A (ja) * 1995-08-25 1997-03-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車種判別装置
KR19980077362A (ko) * 1997-04-18 1998-11-16 윤종용 혼합형 폐쇄식 통행요금징수 시스템
KR19980077361A (ko) * 1997-04-18 1998-11-16 윤종용 차종 판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0229A (ja) * 1994-12-27 1996-07-12 Mitsubishi Heavy Ind Ltd 料金収受システム
JPH0962982A (ja) * 1995-08-25 1997-03-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車種判別装置
KR19980077362A (ko) * 1997-04-18 1998-11-16 윤종용 혼합형 폐쇄식 통행요금징수 시스템
KR19980077361A (ko) * 1997-04-18 1998-11-16 윤종용 차종 판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6831C (zh) 车辆通行费自动记帐方法
US6396418B2 (en) Toll collection system, on board unit and toll collection method
KR100748609B1 (ko) 다차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
CN101714263A (zh) 用于电子收费车道的车辆管理方法及管理系统
KR100201028B1 (ko) 노차간 통신 방법 및 장치
EP2402912B1 (en) Electronic toll charging system and method
CN212990164U (zh) 一种融合部标机的etc车载单元装置
CN107492152B (zh) 一种基于汽车电子标识的电子不停车收费提示方法及系统
JP2915748B2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0182109A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JP2009116480A (ja) 不正通行車両の監視装置
KR100839264B1 (ko) 개방형 톨게이트의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JP2001052217A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および車載器
KR20020086107A (ko) 폐쇄형 톨게이트의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
KR100792963B1 (ko)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스마트카드 정보 인식방법
KR100399434B1 (ko) 휴대형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장치 및방법
KR20020088110A (ko)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의 차량인식방법
JP4066873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の料金所端末装置、etc車載機、退場可否判定方法
JP4116419B2 (ja) 車両管理システムならびに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20030000461A (ko) 통행요금징수 시스템의 스마트카드 잔액부족 통보방법
JP3933836B2 (ja) ノンストップ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における二重課金防止方法
KR100963050B1 (ko) 하이패스 미납요금의 정산시스템
JP3463665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課金情報通信装置、車載機、課金結果取得装置、センター
KR100491260B1 (ko) 장거리 알에프아이디 내장형의 신용카드를 이용한 자동차통행료 자동 징수 시스템
KR2004007873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방식 통행료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