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878A - 선형상 안테나 - Google Patents

선형상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7878A
KR20020087878A KR1020020026612A KR20020026612A KR20020087878A KR 20020087878 A KR20020087878 A KR 20020087878A KR 1020020026612 A KR1020020026612 A KR 1020020026612A KR 20020026612 A KR20020026612 A KR 20020026612A KR 20020087878 A KR20020087878 A KR 20020087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 element
meander
corner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시로타카노리
토모마쯔이사오
하마다히로키
사토신지
Original Assignee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87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12Resonant antennas
    • H01Q11/14Resonant antennas with parts bent, folded, shaped or screened or with phasing impedances, to obtain desired phase relation of radiation from selected sections of the antenna or to obtain desired polarisation effect
    • H01Q11/16Resonant antennas with parts bent, folded, shaped or screened or with phasing impedances, to obtain desired phase relation of radiation from selected sections of the antenna or to obtain desired polarisation effect in which the selected sections are collin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16Antenna or wave energy "plumbing" making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휴대정보단말, 무선LAN(로컬에어리어네트워크)의 단말기기등에 사용되는 소형의 선형상안테나에 관한것으로서, 그 구성에 있어서, 선형상안테나는, 띠형상도체를 띠의 폭방향으로 절곡한 안테나엘리멘트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상도체의 절곡부분의 바깥가장자리에 모떼기부분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한것이다.

Description

선형상 안테나{LINE-SHAPED ANTENNA}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휴대정보단말, 무선LAN(로컬에어리어네트워크)의 단말기기등에 사용되는 소형의 선형상안테나에 관한것이다.
선형상 안테나(이하, 단지 「안테나」라고 말한다)는, 예를 들면, 안테나 엘리멘트가 미언더형상(이하, 「미언더안테나」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에 형성된 도체를 갖추고 있다. 통상의 경우, 미언더안테나의 안테나 엘리멘트는, 유전체 기판에 붙인 금속판의 패턴 에칭 혹은 금속판으로부터의 펀칭가공등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안테나 엘리멘트는, 얇고, 어느 정도의 폭을 가지는 띠모양 도체가 된다.
그러나, 미언더안테나는, 띠모양 도체가의 절곡 회수가 많아지면, 대역폭이 좁아진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선형상 안테나로서 안테나 엘리멘트와 수지 성형체가 일체화된 안테나가 알려져 있다. 이 선형상 안테나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인서트 성형에서는, 안테나 엘리멘트가 금형의 캐비티내에 세트되어 수지가 사출 성형된다. 안테나 엘리멘트가, 상기와 같이, 얇은 금속판으로부터 펀칭가공 또는 에칭 가공된 미언더패턴(도체는 얇은폭의 띠모양이 된다)을 가지는 경우(전부가 미언더패턴의 경우와 일부가 미언더패턴의 경우가 있다)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선형상 안테나를 제조하면, 사출 성형시의 수지의 흐름에 의해 미언더패턴이 변형하기 쉽다.
이 때문에, 안테나 엘리멘트는 다음과 같이 형성되고 있다. 안테나 엘리멘트와 그 외 측에 마련한 폭이 넓은 프레임을 다수의 연결부에서 연결한 일체의 도체 패턴으로서 형성한다. 그리고, 사출 성형을 실시할 때는, 프레임 및 연결부를 금형으로 사이에 두어 붙여, 미언더패턴이 변형하지 않게 유지한다.
그러나, 미언더패턴이 복잡화 하면, 미언더패턴과 프레임을 연결부에서 연결할 수 없는 부분이 생기기때문에, 이 부분에서 변형하기 쉬워진다.
미언더패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띠모양 도체의 폭을 넓게 하거나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공진 주파수가 오른다고하는 문제가있다.
도 1a∼도 1c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한 미언더안테나를 표시한 도면이며,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측면도, 도 1c는 배면도.
도 2a∼도 2c는, 종래의 미언더안테나를 표시한 도면이며,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측면도, 도 2c는 배면도.
도 3은, 도 1a∼도 1c와 도 2a∼도 2c의 미언더안테나의 시험결과를 표시한 그래프.
도 4a는, 본 발명에 관한 미언더안테나의 모떼기부분의 폭(크기)와 대역폭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도 4b는, 모떼기부분의 크기의 정의를 표시한 설명도.
도 5a∼도 5c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한 미언더안테나를 표시한 도면이며, 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측면도, 도 5c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를 표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형상안테나를 표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선형상안테나를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도체패턴을 표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 전체부분의 코너부분에 모떼기를 실시한 도체패턴을 표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형태에 관한 선형상안테나를 표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선형상안테나를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도체패턴을 표시한 평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형태에서 채용되는 귀통이보강부분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선형상안테나12: 유전체기판
14: 안테나엘리멘트16: 금속판
18: 급전부분20: 해방끝부분
22: 모떼기부분30: 급전부분
본 발명의 목적은, 개량된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국면과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는, 보다 광대역화 된 선형상 안테나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는, 띠모양 도체를 띠의 폭방향으로 접어 구부린 안테나 엘리멘트를 구비해, 상기 띠모양 도체가 접히고 구부러진 부분의 바깥 가장자리에 모떼기부가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떼기부를 마련하는 것으로, 안테나를 광대역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체 패턴의 전체 길이는, 그 전기장이 실질적으로 이 안테나로 수발신하는 주파수의 파장λ의 n/4배(n는 정의 정수. 통상 n=1)가 되도록 정해져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에 대해, 모떼부의 크기(이등변 삼각형에 모떼기 했을 때의 2 등변의 한 변의 길이)는 띠모양 도체의 도체폭의 0.7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국면과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는, 수지 성형체의 성형시에 미언더패턴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안테나 특성이 안정된 선형상 안테나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 2국면과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는, 띠모양 도체의 미언더패턴을 가지는 안테나 엘리멘트와 상기 안테나 엘리멘트와, 일체가 되도록 성형된 수지 성형체와 상기 미언더패턴의 복수의 코너부 가운데 적어도 1개의 코너부의 안쪽에 설치된 귀통이보강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귀통이보강부분이 형성되는 코너부는, 수지 성형시에 변형하기 쉬운 코너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성형시에 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것은, 미언더패턴의 외측의 프레임과의 연결부로부터 멀어진 코너부인 것이 많기 때문에, 상기 귀통이보강부분이 형성된 코너부는, 상기 미언더패턴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로부터 멀어진 장소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안테나 엘리멘트가, 미언더 진행 방향이 다른 복수의 미언더패턴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미언더 진행 방향이 바뀌는 코너부는 일반적으로, 프레임과의 연결부를 근처에 마련하지 못하고, 수지 성형시에 변형하기 쉽다. 따라서, 귀통이보강부분은 이러한 코너부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언더패턴을 가지는 안테나 엘리멘트의 경우에, 미언더패턴의 코너부는 상기와 같이 외측을 모떼기 한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귀통이보강부분을 형성한 코너부는 외측을 모떼기 하지 않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귀통이보강부분을 형성해서 보강하는 코너부는, 모떼기를 생략 해 한층 더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 수지 성형시에 변형하기 쉬울 때는, 1개의 직선 부분을 구성하는 2개의 인접하는 코너부중 안테나 엘리멘트의 수지 성형 체중심에 가까운 쪽의 코너부는 귀통이보강부분을 형성하지 않고 모떼기를 생략 해, 중심으로부터 먼 쪽의 코너부는 귀통이보강부분을 형성해서 모떼기를 생략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안테나 엘리멘트의 중심으로 가까운 쪽의 코너부를 끊게 하면, 주파수 변동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 안테나 엘리멘트는 미언더 진행 방향이 다른, 제1 미언더패턴과 제2 미언더패턴이 미언더의 피치 방향이 직교 하도록 배치되고 있고, 제1 미언더패턴은 수지 성형 시에 수지의 주입되는 게이트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코너부와 멀어진 위치에 있는 코너부를 가지고 있고, 가까운 위치에 있는 코너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코너부에는 귀통이보강부분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안테나 엘리멘트가, 진행 방향이 다르고, 폭이 다른 2개의 미언더패턴이 연이어 형성된 부분에서 연이어 형성된 미언더패턴을 포함해, 상기 연이어 형성된부분과 상기 연이어 형성된 부분에 계속하는 폭넓은 미언더패턴측의 2개의 각부에서는, 모떼기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안테나 엘리멘트는, 외측의 모떼기가 생략 되고 제3의 코너부와 귀통이보강부분이 형성되고 있는 제4의 코너부의 적어도 한쪽을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의 실시형태)
도 1a로부터 도 1c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를 나타내는 도이다.
선형상 안테나(10)은, 유전체 기판(12)의 한쪽면에 형성된 미언더형상의 띠모양 도체로 이루어진 안테나 엘리멘트(14)와,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금속판(16)을 갖추고 있다. 안테나 엘리멘트(14)는, 대략 4분의 1 파장의 길이를 가져, 그 한끝이 급전부(18)이며, 그 다른끝이 해방된 끝부분(20)이다. 덧붙여 금속판(16)은 접지되어 있지 않다. 즉 이 금속판(16)은, 그랜드판은 아니고, 기생 엘리멘트로서 작용한다. 안테나 엘리멘트(14)는, 미언더의 폭방향으로 똑바로뻗는 폭방향 직선부 a와 미언더의 피치 방향으로 똑바로 뻗는 피치 방향 직선부 b를 가지고, 폭방향 직선부 a와 피치 방향 직선부 b가 직각을 이루고 있다. 즉, 안테나 엘리멘트(14)가,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해서 형성되고 있다. 제 l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10)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소정의 폭과 길이로 커트한 양면 구리박기판(구리의 두께 36μm)을 준비한다. 그리고, 기판의 한쪽면의 구리박을 에칭, 펀칭가공성형 또는 인쇄하는 것으로써 안테나 엘리멘트(14)를 형성한다.
제 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10)은, 안테나 엘리멘트(l4)의 띠모양 도체가 직각에 꺽여지는 부분의 바깥 가장자리가, 이등변 삼각형형상으로 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1의 실시 형태는, 직선부 a 및 직선부 b가 이루는 각도를 2등분하는 선에 대해서 직교 하는 선을 따라 커트 된 모떼기부(22)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모떼기부(22)는 피치 방향에 대해서 45˚의 각도로 커트되어 형성되고 있다.
이 안테나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파장에 비해 안테나 엘리멘트(14)가 짧고,공진해서 동작하는 선형상 안테나에 대해서는, 미언더형상절곡부의 모난부분과 같은 개소가 안테나의 대역의 넓이에 영향을 주는 것이, 종래는 생각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본 출원과 관련되는 발명자가 상술한바와 같이 모떼기부(22)를 형성했던바, 모떼기부가 없는 경우에 비해 대역폭을 넓게 할 수가 있다.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는, 모떼기부(22)를 형성함으로써, 안테나 엘리멘트(14)가 절곡부에서의 임피던스의 변화가 작아지므로, 불필요한 반사를 막을 수가 있어 대역폭의 감소가 억제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시작예 1)
시작한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와 종래의 선형상 안테나의 비교 시험 결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로서 도 1a로부터 도 1c에 나타내는 것 같은 모떼기부(22)를 가지는 선형상 안테나(10)을 시작했다. 시작한 선형상 안테나(10)은, 유전체 기판(12)의 길이가 36mm, 폭이8mm, 두께가 1.6mm이다. 안테나 엘리멘트(14)의 도체폭이 1mm, 도체 간격이 1mm, 사행(蛇行)폭이6mm이다. 또, 금속판(16)의 길이와 폭이 유전체 기판(12)와 같다. 상기의 시작예와 비교하기위해, 종래의 선형상 안테나로서, 도 2a로부터 도 2c에 나타내는 것 같은 선형상 안테나(10)으로, 안테나 엘리멘트(14)의 절곡부분에 모떼기가 형성되고있지 않은 것 이외는 도 1a로부터 도 lC의 선형상 안테나(10)과 같은 것을 시작했다.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와 종래의 선형상 안테나의 주파수를 변화시켰을 때의 VSWR(전압 정재파비)의 변화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도 3에 그래프화해 표시한다. 커트가있는(모떼기부 있는)의 굵은선이 제 1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의 특성을 나타내고, 커트없는 가늘한선이 종래의 선형상 안테나의 특성을 나타낸다. 측정 결과로부터 구해진 복수의 VSWR레벨에서의 대역폭을, 표 1에 나타낸다.
대 역 폭
본 발명품모떼기부분있음 종래품모떼기부분없음
VSER<3 259㎒ 226㎒
VSWR<2.5 207 185
VSWR<2 154 135
VSWR<1.5 103 74
표 1에 나타내는 결과에 의하면, 안테나 엘리멘트가 절곡부분의 바깥가장자리에 모떼기부(22)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선형상 안테나보다 주파수대역폭을 넓게 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시작예 2)
모떼기부(22)의 크기를 바꾸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b에 나타내듯이, 도체폭W가 5mm, 10mm, 15mm의 3종류의 선형상 안테나를 준비했다. 그리고 모떼기부의 크기(직각 2등변 3각형에 모떼기 했을 때의 2 등변의 한변의 길이L)를, 도체폭W의 O배∼2배의 범위에서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대역폭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도 4a에 나타낸다. 도 4a에 의하면, 모떼기부 없음의 대역폭을 1으로 했을 경우, 모떼기부를 형성함으로써, 각각 대역폭이 다음과 같이 변화하는 것을 알수있다.
(1) 도체폭 5mm때: 대역폭 1.00∼1.09
(최대 변화량 △M=O.O9)
(2) 도체폭 10mm때: 대역폭 1.00∼1.16
(최대 변화량 △M=O.16)
(3) 도체폭 15mm때: 대역폭 1.00∼1.40
(최대 변화량 △M=O.40)
도 4a로 대역폭의 변화량이 △M/2이상이 되는 것은, 모떼기부의 크기가 도체폭W의 0.7배 이상일때이며, 특히 이 범위에서 광대역화의 효과가 현저하다. 따라서 모떼기부의 크기는 도체폭W의 0.7배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의 실시 형태)
도 5a로부터 도 5c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로부터 도 5c에 대해, 도 1a로부터 도 1c와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10)은, 유전체 기판(12)의 한쪽 면에 미언더형상의 띠모양 도체로 이루어진 안테나 엘리멘트(14)가 형성되고 있지만, 유전체 기판(12)의 반대쪽의 면에는 금속판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 2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와 같이, 금속판을 생략 한 구성에서도, 안테나의 광대역화를 꾀할 수가 있다.
(제 3의 실시 형태)
도 6은, 2주파수 공용 안테나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실시 형태이다. 제 3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안테나에서는, 도체 패턴이, 급전부(30)의 부근(「분기부」라고 칭한다)에서 양다리로 분기 해, 제 1의안테나 엘리멘트(14a)와 제 2의 안테나 엘리멘트(14b)가 연이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분기부에 약어 V자형의 베인 자국을 넣는 것으로, 모떼기부(22)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제 1의 실시 형태로부터 제 3의 실시 형태에서는 가장 효과가 현저한 띠모양 도체의 모난부분을 직선을 따라 잘라낸 모떼기부(22)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모떼기부는, 직선부와 직선부가 교차한(꺾여진다)모난부분의 바깥쪽을, 소정 반경의 원호 등 곡선을 따라 잘라내는 것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모떼기부(22)에서도 도체폭이 유지되도록 모난부분의, 안쪽에 도체를 팽출시킨 형상, 즉 모난부분 안쪽에도 모떼기를 형성한 형상으로 해도 괜찮은 것은 물론이다.
상기의 각 실시의 형태에 나타낸 것처럼, 띠모양 도체가 접히고 구부러진 부분의 바깥가장자리에 모떼기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종래보다 광대역의 안테나를 얻을 수 있다.
(제 4의 실시 형태)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떼기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주파수 특성이 개선된 선형상 안테나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모든 모퉁이에 모떼기부를 형성하면, 강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제 4의 실시 형태는, 이 문제의 해결을 꾀한 실시 형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4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는, 미언더의 진행 방향이다른 2개의 미언더패턴(14a),(14b)를 가지는 안테나 엘리멘트(14)를 갖추고 있다. 안테나 엘리멘트(14)는 평판 모양의 수지 성형체(12)안에 파묻히고 있다. 안테나 엘리멘트(14)의 한끝쪽에는 급전단자(18)이 수지 성형체(12)의 밖으로 뻗도록 형성되고, 다른끝쪽에는, 회로 기판등에의 고정 단자(20)이 수지 성형체(12)의 밖으로 뻗도록 형성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선형상 안테나는 다음과 같이해서 제조된다.
먼저, 도 8에 나타내는 것 같은 도체 패턴(40)이, 얇은 금속판(예를 들면 동판)의 펀칭 가공 또는 에칭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 도체 패턴(40)은, 사각형의 폭이 넓은 프레임(24)내에 배치된 미언더의 진행 방향이 다른 2개의 미언더패턴 (14a),(14b)를 가지는 안테나 엘리멘트(14)를 유지한다. 안테나 엘리멘트(l4)는 복수 개소에서 연결부(26)을 개재해서 프레임(24)에 연결되고 있다. 안테나 엘리멘트(14)의 한끝은 급전단자(18)을 개재해서 프레임(24)에 연결되고 있다. 안테나 엘리멘트(14)의 다른끝쪽은 고정 단자(20)을 개재해서 프레임(24)에 연결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안테나 엘리멘트(14)는 프레임(24)내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도 8에는, 프레임(24)의 네 귀퉁이에 형성된 위치 결정구멍이 표시되고 있다.
이러한 도체 패턴(40)을 금형에 세트해서 사출 성형을 한다. 도체 패턴(40)은, 금형의 상형과 하형으로 끼워진다. 도체 패턴(40)을 금형으로 사이에 두었을 때에, 2점쇄선의 테두리내의 캐비티(42)가 되고 있다. 따라서, 도 8에 있어서, 2점쇄선보다 외측의 부분(도체 패턴(40)의 연결부(26)의 바깥끝쪽,단자(18),(20)의 바깥끝쪽 및 프레임(24)이 금형으로 끼워진다. 캐비티(42)에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는, 안테나 엘리멘트(14)의 고정 단자(20)쪽에 있는 캐비티(42)의 면(42a)에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금형으로 사출 성형을 실시한 후, 연결부(26)을 수지 성형체의 둘레면을 따라 절단하는 동시에, 급전단자(18) 및 고정 단자(20)를 적당한 길이를 남겨 절단하면, 도 7과 같은 선형상 안테나를 얻을 수 있다.
제 4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의 안테나 엘리멘트(14)는, 미언더 진행 방향이 다른 2개의 미언더패턴(14a), (14b)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미언더패턴이 복잡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언더패턴이 복잡화 하면, 연결부(26)을 만들 수 없는 코너부가 생긴다. 예를 들면, 코너부(T1), (T2)등에 연결부(26)을 만들 수가 없다. 이러한 코너부(T1),(T2)는 수지 성형 시에 수지의 흐름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제 2의 미언더패턴(14b)의 안쪽의 코너부(T4)도 연결부를 만들 수 없는 코너부이지만, 제 2의 미언더패턴(14b)는 미언더폭이 좁기 때문에,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고, 그대로도 문제는 없다.
미언더패턴을 가지는 안테나 엘리멘트(14)의 경우는, 도 9에 나타내듯이, 모든 코너부의 바깥쪽 모떼기부(22)를 형성하는 것이, 광대역화를 꾀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지 성형시에 변형하기 쉬운 코너부(T1),(T2)에 모떼기부(22)를 형성하는 것은, 그 부분의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켜, 변형을 조장 하는 결과가 된다.
그래서, 제 4의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26)을 만들 수 없게되는, 강도적으로 문제가 있는 부분(모난부분)에 있어, 그 바깥쪽에 형성해야 할 모떼기를 생략해서,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제 4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 1미언더패턴(14a)와 제 2미언더패턴(14b)가 미언더의 피치 방향이 직교 하도록 배치되고 있다. 제 1미언더패턴(14a)는, 제 2미언더패턴(14b)보다 미언더폭이 넓다. 수지성형시에는, 제 1미언더패턴(14a)는, 그 미언더폭방향의 한끝이 상기 캐비티(42)의 게이트가 형성된, 면(42a)에 가까이 배치되고, 다른끝이, 면(42a)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수지성형시에 캐비티에 유입하는 수지는, 제 1미언더패턴(14a)의 미언더폭방향을 거의 따르도록 흐른다고 예상된다. 코너부(T2)는, 수지 성형시에, 이것에 인접하는 코너부(T1)보다 게트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또 코너부(T2)는, 이것에 인접하는 코너부(T3)보다도 게이트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미언더패턴(14a)내에 있어서, 코너부(T2)가 가장 게이트에 가깝고, 이것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 인접 코너부(T1,T3)가 있다. 귀통이보강부분(44) 이들 코너부(T1,T2,T3)의 바깥쪽의 모떼기는 생략되고 있다.
또, 상기 수지 성형시에 수지를 주입하는 게이트는, 통상, 수지 성형품(30)에 게이트자취로서 남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제1 미언더패턴(14a)의 연결부를 만들 수 없는 부분, 특히 코너부(T2)의 주변이 보강된다. 따라서, 수지 성형시에 안테나 엘리멘트(14)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특성이 안정된 선형상 안테나를 얻을 수 있다. 제 4의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코너부(T1,T2,T3)로 모떼기가 생략 되지만, 그 이외의 코너부는 모두 모떼기 되고 있다. 따라서, 모떼기 되고 있는 코너부가 대부분이므로, 3개의 코너부(T1,T2,T3)의 모떼기를 생략함으로써 광대역화가 저해될 우려는 적다.
(제 5의 실시 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또, 도 11은, 제 5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에 적용되는 도체 패턴(40)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도 7 및 도 8과 같은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 5의 실시 형태에서는, 코너부(T1,T3), 즉 기계적으로 약한 코너부에, 안쪽에 귀통이부분(44)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체폭을 국부적으로 살찌게해서,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여기서, 「귀통이보강부분」이란, 도 12a 또는 도 12b에 표시한것같이, 안테나 엘리멘트(14)가 절곡되는 코너부(T)에 있어서, 안테나 엘리멘트(14)의 안쪽의 직선변이 교차하는 부분에서부터 안쪽으로 내다 붙인 부분(44)를 말한다. 이러한 귀통이보강부분(44)를 형성함으로써 코너부가 보강된다. 따라서, 수지 성형시에 코너부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귀통이보강부분(44)를 형성하면, 그 부분의 도체폭이 넓어진다. 그러나, 도체폭이 넓어지는 것은 국부적인 것이기 때문에, 공진 주파수의 상승은 억제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코너부의 모떼기를 실시하지 않은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귀통이보강부분(44)를 형성하는 개소에 대해서는, 제 1의 실시형태로부터 제 3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모떼기부(22)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모떼기부(22)를 형성했을 경우에도, 코너부에 대해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코너부(T2)도, 코너부(T1)와 같게 귀통이보강부분(44)를 형성하는 것이 강도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접하는 코너부의 양쪽에 귀통이보강부분(44)를 형성하면, 주파수 변동이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은, 이들 코너부를 포함한 크랭크형상 부분의 전기장이 현저하게 짧아지기 때문인것으로 생각된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미언더패턴의 하나의 직선 부분을 구성하는 인접하는 2개의 코너부(T1,T2) 가운데, 안테나 엘리멘트(14)의 수지 성형 체중심에 가까운쪽의 코너부(T2)에 귀통이보강부분(44)를 형성해서, 코너부(T2)를 살찌게 하면, 특히 주파수 변동이 커지게되는 경향이 보여진다. 이 이유는, 도체 주위에 있는 유전체의 체적이 원인이기때문인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유전체칩(수지 성형체) 주변에 가까운 곳에 메워지고 있는 도체는, 칩에 주변 부분에 위치하기때문에, 외측(공기)도 포함한 상태로 유전율이 기여한다. 그 때문에, 실효적 유전율은 저하하고, 유전체에 의한 파장 단축 효과가 칩의 중심부만큼 크지는 않다. 그 때문에 도체길이의 변화에 의한 주파수의 대폭적인 변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유전체 칩 중앙 부근의 도체는, 주변부에 있는 도체에 비해 공기 기여율이 작다. 그 결과, 칩 중앙 부근의 도체의 실효 유전율은 높고, 그 파장 단축 효과도 크다. 이 때문에 약간의 도체길이 변화가 큰 주파수 변화를 낳는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제 5의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 엘리멘트(14)의 수지 성형 체중심에 가까운 쪽의 코너부(T2)에는 귀통이보강부분을 형성하지 않고, 수지 성형체(12)의 바깥면에 가까운 쪽(중심으로부터 먼 쪽)의 코너부(T1,T3)는 귀통이보강부분(44)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안테나 엘리멘트 전체적으로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더욱, 주파수 변동의 저감을 꾀하고 있다.
또, 도 11에 있어서, 코너부(T1,T3)의 양쪽에, 귀통이보강부분(44)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이들 코너부(T1,T2,T3)의 바깥쪽은 모떼기가 되고 있지만, 모떼기를 생략 하는 것에 의해, 보다 안테나 엘리멘트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도 좋다.
제 4의 실시 형태 및 제 5의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 엘리멘트(14)를 수지 성형체(12)안에 묻었을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선형상 안테나에 있어서는, 안테나 엘리멘트(14)가 수지 성형체(12)의 표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는, 수지 성형체를 성형하는 금형으로서, 상형 및 하형의 어느쪽이든 한쪽의 금형에 캐비티가 형성된 금형을 이용해,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쪽의 금형의 형면에 안테나 엘리멘트를 세트해서 사출 성형을 실시하면 좋다.
제 4의 실시 형태 및 제5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미언더패턴을 가지는 안테나 엘리멘트와 수지 성형체가 일체화된 선형상 안테나에 있어서, 수지 성형체의 성형시에 미언더패턴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특성이 안정된 선형상안테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띠형상도체를 띠의 폭방향으로 절곡한 안테나엘리멘트를 구비하고, 상기 띠형상도체의 절곡부분의 바깥가장자리에 모떼기부분이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선형상안테나.
  2. 제 1항에 있어서, 모떼기부분의 크기(2등변 3각형으로 모떼기했을때의 2등변의 1변의 길이)를 띠형상도체의 도체폭의 0.7배이상으로한것을 특징으로하는 선형상안테나.
  3. 띠형상도체의 미언더패턴을 가진 안테나엘리멘트와,
    상기 안테나엘리멘트와 일체가 되로록 성형된 수지성형체와,
    상기 미언더패턴의 복수의 코너부분중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분의 안쪽에 형성된 귀통이보강부분을 구비한것을 특징으로하는 선형상안테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귀통이부분이 형성되는 코너부분은, 수지성형시에 변형하기쉬운 코너부분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선형상안테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귀통이보강부분이 형성된 코너부분은, 상기 미언더패턴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선형상안테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엘리멘트는 미언더진행방향이 다른 복수의 미언더패턴을 가지고있고, 상기 귀통이보강부분은, 미언더진행방향이 변하는 코너부분에 형성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선형상안테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엘리멘트는, 바깥쪽이 모떼기가 된 제 1코너부분과, 바깥쪽의 모떼기가 생략되어 귀통이 보강부분이 형성되어있는 제 2의 코너부분을 가진것을 특징으로하는 선형상안테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엘리멘트는, 하나의 U턴부분을 구성하는 2개의 코너부분을 구비하고,
    한쪽의 코너부분이 수지성형시에 변형하기쉬운때에는, 변형하기 쉬운 하나의 직선부분을 구성하는 2개의 인접하는 코너부분중의 상기 안테나엘리멘트의 수지성형체중심에 가까운부분에 배치된 코너부분에는 모떼기가 생략되고, 상기 중심으로부터 먼부분에 배치된 코너부분에는 귀통이보강부분이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선형상안테나.
  9. 제 3항에 있어서, 안테나엘리멘트는 미언더진행방향이 다른, 미언더의 피치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된 제 1미언더패턴과 제 2미언더패턴을 가지고, 제 1미언더패턴은 수지성형때에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제 1의 코너부분과 상기 제 1의 코너부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 제 2의 코너부분을 가지고있고, 상기 게이트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코너부분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코너부분에는 귀통이보강부분이 형성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선형상안테나.
  10.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엘리멘트가, 진행방향이 다르고, 폭이 다른 2개의 미언더패턴이 연이어 형성된 부분에서 연이어 형성된 미언더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연이어 형성된 부분과 상기 연이어 형성된 부분에 계속하는 폭이넓은 미언더패턴쪽의 2개의 모난 부분에서는, 모떼기를 행하지않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선형상안테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엘리멘트는, 바깥쪽의 모떼기가 생략되어 제 3의 코너부분과, 귀통이보강부분이 형성되어있는 제 4의 코너부분의 적어도 한쪽을 더 가진것을 특징으로하는 선형상안테나.
KR1020020026612A 2001-05-16 2002-05-15 선형상 안테나 KR200200878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46662 2001-05-16
JP2001146662 2001-05-16
JP2001378639 2001-12-12
JPJP-P-2001-00378639 2001-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878A true KR20020087878A (ko) 2002-11-23

Family

ID=2661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612A KR20020087878A (ko) 2001-05-16 2002-05-15 선형상 안테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94646B2 (ko)
EP (1) EP1258945A3 (ko)
KR (1) KR20020087878A (ko)
CN (1) CN138592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2866A1 (en) * 2002-11-08 2004-05-21 Eung-Soon Chang Folded monopole antenna for cellular phone
US6870506B2 (en) * 2003-06-04 2005-03-22 Auden Techno Corp. Multi-frequency antenna with single layer and feeding point
FR2869467A1 (fr) * 2004-04-23 2005-10-28 Amphenol Socapex Soc Par Actio Antenne compacte rf
US7202821B2 (en) * 2004-06-18 2007-04-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tenna
JP2008536366A (ja) * 2005-03-15 2008-09-04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 周波数帯域フィルタリングのための周波数選択反射器及びその設計方法
KR100682996B1 (ko) * 2005-05-17 2007-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주파수 대역 필터링을 위한 fss 구조
EP1764866A1 (en) * 2005-09-15 2007-03-21 Infineon Tehnologies AG Miniaturized integrated monopole antenna
DE102005049820A1 (de) * 2005-10-18 2007-04-19 Benq Mobile Gmbh & Co. Ohg Mehrfachresonante Antenneneinheit, zugehörige Leiterplatine sowie Funkkommunikationsgerät
TWI293819B (en) * 2005-11-14 2008-02-21 Chant Sincere Co Ltd Chip antenna
US20070164909A1 (en) * 2006-01-13 2007-07-19 Ogawa Harry K Embedded antenna of a mobile device
DE602007006584D1 (de) * 2006-04-10 2010-07-01 Hitachi Metals Ltd Breitbandige Antenne mit einem U-förmigen Antennenleiter
TW200803038A (en) * 2006-06-23 2008-01-01 Wistron Neweb Corp A flat mini type digital television antenna
JP5114177B2 (ja) * 2007-12-12 2013-01-09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
US8395233B2 (en) * 2009-06-24 2013-03-12 Harris Corporation Inductor structures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8179221B2 (en) * 2010-05-20 2012-05-15 Harris Corporation High Q vertical ribbon inductor on semiconducting substrate
TWI506864B (zh) * 2010-06-30 2015-11-01 Chi Mei Comm Systems Inc 全球定位系統天線
US8304855B2 (en) 2010-08-04 2012-11-06 Harris Corporation Vertical capacitors formed on semiconducting substrates
CN102064385A (zh) * 2010-12-16 2011-05-18 上海华申泰格软件有限公司 一种融合封装超高频天线
USD749063S1 (en) 2011-02-16 2016-02-09 Callas Enterprises Llc Combined mat and eas antenna
USD749062S1 (en) 2013-01-02 2016-02-09 Callas Enterprises Llc Combined floor mat and EAS antenna
USD760205S1 (en) * 2014-03-28 2016-06-28 Lorom Industrial Co., Ltd. Antenna for glass
USD768118S1 (en) * 2015-04-29 2016-10-04 Airgain Incorporated Antenna
USD773444S1 (en) * 2016-02-25 2016-12-06 Airgain Incorporated Antenna
CN109560375B (zh) * 2018-11-23 2020-09-25 中山大学 周期性正交曲折线漏波天线
JP1654577S (ko) * 2019-06-18 2020-03-09
JP1654576S (ko) * 2019-06-18 2020-03-09
TWI738343B (zh) * 2020-05-18 2021-09-01 為昇科科技股份有限公司 蜿蜒天線結構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9804A (en) 1980-12-12 1982-06-21 Toshio Makimoto Microstrip line antenna
DE4005613A1 (de) 1990-02-22 1991-08-29 Vaw Ver Aluminium Werk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allosilikaten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katalysatoren und/oder adsorbentien
DE4121333A1 (de) * 1991-06-25 1993-01-14 Hagenuk Telecom Gmbh Folienantenne
US6111545A (en) * 1992-01-23 2000-08-29 Nokia Mobile Phones, Ltd. Antenna
JP2000223928A (ja) * 1999-01-28 2000-08-11 Smk Corp アンテナ装置
US5955997A (en) * 1996-05-03 1999-09-21 Garmin Corporation Microstrip-fed cylindrical slot antenna
JPH1056313A (ja) 1996-08-08 1998-02-24 Kokusai Electric Co Ltd 小形アンテナ
JP3669117B2 (ja) * 1997-07-23 2005-07-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ヘリカル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US6163300A (en) * 1997-08-07 2000-12-19 Tokin Corporation Multi-band antenna suitable for use in a mobile radio device
US5949383A (en) * 1997-10-20 1999-09-07 Ericsson Inc. Compact antenna structures including baluns
JPH11163620A (ja) 1997-11-27 1999-06-18 Sharp Corp 周波数切替式アンテナ
US6184833B1 (en) * 1998-02-23 2001-02-06 Qualcomm, Inc. Dual strip antenna
EP0954054A1 (en) * 1998-04-30 1999-11-03 Kabushiki Kaisha Yokowo Folded antenna
JP3982098B2 (ja) 1999-03-15 2007-09-26 ソニー株式会社 アンテナ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6356244B1 (en) * 1999-03-30 2002-03-12 Ngk Insulators, Ltd. Antenna device
JP3788115B2 (ja) * 1999-07-23 2006-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JP2001111322A (ja) * 1999-10-14 2001-04-20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アンテナ固定構造およびアンテナ固定方法
US6337663B1 (en) * 2001-01-02 2002-01-08 Auden Techno Corp. Built-in dual frequency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5924A (zh) 2002-12-18
EP1258945A3 (en) 2003-11-05
US6894646B2 (en) 2005-05-17
US20030006940A1 (en) 2003-01-09
EP1258945A2 (en)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7878A (ko) 선형상 안테나
US9166300B2 (en) Slot antenna
US9246210B2 (en) Antenna with cover radiator and methods
US8111194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P1605397A2 (en) Radio frequency IC t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583762B2 (en) Chip antenn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16778A (ko) 내장형 안테나 장치 및 안테나 성능 향상 방법
KR20040068207A (ko) 모노폴 슬롯 안테나
US7940220B2 (en) Case structure having conductive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116179A1 (en) Chip antenna and communication circuit substrate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9287621B2 (en) Multi-band antenna
EP2475043B1 (en) Antenna
US11476580B2 (en) Antenna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23878A (ko) 내장형 안테나 및 인 몰딩 또는 인서트 몰딩을 이용한내장형 안테나의 제조방법
JP4285409B2 (ja) 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機
JP2007143101A (ja) チップアンテナ装置
WO2009089924A1 (en) Wideband monopole antenna
US7728773B2 (en) Multi-band antenna
WO2005107008A1 (en) Aperture antenna element
JP4532018B2 (ja) 小型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342214B (zh) 金属辐射单元和具有多个工作频率的pifa天线
CN217387543U (zh) 一种5G WiFi天线
JP2002252516A (ja) チップアンテナとその製造方法
KR100780554B1 (ko) 전도성 도료로 형성된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
JP2003037428A (ja) 線状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