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929A -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929A
KR20020086929A KR1020027012325A KR20027012325A KR20020086929A KR 20020086929 A KR20020086929 A KR 20020086929A KR 1020027012325 A KR1020027012325 A KR 1020027012325A KR 20027012325 A KR20027012325 A KR 20027012325A KR 20020086929 A KR20020086929 A KR 20020086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bar
fluid container
scraper
bar devic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8287B1 (ko
Inventor
펙카 튜오미코스키
Original Assignee
핀켓쥬 인베스트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핀켓쥬 인베스트 오와이 filed Critical 핀켓쥬 인베스트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020086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2Impellers, e.g. push-plates, scrapers; Guid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2Impellers, e.g. push-plates, scrapers; Guiding means therefor
    • B65G19/24Attachment of impellers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4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open troughs or chann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Lubricants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용기(N) 내에 존재하는 재료를 유체 용기 내에서 이동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1)에 의해 유체 용기와 관련하여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슈트(2a), 바닥 슈트(2b) 등과 같은 배출 기구(2)로 스크레이핑하도록 의도된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는 유체 용기(N)의 처리될 영역(N')을 둘러싸고 작동 상태에서 제어 수단(3") 및 작동 수단에 의해 처리될 영역의 주변부(N's)를 따라 w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정렬된 하나 이상의 체인(3'), 와이어 로프, 로프 등과 같은 무한 동력 전달체(3)를 포함하며,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수평면(p, b)을 갖는 정화 용기, 부유 용기 등과 같은 유체 용기 내에서 w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처리될 소정의 영역(N') 전체에 걸쳐 유체 용기 내에서 스크레핑을 수행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1;1')가 그 대향 단부(x1, x2)에 의해 상기 무한 동력 전달체(3)에 부착된다.

Description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SCRAPER BAR APPARATUS}
상기 목적으로 특히 직사각형 용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해결책으로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는 용기의 종방향으로 서로 차례로 놓인 여러 개의 스크레이퍼 바아와, 예를 들어 구동 휠 및 회전 휠 기구 등에 의해 구동되고 나란히 놓인 두 개의 동력 전달 체인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을 일반적으로 포함하며, 이와 관련하여 스크레이퍼 바아가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의 작동 및 유지를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특히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는 최근에 정화 용기와 관련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스크레이퍼 바아는 바닥과 관련하여 이동 상태를 유지할 때 바닥에 존재하는 재료를 슬러지 포켓에 스크레이프하고 표면에서 이동 상태를 유지할 때 표면 상에 존재하는 재료를 예를 들어 용기를 가로지르는 수집 슈트에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바닥 및 표면에서 교대로 예를 들어 용기의 반대 및 기본적으로 수직 측면 또는 벽 부분에서 이동하는 체인에 의해 이송된다.
이러한 형태의 해결책에서, 스크레이퍼 바아는 종종 섬유 유리로 제조되고 스크류 체결부에 의해 체인에 부착되는 프로파일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일체식 스크레이퍼 바아의 단점은 벽에서 이동하는 체인에 스크레이퍼 바아의 설치 문제이며, 이에 의해 매우 정확하게 주의 깊은 설치 장비가 요구되어, 스크레이퍼 바아에 형성된 구멍이 수직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예를 들어 정화 용기의 바닥 벽 및 측벽의 불균일성과 다른 유사한 이유 때문에 실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며, 이는 구멍이 종종 남겨져 설치 중에 온-사이트(on-site)로 행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은 용기가 매우 정확한 치수로 제조되어야 하는 종래의 해결책과 항상 관련되며, 이러한 문제점에 불구하고 설치 수단은 실제로 매우 많은 시간을 요한다. 이러한 형태의 스크레이퍼 바아 구조물은 작동 및 유지가 매우 양호하게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하는데 매우 고가이어서, 부품 교체의 필요성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 특히 표면 슈트와 관련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표면 스크레이퍼가 유체 용기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재료를 즉 간접적으로 수집 슈트로 이송시키는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표면 스크레이퍼가 즉 슈트 상부로부터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포옴 등의 불명확 물질(indefinite substance)이 수집 슈트 전방에 형성된다.
본래, 전술된 형태의 체인 구동 기구는 예를 들어 원형 용기와 관련해서 적절하지 못하며, 본원에서 용기의 중심에서 예를 들어 베어링과 연결된 예를 들어 브릿지에 연결된 표면 및/또는 바닥 스크레이퍼 또는 대응하는 기구가 일반적으로이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해결책은 오히려 항상 대규모의 구조물을 요하는데, 이는 작동 및 유지 비용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전술한 체인 구동 기구 형태 보다 훨씬 많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유체 용기 내에 존재하는 재료를 유체 용기 내에서 이동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에 의해 유체 용기와 관련하여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슈트, 바닥 슈트 등과 같은 배출 기구로 스크레이프하도록 의도된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는 특히 직사각형 용기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를 상이한 원리에 따라 수행하는 두 선택적인 방식의 평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의 상세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특히 원형 용기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의 선택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특히 직사각형 용기 내에서 도 4a 및 도 4b와 대응하는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유체 용기의 바닥에서(도 6a 및 도 6b) 및 유체 용기의 표면에서(도 6c 및 도 6d) 구조물과 관련된 소위 회전 중심에 기초한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 내에 형성된 선택적인 스크레이퍼 바아 구조물을 도시하며,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동력 전달체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는 유체 용기의 처리될 영역을 둘러싸고 작동 상태에서 제어 수단 및 작동 수단에 의해 처리될 영역의 주변부를 따라 회전하도록 정렬된 하나 이상의 체인, 와이어 로프, 로프 등과 같은 무한 동력 전달체를 포함하며,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수평면을 갖는 정화 용기, 부유 용기 등과 같은 유체 용기 내에서 회전하면서 처리될 소정의 영역 전체에 걸쳐 유체 용기 내에서 스크레이핑을 수행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가 그 대향 단부에 의해 상기 무한 동력 전달체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의 가장 중요한 장점으로는 우선 그 다양성 또는 곡선 용기 뿐만 아니라 각진 용기와 관련된 그 유용성이고, 다른 한편으론 그 제조 및 용도의 단순성 및 신뢰성이며, 이로 인해 유체 용기의 설치 비용 및 작동 유지 비용이 상당히 감소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론 본 발명으로 인해 형성 또는 설치 한도가 선행 기술에서와 다른 의미를 가지는데, 이는 유체 용기의 처리될 영역이 그 형태에 불구하고 동력 전달체에 의해 매번 용이하게 맞추어지며, 이에 의해 동력 전달체와 예를 들어 하나의 단일 스크레이퍼 바아 또는 그 이상이바람직하게 결합되고, 스크레이퍼 바아는 그 길이가 가변적이거나 가요성이며, 대향 단부에 의해 예를 들어 구동 체인에 연결되면서, 유체 용기 및/또는 동력 전달체의 가능한 모든 제조/설치의 부정확성을 동시에 제거함으로써 그 대향 고정 단부에 의해 결정되는 길이의 변화에 불구하고 유체 용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의 일 장점은 예를 들어 슬러지 포켓 또는 표면 슈트가 매번 프로세스에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이들을 종래 기술에서처럼 위치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의 공간 필요성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가 제공된 유체 용기가 실제로 매우 용이하게 커버되기 때문에 현재의 해결책에 필요한 공간 보다 상당히 작다. 특히 바닥 슬러지의 제거는 유체 용기 내에서 사용되고 유체 용기의 바닥 상부로부터 고체 재료를 수집하는 소위 라멜라가 가능한 한 바닥에 가깝게 위치될 수도 있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해결책에 의해 보다 유리하게 수행 가능하며, 상기 유체 용기의 바닥 상부에서는 모여진 고체 물질이 바닥으로 낙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는 현재의 무게보다 상당히 가볍게 형성될 수도 있어서, 이는 무엇보다도 그 제조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키지만, 다른 한편으론 작동 동력의 필요성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그 외에,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상당히 신속한 설치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부분적으로 추가 설비가 거의 요구되지 않는다는 사실(현재의 용기에 사용되는 부분벽이 요구되지 않음) 때문이다.
본 발명은 유체 용기(N) 내에 존재하는 재료를 유체 용기 내에서 이동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1)에 의해 유체 용기와 관련하여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슈트(2a), 바닥 슈트(2b) 등과 같은 배출 기구(2)로 스크레이핑하도록 의도된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는 유체 용기(N)의 처리될 영역(N')을 둘러싸고 작동 상태에서 제어 수단(3") 및 작동 수단에 의해 처리될 영역의 주변부(N's)를 따라 w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정렬된 하나 이상의 체인(3'), 와이어 로프, 로프 등과 같은 무한 동력 전달체(3)를 포함하며,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수평면(p, b)을 갖는 정화 용기, 부유 용기 등과 같은 유체 용기 내에서 w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처리될 소정의 영역(N') 전체에 걸쳐 유체 용기 내에서 스크레이핑을 수행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1;1')가 그 대향 단부(x1, x2)에 의해 상기 무한 동력 전달체(3)에 부착된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로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체인(3')이 동력 전달체(3) 내에 사용되며, 이러한 형태의 체인(3')은 도 8에 도시되어 있고 보다 정확하게 핀랜드 특허 제 101098호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체인은 처리될 영역의 에지 및 그 지지면은 노치를 포함하는 지지면에서 이동하며, 상기 노치는 바람직하게 체인의 이동 방향 v에 대해 기본적으로 십자형으로 정렬되며, 체인의 이송 중에 노치에 따라 이동 방향 v에 관해 기본적으로 십자형으로 배열되는 체인 휠(3")에 속하는 핀 등과 같은 상대(counterpart) 표면과 협력한다. 이러한 경우에 결합 지점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 형성된 피이스(M)는 두 개의 연결 지점(45, 54)을 가지며, 제 1 연결 지점은 형성된 피이스의 폭 보다 기본적으로 좁은 균일한 돌출부(45)로서 정렬되고 다른 연결 지점은 포크(54)로서 형성되어, 두 연결 지점(45, 54) 내에 홀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연결 지점은 이미 형성된 피이스의 상기 돌출부(45)를 다음 형성된 피이스의 포오크 사이에 위치시키고 연결 핀 등을 홀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체인의 연결 핀(y, y1)의 횡단면은 연속적인 형태의 피이스(M)의 중심선(k)의 상호 각 변화로 인한 연결 지점에서의 접촉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연결 핀의 다른 단부를 향해 종방향으로 원뿔형으로 변하도록 유리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체인을 사용할 때, 처리될 영역(N')의 주변부 상에 존재하는 체인 휠(3") 사이의 거리는 상기 형태의 체인이 예를 들어 종래의 직선 핀이 제공된 체인 보다 상당히 작게 휘기 때문에 최적화될 수도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스크레이퍼 바아가 유체 용기 내에서 w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의 스크레이퍼 바아(1'; 1'a)의 대향 단부(x1, x2)에 의해 결정되는 길이의 변화는 예를 들어 연속 와이어 로프(1'a1), 로프(1'a2), 호스(1'a3), 파이프(1'a4), 패브릭(1'a6), 플라스틱(1'a7), 로드 재료(1'a5)로 제조된 가요성 구조물을 사용하여 또는 도 7c 및 도 7c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와 같이 형성된 조합물에 의해 가능하며, 도 7d에서 참조 부호 1'a5는 예를 들어 소위 플로팅 레이스를 의미하고, 참조 부호 1'a6/1'a7은 플라스틱 또는 패브릭 막을 의미하고 참조 부호 1'a1/1'a2는 예를 들어 와이어 로프 또는 로프를 의미한다. 반면 상기 길이 변화는 예를 들어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도 7a에 도시된 스크레이퍼 바아(1'b)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스크레이퍼 바아(1'b)는 연결 또는 대응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서로 체결되게 형성된 피이스(MK)를 포함한다.
특히 도 2에서 스크레이퍼 바아가 유체 용기 내에서 w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의 스크레이퍼 바아(1', 1'c)의 대향 단부(x1, x2)에 의해 결정된 길이 변화가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그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접철식 구조를 갖는 바아 구조물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는 사실에 기초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1')가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다른 도면으로부터 스크레이퍼 바아의 횡단면이 이 경우 개방 또는 밀폐, 직사각형 또는 곡선 등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a 및 도 5b 뿐만 아니라 도 1,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유체 용기(N) 내에 고정식 회전 중심(x3, x4)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에 속하고 하나 이상의 회전 체결부(1'x), 베이링 등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리되는 스크레이퍼 바아(1')는 w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열된다. 도 2에 도시된 해결책은 상기와 달리 단지 대향 단부(x1, x2)에 의해 예를 들어 체인(3')에 연결되는 접철식 구조(1'c)를 갖는 스크레이퍼 바아에 기초한다.
특히 상기 도면에 도시된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는 유체 용기의 표면(p) 상에 존재하는 재료를 유체 용기의 표면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배기 슈트 조립체(2a)로 스크레이프하도록 도시되며, 그 원리는 도 3b에서 예로서 보다 자세히 도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에 속하는 각각의 또는 모든 표면 스크레이퍼 바아(1')는 기본적으로 플로팅 재료로 제조되고,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제외하고 이에 의해 스크레이퍼 바아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중심(x3, x4)은 유체 용기의 에지로부터 처리될 영역(N')에 도달하는 표면 슈트 조립체(2a')의 단부에 고정식으로 지지된다. 또한 도 3a를 참조하여, 표면 슈트 조립체(2a')의 반대쪽에는 예를 들어 가이드 램프(2c) 및 상기 가이드 램프 상부의 가이드 레일(2d)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램프 및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램프 위쪽으로부터의 표면 스크레이퍼 바아(1')의 통로를 안내한다.
도 3c에는 특히 유체 용기의 바닥(b)에 존재하는 재료를 유체 용기의 바닥에 존재하는 배기 슈트 조립체(2b)에 스크레이프하는 원리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수행되는 바닥 스크레이퍼 바아(1'; 1'b)에는 예를 들어 스크레이퍼 바아의 부분(MK)을 체결되게 또는 대응 방식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체결 핀(t)의 헤드로 형성된 활주 및 마모 표면 조립체(1'b2)가 배열되어 있다.
특히 도 1, 도 2 및 도 5a에 도시된 직사각형 용기 및 도 4a에 도시된 원형 용기와 관련된 실시예에서,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는 대향 단부(x1, x2)가 유체 용기(N)의 대향 측면으로 통과하는 동력 전달체(3)에 체결되어 있는 스크레이퍼 바아(1')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직사각형 용기 및 도 4b에 도시된 원형 용기와 관련된 실시예에서,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는 대향 단부(x1, x2)에 의해 동력 전달체(3)에 체결되고 스크레이퍼 바아 내에 존재하는 회전 체결부(1'x) 수단 및 자유 회전식 이중 회전 중심(x4) 등에 의해 유체 용기의 처리 영역(N') 내에서 동시에 이동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스크레이퍼 바아(1')를 포함하며, 상기 자유 회전식 이중 회전 중심은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닥(b) 및/또는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된 표면(p)과 같은 유체 용기에 고정식으로 체결된다.
본 발명이 전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범위 내에서 상당한 정도로 수정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이와 관련하여, 무엇보다도 동력 전달체 내에 스크레이퍼 바아에 부착된 예를 들어 로프 또는 와이어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래 표면 및 바닥의 스크레이핑을 고려할 때 많은 종류의 사용가능한 스크레이퍼 바아 구조물이 있으며, 게다가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우레탄 등과 같은 충진재를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래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많은 수의 스크레이퍼 바아를 유체 용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용기 내의 스크레이프될 영역은 상기와 달리 유체 용기 또는 그 바닥의 표면의 단지 소정 부분 만을 개시하지만, 종래의 기술을 고려할 때 이는 매우 예외적이다.

Claims (10)

  1. 유체 용기(N) 내에 존재하는 재료를 상기 유체 용기 내에서 이동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1)에 의해 유체 용기와 관련하여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슈트(2a), 바닥 슈트(2b) 등과 같은 배출 기구(2)로 스크레이핑하도록 의도된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체 용기(N)의 처리될 영역(N')을 둘러싸고 작동 상태에서 제어 수단(3") 및 작동 수단에 의해 처리될 영역의 주변부(N's)를 따라 w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정렬된 하나 이상의 체인(3'), 와이어 로프, 로프 등과 같은 무한 동력 전달체(3)를 포함하며,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수평면(p, b)을 갖는 정화 용기, 부유 용기 등과 같은 유체 용기 내에서 w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처리될 영역(N') 전체에 걸쳐 상기 유체 용기 내에서 스크레이핑을 수행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1;1')가 그 대향 단부(x1, x2)에 의해 상기 무한 동력 전달체(3)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레이퍼 바아가 상기 유체 용기 내에서 w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의 스크레이퍼 바아(1'; 1'a)의 대향 단부(x1, x2)에 의해 결정되는 길이의 변화는 연속 와이어 로프(1'a1), 로프(1'a2), 호스(1'a3), 파이프(1'a4), 패브릭(1'a6), 플라스틱(1'a7), 로드 재료(1'a5) 등으로 제조된 가요성 구조물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크레이퍼 바아가 상기 유체 용기 내에서 w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의 스크레이퍼 바아(1'; 1'b)의 대향 단부(x1, x2)에 의해 결정되는 길이의 변화는 체결 또는 대응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서로 체결되도록 형성된 피이스(MK)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레이퍼 바아가 상기 유체 용기 내에서 w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의 스크레이퍼 바아(1'; 1'c)의 대향 단부(x1, x2)에 의해 결정되는 길이의 변화는 접철식 구조를 갖는 바아 구조물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용기(N) 내에 고정식 회전 중심(x3, x4)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상기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에 속하고 하나 이상의 회전 체결부(1'x), 베어링 등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리되는 스크레이퍼 바아(1')는 w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는 특히 상기 유체 용기의 표면(p) 상에 존재하는 재료를 기본적으로 상기 유체 용기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배기 슈트 조립체(2a)로 스크레이프하기 위한 장치이고,
    상기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스크레이퍼 바아(1')가 기본적으로 플로팅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스크레이퍼 바아의 회전을 제어하는 상기 회전 중심(x3, x4)이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 용기의 에지로부터 처리될 영역(N') 내로 도달하는 표면 슈트 조립체(2a')의 단부에서 고정식으로, 또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슈트 조립체(2a')의 대향 측면에 상부로부터 진행하는 표면 스크레이퍼 바아(1')의 통과를 안내하도록 상부에 가이드 램프(2c) 등 및 상기 가이드 램프 상의 가이드 레일(2d) 등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는 특히 상기 유체 용기의 바닥(b)에 존재하는 재료를 상기 유체 용기의 바닥에 존재하는 배기 슈트 조립체(2b)로 스크레이프하기 위한 장치이고,
    상기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에 속하는 바닥 스크레이퍼 바아(1'; 1'b)에 스크레이퍼 바아의 부분(MK)을 체결 또는 대응 방식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체결 핀(t)의 헤드로 바람직하게 형성된 활주 및 마모 표면 조립체(1'b2)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 크레이퍼 바아 기구가 그 대향 단부(x1, x2)에 의해 기본적으로 상기 유체 용기(N)의 대향 측면으로 통과하는 동력 전달체(3)에 체결되는 스크레이퍼 바아(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 바아 기구가 대향 단부(x1, x2)에 의해 동력 전달체(3)에 체결되고 상기 스크레이퍼 바아 내에 존재하는 회전 체결부(1'x), 베어링 등 및 상기 유체 용기에 고정식으로 체결되는 자유 회전식 이중 회전 중심(x4) 등에 의해 상기 유체 용기의 처리 영역(N') 내에서 동시에 이동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스크레이퍼 바아(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KR1020027012325A 2000-03-22 2001-02-21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KR100748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00667 2000-03-22
FI20000667A FI106947B (fi) 2000-03-22 2000-03-22 Kaavinpalkkilaitteist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929A true KR20020086929A (ko) 2002-11-20
KR100748287B1 KR100748287B1 (ko) 2007-08-09

Family

ID=855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325A KR100748287B1 (ko) 2000-03-22 2001-02-21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30029791A1 (ko)
EP (1) EP1268325B1 (ko)
KR (1) KR100748287B1 (ko)
CN (1) CN1184119C (ko)
AT (1) ATE269828T1 (ko)
AU (1) AU2001240720A1 (ko)
DE (1) DE60103987T2 (ko)
ES (1) ES2223799T3 (ko)
FI (1) FI106947B (ko)
WO (1) WO2001070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7934B (fi) * 2004-02-17 2007-04-30 Finnketju Invest Oy Kaavin
KR101648233B1 (ko) 2008-12-09 2016-08-12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음료 준비 장치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캡슐 및 상기 캡슐을 이용한 장치
US8225943B2 (en) 2010-10-19 2012-07-24 Seymour Kershner Circular clarifier cleaning system
CN104399287B (zh) * 2014-11-28 2019-04-09 重庆健杰科技有限公司 方形沉淀池刮泥机驱动装置
CN107902676A (zh) * 2017-12-16 2018-04-13 大连盐化集团有限公司 可同时带动多个盐池的天日盐自动收盐系统
CN108147432A (zh) * 2017-12-16 2018-06-12 大连盐化集团有限公司 天日盐自动收盐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626A (en) * 1903-12-17 1906-12-18 Edmund B Kirby Separating-tank.
US1357587A (en) * 1919-12-01 1920-11-02 Dorr C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liquors
US1650820A (en) * 1926-03-09 1927-11-29 Harrison S Coe Thickener
US1734967A (en) * 1929-03-20 1929-11-12 Gavett Weston Mechanical removal of solids from clarification tanks, etc.
US2003261A (en) * 1931-02-16 1935-05-28 Dorr Co Inc Thickener
US1951462A (en) * 1932-06-11 1934-03-20 Frederick K Wing Scraping means for sewage disposal plants
US2053636A (en) * 1933-03-20 1936-09-08 Link Belt Co Settling tank
US2052676A (en) * 1935-03-02 1936-09-01 Link Belt Co Sludge discharge collector
US2095394A (en) * 1935-08-06 1937-10-12 Link Belt Co Floating skimmer
US2138678A (en) * 1936-06-01 1938-11-29 James W Pearl Combination of a chain, scraper, and conveyer
US3313422A (en) * 1963-10-23 1967-04-11 Galion Jeffrey Mfg Co Collector apparatus
US3394816A (en) * 1967-03-06 1968-07-30 Galion Jeffrey Mfg Co Sludge collector flight
US3622009A (en) * 1969-10-17 1971-11-23 Davis Ind Inc Mechanical sludge collector and thickener
DE3503638A1 (de) 1985-02-04 1986-08-0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8000 München Trog-ketten-foerderer
FI963435A0 (fi) 1996-09-03 1996-09-03 Finnchain Oy En anordning foer en skrapbalkanord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69828T1 (de) 2004-07-15
KR100748287B1 (ko) 2007-08-09
AU2001240720A1 (en) 2001-10-03
FI106947B (fi) 2001-05-15
DE60103987T2 (de) 2005-03-31
EP1268325A1 (en) 2003-01-02
EP1268325B1 (en) 2004-06-23
ES2223799T3 (es) 2005-03-01
WO2001070603A1 (en) 2001-09-27
CN1184119C (zh) 2005-01-12
CN1419516A (zh) 2003-05-21
DE60103987D1 (de) 2004-07-29
FI20000667A0 (fi) 2000-03-22
US20030029791A1 (en)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287B1 (ko) 스크레이퍼 바아 장치
JPH02186006A (ja) スクリーン渣を運搬するための装置
KR100312484B1 (ko) 다수의 교반기를 갖춘 곡물 교반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캐리지 반송장치
EP0607447A1 (en) Sludge scraping-up apparatus
CN1965176B (zh) 行进传动装置
JP5720061B2 (ja) 加圧浮上式スカム分離処理装置
US4209403A (en) Magnetic filter apparatus
US5641398A (en) Device for removing screened material from a liquid flowing in a flume
AU2004202978B2 (en) A clearing chain for transporting ballast of a track bed
AU2004202890B2 (en) A clearing chain
US4640775A (en) Vacuum filter for the separation of solids from liquids
KR20040078662A (ko) 단순한 판식세정장치 및 상기 판식세정장치를 세척하는 방법
US5495949A (en) System for treating solid particles in a medium
CS216661B2 (en) Appliance for separating the fine material from the coarse one
KR20200043899A (ko) 체인 플라이트식 슬러지 수집기
JP4082588B2 (ja) 汚泥掻寄機
JP4146702B2 (ja) 浮上物の掻寄装置
US3559797A (en) Manure transport system
SU1384194A3 (ru) Цепной скребковый погрузочный конвейер
JP2000354705A (ja) 汚泥掻寄機
JP3296633B2 (ja) 汚泥掻寄機
JPH0760010A (ja) 汚泥掻寄機
JP2006043537A (ja) 汚泥回収装置
KR200372858Y1 (ko) 슬러지 수집장치
EP0026993B1 (e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