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670A -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용 위치 제어 - Google Patents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용 위치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670A
KR20020086670A KR1020027012494A KR20027012494A KR20020086670A KR 20020086670 A KR20020086670 A KR 20020086670A KR 1020027012494 A KR1020027012494 A KR 1020027012494A KR 20027012494 A KR20027012494 A KR 20027012494A KR 20020086670 A KR20020086670 A KR 20020086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read
reading
poi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데르칼헤르만피.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8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67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9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disks
    • G11B5/59605Circuits
    • G11B5/59611Detection or processing of peak/envelop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8Track changing or selec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21/081Access to indexed tracks or parts of continuous track
    • G11B21/083Access to indexed tracks or parts of continuous track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7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tracking pull-in only

Abstract

기록매체(2)로부터 또한 기록매체 상에 정보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는 장치(1)에 있어서,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는 위치지정장치(5, 20)에 의해 기록매체(2)에 대해 위치지정될 수 있다. 이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는, 대차(21)와, 대차(24)에 대한 트랙의 횡방향 위치지정 동안 트랙에 주사점에 판독 및/또는 기록을 유지하는 수단(22)을 구비한다. 제어회로(6)는 위치지정장치(5, 20)를 제어하기 위해 존재한다.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가 위치지정되는 근거가 되는 시간상으로의 제 1 시점에 위치지정장치(5, 20)로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것과,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의 이동의 실제 시작 사이에, 1 밀리초 크기의 차수를 갖는 기간이 존재한다. 제 1 시점은, 유지수단(22)이 트랙의 종료위치에 도달하는 시기가 제 1 시점에 판독 또는 기록되고 있는 트랙의 종료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이다. 대차(21)는 이미 특정한 속도로 움직이며, 유지수단(22)이 판독 또는 기록되는 트랙의 종료위치에 도달할 때 이미 특정한 거리(D) 만큼 움직인다.

Description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용 위치 제어{POSITIONING CONTROL FOR READ AND/OR WRITE HEAD}
본 발명은, 기록매체 상의 트랙으로부터 또한 트랙에 정보를 각각 판독 및/또는 기록하며, 상기 트랙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위치지정수단에 의해 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대차(carriage)와 대차에 대해 트랙의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트랙 상의 주사점에서 판독 및/또는 기록 동작을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와,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의 횡방향으로의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의 위치의 원하는 변화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어회로에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 제어회로는 상기 표시 신호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위치지정수단에 대한 제어신호로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이 제어회로는 제 1 시점에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신호를 위치지정수단으로 공급하여, 위치지정수단이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를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하게 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US 특허 제 5,668,680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한 문헌에는,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가 초기 위치로부터 지정된 최종 위치로 이동하는 검색 동작중에, 서보계는,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가 처음에는 가속된 후 헤드가 최종 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감속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기재되어있다. 헤드는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시에 특정한 속도 프로파일을 통해 움직이는 한편, 속도 프로파일의 형태는 특히 탐색 동작시에 커버되는 트랙의 수에 의존한다. 속도 프로파일은, 헤드가 초기 반경방향 속도로부터 최대 속도로 가속되는 가속 부분과, 그후에, 헤드가 최대 속도로부터 최종 위치에서 제로값에 가까운 속도로 감속되는 감속 부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검색 동작은 일반적으로, 헤드가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가 발생되는 시간으로부터 계산하여, 구동수단에 대한 정확한 제어신호가 정확한 시점에서 발생되도록 보장하는데 필요한 계산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포함하여, 수십 밀리초가 걸린다.
이때,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가 얼마만큼 어느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동작수단에 발생하는 것과, 초기 위치로부터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의 이동의 실제 시작 사이에, 1 내지 수 밀리초의 차수를 갖는 데드 타임(dead time)으로도 불리는 특정한 시간이 흘러간다는 것이 밝혀졌다.
기록매체 상에 정보를 기록하는데에는 다수의 가능한 방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정보는 광학 또는 자기 패턴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특정한 시점에서 판독 및/또는 기록되고 있는 기록매체 상의 트랙 위에 있는 점을 이하에서는 주사점으로 부른다.
일반적으로, 광학 매체로부터 및/또는 광학 매체 상에 정보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는 장치의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는, 방사원과, 방사원에 의해 발생된 방사선을 저장매체 상의 주사점에 초점을 맞추는 광학수단을 구비한다. 기록매체로부터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는,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방사빔을 광 검출기 상에 표시하는 광학수단을 더 구비한다. 후자의 수단은, 방사원에 의해 발생된 방사선을 저장매체 상의 주사점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광학수단과 일부가 또는 전체가 일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주사점을 주어진 위치의 대차를 사용하여 횡방향으로 국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해결책이 존재할 수 있다. 광학 마스터링 시스템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것은 변조기에 인가된 전압에 의존하여 방사빔을 더 크거나 더 작은 크기만큼 편향시키는 전기광학 변조기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그러나, 민수용 응용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이와 같은 해결책은 너무 비용이 많이 든다. 이와 같은 경우에 더 적합한 것은,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실시예이다. 가동부는, 예를 들면, 광학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렌즈 또는 반사수단이다. 대체에 대해 트랙의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트랙 상의 주사점에서 판독 및/또는 기록 동작을 유지하는 수단을 이하에서는 유지수단으로 부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를 이동하고자 할 때 기반이 되는 제어신호의 발생과,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의 이동의 실제 시작 사이에 흐르는 데드 타임의 결과를 줄이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 1 시점이,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의 유지수단이 초기 위치에서 주사점에 트랙을 아직 판독 및/또는 기록하고 있는 순간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가 이 시간에 아직 초기 위치를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데드 타임 동안 판독 및/또는 기록 동작이 정상적으로 계속될 수 있다. 더구나, 수십 밀리초에 해당하는 검색 동작에 필요한 시간의 상당한 부분이 1 내지 수 밀리초의 데드 시간만큼 줄어든다. 백분율로 계산하면, 이 시간의 이득은 10%의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 1 시점이, 상기 대차가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미 이동하고 있는 순간에 일어나고, 이 순간에,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의 유지수단은 초기 위치에서 주사점에 트랙을 아직 판독 및/또는 기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가 트랙을 계속 추종하게 되므로, 대차가 초기 위치를 이미 벗어나 최종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판독 또는 기록 동작이 정상적으로 계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 1 시점이, 주사점이 아직 상기 트랙 상에 있는 동안 대차가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미 이동하고 있는 순간에, 판독 및/또는 기록하고자 하는 트랙의 종료위치에 도달하는 순간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트랙의 종료 워치에 도달했을 때 대차가 이미 가능한한 많이 초기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로 이미 이동하는 한편, 판독 또는 기록 동작은 트랙의 종료 위치까지 계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제어회로가, 초기 위치에대한 원하는 위치의 변화의 방향이 상기 표시신호로부터 유도되는 신호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이 신호를 이미 제 1 시점에서 제 1 위치지정수단으로 공급하여, 상기 표시신호로부터의 모든 정보가 제어회로에 의해 처리되기 전에, 상기 표시신호로부터 유도된 방향으로 위치의 변화를 개시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신호로부터 제어신호로의 처리는 1 내지 수 밀리초가 걸린다. 이에 반해,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가 이동해야 하는 방향은 이미 수 밀리초 후에 표시신호로부터 알려지는 한편, 상기한 이동의 크기는 아직 알려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실시예의 기반이 되는 착상은,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가 이동하려는 방향에 대한 정보가 이미 제 1 위치지정수단에 대한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한편, 제어회로 내부의 표시신호의 처리는, 아직 완료하지 않으며,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가 실제로 이동을 시작할 때까지 완료되지 않는다.
이하,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일부의 더욱 더 상세한 도면이며,
도 3은 대차에 의해 주행한 경로를 시간의 함수로써 도시한 타임도이고,
도 4는 다수의 시점이 도시된, 정보매체 상의 트랙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시점에서 트랙에 대한 대차 및 액추에이터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기록매체로부터 또는 기록매체 상에 각각 정보를 판독 및/또는 기록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예를 들면 CD, DVD, CD-ROM, DVD-ROM, CD-R, CD-RW 등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정보가 그 위에 존재하거나 정보가 그 위치에 기록될 수 있는 회전가능한 평판 디스크(2)의 형태를 갖는다. 매체(2)로부터 그리고 매체 상에의 정보의 판독 및/또는 기록은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에 의해 발생된다.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는 제 1 위치지정수단에 의해 화살표(4)로 표시된 방향으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다. 제 1 위치지정수단(5)은, 예를 들면,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터(20)(도 2)와,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용 대차(21)를 구비한다. 제 1 위치지정수단(5)의 다른 실시예는, 예를 들면 US 특허 제 5,668,680호에 공지되어 있다. 제 1 위치지정수단(5)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 1 위치지정수단(5)에 대한 제어신호는 라인(7)을 통해 제어회로(6)로부터 공급된다. 제 1 위치지정수단(5) 및/또는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는, 기록매체(2)에 대한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공지된 방식으로 배치되며, 이와 같은 검출신호는 라인(8)을 통해 위치신호로서 비교회로(9)로 인가된다. 비교회로(9)의 한 개의 출력은 라인(10)을 통해 제어회로(6)에 접속된다. 비교회로(9)의 제 2 입력에 접속된 것은 라인(11)으로서, 이 라인을 통해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의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의 위치의 원하는 변화를 표시하는 신호가 비교회로(9)로 공급될 수 있다. 비교회로(9)는, 위치신호의 형태로 라인(8) 상에 존재하는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의 실제 위치와,라인(11)을 통해 비교회로(9)에 들어온 표시신호로 표시되는 원하는 최종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표시신호는,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에 의해 판독된 정보로부터 얻을 수 있지만, 판독 및/또는 기록을 위한 본 장치가 일부분을 형성하는 프로그래밍된 장치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제어회로(6)는, 라인(10)을 통해 처리회로 12와 처리회로 13 모두에 입력되는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회로(6)는, 제어회로들(12, 13)로부터의 출력신호가 한 개의 신호로 결합될 수 있는 합성부(14)를 구비하며, 이 신호는 합성회로(14)로부터 라인(7)으로 주어진다.
처리수단 12는, 초기 위치로부터 표시신호로 표시된 최종 위치로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를 이동하기 위해, 라인 11 및 10 상의 표시신호로부터 제 1 위치지정수단(5)에 대한 제어신호를 유도할 수 있는, 당업계에 공지된 종래의 회로이다.
처리수단 13은, 신호처리 동작을 수행하여, 초기 위치에 대한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의 위치의 원하는 변화의 방향을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이 방향만을 표시신호로부터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처리회로 13은 처리회로 12의 물리적인 부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처리회로 12가 프로그램가능한 장치를 구비한 경우에는, 심지어 그것과 물리적으로 구별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도 2는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를 더욱 더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는, 대차(21) 이외에, 유지수단(2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수단(22)은, 예를 들면 판 스프링(25, 26)에 의해 약간의 도약 운동이가능하도록 대체(21)로부터 매달려 있다. 유지수단(22)을 매달기 위한 다른 실시예도 이미 공지되어 있다. 참조번호 23은, 유지수단으로 사용되며, 방사선 발생기(미도시)로부터의 방사선을 기록매체(2)의 트랙(24)에 초점을 맞추는 렌즈를 나타낸다.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어신호가 렌즈(23)를 통해 트랙(24)으로부터 추출된 신호로부터 발생되는데, 이 제어신호는 유지수단을 이중 화살표(28)의 방향으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액추에이터(27)를 위한 것이다. 이줄 화살표 28로 표시되는 이동 방향은 트랙(24)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위치지정수단(5)은, 대차(21)를 이중 화살표(4)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모터(20)를 구비한다. 화살표 28로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트랙은, 예를 들면, 렌즈(23)가 재위치지정을 하지 않고 트랙(24)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방사선의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위치에 언제나 존재하지는 않는다. 기록매체가 회전가능한 평판 디스크인 경우에, 예를 들면, 트랙(24)은 나선형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트랙(24)의 위치는, 평판 디스크(2)의 매 회전으로 도 2에 도시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평판의 회전가능한 디스크(2)가 정확히 중심에 놓이지 않는 경우에, 다른 형태의 편평하지 않은 상태가 일어난다. 대차(21)가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에, 이와 같은 트랙(24)의 이동은 액추에이터(27)를 사용하여 따라갈 수 있는데, 이것은 유지수단(22)이 트랙(24)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한편, 판 스프링(25, 26)은, 유지수단이 언제나 평형 위치로 유지되도록 보장한다. 이에 따라, 유지수단(22)은, 대차(21)가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에, 나란히 놓인 다수의 트랙(24)을 판독하거나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는, 다수의 크랙을 가로질러 도약을 하는 것이 필요한데, 유지수단(22)이 사용할 수 있는 이중 화살표(28) 방향으로의 이동량이 주어진다면, 이와 같은 도약이 너무 커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대차(21)가 이중 화살표(4)의 방향으로 움직여야만 한다. 이를 위해, 모터(20)가 설치되는데, 이 모터는 위치지정수단(5)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3은, 라인(7)을 통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시간의 함수로써 대차(21)의 위치가 변하여, 모터(20)가 대차(21)를 움직이게 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제 1 시점 t1에, 신호는 라인(7)을 통해 모터(20)에 도달한다. 단지 약간의 시간후인, 시점 t2에, 대차(21)는 움직이기 시작할 것이다. t1및 t2사이의 기간 동안에, 대차(21)는 초기 위치로 유지될 것이다. 그후에, 대차(21)의 가속화된 이동이 시작될 것이다.
도 4에, 다수의 시점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중에서 트랙(24)에 대한 전술한 시점 t1및 t2이 표시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참조번호 29는, 판독 또는 기록하고자 하는 정보가 트랙(24) 상에서 끝나고, 트랙(24)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액추에이터(27)가 유지수단(22)을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없어 렌즈(23)가 새로운 트랙을 검출하여, 대차(21)를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움직일 필요가 있는 또 다른 트랙에서 판독 또는 기록이 계속되어야만 하는 트랙(24) 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때, 도 4는 비례축적으로 도시하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제 1 시점에서의 신호가, 유지수단(22)이 판독 또는 기록하고자 하는 트랙이 종료하는 위치(29)에 존재하는 순간에 전달된다. 이것의 결과는,유지수단(22)이, 대차(21)가 이동을 개시하기 전에, 일정한 시간 동안, 즉 도 3에 도시된 t1및 t2사이의 기간 동안 트랙(24)을 계속 추종하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수단(22)이 아직 거리 L1만큼 위치 29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1 시점 t1에, 신호가 전달된다. 또한, 도 4에는 도 3의 시점 t2에 대응하는 시점 t2가 도시되어 있다. 시점 t2에서, 예를 들면 회전가능한 평판 디스크가 적절히 중심에 놓이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유지수단(22)이 트랙(24)을 추종하기 위한 임의의 이동을 고려하지 않으면, 대차(21) 및 유지수단(22)의 위치는 여전히 시점 t1과 정확히 동일하다(참조: 도 5). 이 모든 것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트랙(24)은 간략을 기하기 위해 직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비례축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트랙(24)에 대해 대차(21) 및 유지수단(22)의 윤곽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는, 물론 트랙(24)을 추종하기 위해 대차(21)에 대한 유지수단(22)의 전술한 이동을 제외한다면, 대차(21) 및 유지수단(22)의 위치가 시점 t1에서 변하지 않으며, 시점 t2에서도 변하지 않는다. 그후, 시점 t2로부터, 대차(21)가 화살표(29)로 표시된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시점 t3에서, 대차(21)는 화살표(29)로 나타낸 방향으로 거리 d 만큼 움직였다. 그러나, 유지수단(22)은 액추에이터(27)의 영향하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렌즈(23)가 트랙(24)을 계속 추종하게 된다. 이 거리 d는, 액추에이터(27)가 유지수단(22)을 이동시킬 수 있는 양인 대차(21)에 대한 주행량보다 작다. 시점 t4에서, 대차(21)는 이미 거리 D 만큼 주행하게 된다. 더구나, 대차(21)는 약간의 거리만큼 주행하는 것 뿐만 아니라, 덧붙여, 도 3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시점 t2이후에 그것의 속도가 일정하게 증가함으로써, 시간의 함수로써 표시되는 트랙(24)에 대해 대차(21)에 의해 주행한 거리가 도 5에 도시된 곡선의 형태로 나타내게 된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시점 t4에서는, 유지수단(22)과 대차(21) 사이의 가능한 최대 상대 이동에 거의 이르게 된다. 이에 따라, 대차(21)는 이미 다음 위치인 최종 위치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한편, 유지수단(22)은 위치 29가 최적으로 사용될 때까지 트랙(24)을 계속 추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술한 종래기술과 비교할 때 얻어지는 시간은 기간 t1내지 t4가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회로(6)는 처리회로(13)를 구비한다. 처리회로(13)는 신호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초기 위치에 대한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의 위치의 원하는 변화의 방향은,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그것만이, 표시신호로부터 유도된다. 원하는 위치 변화의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는 이미 라인(7)을 거쳐 합성부(14)를 통해 모터(20)로 공급됨으로써, 전술한 과정이 시점 t1에서 시작된다. 모터(20)가 시점 t1에서 개시될 때, 대차(21)의 원하는 최종 위치를 반드시 알아야 될 필요는 없다. 대차(21)가 움직여야만 하는 방향을 알면 충분하다. 그후, 대차(21)의 원하는 최종 위치에 대한 정보는 합성부(14)를 통해 처리회로(12)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한편,대차(21)는 움직이기 시작한다.
전술한 발명내용에서, 본 발명을, 비교회로(9)와 제어회로(6)를 구비하고, 이 제어회로(6)가 처리회로 12, 처리회로 13 및 합성회로(14)를 구비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가 비교회로(9), 처리회로(12), 처리회로(13) 및 합성회로(14)에 대해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구현도 가능하다. 또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구성도 본 발명을 구현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4)

  1. 기록매체(2) 상의 트랙(24)으로부터 또한 트랙에 정보를 각각 판독 및/또는 기록하며, 상기 트랙(24)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위치지정수단(5, 20)에 의해 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대차(21)와 대차에 대해 트랙의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트랙 상의 주사점에서 판독 및/또는 기록 동작을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와,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의 횡방향으로의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의 위치의 원하는 변화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어회로(6)에 공급하는 수단(10)을 구비하고, 이 제어회로(6)는 상기 표시 신호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위치지정수단(5, 20)에 대한 제어신호로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이 제어회로(6)는 제 1 시점에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신호를 위치지정수단(5, 20)으로 공급하여, 위치지정수단이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를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동하게 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이,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의 유지수단(22)이 초기 위치에서 주사점에 트랙(24)을 아직 판독 및/또는 기록하고 있는 순간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이, 상기 대차(21)가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미 이동하고 있는 순간에 일어나고, 이 순간에,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3)의 유지수단(22)은 초기 위치에서 주사점에 트랙(24)을 아직 판독 및/또는 기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점이, 주사점(22)이 아직 상기 트랙(24) 상에 있는 동안 대차(21)가 초기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로 이미 이동하고 있는 순간에, 판독 및/또는 기록하고자 하는 트랙(24)의 종료위치(29)에 도달하는 순간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6)가, 초기 위치에 대한 원하는 위치의 변화의 방향이 상기 표시신호로부터 유도되는 신호처리 동작(13)을 수행하고, 이 신호를 이미 제 1 시점에서 위치지정수단(5, 20)으로 공급하여, 상기 표시신호로부터의 모든 정보가 제어회로(6)에 의해 처리되기 전에, 상기 표시신호로부터 유도된 방향으로 위치의 변화를 개시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7012494A 2001-01-24 2001-12-19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용 위치 제어 KR20020086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00237 2001-01-24
EP01200237.4 2001-01-24
PCT/IB2001/002659 WO2002059885A1 (en) 2001-01-24 2001-12-19 Positioning control for read and/or write he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670A true KR20020086670A (ko) 2002-11-18

Family

ID=817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494A KR20020086670A (ko) 2001-01-24 2001-12-19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용 위치 제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37426B2 (ko)
EP (1) EP1356465B8 (ko)
JP (1) JP2004518239A (ko)
KR (1) KR20020086670A (ko)
CN (1) CN1419692A (ko)
AT (1) ATE309602T1 (ko)
DE (1) DE60114884D1 (ko)
WO (1) WO2002059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0921A1 (en) * 2004-06-10 2008-06-12 Sehat Sutardja Externally removabl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module for hard disk drives
US20070009104A1 (en) * 2004-09-23 2007-01-11 Renkis Martin A Wireless smart camera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802860A (nl) * 1978-03-16 1979-09-18 Philips Nv Registratiedragerlichaam en registratiedrager voor optische informatie en inrichting voor het inschrijven en uitlezen.
EP0088554B1 (en) * 1982-02-24 1986-04-16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read-write head in seek operation on a disk memory having data and servo sectors
US5729511A (en) * 1991-02-15 1998-03-17 Discovision Associates Optical disc system having servo motor and servo error detection assembly operated relative to monitored quad sum signal
CA2071412A1 (en) * 1991-11-01 1993-05-02 Clark Alan Anders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rack switch latency in a disk drive
JPH06215503A (ja) * 1993-01-14 1994-08-05 Canon Inc 情報記録再生装置
JP3971462B2 (ja) * 1994-11-25 2007-09-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US5668680A (en) 1995-09-21 1997-09-16 Seagate Technology, Inc. Time optimal control of a disc drive actuator with vibro-acoustic constra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9692A (zh) 2003-05-21
EP1356465B8 (en) 2006-01-11
US6937426B2 (en) 2005-08-30
JP2004518239A (ja) 2004-06-17
WO2002059885A1 (en) 2002-08-01
EP1356465B1 (en) 2005-11-09
ATE309602T1 (de) 2005-11-15
DE60114884D1 (de) 2005-12-15
EP1356465A1 (en) 2003-10-29
US20020110052A1 (en) 200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6392B1 (en) Optical servo system for a tape drive
KR880002145A (ko)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CA2080057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5161140A (en) Track jump control apparatus
US5444684A (en) Seek control system of dual processor magneto-optic disk unit
KR20020086670A (ko) 판독 및/또는 기록 헤드용 위치 제어
JPS63224083A (ja) 磁気デイスク装置
US20030189782A1 (en) Optical servo system for a tape drive
US5272688A (en) Apparatus for writing and/or reading information on and/or from optical card
CN101189664A (zh) 预测双层盘中的dvd可记录的记录参数
US6801480B2 (en) Optical disk drive apparatus capable of braking the optical head at half track short of target track
EP1204107A3 (en) Carriage servo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carriage servo control is recorded
EP0383562B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device for prohibiting movement of optical head
JPH06302135A (ja) 情報記憶ディスク装置のヘッド位置決め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サーボ情報書き込み方法及び書き込み装置、スライダ、スライダ支持部材、磁気ディスク装置
JP2632969B2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2796308B2 (ja) 光カードの記録再生方法及び光カードのデータ配置方法
JPH10134533A (ja) サーボ情報書き込み装置
JPH0927131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3235261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738256B2 (ja) オ−ト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2698420B2 (ja) カード状記録媒体のアクセス方法
JP2536875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862669B2 (ja) 光カード装置
JPH09213034A (ja) サーボ情報書き込み装置及び書き込み方法
JPH03152727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