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733A -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733A
KR20020085733A KR1020010025647A KR20010025647A KR20020085733A KR 20020085733 A KR20020085733 A KR 20020085733A KR 1020010025647 A KR1020010025647 A KR 1020010025647A KR 20010025647 A KR20010025647 A KR 20010025647A KR 20020085733 A KR20020085733 A KR 20020085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st fire
forest
map
monito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시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시코
Priority to KR102001002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5733A/ko
Publication of KR2002008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73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종합 상황실 시스템에는 관리하고자 하는 산림 전체 면적의 자세한 지도가 입력된다.
그리고 관리하고자 하는 산 중턱이나 정상부에 카메라 등,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 장비 일체인 본 발명의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을 1곳 이상 설치하고, 상기 무인산불 감시 시스텀에는 카메라 줌렌즈 카메라 회전기 및 각종 기상 센서부가 형성되어 주변의 기상 상태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러한 정보를 종합 상황실로 통신으로 전송하여, 종합 상황실에서는 촬상 영상과 각각 다른 위치에 설치된 산불 감시 장치로부터 기상정보 자료를 저장, 출력 및 이러한 정보나 자료를 분석 및 모니터에 동시에 보여줄 수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으로,
종합 상황실에는 산림 현장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 각각의 위치나 동작상태 및 지형이 모니터상의 지도상에 함께 표시됨과 산정상부 주위의 현재의 기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 받아 모니터에 표시된다.
즉, 종합 상황실에서는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과 통신으로 이루어져 산불 진화 작업의 통합 시스템으로 활용되도록, 전체적인 산림 지형과 촬상되는 영상과 기상 자료를 동시에 모니터 창으로 확인 가능하며, 세부적으로 카메라의 촬상 방향 및 촬상각을 지도에 맞춰 표시되는 프로그램으로, 상황 감시자인 운용자가 종함상활실에서 모니터 창에 표시되는 카메라를 선택하고 원하고자 하는 지도의 위치를선택하면 자동으로 그 위치와 촬상각 뿐만 아니라 줌렌즈의 초점 거리까지 프로그램 활용이 가능하여 운용자에게 기상 정보를 기본으로 하고 현지의 시스템 상태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러한 기능으로 산불 발생시, 산불 현장의 정확한 위치 확인은 물론, 모니터의 지도에 산불 표시 기능과 함께 현장에서 보내지는 기상 상태의 자료를 가지고 컴퓨터 프로그램 기능으로 실제 산불의 예상 경로를 보여주는 가상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며, 이러한 시뮬레이션 기능으로 실제, 산불 예상 진로를 파악, 산불 진화에 정확하고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휘 체제를 지원할 수 있는 유용한 시스템 장치로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의 무인 산불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을 개시한다.
지금까지는 산불을 감시하기 위해 산림 관리자가 현장에 상주하는 방법과 영상 장비를 설치하여 관리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은 시각적인 산림관찰이나 모니터를 바라보는 방법에 의해서 산림의 산불 방지 및 초동 확인에 기준을 두고 운영되고 있다.
상기의 영상 장비는 산불을 감시하기 위해 관리하고자 하는 산 정상부나 중턱에 팬/틸티와 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상되는 영상을 원격지 즉, 종합 상황실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동, 회전시켜 찰상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모니터로 확인하다가 산불 영상이 발생되면 주변 주민이나 관계자에게 오디오 기능으로 알리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은 사람이 항상 상주할 경우, 인간의 24시간 집중력을 의심하지 않을수 없으며, 모니터 감시 역시, 24시간 집중력 있는 산불 감시를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일예로, 우리나라 산불 신고 통계를 보면, 산불이 발생했다는 정보는 실제로 인근 주민의 신고가 대분분이었다.
그리고 상기의 영상 장비에 적외선 시스템으로 산불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으나, 실제 현장의 넓은 장소, 가파른 계곡, 기상 급변화가 있는 산림에게 적용시키기엔 심각한 시스템 에러율을 줄이는 문제가 먼저 해결 되어야만할것이다.
이렇듯,
실제적으로 산불은 넓은 면적의 산림에서 어느 순간 발생되는 것으로, 여기에 산림 관리자 혹은 상기의 영상 장비로서 산불 확인을 했어도 실제 산불 진화 작업이 이루어지기에는 연락 체계 및 진화 작업 지휘체계가 갖추어지기엔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그 소비된 시간 동안 산불은 더욱 넓은 면적에 번져 있어 이를 진화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상기의 영상 장비는 이때에도, 산불 진화에 대해서도 별 도움을 기대할 수가 없었다.
상기와 같은 단순 산불 확인 및 예방 차원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본 발명의 무인 산불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은 관리하고자 하는 산림에 영상 장비와 각종 기상 센서 등을 설치하고, 평시에는 산불 예방 차원에서 운영되고, 실제적으로 산불 발생시점에서는 각종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기상 정보와 시스템에 저장된 각종 자료가 포함된 지도의 활용으로, 산불 확인을 인근 주민의 신고자로부터 제공 받거나 본 발명이 설치된 종합 상황실의 모니터로 산불을 확인한 운영자가 현재 산불 발생 예상 진원지를 지도상 화면에 마우스로 표시를 하게 되면, 산불 경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수행 가능하여 본 발명 운영자가 시뮬레이션 선택을 하게되면, 시간에 따른 지도상에 산불 예상 경로를 모니터로 제공하게 되어, 이를 바탕으로 초기에 산불 진화계획을 시간과 주어진 환경에 따라 구체적, 과학적, 효과적으로 세우고, 유한한 장비와 인력으로 효과적인 산불 진화 또는 지연으로 피해를최소화 할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으로 산불 진화 작업 통제, 진화 작업을 지휘할 수 있으면서 부가적으로 시스템 프로그램 통신으로 인근 소방서나 민, 군기관 등 협력 기관에 산불 현장의 상세 지도와 산불 진화 계획을 첨부, 발송하도록 하여 민, 관, 군의 행정기관이 본 발명의 시설을 갖춘 종합 상황실의 통제하에서 초기 산불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빠른시간에 산불 진화 그리고 진화후, 피해복구 대책까지 본 발명의 무인 산불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의 활용이 기대되는 무인 산불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메인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2는 본 발명의 현장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 그램
도3은 본 발명의 산불진로 시뮬레이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4는 통합시스템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시스템의 동작과정의 간략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 위치 및 각종 기상센서
3: 센서 제어부 5: 카메라
7: 위치제어부 9: 데이터 제어부
15: 멀티데이터 압축/복원 처리부
17, 53:유.무선통신시스템 21, 25: 모니터
37:멀티 데이터 압축/복원 처리부
39:네트웍크 50:멀티 포트시스템
61:기억장치 100: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200:통합시스템 소프트웨어
본 발명의 무인 산불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2는 관리하고자 하는 산 정상부나 중턱에 각종 기상 센서와 카메라 위치제어부와 함께 카메라가 설치되는 현장 시스템에 관한 블록구성도 이다.
상기의 기상 센서에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풍향센서 풍속센서 기압센서, 그리고 강수량 센서가 포함되어 설치되는 장소의 전체적인 기상정보를 각각의 센서에 의해 정보를 얻고 카메라 위치 제어부에서는 기존 사용중인 카메라의 방향의 위도 경도 거리의 산출방식인 삼각구도 방식 즉, 3대의 카메라로 한곳의 지점을 교차시켜 그 지점을 읽어오는 방식으로 3대의 카메라가 교차되지 않는 사각지대는 위치 값을 나타낼 수가 없다
그러나 본발명은 카메라와 줌렌즈의 비율을 함수 계산하여 1대의 카메라로 사각지대 없이 360도 방향의 거리 경도 위도를 실시간으로 계산 가능함을 밝히면서, 도1은 산불 진화 메인 시스템으로 종합 상황실의 임무를 충분히 수행하도록, 종합 상황실에 설치되는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시스템은 관리하고자 하는 산림을 일반 행정지도나 전자화된 지도(이하 지도라한다)의 정보가 내장된 컴퓨터 그리고 각종 주변장치의 조합으로 도2에 도시된 현장 시스템과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며, 현장 시스템은 관리하고자하는 산 정상부나 중턱에 설치된다. 현장 시스템은 카메라와 각종 센서로 영상과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종합 상황실의 통합 시스템과 유, 무선 통신으로 기상정보를 전송하고 통합 시스템의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과 시스템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리하고자하는 현장의 정확한 지형 지도 정보가 상기의 메인 시스템에 저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된 지도를 바탕으로 기상 정보나 기억된 자료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이용,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실현, 가상 시뮬레이션이 가능함을 밝히면서, 상기의 현장 시스템은 각종 센서(1) 즉, 카메라 위치와 방향 센서 그리고 온도, 풍속, 풍향 습도 기압 강우량센서 등 다양한 센서(이하, 기상 센서라 한다.)로 산림 현장의 기상정보와 카메라 방향 정보 등을 수집하고, 카메라(5)와 카메라(5)의 촬상각의 변화를 줄 수 있는 팬/틸티가 포함된 카메라 위치제어부(7)가 함께 동일 현장 장소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수개의 기상 센서(1)의 정보 신호는 센서제어부(3)에서 각종 기상 정보를 통합하여 멀티 데이터 압축/ 복원처리부(15)로 실시간으로 종합 상황실로 전송된다.
멀티 테이터 압축/복원처리부(15)는 유.무선통신시스템(17)으로 메인 시스템과 데이터를 전 이중통신으로 행하여지되, 수신된 정보는 복원하여 데이터제어부(9)로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카메라 위치제어부(7)가 실제로 작동되어 카메라(5)의 이동을 구현한다. 상기의 유, 무선 통신시스템(17)에 오디오 스피커(11)가 연결되고 카메라 영상 신호 그리고 기상정보를 통합 시스템이 설치된 종합 상황실로 전송한다.
유, 무선 통신 시스템(17)은 코덱이나 기타 유, 무선 통신 장비로 실현이 가능하다. 이렇게 관리하고자하는 산 중턱 혹은 산 정상에 상기의 현장 시스템이 설치되어 각종 기상 정보와 영상을 원 거리의 통합 시스템에게로 각종 정보를 전송하고 또 통합 시스템에서 보내 온 제어신호를 최종적으로 실현한다. 상기의 현장 시스템은 산악의 현장 상황에 따라 다수개 설치 가능함은 물론, 각각 설치된 위치와 장소 및 지형은 통합 시스템의 상세 지도상에 입력되어야 한다. 통합 시스템은 종합 상활실에 설치되어 그 구성은 관리하고자하는 산림의 지도가 컴퓨터상에 저장되어 시스템 모니터(25) 창에 표시되고 그 표시되는 지도상에 상기의 현장 시스템 카메라 좌표상, 표시됨과 동시에 카메라(5)가 촬상하는 방향이 실제 지도상에 동일 방향으로 표시되면서, 현장 카메라(5)이동시에도 현장의 카메라 움직임과 동일하게 실시간으로 지도상에서도 움직이게 된다.
물론, 윈도우(Window) 프로그램으로 다수개의 창으로 영상을 독립적인 표시 방법과 여러 기능의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모니터(25)에는 지도와 영상 신호가 조합으로 화면 창(Window)으로 표시되며 프로그램 기능으로 지도 화면에 여러 개의 카메라가 선택적으로 표시가 되면서, 상황 감시자는 특정 카메라를 선택하여 선택된 영상만을 볼 수도 있고 모니터 지도상에 카메라의 위치와 촬상 방향 각의 확인이 가능함과 동시에 각각 현장의 기상정보도 확인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은 모니터 상을 바라보는 상황 감시자에게 지루함으로 야기된 부주의한 상태에서 실제 발생한 산불 현장을 찾기 위해 이리 저리 카메라의 조작시간의 단축과 현재 보이는 영상 방향이 지도상 어느방향인지 쉽게 알려주게 되어, 누구든지 모니터를 바라보는 사람에게 지리적 이해도를 높혀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산불 지휘 통제 명령을 가능하게 할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기능을 더하여 모니터 화면 일측에 산림 관계자의 연락처 및 상황 관리 조직도가 표시되어, 비상시 상황 감시자는 바로 모니터에 마우스 조작이나 키보드 입력으로 산불 진화에 필요한 자료와 메모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비상 전화 연락 또는 팩스 기능을 실현 가능하다. 비상 전화는 팩스 및 모뎀이나 기타 통신 수단으로의 기능을 포함하여 상황실 모니터상의 화면을 그대로 관련 기관인 소방서 및 경찰서 그리고 인근 군기관이나 관공서에 인터넷 네트웍크, 컴퓨터나, 팩스로 산불 진화에 필요한 내용 전송이 가능함을 밝히는 바이다. 다시 되돌아가서 상황실의 통합 시스템을 블록 형태로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의 현장 시스템과 통신 기능의 유, 무선통신시스템(53)은 코덱 장비나 유, 무선 통신 장비 또는 기타 통신 전용회선(이하 유, 무선통신 시스템이라 한다)이 사용되며 전체적인 1 : 1 전 이중 통신을 담당한다. 현장시스템이 추가될 경우, 종합상황실에는 현장 시스템별로 유, 무선 통신시스템만 추가하여 채널별로 통신하기 때문에 현장시스템을가감에 따른 시스템 환경설치에 별 어려움이 없다.
종합상황실에 수신된 영상 신호는 영상분할기(53)를 거쳐 영상분배기(31)를 통해 디지털 녹화 장치(29)와 모니터(21) 그리고 멀티 데이터 압축/복원 처리부(37)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유, 무선 통신시스템(53)은 통신상 직렬식으로 전송되는 각종 정보나 제어 신호를 멀티포트시스템(50)을 통해 각각의 신호 데이터를 분리, 조합하여 멀티 데이터 압축/복원처리부(37)와 상호 연결된다.
상기의 멀티포트시스템(50)은 디코더와 엔코더 조합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의 멀티 데이터 압축/복원처리부(37)는 펜티엄급 CPU 이상의 칩이 내장된 윈도우(Window) 컴퓨터 기능으로 컴퓨터 기억장치(61)에는 상황 감시자 및 관계자 그리고 관계부처와 통신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비상 전화번호와 함께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프로그램이 내재되고, 관리하고자하는 산림의 등고선을 포함된 보다 상세한 지도 정보가 저장됨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유익하다.
여기에 네트웍크(39)이나 또는 인테넷으로 타지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시스템이나 기타 통신 수단으로 산불 발생시, 현지역 민, 관, 군은 물론, 관할 행정구역에 한정하지 않고 인근 지역간 상호 산불 상황의 자세한 위치나 현장 상황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용 적인 차원에서 유한한 카메라 장비로 영상의 촬상 한계를 벗어난 지역에서도 산불이 발생했다는 제보만으로도 종합 상황실에서는 시스템에 저장된 지도와 기상정보로 산불 진로 예상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을 또한 밝히는 바이며 다만, 현지의 영상을 직접 확인할수 없다는 점을 들 뿐, 촬상되는 카메라 영상만으로 관리하고자하는 산림에 한정하지 않고 기타 지역의 산림도 연관되어 본 발명으로 산불 진화 작업의 통제가 가능하다.
마이크(41)와 오디오 믹서기(43) 키보드(44) 그리고 앰프(45)는 종합 상황실의 안내 방송을 현장 시스템에 전송하는 오디오 장치들로 이미 이러한 기술과 장비는 여러 방면으로 사용되고 있기에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전체적인 구성으로 본 발명은 카메라로 산림을 감시하고 있다가, 어느 순간 불시에 산불이 발생했다는 제보나 수신된 영상을 상황 감시자가 최종적으로 산불임을 판정하였을 때, 상황 감시자가 비상 산불 발생 신호를 마우스나 키보드 혹은 외부 입력 장치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게 되면, 시스템은 프로그램상 인터럽트 제어 명령 수행으로 산불 예상 진로를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100)모듈로 전환되어 종료 신호 입력시까지 산불 발생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통합콘트롤소프트웨어(200) 프로그램 수행의 일 실시 예를 나열하면,
10)산불 발생 신호 외부 입력
20)메인 시스템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기능 전환
30)메인 시스템은 모니터 상의 지도에 산불 발생 지점을 마우스나 키보드로 입력 대기 상태,
40) 상황 관리자는 최종적으로 산불을 확인한 곳을 화면 지도상에 마우스나 키보드로 해당 좌표 클릭.
50)메인 시스템 해당 좌표 지점에 불기둥 표시,
60)메인 시스템은 저장된 해당 전화번호에 전화하여 안내멘트 전송 그리고 해당 팩스 번호에 불기둥이 그려진 지도를 전송,
70) 현장 시스템의 기상정보를 토대로 가상 시뮬레이션 대기 상태,
80) 상황 관리자의 시뮬레이션 수행 명령 입력,
90)메인 시스템은 기상정보와 지도상의 등고선 좌표예서 미/적분, 그리고 피타고라스 방정식 함수로 연산 과정 수행, 그 결과를 해당 불기둥을 모니터 지도상에 움직여 번지면서 연산된 값에 따라 해당 좌표로 불기둥을 확대 이동시킴, 불기둥이 지나간 자리는 검은 색으로 표시, 예상 피해 지역과 예상 피해 면적 확인 가능,
.
.
1000) 산불 진화 종료
1010)인터럽트 해제
1020) 최종 피해 면적, 산불 진행 시간 등의 각종 정보 프린팅 및 저장.
도3에 상기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100)프로그램 및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간략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도4에 상기 통합콘트롤 소프트웨어(200) 프로그램 및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간략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특징은 관리하고자하는 산림의 산불을 초기 확인 체계에도 기여를할 수 있지만, 보다 큰 장점은, 산림의 지도 정보를 컴퓨터가 기억하고 있다는 점에서 초기 확인 및 산불 진화 그리고 진화 이후까지에도 충분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실제로 유용한 예를 들면, 종합 상황실에서 산불 확인 바로 그 시간에서부터 관계자 및 인근 민, 관, 군에 곧바로 산불 진화 작업 확립이 가능하도록 통신으로 산불 현장의 지도와 긴급한 메로와 함께 알려주고 지도상에 산불 진로 예상 시뮬레이션 즉, 현재 시각으로부터 15분후, 30분 후······. 산불 예상 진로를 다양한 선(LINE)으로 도시하여 현장 출동에 충분한 정보를 일순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소방서의 긴급 산불 진화 헬기 지원이 필요할 때는, 팩스 내용중, 지도상에 위치 좌표와 기상상태 집중 진화 지역 및 진화용 저수지 등 물 공급 위치도 좌표 상에 도시되어 전송하면, 매우 먼 거리에서 출동하는 산불 진화 헬기는 본 팩스 내용을 확인과 동시에 출동하면서 현장에 도착하기 위한 비행 시간 동안 산불 현장을 좌표로서 인식하게 되면서 가까운 저수 물의 위치도 확인하여 산불 진화 작업에 매우 효율적으로 초기 현장 접근과 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이며 비단, 헬기뿐만 아니라 동원될 인력과 장비를 처음부터 끝까지 지휘할 수 있는 종합 상황실로 활용되어, 전체적인 출동 시간의 단축과 진화 효율적 작업 지시로 최소한의 시간으로 효율적 진화를 할 수 있게 되어, 소중한 산림 자원을 감시뿐만 아니라 불시에 일어난 산불 예방과 초동진화 그리고 차후 대책까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즉, 기존의 산불감시 시스템 체계를 크게 영상 장비인 카메라, 패/틸티와 음향 장비인 마이크 그리고 오디오 장비를 코덱이나 무선통선 장비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1차원적인 감시 시스템이라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영상 장비와 음향 장비 그리고 통신 장비에 기상 센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시스템과 연결되어 컴퓨터 기억장치에 관리하고자하는 산림의 자세한 지도와 기타 효율적 관리 체제가 프로그램화된 시스템 장비로 지도상의 등고선을 인식하여 기상정보와 지도상의 등고선을 인식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산불감시와 진화 그리고 피해 복구까지도 활용될 수 있는 산불감시 장치 및 산불 진화 메인 시스템이며, 상기에서도 기술한 위도와 경도를 구하기 위해 기존의 삼각구도방식이나 GPS 시스템이 아닌 단, 1대의 카메라 구성을 갖는 줌렌즈와 카메라 본체 상호 조합으로 자동으로 영상의 초점을 맞추는 기능에 본 시스템의 관계가 접속되고, 본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으로 줌렌즈의 이동 거리를 확인, 이를 근거로 줌렌즈의 배율을 곱하여 값을 얻고서, 이를 여러 센서와 조합으로 위도와 경도 그리고 거리의 값까지도 구할 수 있는 발명이다. 즉, 본 발명에서 만족한 현장시스템 1곳만으로도 본 발명에서는 좌표점을 포함한 거리, 위도, 경도도 손쉽게 구하여 응용할수 있는 특징이 있는 산불감시 장치 및 산불 진화 메인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무인 산불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으로 산불을 초기 확인 및 짧은 시간에 한정된 인력과 장비로 효율적으로 진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기타 부수적인 피해 면적을 신속, 정확하게 파악됨은물론, 타 행정구역과 연대로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전국을 네트워크 형태로 산림을 관리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Claims (4)

  1. 산정상부에 카메라와 팬/틸티 그리고 각종 기상센서로 영상 및 영상각을 포함한 기상정보를 통신으로 전송하는 현장시스템과; 상기 현장시스템을 통신으로 선택 및 제어하는 종합상활실의 통합시스템에;
    관리하고자하는 산림의 지도와 해당기관 및 관계자 연락처가 저장된 컴퓨터 시스템에, 모니터링 기능으로는 윈도우(Window) 프로그램으로 창으로 디스플레이 표출되며;
    외부 산불 확인 입력 신호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산불 예상 진행 방향을 모니터에 시뮬레이션으로 보여주며;
    외부 통신으로서 상기 연락처에 지도와 함께 메모를 자동 전송하는 무인 산불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이다.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지도는 전자지도 또는 일반지도가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면적과 등고선 간격 및 방위각에 시간과 기상자료를 포함 저장되어;
    프로그램으로 산불진로 및 피해면적 시뮬레이션을 모니터에 보여줄수 있는 산불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메인 시스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의 통합시스템으로 산불진로 및 피해면적을 보여주는 시뮬레이션을 전국 네트웍크에 연결 지휘 통제 및 보고 할 수 있는 무인 산불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메인 시스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카메라 1대만 설치된 현장시스템 만으로도 좌표를 포함한 위도, 경도 , 거리를 자동 확인할수 있는 무인 산불감시 시스템.
KR1020010025647A 2001-05-10 2001-05-10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 KR20020085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647A KR20020085733A (ko) 2001-05-10 2001-05-10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647A KR20020085733A (ko) 2001-05-10 2001-05-10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733A true KR20020085733A (ko) 2002-11-16

Family

ID=2770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647A KR20020085733A (ko) 2001-05-10 2001-05-10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57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664B1 (ko) * 2013-02-20 2014-12-0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 방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3265A (ja) * 1995-09-04 1997-03-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災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9990034151A (ko) * 1997-10-28 1999-05-15 정선종 네트워크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1143350A (ja) * 1997-11-14 1999-05-28 Matsushita Joho System Kk 防災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防災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そ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00064200A (ko) * 2000-08-29 2000-11-06 이재학 인터넷 기반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KR20010111840A (ko) * 2000-06-13 2001-12-20 김태환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화상 감시 시스템
KR20020083036A (ko) * 2001-04-25 2002-11-01 노삼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위험정보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3265A (ja) * 1995-09-04 1997-03-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災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9990034151A (ko) * 1997-10-28 1999-05-15 정선종 네트워크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1143350A (ja) * 1997-11-14 1999-05-28 Matsushita Joho System Kk 防災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防災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そ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111840A (ko) * 2000-06-13 2001-12-20 김태환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화상 감시 시스템
KR20000064200A (ko) * 2000-08-29 2000-11-06 이재학 인터넷 기반을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시스템
KR20020083036A (ko) * 2001-04-25 2002-11-01 노삼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위험정보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664B1 (ko) * 2013-02-20 2014-12-04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 방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0853B2 (ja) 火災検知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方法
US200601186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movement of personnel
KR101321444B1 (ko) Cctv 모니터링 시스템
US76341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emergency information distribution
CN115348247A (zh) 基于天空地一体化技术的森林火灾检测预警及决策系统
US20130141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incident representation
US20170280107A1 (en) Site sentinel systems and methods
JP5715775B2 (ja) 画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画像監視方法
KR20090031493A (ko)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를 이용한 영상 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US202203012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mersive and collaborative video surveillance
US1166857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sponse vehicle deployment
US202003498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emergency response solutions
KR20160099931A (ko)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KR101483949B1 (ko) 통합 관제 시스템
CN110956563A (zh) 消防信息整合系统
JP6612724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映像表示方法
JP392755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20085733A (ko) 무인산불 감시 시스템 및 산불 진화 통합 시스템
JP3540113B2 (ja) 災害状況管理システム
TWM576321U (zh) Fire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KR20020024745A (ko) 산불 감시 및 위치추적 장치와 그 운용방법
US20200402192A1 (en) Creation of Web-Based Interactive Maps for Emergency Responders
KR20160034833A (ko) 동적 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이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7178695B2 (ja) ドローンを活用した現場調査システム
KR20160099932A (ko) 삼차원 지도 기반 폐쇄회로 텔레비전 영상 매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