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269A - 램프 캡을 갖는 전기 램프 - Google Patents

램프 캡을 갖는 전기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269A
KR20020084269A KR1020027012926A KR20027012926A KR20020084269A KR 20020084269 A KR20020084269 A KR 20020084269A KR 1020027012926 A KR1020027012926 A KR 1020027012926A KR 20027012926 A KR20027012926 A KR 20027012926A KR 20020084269 A KR20020084269 A KR 20020084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amp
spring
lamp cap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센페트러스제이에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8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2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0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sources having contact pins, wires or blades, e.g. pinch sealed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01J5/56Shape of the separat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42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 H01K1/46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c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전기 접촉 요소(28)와 접촉하기에 적합한 램프 캡(12)을 갖는 전기 램프(2)에 관한 것이다. 이 램프 캡은 스프링(24)을 거쳐서 제 2 접촉부(20)에 접속되는 제 1 접촉부(18)를 구비하는 접촉 수단(16)을 포함하여서, 제 2 접촉부(20)가 제 1 접촉부(18) 및/또는 램프 캡(12)의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접촉부(18)는 추가 스프링(22)의 스프링 힘에 의해서 램프 캡(12)에 대해 고정 위치에 유지된다.

Description

램프 캡을 갖는 전기 램프{ELECTRIC LAMP PROVIDED WITH A LAMP CAP}
램프 캡을 갖는 그러한 전기 램프는 WO 99/52128 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램프는 판재나 또는 반사체와 같은 캐리어 상에 장착하기에 적합하다. 이 램프는 자동차 헤드라이트로서 사용하기에 아주 적합하다. 차량 세트의 제작자들은 자동차용 조명 유닛과 같은 차량 부품의 조립중 행해야 할 행위가 비교적 단순할 것을 요구한다. 추가의 소망은 차량 부품이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하고 균일해야 한다는 것, 즉 램프의 경우에 판재, 전방 및 후방 장착 등의 조립 방법과 독립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공지된 램프는 소망하는 바에 따라 전방을 향하는 벌브(후방 또는 판재 장착)에 의해서나 또는 전방을 향하는 램프 캡(후방 장착)에 의해서 캐리어에 대해 배치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면 램프가 추가의 수단에 의해서 캐리어 상에 보유된다.
캐리어 상에 램프 캡을 갖는 공지된 전기 램프를 장착하는 도중의 문제는 램프 캡을 갖는 램프가 결합될 캐리어 상에서 접촉 요소의 치수 및 그 사이의 상호 거리에 있어 비교적 큰 확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한편 이것은 캐리어 상의 램프 조립이 어렵고 램프 또는 캐리어가 거부당할 위험이 증가된다는 결점을 갖는다. 한편 정확한 치수설정이 소망된다면, 접촉 요소의 정확한 치수 및 그들의 상호 거리를 이루기 위하여 비교적 높은 비용이 종종 발생할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유형의 램프 캡이 끼워맞춤된 전기 램프를 제공하여서 전술한 결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부재가 스프링,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를 각기 포함하며, 제 2 접촉부는 외부 접촉 요소와 접촉하고 있는 도중에 제 2 접촉부가 장착 방향의 횡방향으로 제 1 접촉부에 대해 변위할 수 있도록 스프링을 거쳐서 제 2 접촉부에 접속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캐리어 상에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캡을 갖는 전기 램프를 장착하는 것과 관련한 전술한 문제는 전기 램프를 갖는 램프의 캐리어 장착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의 제 2 접촉부의 변위 가능성에 의하여 해소된다. 장착 방향은 제 2 접촉부와 외부 접촉 요소가 상호 접촉을 이루는 과정에서 서로에 대하여 변위하는 방향이다. 그러한 변위는 램프 캡이 캐리어, 예를 들면 판재의 외부 접촉 요소와 접촉하는 도중 항상 발생한다. 외부 접촉 요소는 예를 들면 외부 접촉 요소가 서로 너무 멀리위치되거나 너무 가깝게 위치된다는 점에서 두 개의 접촉부의 초기 상호간격과 다른 상호 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 반사체가 판재에 대한 위치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면, 판재 상에 장착된 램프 캡을 갖는 램프를 반사체 내로 삽입하는 도중 그러한 변위가 발생할 수도 있다. 스프링은 위치에서의 그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램프 캡을 갖는 램프가 캐리어 상에 여전히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차이를 보상하게 한다. 그러한 차이를 보상하기에 적합한 스프링 중에는 블레이드 스프링, U자형 스프링 및 나선형 스프링이 있다. 그러한 스프링에 의해서, 덜 정확하게 정렬을 해도 되기 때문에 조립 과정이 단순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와 동시에, 캐리어와 반사체와 램프 캡을 갖는 램프가 상술한 상호 위치설정 및 거리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서로 끼워맞춤된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거부당할 확률이 감소된다. 캐리어, 반사체 및 램프 캡을 갖는 램프의 정확한 치수 및 위치설정을 이루기 위하여 비교적 높은 비용을 지출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추가로 알게 되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접촉부, 제 2 접촉부 및 스프링이 일체적으로 접촉 부재(16)를 구성한다. 접촉 부재는 램프의 전류 전도체와 캐리어 상의 외부 접점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을 형성한다. 접촉 부재는 여러개의 부품으로부터 적재되고, 그 후에 일체적인 유닛으로 함께 연결되며, 그 경우에는 제 1 접촉부, 제 2 접촉부 및 스프링이 각각의 소망하는 특정의 기계적 및/또는 물리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접촉부는 예를 들면 부식을 제거하는 층을 구비하며, 그것에 의해서 제품 수명중 손상된 전기 램프가 외부 접촉 요소와 접촉할 위험이 감소되고, 한편 제품 수명중 레질리언스(resilience)가 양호하게 유지될 확률이 증가되도록 스프링이 소정의 개선된 탄성(elastic)의 특징을 가질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접촉 부재가 일체로서 제조될 수도 있다. 이것은 접촉 부재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는, 램프 내의 제 1 접촉부가 제 1 접촉부를 비교적 높은 스프링 압력 하에서 하우징에 대하여 유지시키기 위한 추가의 스프링을 구비한다. 그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접촉부에 대한 제 2 접촉부의 횡방향 변위 도중 야기되는 기계적 부하는 추가의 스프링이 접촉 부재를 하우징에 대하여 유지시키는 힘 내에 흡수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결과적으로 접촉 부재와 각각의 전류 전도체 사이의 접촉이 적게 유지되고, 그에 따라서 접점이 조기에 파손되어 램프 수명이 조기에 끝나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제공된다.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기 램프의 제 2 접촉부가 레질리언스성 안내 클램프를 구비한다. 그것에 의해서 램프 캡을 갖는 램프를 캐리어 상에 장착하는 것이 더욱 단순해진다. 안내 클램프는 램프 캡을 갖는 램프를 캐리어에 대해 초기에 위치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보다 큰 확장을 허용하는데, 왜냐하면 접촉 부재와 접촉 요소의 자체 정렬 및 자체 위치설정에 보다 큰 범위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안내 클램프가 자체 정렬 및 자체 위치설정 범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태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외부 접촉 요소와 접촉하기에 적합하고, 램프 용기에 접속되어 있으며, 램프의 전류 전도체와 접속하고 있는 접촉 부재와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는 램프 캡을 갖는 전기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램프의 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하는 도면에 개략적으로도시한다.
도 1은 캐리어 상에 램프 캡을 갖는 램프의 측면도,
도 2는 단 하나의 접촉 부재를 갖는 도 1의 램프 캡을 위로부터 비스듬히 본 도면,
도 3은 도 2의 전기 램프의 Ⅰ-Ⅰ선 부분 단면도,
도 4는 접촉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위로부터 비스듬히 본 도면.
도 1은 램프 용기(4)에 접속되어 있는 램프 캡(12)을 구비하는 전기 램프(2)를 도시한다. 램프 캡(12)은 서로 거리(A)만큼 떨어져 있는 하우징 부재(14)와 접촉 부재(16)를 포함한다. 접촉 부재(16)는 스프링(24), 제 1 접촉부(18) 및 제 2 접촉부(20)를 각기 포함한다. 제 2 접촉부(20)는 제 2 접촉부(20)가 최대한 2*L의 거리에 걸쳐서 장착 방향(M)의 횡방향으로 제 1 접촉부(18)에 대해 변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24)을 거쳐서 제 1 접촉부(18)에 연결된다. 램프 캡이 캐리어(30), 예를 들면 판재(plate)의 외부 접촉 요소(28)와 접촉하고 있는 도중에는 언제나 접촉부(18, 20)의 상호 변위가 발생할 것이다. 외부 접촉 요소(28)는, 예를 들면 두 개의 외부 접촉 요소(28)가 서로 너무 멀거나 또는 서로 너무 가깝다는 점에서 두 개의 접촉 부재(16) 사이의 거리(A)와 다른 상호 간격을 가질 수도 있다. 스프링(24)은 이러한 차이를 보상할 수 있게 하여, 상호 간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램프 캡을 갖는 램프가 캐리어 상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실시예의 실현시에는 램프가 대략 5.5cm의 비교적 작은 축방향 치수를 갖는 이점을 가지며, 예를 들면 5 내지 25W의 비교적 높은 전력을 소진시키기에 여전히 적합할 수 있다.
도 2는 램프 캡을 갖는 램프를 캐리어 상에 장착, 홈 압착, 고정 및 제거하기 위한 수단(11)을 구비하는 램프 캡(12)을 사시도로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도면은 스프링(24)에 의해서 상호 접속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접촉부(18, 20)를 갖는 단 하나의 접촉 부재(16)를 도시한다. 각 접촉 부재(16)의 스크리닝(21)은 리세스(23)(도 3)를 구비하며, 이 리세스 내로는 접촉 부재(16)의 U자형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다. 램프의 주요부는 명료함을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램프의 전류 전도체(10)들만이 도시된다. 이 전류 전도체(10)들중 하나로는 접촉 부재(16)가 접속된다.
도 3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램프 캡(12) 상의 접촉 부재(16)가 하나의 일체적 조각으로부터 제조된다. 이 접촉 부재(16)는 U자형 스프링(24)을 구비하며, 이 스프링(24)은 램프 캡(12)의 스크리닝(21)의 리세스(23) 내로 삽입된다. 변형예로서, 스프링(24)이 상이한 형상,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톱니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접촉 부재(16)의 제 1 접촉부(18)가 램프 캡(12)의 스크리닝(21)에 힘(F)을 발휘하는 추가의 스프링(22)을 구비하여서 제 1 접촉부(18)가 램프 캡의 하우징(14)에 대하여 적소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추가로 도시하고 있다. 게다가 리세스(23) 내로의 삽입 후, 스프링(22)이 스크리닝(21)의 돌출부(25) 뒤에 그 자신을 후크결합시켜서, 접촉 부재(16)가 램프캡(12)에 록킹되도록 함으로써 램프 캡(12)으로부터 간단히 들어올려질 수 없게 한다. 접촉 부재(16)의 제 2 접촉부(20)는 각기 태그(27)를 갖는 복수의 레질리언스성 안내 클램프(26)를 구비하며, 클램프의 사이에는 외부 접점이 도입될 수 있는 개구(29)가 존재한다. 도면은 또한 U자형 스프링(24)과 제 2 접촉부(20)가 램프 캡의 스크리닝(21) 둘레에 간극(L)을 구비하는 것을 추가로 도시하고 있다. 이 간극(L)과 스프링(24)은 제 2 접촉부(20)가 장착 방향의 횡방향으로 제 1 접촉부(18)와 하우징(14)에 대하여 변위할 수 있게 한다.

Claims (4)

  1. 외부 접촉 요소(28)와 접촉할 수 있으며, 램프 용기(4)에 접속되고, 램프(2)의 전류 전도체(10)와 접속하고 있는 접촉 부재(16)와 하우징(14)을 갖고 있는 램프 캡(12)을 구비하는 전기 램프(2)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16)는 스프링(24), 제 1 접촉부(18) 및 제 2 접촉부(20)를 각기 포함하며,
    제 2 접촉부(20)는 상기 외부 접촉 요소(28)와 접촉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제 2 접촉부(20)가 장착 방향의 횡방향으로 제 1 접촉부(18)에 대해 변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24)을 거쳐서 상기 제 2 접촉부(18)에 접속되는
    전기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18), 제 2 접촉부(20) 및 스프링(24)은 일체적으로 상기 접촉 부재(16)를 구성하는
    전기 램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18)는 이 제 1 접촉부(18)를 비교적 높은 스프링 압력 하에서 상기 하우징(14)에 대하여 유지시키기 위한 추가의 스프링(22)을 구비하는
    전기 램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부(20)는 레질리언스성 안내 클램프(26)를 구비하는
    전기 램프.
KR1020027012926A 2001-01-30 2001-12-21 램프 캡을 갖는 전기 램프 KR200200842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00318 2001-01-30
EP01200318.2 2001-01-30
PCT/IB2001/002706 WO2002061332A1 (en) 2001-01-30 2001-12-21 Electric lamp provided with a lamp c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269A true KR20020084269A (ko) 2002-11-04

Family

ID=817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926A KR20020084269A (ko) 2001-01-30 2001-12-21 램프 캡을 갖는 전기 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91244B2 (ko)
EP (1) EP1358433A1 (ko)
JP (1) JP2004519072A (ko)
KR (1) KR20020084269A (ko)
CN (1) CN1419644A (ko)
WO (1) WO2002061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49731A (zh) * 2003-09-05 2006-10-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照明装置、保持器、灯具和发光设备
US7731545B1 (en) * 2009-02-25 2010-06-08 Osram Sylvania Inc. Lamp socket and contact for said socke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7668A (en) * 1960-04-11 1965-07-27 John J Horan Lamp with resilient contact terminals
US3403370A (en) * 1965-10-15 1968-09-24 Wagner Electric Corp Mechanically based rear loading panel lamp
US3859554A (en) * 1968-05-13 1975-01-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 lamp with integral plastic base member
US4246632A (en) * 1977-09-21 1981-01-20 Lucas Industries Limited Lamp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4947082A (en) * 1989-03-06 1990-08-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aling arrangement for a lamp housing
JPH079351Y2 (ja) * 1989-06-20 1995-03-0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Spg基板用のウェッジベースソケット
US5172026A (en) * 1990-05-21 1992-12-15 Hall Rolland B Plug in lamp
US5250874A (en) * 1991-12-13 1993-10-05 Gte Products Corporation Socketless lamp with spring side contacts
DE4405760A1 (de) * 1994-02-23 1995-08-24 Marquardt Gmbh Leuchtmittel sowie beleuchtbarer elektrischer Schalter
JP2677216B2 (ja) * 1994-12-16 1997-11-17 株式会社押野電気製作所 パネル・プリント基板用小形ランプソケット装置
CN1231946C (zh) 1998-04-06 2005-12-14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带座电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91244B2 (en) 2004-09-14
US20020158560A1 (en) 2002-10-31
JP2004519072A (ja) 2004-06-24
WO2002061332A1 (en) 2002-08-08
EP1358433A1 (en) 2003-11-05
CN1419644A (zh) 200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8395A (en) Illumination device
CA2156564C (en) Courtesy light fixture of the rearview mirror
JPS62276701A (ja) 自動車等の照明アセンブリ
CN1880842B (zh) 灯头与灯
JP4746386B2 (ja) くさび形ベースランプのためのセンタリングリングを備えるソケット
KR100516039B1 (ko) 전기 램프 및 그 조명 시스템
JPS62276702A (ja) 自動車等のヘツドライトモジユ−ル
US4360861A (en) Baseless lamp socket
US20140334184A1 (en) Bulb socket and lighting system
KR20100027967A (ko) 접속장치의 기판 접속구조
KR20020084269A (ko) 램프 캡을 갖는 전기 램프
KR100621263B1 (ko) 전기 램프 및 전기 램프를 가진 조명 시스템
US20030117811A1 (en) Lamp socket as well as assembly consisting of a lamp socket and a reflector
US6773151B2 (en) Integrated lamp holder, reflector, and plug terminal arrangement for automotive lighting applications
US20030178926A1 (en) High temperature lamp
JP2023552186A (ja) 電気接続モジュール及び自動車用照明装置
KR960001297Y1 (ko) 인쇄회로기판용 전구 소켓
US7703962B2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with a reflector compatible with several models of lamp
EP1690282B1 (en) Lamp socket with improved heat conduction
RU2717871C2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обиля и задний спойлер
CN100532923C (zh) 用于汽车的前大灯
KR100251028B1 (ko) 쐐기형 베이스 벌브용 소켓
US6315612B1 (en) Carrier, primarily for light emitting diode
KR200366496Y1 (ko) 벌브커넥터
US1129643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terminal-less conn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