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927A - 복수의 기지국을 구비한 무선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기지국을 구비한 무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927A
KR20020083927A KR1020020022710A KR20020022710A KR20020083927A KR 20020083927 A KR20020083927 A KR 20020083927A KR 1020020022710 A KR1020020022710 A KR 1020020022710A KR 20020022710 A KR20020022710 A KR 20020022710A KR 20020083927 A KR20020083927 A KR 2002008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ignal
decoded signal
central
base st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노유스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Publication of KR2002008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92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가 양호한 기지국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있는 무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동국과, 이동국으로부터의 디지털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기지국과, 중앙장치로 적어도 구성되고,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의 기지국은 수신한 디지털신호를 복조한 복조신호를 다시 에러를 정정한 복호신호로서 출력함과 동시에, 복호신호가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조신호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중앙장치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판정신호를 보고 에러를 정정한 복호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의 기지국을 구비한 무선시스템{RADIO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본 발명은 무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복수의 기지국에서 수신하고, 그 중의 수신상태가 양호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중앙장치에 전송하는 무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기지국에서 하나의 무선통신영역을 구성하는 경우, 이동국으로부터의 착신신호가 복수의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복수의 기지국에서 수신되어도 다시 이 수신신호를 중앙장치의 제어부 또는 하나의 지령테이블에 대해서 밖에 출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중앙장치의 제어부 또는 하나의 지령테이블에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기지국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무선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을 선택하는 데에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er:수신전계강도)정보를 사용하여 가장 RSSI정보가 큰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는 종래의 무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1은 이동국의 조작반, 2는 이동국의 제어부, 4는 이동국의 송신기, 5는 이동국의 안테나이다. 또 복수의 기지국은 각 기지국(1), 기지국(2 …)의 구성이 모두 동일하고, 6, 6'…는 각 기지국의 안테나, 7, 7'…는 기지국의 수신기, 13, 13'…는 각 기지국의 RSSI검출부이다. 그리고 10은 중앙장치의 회선구성부, 11은 중앙장치의 제어부, 12는 지령조작반, 14는 중앙장치의 RSSI비교부이다.
이 종래의 무선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무선시스템은 이동국, 기지국 모두 아날로그무선기이고, RSSI정보를 사용하여 기지국선택을 행하고 있다. 이동국의 조작반(1)이 발호요구를 하거나 또는 제어부(2)가 송신지령을 내면 송신기 (4)는 이동국의 조작반(1)으로부터의 신호 또는 제어부(2)로부터의 신호를 변조하여 고주파신호로서 안테나(5)로부터 출력한다. 이 고주파신호는 공간을 전파하여 각 기지국(1), 기지국(2 …)의 안테나(6, 6'…)에서 수신되어, 각 기지국(1), 기지국 (2 …)의 수신기(7, 7'…)에 입력된다. 각 기지국(1), 기지국(2 …)은 수신기(7, 7'…)에서 고주파신호를 복조함과 동시에 고주파신호의 RSSI정보를 RSSI검출부(13, 13' …)에서 검출한다. 수신기(7, 7'…)에서 복조된 복조신호는 중앙장치의 회선구성부(10)에 전송된다. 한편 RSSI검출부(13)로부터의 출력인 RSSI정보는 중앙장치의 RSSI비교부(14)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이 무선시스템에서는 복조신호용의 전송로 외에 RSSI정보용에 전송로를 설치하고 있다. RSSI정보를 복조신호에 중첩하여 중앙장치에 전송하는 무선시스템도 존재하나, RSSI정보를 복조신호에 중첩하기 위해서는 전송장치로서 각 기지국에 중첩부, 중앙장치에 분리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중앙장치의 RSSI비교부(14)는 각 기지국(1), 기지국(2 …)으로부터 전송되는 RSSI정보를 비교하여 RSSI정보의 레벨이 가장 큰 기지국을 선택하여 선택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제어부(11) 또는 지령조작반(12)에 접속한다.
상기한 종래의 무선시스템에서는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RSSI정보를 중앙장치가 수신하여 비교하나, 이동국이 고속으로 이동하면 RSSI정보의 변동이 심해진다.이 RSSI정보에 따라 최적의 기지국을 선택하고자 할 때, 회선구성부(10)에서 제어부 (11) 또는 지령조작반(12)에 접속하는 기지국의 전환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기 때문에 전환노이즈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전환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일정한 시간내(예를 들면 10초간)에 각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되는 RSSI정보의 평균값을 취하여 RSSI정보의 평균값이 최대인 기지국을 선택하는 방식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중앙장치의 제어부(11)에서의 처리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중앙장치의 제어부(11)에서의 처리가 복잡해지는 비교적 최적의 기지국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가 양호한 기지국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무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시스템의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무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중앙장치에 의하여 기지국을 선택할 때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 퀀스도,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시스템의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시스템의 제 3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이동국이 기지국(1)으로부터 기지국(2)측으로 이동한 경우의 이동국으로부터의 데이터수신을 나타내는 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중앙장치의 더욱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으로부터 중앙장치에의 전송데이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무선시스템의 제 4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중앙장치의 더욱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무선시스템은 이동국과, 이 이동국으로부터의 디지털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기지국과, 이 복수의 기지국과 접속된 중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의 기지국은 수신한 디지털신호를 복조한 복조신호를 다시 에러를 정정한 복호신호로 복호함과 동시에, 이 복호신호가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호신호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신호를 생성하고, 이 판정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중앙장치로부터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호신호가 출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의 기지국은 상기 복호신호가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호신호일 때는 상기 판정신호로서 정상 판정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장치에 출력하고, 이 중앙장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정상 판정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정상 판정신호를 출력하는 기지국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선택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에러를 정정한 복호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바람직한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의 기지국은 전송로를 거쳐 상기 중앙장치에 종속 접속되어 있어, 각 기지국은 자국의 복호신호를 중앙장치측에 출력할지 그렇지 않으면 다른 하류측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를 중앙장치측으로 보낼지를 자국에서 생성한 판정신호를 사용하여 자립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가 상기중앙장치에 전송되는 것을 더욱 바람직한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각 기지국은 상기 판정신호가 자국의 복호신호가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호신호인 것을 나타낼 때, 자국의 복호신호를 상기 중앙장치측에 출력하고, 그 이외일 때에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를 상기 중앙장치측에 중계하는 것을 더욱 바람직한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각 기지국은 상기 전송로의 상류측에 접속된 상류측 모뎀과 상기 전송로의 하류측에 접속된 하류측 모뎀을 구비하고, 상기 상류측 및 하류측 모뎀은 서로 접속되어 있어 자국의 복호신호를 상기 상류측 모뎀을 거쳐 중앙장치측에 출력할지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를 상기 하류측 전송로로부터 입력하여 상기 상류측 모뎀을 거쳐 중앙장치측에 출력할지를 상기 판정신호에 의하여 선택하여 상기중앙장치에 상기 에러를 정정한 복호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더욱 바람직한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각 기지국에는 미리 소정의 지연시간이 설정되어 있어 자국의 복조신호를 중앙장치측에 출력할 때에 상기 소정의 지연시간 후에 출력하는 것을 더욱 바람직한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중앙장치는 각각의 기지국에 트레이닝신호를 송신하여 각 기지국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지연시간은 자기 기지국이 상기 트레이닝신호를 수취한 후 상기 트레이닝신호를 수취한 최하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응답신호를 하류측의 전송로로부터 수취하기까지의 시간차인 것을 더욱 바람직한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의 기지국은 각각 1개의 전송로로 상기 중앙장치에 접속되어 있어,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와 판정신호는 상기 1개의 전송로를 거쳐 보내지는 것을 더욱 바람직한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의 기지국은 각각 적어도 2개의 전송로로 상기 중앙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와 판정신호는 각각 다른 전송로에서 보내여지는 것을 더욱 바람직한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중앙장치는 상기 정상 판정신호를 출력한 기지국 중으로부터 랜덤으로 기지국을 1개 선택하는 것을 더욱 바람직한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중앙장치는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정상 판정신호를 서치하여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을 바람직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에 관한 이하의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분명할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언급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시스템의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00은 이동국, 1은 이동국(100)의 조작반 또는 단말, 2는 이동국(100)의 제어부, 3은 에러 정정부호를 작성하여 조작반(1) 또는 제어부(2)로부터의 신호를 부호화함과 동시에 에러 정정부호를 부가하는 FEC(forward Error Correction ; 에러정정)부호부, 4는 이동국(100)의 송신기, 5는 이동국의 안테나이다. 또 복수의 기지국(106, 106'…)은 각 기지국(1, 106), 기지국(2, 106' …)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고, 6, 6'…는 각 기지국의 안테나, 7, 7'…는 각 기지국의 수신기, 8, 8'…는 수신기(7, 7'…)의 복조신호를 에러 정정부호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하여 복호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복호신호에 에러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부호를 출력하는 FEC 복호부, 9,9'…는 각 기지국의 제어부이다. 그리고 10은 중앙장치(110)의 회선구성부, 11은 중앙장치(110)의 제어부, 12는 지령조작반이다.
116, 116'…는 각 기지국과 중앙장치(110)를 접속하는 디지털전송로이다.
제어부(11)는 회선구성부(10)의 제어 외에, 기지국측의 통신프로토콜과 지령조작반(12)측의 통신프로토콜을 정합시키는 기능, 지령조작반이 복수 접속되어 있는 경우의 사용지령 조작반의 선택기능, 기지국측으로부터의 음성 디지털신호의 아날로그신호로의 D/A 변환 및 지령조작반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음성신호의 디지털신호로의 A/D 변환기능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D/A 변환기능 및 A/D 변환기능은 지령조작반(12)측에도 가지게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무선시스템은 디지털방식이기 때문에 아날로그방식인 종래의 무선시스템과 달리 이동국에는 FEC 부호부(3)를, 각 기지국(1), 기지국(2 …)에는 FEC 복호부(8, 8'…)를 설치하고 있다. 또 각 기지국(1), 기지국(2 …)은 복호신호뿐만아니라 복호신호에 에러가 없을 때에 그것을 나타내는 정상 판정신호도 중앙장치에 전송하기 위하여 제어부(9, 9', …)를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국의 조작반(1)이 발호요구를 하거나 또는 제어부(2)가 송신지령을 내면 FEC 부호부(3)는 이동국의 조작반(1)으로부터의 신호 또는 제어부(2)로부터의 신호를 부호화함과 동시에 에러 정정부호를 붙여서 출력한다. FEC부호부(3)로부터의 디지털신호는 송신기(4)에서 변조되어 고주파신호로서 안테나(5)로부터 출력된다.
이 고주파신호는 공간을 전파하여 각 기지국(1), 기지국(2, …)의 안테나(6, 6', …)에서 수신되어 각 지지국(1), 기지국(2, …)의 수신기(7, 7' …)에 입력된다. 고주파신호는 각 수신기(7, 7', …)에서 복조된 후, 각 FEC 복호부(8, 8',…)에서 수신기(7, 7' …)의 복조신호를 에러 정정부호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하여 복호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복호신호에 에러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9)에 전송한다.
제어부(9)는 판정신호가 복호신호에 여러가 없는 정상 판정신호인 것을 확인하여 정상 판정신호와 복호신호를 전송로를 경유하여 중앙장치(110)의 회선구성부 (10)에 전송한다.
중앙장치(110)의 제어부(11)는 각 기지국(1), 기지국(2, …)으로부터 전송되는 정상 판정신호를 우선순위순 또는 랜덤으로 서치하여 제일 먼저 발견한 정상 판정신호로 회로구성부(10)를 제어하여 선택한 정상 판정신호를 출력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를 제어부(11) 또는 지령조작반(12)에 접속한다.
본 발명은 무선시스템이 디지털방식이고, 디지털방식의 무선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이동국이 음성신호나 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 후, 이 디지털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설정된 프레임 단위별로 에러 정정부호를 붙여 기지국에 송신한다. 프레임별로 에러 정정부호를 붙여 이동국이 기지국에 디지털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각 기지국은 수신하고 복조하여 복호신호를 출력하나, 본 발명은 그 때 복호신호가 상기 에러 정정부호에 의해 정정된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호신호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앙장치(110)에 의한 기지국의 선택에 대하여 도 3,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중앙장치(110)에 의하여 기지국을 선택할 때의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40ms, 320비트의 프레임별로 디지털 데이터를, 이동국이 기지국(1), 기지국(2, …)에 송신하고 있다. 각 기지국(1), 기지국(2, …)은 디지털데이터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복호하고, 에러 정정부호에 의해 정정될 수 있었던 올바른 복호신호가 중앙장치(110)의 회선구성부 (10)에 전달된다.
도 3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디지털데이터가 데이터(A), 데이터 (B), 데이터(C), 데이터(D), 데이터(E), 데이터(F), 데이터(G)의 각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이에 대하여 기지국(1)에서의 수신에 있어서, 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B), 데이터(C), 데이터(E), 데이터(G)가 전파의 전파에 의해 파괴되어 버린데이터인 경우, 이 데이터(B), 데이터(C), 데이터(E), 데이터(G)에 대해서는 에러를 정정할 수 있었음을 나타내는 정상 판정신호를 출력할 수 없다. 또 기지국(2)에서의 수신에서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D)가 전파의 전파(轉派)에 의하여 파괴되어 버린 데이터인 경우, 이 데이터(D)에 대하여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호신호인 것을 나타내는 정상 판정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없다.
중앙장치(110)의 제어부(111)는 각 데이터 프레임별로 기지국(1), 기지국(2 …)의 순으로 각 기지국(1), 기지국(2 …)으로부터 정상 판정신호가 출력되고 있는지를 서치하고, 또한 기지국(1)을 우선적으로 서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어부(111)가 기지국(1)으로부터의 정상 판정신호를 캐치하였으면 기지국(1)으로부터의 올바른 복호신호를 우선적으로 입력한다. 기지국(1)으로부터 정상 판정신호를 캐치할 수 없고, 또한 기지국(2)으로부터의 정상판정신호를 캐치하였으면 기지국 (2)으로부터의 올바른 복호신호를 입력한다. 따라서 올바른 복호신호를 연결함으로서, 올바른 복호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중앙장치(1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은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320비트의 1프레임(40mS)은 16비트의 동기필드와, 256비트의 데이터필드와, 나머지 48비트의 필드로 이루어지고, 이 48비트 중 수비트가 정상 판정신호로 할당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기지국(1), 기지국(2 …)으로부터의 전송신호는 중앙장치 (110)내의 정상 판정신호 추출부(1002, 1002 '…)에 공급되어 그곳에서 전송신호로부터 정상 판정신호가 추출되어 제어부(11)에 건네지고, 한편 전송신호의 나머지 부분은 전환부(1000)에 입력된다. 제어부(11)는 상기한 방법으로 정상 판정신호를 취득하고 전환부(1000)를 제어하여 취득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전송신호를 선택하여 지령조작반(12)에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앙장치(110)는 어느 기지국이 안정된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와는 관계없이(즉 각 기지국의 RSSI 정보의 레벨에 관계없이) 정상으로 수신하고 있는 기지국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아날로그방식의 무선시스템에서는 본 실시형태와 같은 기지국 선택을 행할 수 없다. 즉 각 기지국에 우선순위를 붙여 우선도가 높은 순으로 각 기지국이 정상으로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중앙장치에 의해 검출하여 정상으로 수신하는 기지국을 선택한다는 것을 아날로그방식의 무선시스템에서는 행할 수 없다. 그것은 우선도가 높은 기지국의 수신신호의 RSSI 정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우선도가 높은 기지국보다도 다른 기지국에서의 수신신호의 RSSI 정보가 클 때에도 중앙장치는 우선도가 높은 기지국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우선도가 높은 기지국에서의 수신신호의 RSSI 정보가 설정값 미만이 되고, 예를 들면 수신이 끝날 때까지 통신품질이 좋다고는 반드시 말할 수 없는 회선을 제공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상,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이동국으로부터 중앙장치에의 상행방향 송신(up-link transmission)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중앙장치로부터 이동국측으로의 하행방향 송신(down-link transmission)은 중앙국으로부터의 정보를 각 전송로(116, 116' …)를 거쳐 각 기지국(1), (2) …에 보내어 각 기지국(1),(2 …) 내의 도시 생략한 FEC 부호부, 송신기 경유로 안테나(6, 6'…)로부터 정보를 송신하여 이동국(100)내에서 수신하면 좋다. 이동국은 예를 들면 안테나(5)에 접속된 도시 생략한 수신기와 FEC 복호부로 구성하면 좋다. 하행방향의 통신은 주지의 기술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당업자에게는 필요 없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시스템의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기지국이 전송로를 거쳐 중앙장치에 세로접속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중앙장치와 가장 우선도가 낮은 기지국이 다른 기지국을 거쳐 1개의 전송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중앙장치로부터 우선도가 높은 순으로 기지국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가장 우선도가 높은 기지국이 중앙장치의 가장 가까이 배치되어 가장 우선도가 낮은 기지국이 중앙장치로부터 가장 멀리에 배치된다.
도 4에 있어서, 이동국(100)에 있어서, 1은 이동국의 조작반, 2는 이동국의 제어부, 3은 에러 정정부호를 작성하여 조작반(1) 또는 제어부(2)로부터의 신호를 부호화함과 동시에 에러 정정부호를 부가하는 FEC(Forvard Error Correction : 에러정정)부호부, 4는 이동국의 송신기, 5는 이동국의 안테나이다. 또 복수의 기지국(106, 106' …)은 각 기지국(1), 기지국(2) …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고, 6, 6'…은 각 기지국의 안테나, 7, 7' …은 각 기지국의 수신기, 8, 8'…은 수신기 (7, 7'…)의 복조신호를 에러 정정부호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하여 복호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복호신호가 상기 에러 정정부호에 의해 정정된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조신호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FEC 복호부, 9, 9'…는 각 기지국의 제어부, 15, 15' …는 각 기지국의 전환스위치이다.
중앙국(110)은 제 1 실시예와 달리 회선구성부는 가지지 않는다. 11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제어부이다. 도 1과 마찬가지로 각 기지국내의 FEC 부호부와 송신기 및 이동국내의 수신기와 FEC 복호부는 도시를 생략한다. 12는 지령조작반 또는 단말이다.
본 실시형태가 도 1의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각 기지국과 중앙장치와의 전송로가 각 기지국에 대하여 준비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장치와 가장 우선도가 낮은 기지국이 다른 기지국(1), 기지국(2 …)을 전환스위치(15, 15, …)를 거쳐 1개의 전송로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중앙장치로부터 우선도가 높은 순으로 각 기지국 (1), 기지국(2 …)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중앙장치(110)와 각 기지국을 접속하는 도시된 전송로는 하행통신용 전송로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시스템의 통신영역은 복수의 기지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장치는 복수개 있는 기지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으면 되고, 따라서 특히 선로 연선에 기지국이 배치되는 열차 무선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송로의 비용을 각별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많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의 무선시스템의 경우, 각 기지국이 정상으로 수신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복호신호에 에러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신호를 사용하여 판단하고, 정상으로 수신하여 복호한 복호신호를중앙장치에 전송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으로 수신한 기지국 중 가장 우선도가 높은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를 중앙장치에 전송하고 있다.
각 기지국(1), 기지국(2 …)의 제어부(9, 9'…)는 각 FEC 복호부(8, 8'…)에서 수신기(7, 7'…)의 복조신호를 에러 정정부호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하여 복호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복호신호에 에러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신호를 출력하나, 정상으로 수신하여 복호신호가 올바른 경우, 판정신호는 정상 판정신호이므로 판정신호가 정상 판정신호인지의 여부에 따라 정상 판정신호의 경우에는 자국의 복호신호를 상류측의 중앙장치측으로 출력하여, 하류측의 기지국을 절단하도록 전환스위치(15, 15' …)를 제어한다. 또 판정신호가 정상 판정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하류측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를 그대로 상류측에 흘리 도록 전환스위치(15, 15' …)를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중앙장치에는 이 무선통신영역 중에서 유효한 복호신호가 각 프레임단위로 차례차례 입력되게 되어, 중앙장치는 이 복호신호의 내용을 판단하여 음성으로서 출력하게 되어 데이터로서 처리하는 등의 단순한 제어를 행하면 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회선구성부는 불필요하게 된다.
중앙장치로부터의 송신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멀티드롭구성으로 되어 있어 중앙장치(8)로부터 송신한 정보는 하행 통신용의 전송로를 거쳐 각 기지국(1), (2) …에서 병렬로 수신되어, 제어부(9, 9' …), 도시 생략한 FEC 부호부, 도시 생략한 송신기경유로 안테나(6. 6' …)로부터 송신되어 이동국(1)에서 수신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시스템의 제 3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기지국에 상류측 모뎀과 하류측 모뎀을 구비하고, 각 기지국은 하류측 모뎀으로부터 입력되는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류측 모뎀으로부터 상류측의 전송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반복하고, 또 반복하여 송신할 때에 각 기지국에서 설정된 지연시간에 의거하여 지연시킴으로써, 중앙장치와 동기가 취해지도록 한 것이다.
도 5에 있어서, 1은 이동국의 조작반, 2는 이동국의 제어부, 3은 에러 정정 부호를 작성하여 조작반(1) 또는 제어부(2)로부터의 신호를 부호화함과 동시에 에러 정정부호를 부가하는 FEC(Forward Error Correction:에러정정)부호부, 4는 이동국의 송신기, 5는 이동국의 안테나이다. 또 복수의 기지국은 각 기지국(1), 기지국(2 …)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고, 6, 6'…은 각 기지국의 안테나, 7, 7' …은 각 기지국의 수신기, 8, 8' …은 수신기(7, 7' …)의 복조신호를 에러 정정부호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하여 복호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복호신호가 상기 에러 정정부호에 의해 정정된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조신호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FEC 복호부, 9, 9' …는 각 기지국의 제어부, 16, 16' …은 상류측 전송로에 접속된 상류측 모뎀, 17, 17' …은 하류측 전송로에 접속된 하류측 모뎀이다. 그리고 10은 중앙장치의 회선구성부, 11은 중앙장치의 제어부, 12는 지령조작반이다.
본 실시형태가 도 4의 제 2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각 기지국과 중앙장치와의 전송로를 전환스위치에 의해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하류측 모뎀에 의해 하류측데이터를 한번 제어부에 도입하여 자국의 데이터를 출력해야 하는지, 하류측 데이터를 출력해야 하는지를 판단한 후에, 유효한 데이터를 상류측 모뎀에서 출력하는 것에 있다. 또 이 출력타이밍은 중앙장치 또는 네트워크와의 동기를 고려하여 각 기지국마다 지연시켜 출력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기지국(1), 기지국(2 …)의 제어부(9, 9'…)는 각 FEC 복호부(8, 8'…)에서 수신기(7, 7'…)의 복조신호를 에러 정정부호를 사용하여 에러 정정하여 복호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복호신호가 상기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정정된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조신호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나, 정상으로 수신하여 복호신호가 올바른 경우 판정신호는 정상판정신호이기 때문에 판정신호가 정상 판정신호인지의 여부에 따라 정상 판정신호인 경우에는 자국의 복호신호를 상류측 모뎀(16, 16'…)에서 변조하여 상류측의 중앙장치측으로 출력한다. 이 때 제어부(9, 9'…)는 설정된 일정한 지연시간 기다린 후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자국의 판정신호가 정상 판정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하류측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를 역시 설정된 일정한 지연 보정시간 기다려 하류측 모뎀(17, 17' …)으로부터 입력하고, 상류측 모뎀(16, 16'…)에서 변조하여 상류측의 중앙장치측을 향하여 전송한다. 중앙장치에서는 수신한 복조신호를 음성으로서 다른 장치에 전송하거나 데이터로서 처리하는 등의 동작을 행한다.
또 중앙장치로부터의 송신은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종래와 마찬가지로 멀티드롭구성으로 되어 있고, 중앙장치(110)로부터 송신한 정보는 전송로에서각 기지국(1), 기지국(2 …)의 상류측 모뎀(16, 16' …)에서 병렬로 수신되고, 제어부 (9, 9' …), 도시 생략한 FEC 부호부, 송신기 경유로 안테나(6, 6'…)로부터 송신되어 이동국(1)에서 수신된다.
도 6은 이동국이 기지국(1)으로부터 기지국(2)측으로 이동한 경우의 이동국으로부터의 데이터수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간(T1)에 있어서는 기지국(1)으로부터의 올바른 복호데이터가 얻어지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1)은 자국의 복호데이터를 상류측 모뎀(16)으로부터 일정한 지연시간 기다린 후 출력하고, 기지국(2)으로부터의 복호신호는 출력하지 않는다. 시간(T2)에 있어서는 기지국(1)에서 에러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올바른 복호데이터가 얻어지지 않고, 따라서 기지국(1)은 기지국 (1)으로부터의 복호신호는 출력하지 않고, 기지국(2)으로부터의 복호데이터를 일정한 지연시간 기다린 후 출력한다. 시간(T3)에 있어서는 기지국(1)에서 에러가 회복되었기 때문에 기지국(1)은 올바른 복호데이터가 회복되어 얻을 수 있고, 따라서 기지국 (1)은 자국의 복호데이터를 상류측 모뎀(16)으로부터 출력하고, 기지국(2)으로부터의 복호신호는 출력하지 않는다. 다음에 시간(T4)에 있어서는 기지국(2)에서만 데이터가 수신되기 때문에 기지국(1)은 기지국(2)으로부터의 복호데이터를 일정한 지연시간 기다린 후 출력한다.
각 기지국에서 설정되는 지연시간은 미리 설정하여 두는 것으로, 각 기지국에서 이 지연보정이 되어 있으면, 가장 중앙장치에 가까운 기지국(1)의 출력은 어느 기지국의 데이터이더라도 일정한 타이밍으로 송출되게 된다.
이 지연시간의 설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방법이 생각된다. 하나의 예로서 통화 중이 아닌 경우에 항시 지연설정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이 있다. 이것은 중앙장치로부터 하행의 데이터로서 각 기지국에 트레이닝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데이터를 수신한 최하류의 기지국은 응답데이터를 하나 앞의 기지국에 송신한다. 이 하나 앞의 기지국은 트레이닝데이터를 수신한 후, 하류로부터의 응답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함과 동시에, 그 타이밍에서 다시 또 하나 앞의 기지국에 응답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 계측한 시간을 지연시간으로서 기억한다. 이 방법으로 지연시간을 계측하여 가면 중앙장치에 가장 가까운 기지국에서 가장 지연이 커지나, 이것은 즉 가장 먼 기지국의 데이터를 순차 기지국을 경유하여 전송하는 시간과 같아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트레이닝을 통신을 행하지 않을 때 항시 행하고 있으면, 예를 들면 중간의 기지국이 고장나 회선을 패스한 경우 등에도 트레이닝데이터의 갱신이 가능하게 되어 시스템의 내구성 향상에 도움이 되게 된다. 또한 트레이닝데이터는 데이터 중의 모든 비트를 사용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통신 중 이외에서는 이 데이터의 속에 각 기지국의 감시정보를 넣는 등 하여 회선의 효율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 방법에 의한 특징으로서, 중앙장치에서 기지국선택을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기지국(1)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는 반드시 각 기지국에서 선택된 가장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이기 때문이다. 즉 중앙장치는 기지국의 수를 알 필요도 없고, 그 라인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자연스럽게 이용하면 좋은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 9와 1O에 언급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는 각 기지국과 중앙장치를 접속하는 전송로가 2개 잇는 것 이외는 기본적으로 도 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무선시스템의 제 4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무선시스템의 중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있어서, 기지국(1)과 중앙장치(110)를 접속하는 전송로(118), 기지국 (2)과 중앙장치(110')를 접속하는 전송로(118' …)는 각각 2개의 전송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FEC 복호부(8, 8' …)로부터의 판정신호와 제어부(9, 9' …)로부터의 데이타신호는 다른 전송로를 거쳐 중앙장치(110)에 보내진다.
도 10에 있어서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는 중앙장치(110)의 회선구성부(10)내의 전환부(1000)에 입력된다. 또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판정신호는 중앙장치(110')의 제어부(11)에 입력된다. 제어부(10)에서는 제 1 실시예일 때와 마찬가지로 하여 정상 판정신호가 복수 입력되어 있으면 그것들을 랜덤으로, 또는 특정한 정상 판정신호를 우선적으로 서치하여 임의의 또는 우선순위가 높은 특정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올바른 복호신호를 받아 들이도록 전환부(1000)를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와 판정신호는 처음부터 분리되어 기지국으로부터 보내져 오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상 판정신호 추출부(1002, 1002' …)(도 7)를 회선구성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가 양호한 기지국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무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실시예에 대하여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은 그 정신과 첨부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명백하다

Claims (11)

  1.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디지털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과 접속된 중앙장치를 구비한 무선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의 기지국은 수신한 디지털신호를 복조한 복조신호를 다시 에러 정정한 복호신호로 복호함과 동시에,
    상기 복호신호가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호신호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판정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중앙장치로부터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호신호가 출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의 기지국은 상기 복호신호가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호신호일 때는 상기 판정신호로서 정상 판정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중앙장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정상 판정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정상 판정신호를 출력하는 기지국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에러 정정된 복호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은 전송로를 거쳐 상기 중앙장치에 종속으로 접속되어 있어 각 기지국은 자국의 복호신호를 중앙장치측에 출력할지, 그렇지 않으면 다른 하류측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를 중앙장치측에 전송할지를 자국에서 생성한 판정신호를 사용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가 상기 중앙장치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지국은 상기 판정신호가 자국의 복호신호가 에러가 없는 올바른 복호신호인 것을 나타낼 때, 자국의 복호신호를 상기 중앙장치측에 출력하고, 그 이외일 때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를 상기 중앙장치측에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지국은 상기 전송로의 상류측에 접속된 상류측 모뎀과 상기 전송로의 하류측에 접속된 하류측 모뎀을 구비하고, 상기 상류측 및 하류측 모뎀은 서로 접속되어 있고, 자국의 복호신호를 상기 상류측 모뎀을 거쳐 중앙장치측으로 출력할지 다른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를 상기 하류측 전송로로부터 입력하여 상기 상류측 모뎀을 거쳐 중앙장치측에 출력할지를 상기 판정신호에 의해 선택하여 상기 중앙장치에 상기 에러를 정정한 복호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시스템.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지국에는 미리 소정의 지연시간이 설정되어 있어 자국의 복조신호를 중앙장치측으로 출력할 때에 상기 소정의 지연시간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장치는 각각의 기지국에 트레이닝신호를 송신하고, 각 기지국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지연시간은 자기 기지국이 상기 트레이닝신호를 수취한 후 상기 트레이닝신호를 수취한 최하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응답신호를 하류측의 전송로로부터 수취할 때까지의 시간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의 기지국은 각각 1개의 전송로로 상기 중앙장치에 접속되어 있어,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와 판정신호는 상기 1개의 전송로를 거쳐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의 기지국은 각각 적어도 2개의 전송로로 상기 중앙장치에 접속되어 있어,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복호신호와 판정신호는 각각 다른 전송로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시스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장치는 상기 정상 판정신호를 출력한 기지국 중에서 랜덤으로 기지국을 하나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시스템.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장치는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정상 판정신호를 서치하여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시스템.
KR1020020022710A 2001-04-26 2002-04-25 복수의 기지국을 구비한 무선시스템 KR200200839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29558 2001-04-26
JP2001129558A JP2002325270A (ja) 2001-04-26 2001-04-26 無線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927A true KR20020083927A (ko) 2002-11-04

Family

ID=1897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710A KR20020083927A (ko) 2001-04-26 2002-04-25 복수의 기지국을 구비한 무선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325270A (ko)
KR (1) KR20020083927A (ko)
CN (1) CN119456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3940B2 (ja) * 2004-10-12 2012-09-2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無線装置制御ノードと少なくとも1つのリモートの無線装置ノードとの間の通信のための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装置、方法
JP2006270572A (ja) * 2005-03-24 2006-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基地局システム並びにその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方法
JP5019384B2 (ja) * 2007-11-02 2012-09-05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鉄道車両の運行時の無線妨害箇所の検出システム
JP7226318B2 (ja) * 2017-08-10 2023-02-2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管理サーバー、管理方法、基地局、通信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2258A (ja) * 1993-03-31 1994-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H10247873A (ja) * 1997-03-05 1998-09-14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イトダイバシティ受信方法、サイトダイバシティ受信方式を採用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上位装置
KR19990007445A (ko) * 1997-06-30 1999-01-25 가네꼬 히사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향 링크 사이트 다이버시티를 위한 무선 기지국 수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00647A (ko) * 1998-06-02 2000-01-15 윤종용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시험 방법
JP2000197095A (ja) * 1998-12-28 2000-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2258A (ja) * 1993-03-31 1994-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H10247873A (ja) * 1997-03-05 1998-09-14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イトダイバシティ受信方法、サイトダイバシティ受信方式を採用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上位装置
KR19990007445A (ko) * 1997-06-30 1999-01-25 가네꼬 히사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향 링크 사이트 다이버시티를 위한 무선 기지국 수신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00647A (ko) * 1998-06-02 2000-01-15 윤종용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시험 방법
JP2000197095A (ja) * 1998-12-28 2000-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25270A (ja) 2002-11-08
CN1383336A (zh) 2002-12-04
CN1194564C (zh)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44489B2 (ja) 無線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誤り訂正方式
EP1460779B1 (en) Radio base station receiving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uplink site diversity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O178879B (no) Romlig multippel-system, samt fremgangsmåte for å motta og sende radiosignaler
US7245678B2 (en) Digital wireless receiver using antenna diversity method
JP4775703B2 (ja) 無線テレビシステム、無線テレビ受信装置及び送信装置
CA2162929C (en) Time diversity communication system
EP0773695A4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WITH MULTIPLE ACCESS BY DISTRIBUTION CODE (CDMA) AND MOBILE STATION EQUIPMENT
JP2002359610A (ja) ディジタル信号受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受信システム
KR20020083927A (ko) 복수의 기지국을 구비한 무선시스템
US4611334A (en) Message capturing radio data system
JPH08116313A (ja) 無線伝送方式
JPH0529992A (ja) 移動通信用時分割多元接続一周波数交互通信方式におけるダイバーシチ回路
JP3597775B2 (ja) 衛星通信地上局
JPH08195704A (ja) 移動通信方式
JP3019147B2 (ja) 送信ダイバーシチ装置
JP2000188566A (ja) デ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
JPH06204925A (ja)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JP4271087B2 (ja) 受信装置
JPH10308727A (ja) 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H07245577A (ja) ダイバーシチ通信装置
JP3492644B2 (ja) 中継伝送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JPH0851414A (ja) 無線通信arq方法
JP2001007785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EP0519549A2 (en) A method of voting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stem therefor
EP1181782A1 (en) Pager having simultaneous multichannel scanning function and 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