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688A -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688A
KR20020083688A KR1020010023243A KR20010023243A KR20020083688A KR 20020083688 A KR20020083688 A KR 20020083688A KR 1020010023243 A KR1020010023243 A KR 1020010023243A KR 20010023243 A KR20010023243 A KR 20010023243A KR 20020083688 A KR20020083688 A KR 20020083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packaging box
drum
box
pack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이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선 filed Critical 이상선
Priority to KR102001002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3688A/ko
Publication of KR20020083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6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4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31B50/062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from the underside of a magazine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박스 원판을 2단계로 적재할 수 있는 수단을 이용하여 적재되어 있는 포장박스 원판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포장박스 원판의 길이방향 진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의 크기 축소는 물론 후속공정을 위한 인쇄장치, 절단장치 등의 크기도 대폭 줄일 수 있고, 포장박스 원판이 수용되는 양쪽 2개의 원판 적재대를 가동형으로 구성하여 포장박스 원판의 종류에 따라 그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 원판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회전형 드럼을 이용하여 적재되어 있는 다수의 포장박스 원판을 주기적으로 쳐주는 방식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박스 원판이 끼이는 등의 문제없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Auto feeding apparatus for original plate of box}
본 발명은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박스 원판의 길이방향 진행을 가능하게 하여 후속공정을 위한 인쇄장치, 절단장치 등의 레이아웃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포장박스 원판의 종류에 따라 그 폭을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 원판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적재되어 있는 포장박스 원판을 주기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수단을 채용하여 포장박스 원판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의 유통시 파손과 오손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포장수단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포장수단 중에서 무게가 가볍고 취급이 용이한 장점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골판지 타입의 평판형 포장박스 원판(100)을 절곡하여 육면체로 제작한 포장박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포장박스는 포장박스 원판에 소정의 문구 등을 인쇄하는 공정, 육면체로 절곡을 위해 포장박스 원판의 적어도 6곳을 절단하는 공정, 실제 사용되는 육면체로 절곡하는 공정 등을 거쳐 완전한 하나의 포장박스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다.
포장박스의 제작공정도 대부분 일반화된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정의 초기단계에서 적재상태의 포장박스 원판을 1개씩 공급하여 후속공정으로 진행되게 하는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첨부한 도 7 및 8은 종래의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포장박스 원판을 적재할 수 있는 전후측의 원판 적재대(10)가 구비되어 그 사이에 경사진 상태로 포장박스 원판을 적재하게 되고, 아래쪽에는 낱개의 포장박스 원판을 1개씩 진행시켜주는 벨트(11) 및 피더(12)가 구비되어 벨트(11)의 구동과 피더(12)의 상승 작동에 의해 가장 아래쪽에 배치되는 1개의 포장박스 원판이 앞쪽으로 슬라이드 되므로서, 후속공정으로 포장박스 원판이 계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다수의 포장박스 원판은 전후측의 원판 적재대(10) 사이에서 1차 경사진 단위로 적재되고, 이러한 경사진 단위에서 몇개 정도가 벨트(11)와 인접한 상부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피더(12)의 선택적인 상승 작동에 따라 가장 아래쪽에 있는 것부터 1개씩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렇게 1개의 포장박스 원판이 빠져 나감에 따라 생기는 상하 간격을 이용하여 1차 경사진 단위의 포장박스 원판 중에서 1개가 보충되므로서, 연속적인 포장박스 원판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13은 인쇄공정에 포함되는 인쇄용 롤러이고, 14는 포장박스 원판의 진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이다.
상기와 같은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포장박스 원판 공급용 설비는 포장박스 원판을 폭방향으로 진행시키면서 공급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의 자체적인 크기는 물론 후속공정으로 배치되는 인쇄장치나 절단장치 등도 따라서 그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은 포장박스 원판을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면서 공급하는 방식에 의해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지만, 포장박스 원판의 구조적인 특성, 즉 내부에서 물결모양을 유지하고 있는 속지를 갖는 골판지의 특성으로 인해 포장박스 원판의 표면이 매끈하지 못하고 길이방향으로 간섭을 주는 요철면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포장박스 원판의 구조적인 조건하에서 위와 같이 다수의 포장박스 원판을 1차 경사진 단위로 적재시킨 후 1개씩 공급하는 방식에서는 포장박스 원판의 어느 한쪽에 집중적인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포장박스 원판의 진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결국 포장박스 원판을 길이방향으로 진행시키면서 공급하는 방식은 지금까지의 기술수준으로는 도저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종전의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에서는 포장박스 원판을 폭방향으로 지지하는 전후측의 원판 적재대(10)가 고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가지 크기의 포장박스 원판에 대해서만 적용이 가능한 한계가 있었으며, 원판 적재대(10) 내에 적재되어 있는 다수의 포장박스 원판이 단순하게 벽면의 받침수단 위에 한쪽이 얹혀져 있는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1개씩 떨어지는 방식으로 아래로 보충되기때문에 적재량이 많은 초기에는 하중을 받아 포장박스 원판이 벽면 사이에 끼이면서 보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포장박스 원판을 2단계로 적재할 수 있는 수단을 이용하여 적재되어 있는 포장박스 원판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포장박스 원판의 길이방향 진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의 크기 축소는 물론 후속공정을 위한 인쇄장치, 절단장치 등의 크기도 대폭 줄일 수 있고, 포장박스 원판이 수용되는 양쪽 2개의 원판 적재대를 가동형으로 구성하여 포장박스 원판의 종류에 따라 그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 원판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회전형 드럼을 이용하여 적재되어 있는 다수의 포장박스 원판을 주기적으로 쳐주는 방식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박스 원판이 끼이는 등의 문제없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의 폭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일반적인 포장박스 원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종래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판 적재대 11 : 벨트
12 : 피더(Feeder) 13 : 인쇄용 롤러
14 : 가이드 롤러 15 : 스크류 바
16 : 간격 조절용 모터 17 : 가이드 바
18 : 드럼 19 : 구동용 모터
20 : 타격용 바 21 : 축
22 : 회전 조작형 레버 23 : 웜 기어
24 : 웜 휠 25 : 구동용 벨트
26 : 구동용 풀리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일정량의 포장박스 원판을 적재할 수 있는 양쪽 2개의 원판 적재대(10)와, 상기 원판 적재대(10)의 하측에 배치되어 포장박스 원판을 1개씩 진행시켜주는 벨트(11) 및 피더(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원판 적재대(10)를 포장박스 원판의 폭방향 양편에 배치하는 동시에 드럼(18)을 중간 받침수단으로 이용하여 포장박스 원판의 2단계 분할 적재를 가능하게 하는 원판 적재수단을 구비하여 포장박스 원판의 길이방향이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놓이도록 하면서 포장박스 원판을 길이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원판 적재수단은 포장박스 원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쪽의 원판 적재대(10) 중에서 어느 한쪽의 원판 적재대(10)상에 설치되는 드럼(18) 및 이것의 회전을 위한 구동용 모터(19)로 구성되며, 드럼(18)을 중간 받침수단으로 이용하여 포장박스 원판을 1차 경사진 단위 및 2차 경사진 단위의 2단계로 분할하여 적재를 가능하게 한 동시에 포장박스 원판의 길이방향이 진행방향과 나란히 놓이게 적재를 가능하게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개의 원판 적재대(10) 하단과 동시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 바(15) 및 이것을 구동시키는 간격 조절용 모터(16)와 상기 원판 적재대(10)의 각 하단을 관통하면서 스크류 바(15)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바(17)로 이루어지며 간격 조절용 모터(16)의 작동에 의한 스크류 전동을 이용하여 원판 적재대(10) 간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가능한 간격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판 적재수단에 의해 2단계로 분할하여 적재가 가능한 1차 경사진 단위 및 2차 경사진 단위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경사진 단위는 포장박스 원판의 수가 적어도 5개를 넘지 않으면서 드럼(18)의 외주면과 공급측에 배치되는 몇개의 포장박스 원판의 윗면 사이에 경사지게 걸쳐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판 적재수단의 드럼(18)은 구동용 모터(19)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타격용 바(20)를 이용하여 2차 경사진 단위에 적재되어 있는 포장박스 원판을 주기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18)은 편심축으로 된 축(21)에 의해 지지되어 일측의 조작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그 중심점의 위치가 좌우로 가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수단은 수동조작이 가능한 회전 조작형 레버(22) 및 이것의 선단에 결합되는 웜 기어(23)와, 상기 웜 기어(23)와 치합되면서 드럼(18)의 축(21)에 일체 결합되는 웜 휠(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설치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는 후공정을 위한 인쇄장치와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인쇄공정을 위해 포장박스 원판을 1개씩 자동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에는 포장박스 원판을 적재하기 위해 폭방향으로 배치되는2개의 원판 적재대(10)가 포장박스 원판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실질적으로 포장박스 원판을 1개씩 진행시켜주는 벨트(11)와 피더(12)가 설치되며, 포장박스 원판을 공급받는 앞쪽으로는 포장박스 원판의 진행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14)와 인쇄작업을 위한 인쇄용 롤러(13)를 포함하는 인쇄장치가 설치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에서 원판 적재대(10)의 구조와 포장박스 원판의 적재상태를 좀더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박스 원판의 폭방향 양편에 각각의 원판 적재대(10)가 배치되고, 2개의 원판 적재대(10) 중에서 어느 1개의 원판 적재대(10)에는 구동용 모터(19)에 의해 회전가능한 드럼(18)이 설치된다.
이때의 드럼(18)은 포장박스 원판의 길이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가지면서 원판 적재대(1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축(21)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그 외주면의 일부는 원판 적재대(10)의 벽면을 관통하여 노출되면서 포장박스 원판의 적재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럼(18)과 축(21)과의 결합관계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드럼(18)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란하게 일체 고정되는 타격용 바(20)가 구비되어 있으며, 구동용 모터(19)의 작동과 함께 구동용 벨트(25) 및 풀리(26)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은 드럼(18)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타격용 바(30)가 적재되어 있는 포장박스 원판의 한쪽을 간헐적으로 쳐주게 되므로서, 포장박스 원판의 적재상태가 정돈이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장박스 원판이 양쪽 원판적재대(10)의 사이에 끼이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드럼(18)을 포함하는 원판 적재함(10)의 구조를 이용한 포장박스 원판의 적재상태를 살펴보면, 원판 적재대(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벨트(11)와 인접하여 적어도 3∼5개의 포장박스 원판이 수평으로 적재되고, 이것의 공급측 윗면과 한쪽 원판 적재함(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드럼(18)의 외주면 사이에 경사지게 걸쳐지는 상태로 약 5개 정도의 포장박스 원판이 적재되어 2차 경사진 단위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2차 경사진 단위의 한쪽, 즉 드럼(18)의 외주면에 얹혀지는 쪽과 다른 한쪽 원판 적재함(10)의 받침수단 사이에 경사지게 걸쳐지는 상태로 대부분의 포장박스 원판이 적재되어 1차 경사진 단위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2차 경사진 단위를 구성하는 포장박스 원판들의 드럼(18)측 지지부분은 드럼(18)의 가로 중심선 보다 윗쪽에 얹혀지게 되므로서, 포장박스 원판들이 자체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1차 경사진 단위와 2차 경사진 단위의 경사방향을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하여 상당수의 포장박스 원판이 적재되어 구성되는 1차 경사진 단위의 하중이 대부분 2차 경사진 단위를 구성하고 있는 포장박스 원판의 드럼(18)측 지지부분에 가해지게 함으로써, 공급을 대기하고 있는 아래쪽의 포장박스 원판으로는 하중이 거의 작용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벨트(11)의 구동과 피더(12)의 상승작동에 의해 포장박스 원판을 길이방향으로 1개씩 무리없이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2개의 원판 적재대(10)는 포장박스 원판의 폭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여러 다양한 크기의 포장박스 원판을 모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각 원판 적재대(10)의 하단은 일측 간격 조절용 모터(16)의 작동과 함께 회전되는 스크류 바(15)와 이 스크류 바(15)의 아래쪽에 나란히 배치되는 가이드 바(17)에 의해 관통 지지되며, 특히 스크류 바(15)를 조합하기 위한 구멍은 스크류 구멍으로 형성되어 스크류 바(15)의 회전에 따른 스크류 전동에 의해 원판 적재대(1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간격 조절용 모터(16)의 작동에 의해 스크류 바(15)가 회전되면 양편의 원판 적재대(10)가 동시에 안쪽으로 좁혀지거나 바깥쪽으로 넓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스크류 바(15)는 보통 1개를 설치하여도 무관하지만 가이드 바(17)는 포장박스 원판의 진행방향에서 볼 때 전후에 1개씩 설치하는 것이 원판 적재대(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에서 포장박스 원판의 적재시 정확한 세팅을 위해 드럼(18)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폭조절수단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적재대(10)의 전후측 벽면 사이에 축(21)의 양단이 회전가능한 구조로 지지되고, 축(21)의 둘레에는 구동용 벨트(25) 및 구동용 풀리(26)를 통해 구동용 모터(19)측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드럼(18)이 동심원상으로 결합되는데, 이때의 축(21)은 양단 지지구간를 제외한 드럼(18)측과 결합되는 전체 구간이 편심축으로 되어 있고, 축(21)의 한쪽 끝에는 웜 휠(24)이 장착되는 동시에 이 웜 휠(24)은 웜 기어(23)를 갖는 회전 조작형 레버(22)에의해 동작되므로서, 회전 조작형 레버(22)를 돌리면 웜 기어(23)와 웜 휠(24) 간의 전동에 의해 드럼(18)은 축(21)과 함께 회동되면서 포장박스 원판의 적재공간 안쪽 방향이나 바깥쪽 방향으로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양쪽의 원판 적재대(10) 간의 간격을 포장박스 원판의 폭에 맞도록 대략 맞춘 다음 상기 회전 조작형 레버(22)를 조작하여 드럼(18)의 위치를 조절하면 포장박스 원판의 적재상태를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 조절용 모터(16)의 작동을 이용하여 포장박스 원판의 폭방향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원판 적재대(10)의 간격을 세팅한 다음 벨트(11) 및 피더(12)와 인접한 원판 적재대(10)의 적재공간 하단부에 3∼5개의 포장박스 원판을 수평으로 적재한다.
계속해서, 3∼5개의 포장박스 원판으로 구성되는 2차 경사진 단위를 드럼(18)과 그 아래쪽에 수평상태로 적재되어 있는 포장박스 원판의 윗면 사이에 걸쳐지도록 경사지게 적재한다.
이때에는 회전 조작용 레버(22)를 조작하여 드럼(18)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2차 경사진 단위의 포장박스 원판들이 드럼(18)의 가로 중심선 윗쪽에 정확히 얹혀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 2차 경사진 단위를 구성하는 포장박스 원판들의 윗쪽으로 대부분의 포장박스 원판을 포함하는 1차 경사진 단위의 포장박스 원판들을 2차 경사진 단위의경사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경사지게 적재한다.
이와 같은 포장박스 원판의 적재구조에서는 적재되어 있는 대부분의 포장박스 원판이 가하는 하중은 드럼(18)측에서 받아내게 되고,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아래쪽의 포장박스 원판으로는 거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서로 겹쳐서 적재되어 있는 포장박스 원판 간의 접촉에 의한 진행 간섭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그 구조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포장박스 원판의 길이방향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포장박스 원판의 적재작업을 마친 후에는 장치의 가동과 함께 포장박스 원판이 1개씩 후공정인 인쇄장치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즉, 벨트(11)의 지속적인 구동과 피더(12)의 반복적인 상승 및 하강 작동에 따라 가장 아래쪽에 있는 포장박스 원판이 1개씩 빠져나가게 되고, 이렇게 1개의 포장박스 원판이 빠져 나감에 따라 생기는 상하 간격을 통해 2차 경사진 단위를 구성하는 가장 아래쪽 1개의 포장박스 원판이 보충되는 동시에 1차 경사진 단위를 구성하는 포장박스 원판 중에서 가장 아래쪽의 1개가 2차 경사진 단위로 보충되므로서, 지속적인 포장박스 원판의 보충과 연속적인 포장박스 원판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포장박스 원판의 보충과 공급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구동용 모터(19)의 작동과 드럼(18)의 회전에 의해 타격용 바(20)가 적재되어 있는 포장박스 원판을 쳐주면서 간헐적으로 정렬시켜주게 되므로서, 포장박스 원판이 원판 적재대(10)의 벽면 사이에 끼이면서 보충이나 공급이 끊어지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박스 원판을 2단계로 적재할 수 있는 수단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포장박스 원판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하면서 포장박스 원판을 길이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의 크기 축소는 물론 후속공정을 위한 인쇄장치, 절단장치 등의 크기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포장박스 원판이 수용되는 양쪽 2개의 원판 적재대를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포장박스 원판의 종류에 따라 임의로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포장박스 원판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적재되어 있는 다수의 포장박스 원판을 회전형 드럼으로 주기적으로 쳐주면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박스 원판을 끼이는 등의 문제없이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일정량의 포장박스 원판을 적재할 수 있는 양쪽 2개의 원판 적재대(10)와, 상기 원판 적재대(10)의 하측에 배치되어 포장박스 원판을 1개씩 진행시켜주는 벨트(11) 및 피더(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원판 적재대(10)를 포장박스 원판의 폭방향 양편에 배치하는 동시에 드럼(18)을 중간 받침수단으로 이용하여 포장박스 원판의 2단계 분할 적재를 가능하게 하는 원판 적재수단을 구비하여 포장박스 원판의 길이방향이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놓이도록 하면서 포장박스 원판을 길이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 적재수단은 포장박스 원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쪽의 원판 적재대(10) 중에서 어느 한쪽의 원판 적재대(10)상에 설치되는 드럼(18) 및 이것의 회전을 위한 구동용 모터(19)로 구성되며, 드럼(18)을 중간 받침수단으로 이용하여 포장박스 원판을 1차 경사진 단위 및 2차 경사진 단위의 2단계로 분할하여 적재를 가능하게 한 동시에 포장박스 원판의 길이방향이 진행방향과 나란히 놓이게 적재를 가능하게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원판 적재대(10) 하단과 동시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 바(15) 및 이것을 구동시키는 간격 조절용 모터(16)와 상기 원판 적재대(10)의 각 하단을 관통하면서 스크류 바(15)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바(17)로 이루어지며 간격 조절용 모터(16)의 작동에 의한 스크류 전동을 이용하여 원판 적재대(10) 간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가능한 간격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 적재수단에 의해 2단계로 분할하여 적재가 가능한 1차 경사진 단위 및 2차 경사진 단위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경사진 단위는 포장박스 원판의 수가 적어도 5개를 넘지 않으면서 드럼(18)의 외주면과 공급측에 배치되는 몇개의 포장박스 원판의 윗면 사이에 경사지게 걸쳐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 적재수단의 드럼(18)은 구동용 모터(19)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타격용 바(20)를 이용하여 2차 경사진 단위에 적재되어 있는 포장박스 원판을 주기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18)은 편심축으로 된 축(21)에 의해 지지되어 일측의 조작수단에 의해 회동되면서 그 중심점의 위치가 좌우로 가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수동조작이 가능한 회전 조작형 레버(22) 및 이것의 선단에 결합되는 웜 기어(23)와, 상기 웜 기어(23)와 치합되면서 드럼(18)의 축(21)에 일체 결합되는 웜 휠(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KR1020010023243A 2001-04-28 2001-04-28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KR20020083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243A KR20020083688A (ko) 2001-04-28 2001-04-28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243A KR20020083688A (ko) 2001-04-28 2001-04-28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371U Division KR200243349Y1 (ko) 2001-04-28 2001-04-28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688A true KR20020083688A (ko) 2002-11-04

Family

ID=2770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243A KR20020083688A (ko) 2001-04-28 2001-04-28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368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3378A (ko) * 1974-02-18 1975-09-05
JPS5261867U (ko) * 1975-11-01 1977-05-07
US4093207A (en) * 1976-12-01 1978-06-06 R. A. Jones & Co. Inc. Magazine and feeder for carton blanks
EP0485343A1 (de) * 1990-11-06 1992-05-13 Willi Maschinenbau Ag Abstapel- und Auffächervorrichtung für biegsame blattförmige Gegenstände
KR930002400Y1 (ko) * 1990-12-17 1993-05-10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필름(Film) 권취용 보빈 아답터(ADADTER)
JPH09194058A (ja) * 1996-01-19 1997-07-29 Asahi Mach Kk ボトムフィー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3378A (ko) * 1974-02-18 1975-09-05
JPS5261867U (ko) * 1975-11-01 1977-05-07
US4093207A (en) * 1976-12-01 1978-06-06 R. A. Jones & Co. Inc. Magazine and feeder for carton blanks
EP0485343A1 (de) * 1990-11-06 1992-05-13 Willi Maschinenbau Ag Abstapel- und Auffächervorrichtung für biegsame blattförmige Gegenstände
KR930002400Y1 (ko) * 1990-12-17 1993-05-10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필름(Film) 권취용 보빈 아답터(ADADTER)
JPH09194058A (ja) * 1996-01-19 1997-07-29 Asahi Mach Kk ボトムフィー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0806A (en) Mill roll stand
CN114905158A (zh) 便于定位的继电器外壳加工用激光打标装置
KR100873691B1 (ko) 스폰지 자동 재단장치
KR200243349Y1 (ko)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KR20020083688A (ko) 포장박스 원판 자동 공급장치
JPS6169662A (ja) 丁合装置
KR100736420B1 (ko) 평판타발기의 판지 피딩시스템
JP4455244B2 (ja) シート群の集積排出装置
KR200209305Y1 (ko) 반도체 스트립 공급장치
US6250454B1 (en) Storage buffer for a multi lane conveyor
CN213650028U (zh) 一种胶带加工生产用装箱机
KR200427982Y1 (ko) 강판 적재용 이송 가이드장치
JP2818137B2 (ja) フリーサイズロールフオーミング装置
KR200195248Y1 (ko) 코일적재용 패드 공급장치
CN113635598B (zh) 一种瓦楞纸箱切割机的进料系统
CN219823148U (zh) 一种瓦楞纸下料传送设备
KR20210121840A (ko) 박스 판지의 공급 설비 및 이를 이용한 박스 판지의 공급 방법
CN219116415U (zh) 一种储药装置及自动发药机
CN219929183U (zh) 一种纸箱加工用纸箱片自动堆码装置
CN217669583U (zh) 一种适用于瓦楞纸切割用的设备
CN220975935U (zh) 一种包装盒送料机的纠偏机构
CN217458089U (zh) 一种横切机
KR100810378B1 (ko) 트윈 포밍 머신
CN214988752U (zh) 一种纸板卸垛机
CN220242534U (zh) 一种钉箱机用的进纸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