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730A -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730A
KR20020082730A KR1020010022473A KR20010022473A KR20020082730A KR 20020082730 A KR20020082730 A KR 20020082730A KR 1020010022473 A KR1020010022473 A KR 1020010022473A KR 20010022473 A KR20010022473 A KR 20010022473A KR 20020082730 A KR20020082730 A KR 20020082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oric acid
insecticide
calcium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형만
Original Assignee
민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형만 filed Critical 민형만
Priority to KR1020010022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2730A/ko
Publication of KR2002008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7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4Bo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 A01N25/0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insecticid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식력은 높지만 행동반경이 작아 박멸이 힘든 바퀴벌레 및 개미에 대해 지속적인 약효를 유지하며 동시에 완전히 박멸할 수 있는 살충제 조성물로, 붕산 20 ~ 30질량부에 대해 설탕 60중량부, 15중량부의 멸치가루, 염화칼슘 5 ~ 50중량부를 물 30질량부와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식이성과 유인성을 높일 수 있는 살충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insecticide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충제를 겔 상태로 만들어 바퀴벌레는 물론 개미에 대해 지속적인 약효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완전히 박멸할 수 있는 살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바퀴벌레나 개미의 살충제는 독이법, 훈증법, 분무살포법, 유인포획법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적당한 먹이에 살충제를 혼합하여 바퀴나 개미를 유인해 먹게 함으로써 박멸시키는 독이법의 경우가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살충제의 먹이로는 바퀴의 경우 잡식성이어서 특별히 사용되는 것은 없고 대체로 육류를 말려 가루로 만든 것, 빵가루, 설탕, 감자, 식물성기름등을 사용하며, 개미의 경우 당도가 높은 설탕이나 꿀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살충제에 한 종류의 먹이만을 사용하지 않고 몇 가지를 섞어 쓰는 경우가 많다.
독이법 같은 설치식에서 사용하는 살충제로는 훼니트로치온, 하이드라메칠론, 클로르피리포스, 프로폭서, 붕산등이 있으며 이들 중 어떤 종류의 살충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조금씩 있다.
훼니트로치온의 경우, 포유류나 어류에 독성이 약한 반면 효과가 오래 남는다는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살충제를 미립자의 마이크로캡슐에 씌워 바퀴들의 살충제 기피성 문제를 해결하였고 약효도 더욱 오래가며 효과도 빨라 1 ~ 2일 내에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둘수 있도록 하였다.
하이드라메칠렌의 경우, 독성작용이 훼니트로치온보다 비교적 늦은 2 ~ 3일 후부터 약효가 나타난다. 하지만 이 살충제를 먹은 바퀴의 똥 속에 섞여 나온 약제를 다른 바퀴가 먹고 죽는 이차독성을 일으켜서 박멸효과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클로르피리포스의 경우, 효과가 남는 기간이 짧고 인체독성이 강한 단점이 있지만 살충력이 좋고 빠르기 때문에 박멸효과가 매우 높아 많히 사용되고 있다.
프로폭서의 경우, 속효성과 잔효성을 동시에 갖는 살충제로 전문 방제업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잔효성이 있는 살충제에 비해 흥분성이 강해 바퀴들은 은신처에서 밖으로 나와 죽게 하는 작용이 있다.
붕산의 경우, 증발되거나 분해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약효를 발휘하며 바퀴의 기피성이 별로 없고 바퀴나 벌레가 은신처에서 밖으로 나와 죽는 경우가 많아 위생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람에겐 안전해서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에 적합하며, 미국의 경우에는 붕산제가 일반 가정에서 많히 이용되고 있다.
나름대로 장점들을 갖고 있는 이들 살충제 중에서도, 현재 국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살충제는 훼니트로치온과 하이드라메칠론, 클로르피리포스가가장 박멸효과가 빠르고 높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살충제는 주로 바퀴의 신경계를 마비시켜 죽이므로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내성이 생기면 시간이 지날수록 효과가 줄어들어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붕산의 경우에는 바퀴의 외피에 있는 왁스층을 녹여 체내의 수분을 감소시켜 말라죽이기 때문에 다른 살충제와 비교할 때 내성에 상관없이 박멸시킬 수 있으며 약효가 꾸준하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최근에 붕산을 이용한 다양한 살충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지금까지 붕산을 이용하여 살충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붕산이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 녹이기가 힘들다는 특성 때문에 대부분이 감자나 곡식류를 잘게 분쇄한 먹이에 일정량의 붕산을 섞어 만든 고체상태의 살충제에 관한 것이었다. 이 방법은고체분말을 그대로 사용하여 먹이가 바퀴벌레나 개미가 먹기 불편하므로 식이성이 낮아 박멸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했다.
따라서 붕산을 물에 녹여 액상으로 만들어 식이성을 높힐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이미 선출원된 출원번호 98-9126의 방충성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서는 붕산을 번데기 열추출물에 용해시키는 방법을 소개하였는데 불포화 지방유를 포함하고 있는 번데기 열추출물을 이용하여 붕산의 용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액상상태의 살충제를 얻는 방법이었다.
하지만 용액상태의 붕산은 살충성이 약해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고체상태와 비교하였을 시에 용해된 붕산의 양만큼 박멸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비록 불포화지방유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증발이 일어나 식이성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붕산을 사용하면서도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살충제로서 종래의 붕산 살충제보다 박멸 효과는 현저하게 뛰어나고 건조한 계절이나 건조한 장소에서도 장시간 겔 상태를 유지하여 식이성이 높으며 설치가 용이한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붕산을 살충제로 사용하고 유인성 및 식이성 물질을 물에 혼합시켜 만들어지는 살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30중량부에 대해 염화칼슘 5 ~ 50중량부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및 개미의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염화칼슘은 공기중의 수분을 스스로 흡수하는 조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절이나 장소에 따른 습도의 변화가 생기게 되면 자체적으로 수분흡수와 증발이 일어나 상기 혼합물이 시간이 경과해도 경화되지 않고 죽과 같은 겔 상태가 항상 가능하도록 하여 개미나 바퀴가 먹기 쉽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염화칼슘은 공기 중으로 방출되지 않고 계속 살충제에 남아 있기 때문에 이런 효과는 장시간 지속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성물에 대해서 염화칼슘의 첨가량이 5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붕산의 양이 많으므로 건조한 날씨에서 습한 날씨로 변할 때 충분한 수분흡수가 어려워 겔상태로 돌아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염화칼슘의 첨가량이 5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습한 날씨에서 건조한 날씨로 변할 때 충분한 증발이 일어나지 않아 겔 상태로 돌아오지 못하고 액상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붕산의 박멸효과를 떨어드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염화칼슘은 5 ~ 50중량부를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살충제에 첨가되는 붕산은 혼합물의 중량부에 대해 20 ~ 30중량부 일때 가장 박멸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중량부 미만의 경우에는 너무 소량으로 독성이 바퀴나 개미의 체내에서 발휘를 못하게 되고, 30중량부를 초과하여 붕산의 양이 너무 많아지면 붕산의 특이한 맛이 식이성 및 유인성물질보다 더 크게 나타나게 되므로 바퀴나 개미들이 기피성을 가지게 되어서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살충제 조성물에 있어서 식이성 물질로는 대부분 당도가 높은 설탕이나 꿀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선 점성이 강한 꿀보다는 붕산이 섞이기 쉬운 설탕을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붕산이 설탕 속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너무 액상이 되거나 고체가 되지 않도록 붕산 20 ~ 30 중량부에 대해 설탕 60중량부와 물 30중량의 비율이 될 필요가 있다. 만약 위 혼합물 중에 설탕의 양이 너무 많으면 바퀴벌레나 개미가 먹는 설탕 속에는 충분한 붕산이 들어 있지 못하므로 바퀴나 개미가 먹이를 먹더라도 박멸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물의 양이 설탕보다 너무 많게 되면 액상의 형태가 되는데, 붕산의 경우엔 물에 용해되면 살충효과가 약화되는 특성 때문에 설탕의 양보다 물의 양이많게 되면 물에 용해되는 붕산의 양이 생기므로 살충성이 저하될 수가 있다.
바퀴벌레나 개미의 경우 미끼를 발견한다고 해서 꼭 그 위치로 유인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설탕이나 꿀의 경우 당도가 높아 식이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무취이므로 유인성 물질을 첨가시켜주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주로 살충제에 사용하는 유인성 물질로는 치즈, 과일, 곡류, 멸치가루, 방향족 탄소화합물 및 페르몬과 같은 호르몬등 곤충들의 후각을 자극하는 다양한 물질들이 사용될 수 있다.
위 상기 살충제를 설치하는 과정에 있어서 바닥에 설치 시엔 특별한 문제점이 없지만 바닥에 습기가 항상 많은 장소나 개방형 건물의 경우와 같이 바닥 설치가 힘든 장소에선 벽면에 설치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살충제가 아래로 흘러내릴 수가 있다. 따라서 5중량부의 교화제를 첨가하면 살충제의 점도를 높힐 수 있으므로 벽면에 설치시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다. 이 때 주로 쓰는 교화제로는 아교나 녹말풀들이 있다.
상기의 조성을 갖는 바퀴벌레 및 개미 살충제의 제조방법은 20 ~ 30중량부의 붕산에 대해서 60중량부의 설탕을 물 30중량부에 적당히 용해시켜 만들어진 물질과 15중량부의 유인성 물질인 멸치가루를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품 같이 열 전도가 비교적 작은 적당한 크기의 용기에 잘 혼합시켜 넣는 단계와 염화칼슘 5 ~ 50중량부를 넣어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5>
붕산 25중량부와 설탕 60중량부, 물 30중량부, 멸치가루 15중량부를 적당한 크기의 용기에 섞은 후 상기 혼합물에 대해서 염화칼슘을 하기의 표1과 같은 중량으로 첨가하여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을 실시예1 내지 실시예5로 한다.
<실시예6 : 대조군 실시예>
붕산 25중량부와 설탕 60중량부, 물 30 중량부, 멸치가루 15중량부를 적당한 크기의 용기에 섞은 후 상기 혼합물에 대해서 염화칼슘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을 대조군 실시예로 한다
<실험예1>
실시예에서 제조된 살충제에 대한 겔 유지성 실험을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습도계가 부착된 밀폐뚜껑을 가진 사각의 유리상자내에 가로 15cm, 세로20cm인 유리판을 30도의 각도로 경사가 되도록 비스듬히 설치하고 유리판 상부에 실시예1 내지 실시예6에서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린 후 하기 표1과 같이 상대습도를 맞춰주고 6시간이 경과했을 때 각각 살충제가 흘러내린 길이를 측정하여 표1에 기재하였다.
<실험예2>
실시예에서 제조된 살충제에 대한 살충성 실험을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가로가 90cm이고 세로와 높이가 40cm의 크기를 갖는 상자에 개미가 통과할 수 없는 칸막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다섯개를 설치하여 여섯칸으로 나누고 상대습도를 장마철의 상대습도인 80%로 맞추도록 한다. 그다음 각각의 칸에 실시예1 내지 실시예6의 조성물을 넣고 같은 종류의 개미 30마리를 넣은 후 시간에 따라 죽은 개미의 수를 측정한 값과 각 실시예에서 살충제의 고화나 액화가 일어나는 시기를 표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염화칼슘의양 실험예1 실험예2
50% 70% 80% 1일 2일 3일 5일 7일 상태 변화
1 1 0.3cm 0.7cm 0.9cm 1 5 10 14 18 1일후에 고화`
2 5 1.0cm 2.3cm 3.3cm 0 2 13 25 - 겔상태를 유지
3 30 2.6cm 3.6cm 4.4cm 1 3 15 27 - 겔상태를 유지
4 50 3.7cm 5.0cm 6.3cm 0 1 9 16 21 2일후에 액화
5 60 4.6cm 7.1cm 8.8cm 0 1 6 13 18 1일후에 액화
6 0 0.2cm 0.4cm 0.5cm 2 6 10 13 16 1일후에 고화
상기의 표1로 부터 알 수 있듯이 실험예1에서 염화칼슘의 미량 첨가되어 있거나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1 및 실시예6의 경우, 습도와 거의 상관없이 물이 쉽게 증발하여 고화가 일어나 이동거리가 짧게 나타났고 실험예2의 살충효과에 대해서는 살충제 전체 중량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붕산의 양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측정 초기인 1일과 2일 사이에 살충성이 강하게 나타나지만 3일이 지나면서 살충제의 고화가 일어나 식이성이 감소하게 되어 살충효과가 점점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예1의 결과, 실시예 2의 경우 장마철의 평균 상대습도와 비슷한 80%일 때, 실시예3의 경우 상대습도가 1년 평균 상대습도와 비슷한 70%일 때 가장 적절한 겔상태를 유지하였고 살충제가 계속 겔상태를 유지했던 실험예2에 대해서도살충성과 식이성이 높아 3일 이후 개미들이 박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4의 경우에선 실험예1의 결과 건조기의 상대습도인 50%일 때 겔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지만, 실험예2에선 상대습도가 80%로 높은 상태였기에 수분흡수량이 많아 액화상태가 되어 만족할 만한 박멸효과가 나타나지 못했다. 실시예5의 경우에서는 살충제 조성물 전체 중량부에 대해 염화칼슘의 양이 너무 많아 실험예1에서 보여주듯이 상대습도가 높을 수록 액화 상태가 쉽게 이루어져 이동거리가 길게 나타났고, 따라서 실험예2에서도 살충제가 액화상태가 되어 붕산의 살충성이 약해져 박멸효과 역시 떨어지게 되었다.
상기 실험예1을 통해 각각 상대습도에 따른 염화칼슘의 적정량과 실험예2를 통해서 염화칼슘의 양에 따른 살충효과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1의 실험예2에서 보면 3일 이후에 개미의 수가 급격하게 줄어 드는 것을 관찰할 수있는데 이는 붕산의 살충효과가 2 ~ 3일 이후부터 개미에게 나타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살충제에 염화칼슘을 첨가함으로써 붕산을 용해시키지 않고도 항상 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바퀴나 개미들이 쉽게 먹을수 있도록 식이성이 높고, 장기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살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5)

  1. 붕산을 살충제로 사용하고 유인성 및 식이성 물질을 물에 혼합시켜 만들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30중량부에 대해 염화칼슘 5 ~ 5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살충제로 붕산 20 ~ 30중량부를, 식이성 물질로 설탕 60중량부를, 그리고 30중량부의 물과 15중량부의 유인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유인성 물질이 멸치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점도를 조절하는 교화제가 녹말풀이나 아교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5. 20 ~ 30중량부의 붕산에 대해서 60중량부의 설탕과 물 30중량부를 섞어 적당히 용해시킨 물질과 5 ~ 50중량부의 염화칼슘, 15중량부의 멸치가루 같은 식이성 물질을 혼합시키는 단계, 5중량부의 아교나 풀같은 교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바퀴벌레 및 개미용 살충제의 제조방법.
KR1020010022473A 2001-04-25 2001-04-25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82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473A KR20020082730A (ko) 2001-04-25 2001-04-25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473A KR20020082730A (ko) 2001-04-25 2001-04-25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730A true KR20020082730A (ko) 2002-10-31

Family

ID=2770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473A KR20020082730A (ko) 2001-04-25 2001-04-25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27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047A (ko) 2022-10-18 2024-04-25 천새슬 해충 퇴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750A (ko) * 1993-10-27 1995-05-15 길형미 바퀴벌레용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950010757A (ko) * 1993-10-28 1995-05-15 김영봉 살충제의 제조방법
KR950030811A (ko) * 1994-05-10 1995-12-18 성재갑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KR960006765A (ko) * 1994-08-20 1996-03-22 심상석 바퀴벌레용 살충제 조성물
KR980000349A (ko) * 1996-06-29 1998-03-30 김옥기 바퀴벌레용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9980066607A (ko) * 1997-01-27 1998-10-15 정희수 바퀴벌레용 살충제 조성물
KR19980072105A (ko) * 1998-07-15 1998-10-26 양진광 바퀴벌레 제거용 살충제
KR20000072131A (ko) * 2000-08-03 2000-12-05 박명수 바퀴벌레 살충제
KR20010004348A (ko) * 1999-06-28 2001-01-15 정희수 바퀴벌레 및 개미용 살충제 조성물 및 살충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750A (ko) * 1993-10-27 1995-05-15 길형미 바퀴벌레용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950010757A (ko) * 1993-10-28 1995-05-15 김영봉 살충제의 제조방법
KR950030811A (ko) * 1994-05-10 1995-12-18 성재갑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KR960006765A (ko) * 1994-08-20 1996-03-22 심상석 바퀴벌레용 살충제 조성물
KR980000349A (ko) * 1996-06-29 1998-03-30 김옥기 바퀴벌레용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9980066607A (ko) * 1997-01-27 1998-10-15 정희수 바퀴벌레용 살충제 조성물
KR19980072105A (ko) * 1998-07-15 1998-10-26 양진광 바퀴벌레 제거용 살충제
KR20010004348A (ko) * 1999-06-28 2001-01-15 정희수 바퀴벌레 및 개미용 살충제 조성물 및 살충제의 제조방법
KR20000072131A (ko) * 2000-08-03 2000-12-05 박명수 바퀴벌레 살충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047A (ko) 2022-10-18 2024-04-25 천새슬 해충 퇴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6561B2 (en) Terrestrial delivery compositions
KR101019652B1 (ko) 살서성 미끼 시스템
WO1987000401A1 (en) Fly-attractive composition
JPH01500749A (ja) ダニ駆除剤の組成及びハダニ個体数の抑制方法
US5186935A (en) Insecticidal bai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07121126A2 (en) Dual-action pest control formulation and method
US3937826A (en) Fly killing composition
CA2859458C (en) A consumable aqueous gel for use in pest control, a pest control device comprising an aqueous gel, and the use of an aqueous gel in a pest control device and in a method of controlling pests
WO2007010095A2 (en) Bait composition for cockroaches and ants
KR20020082730A (ko)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19837064B4 (de) Rodentizide Köder
AU757603B2 (en) Hydrodynamic insect baits
AU716136B2 (en) Insecticidal composition
JPS6242903A (ja) ハエ誘引剤
JP4731741B2 (ja) 害虫防除用毒餌剤
JPS6226208A (ja) ハエ用誘引殺虫剤組成物
KR20040072778A (ko) 곤충살충제
JP2002338418A (ja) ムカデの摂食向上剤
JP3752262B2 (ja) ナメクジ類の駆除剤および捕獲器
RU2057446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борьбы с синантропными грызунами
JP2009051792A (ja) 害虫誘引駆除組成物
JPH10229800A (ja) シロアリ防除用食毒剤部材
JPS6226207A (ja) ハエ用毒餌剤
WO2007069796A1 (en) Insect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boric acid
JP2002370912A (ja) ダンゴムシ用誘引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