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408A - Pga 소켓 및 콘택트 - Google Patents

Pga 소켓 및 콘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408A
KR20020082408A KR1020020017979A KR20020017979A KR20020082408A KR 20020082408 A KR20020082408 A KR 20020082408A KR 1020020017979 A KR1020020017979 A KR 1020020017979A KR 20020017979 A KR20020017979 A KR 20020017979A KR 20020082408 A KR20020082408 A KR 20020082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ase
housing
pga
bas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9561B1 (ko
Inventor
구키타히로아키
니시다요시후미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각각의 콘택트(4)의 전체 몸체가 베이스 하우징의 콘택트 홀(21)에 실질적으로 수용될 수 있고 각각의 콘택트(4)의 끝부(42)의 표면(42a)이 베이스 하우징(2)의 표면(2a)과 거의 같은 평면에 있도록 콘택트(4)가 베이스 하우징(2)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PGA 소켓의 두께면에서 감소가 실현된다.

Description

PGA 소켓 및 콘택트{PGA SOCKET AND CONTACT}
본 발명은 복수의 핀이 그리드 어레이 방식으로 구비된 PGA(Pin Grid Array; 핀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를 인쇄회로 기판등에 연결시키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PGA 소켓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노트북 유형 개인 컴퓨터등은 박형으로 될 것이 요구되어 왔다. 두께를 얇게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PGA 패키지를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시키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PGA 패키지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가 행해져 왔다.
PGA 소켓은 그리드 어레이 방식으로 콘택트 홀이 형성된 베이스 하우징, 콘택트 홀에 위치된 복수의 콘택트, PGA 패키지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그리드 어레이 방식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커버 하우징, 및 커버 하우징이 베이스 하우징에서 슬라이딩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딩 매커니즘을 포함한다. 각각의 콘택트는 베이스 하우징에서 맞물림되어지도록 콘택트를 눌러 맞추기 위한 눌러-맞춤부, PGA 패키지의 핀과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콘택트부, 및 콘택트를 인쇄회로 기판등에 납땜하기 위한 납땜부를 포함한다.
PGA 패키지의 핀이 콘택트의 콘택트부와 대면하는 위치로의 제로 삽입력에 의해 커버 하우징의 관통구멍을 통해 PGA 패키지의 핀이 PGA 소켓에 삽입된다. 커버 하우징은 PGA 소켓의 활주 매커니즘에 의해 베이스 하우징에서 슬라이딩하며 그후 PGA 패키지의 핀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콘택트의 콘택트부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납땜부의 일정한 길이가 베이스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경우에 그 구조로 인해 PGA 소켓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데에 일정한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트북 유형의 개인용 컴퓨터등의 두께를 얇게하기 위해 PGA 소켓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PGA 소켓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PGA 소켓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PGA 소켓에 사용된 베이스 하우징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PGA 소켓에 사용된 콘택트의 사시도.
도 5는 선 I-I를 따라 취했을 때, 도 2에 도시된 PGA 소켓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베이스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도 1에 도시된 PGA 소켓내의 콘택트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7은 접촉/비접촉 되는 PGA 소켓 및 PGA 패키지의 핀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7(a)는 삽입되는 PGA 패키지의 핀을 나타내는 도.
도 7(b)는 삽입되는 핀 및 콘택트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라 PGA 소켓에 사용된 콘택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접촉/비접촉 되는 PGA 소켓 및 PGA 패키지의 핀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9(a)는 삽입되는 PGA 패키지의 핀을 나타내는 도.
도 9(b)는 삽입되는 핀 및 콘택트를 나타내는 도.
본 발명의 PGA 소켓은 그리드 어레이 방식으로 다수의 콘택트 홀이 형성된 베이스 하우징, PGA 패키지의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그리드 어레이 방식으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베이스 하우징을 오버래핑하도록 위치된 커버 하우징, 커버 하우징이 베이스 하우징에서 슬라이딩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딩 매커니즘, 및 베이스 하우징의 콘택트 홀에 유지되고 슬라이딩 매커니즘에 의해 야기된 커버 하우징의 활주 이동에 의해 PGA 패키지의 핀과 접촉하개 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콘택트의 전체 몸체는 실질적으로 베이스 하우징의 콘택트 홀에 수용되고 각각의 콘택트의 표면은 커버 하우징을 오버래핑하는 베이스 하우징의 표면과 대향하는 베이스 하우징의 외부 표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에 있다.
PGA 소켓에 따라, 콘택트의 전체 몸체는 실질적으로 베이스 하우징의 콘택트 홀에 수용되고 콘택트의 납땜부는 베이스 하우징의 외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있다. 콘택트와 인쇄회로 기판등의 확실한 전기적 접촉과, 베이스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종래 콘택트부와 동일한 두께 만큼 PGA 소켓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달성된다. 결과적으로, PGA 소켓이 장착되는 다양한 유형의 장비의 두께의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PGA 패키지의 핀과 접촉하도록 상기 PGA 소켓에 유지된 본 발명의 콘택트는 직교 방향으로 베이스부를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도록 베이스부의 일 단부에서 연속적으로 제공된 끝부와 플레이트-형상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콘택트는 끝부가 직교 방향으로 베이스부를 가로지르는 표면을 갖기 때문에 상기한 PGA 소켓에 알맞은 형태를 갖는다.
PGA 패키지의 핀과 접촉하게 되는 상기한 PGA 소켓에 유지되는 본 발명의 소켓은 플레이트-형상 베이스부, 이 베이스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뻗도록 베이스부에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돌출부, 베이스부와 대면하도록 베이스부의 일단부에서 연속적으로 제공된 만곡부, 베이스부와 대면하지 않도록 베이스부의 타단부에서 연속적으로 제공된 끝부를 포함한다. 콘택트에 따라, PGA 소켓의 두께의 감소가 달성된다. 또한, PGA 패키지의 핀과 접촉하게 되는 콘택트 표면에 플럭스가 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렇게하여 핀과 콘택트의 완전하지 못한 전기적 연결이 방지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1 실시예
도 1은 PGA 소켓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PGA 소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PGA 소켓의 베이스 하우징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PGA 소켓의 콘택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PGA 소켓에 의해 유지되는 콘택트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6은 베이스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콘택트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7은 PGA 패키지와 접촉/비접촉 되는 PGA 소켓의 핀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PGA 소켓(1)은 LGA(랜드 그리드 어레이) 유형 소켓이다. PGA 소켓(1)은 베이스 하우징(2), 베이스 하우징(2)을 오버래핑하도록 위치된 커버 하우징(3), 복수의 콘택트(4), 편심 캠(5) 및 캠 유지 플레이트(6,7)로 이루어진다. 콘택트(4)는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 진다. 베이스 하우징(2) 및 커버 하우징(3)은 비도전성 재료로 만들어 진다.
베이스 하우징(2)에는 그리드 어레이 방식으로 그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사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콘택트 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홀(21)은 실질적으로 정방형 단부를 갖고 한 쌍의 대면하는 측면의 단부에는 오목부(21a,2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부분(21c)에는 오류있는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콘택트 홀(21)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베이스 하우징(2)에는 측면에 돌출부(22a,22b)가 구비되고, 이와 대면하는 다른 측면에는 마찬가지로 돌출부(22c,22d)가 구비되어 있다. 돌출부(22a,22b,22c 및 22d)는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3)의 하기에 설명되는 개구부(32a,32b,32c 및 32d)에 삽입된다. 이것은 베이스 하우징(2) 및 커버 하우징(3)이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2)에는 돌출부(22a,22b,22c 및 22d)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상에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평행육면체 돌출부(23)가 구비된다. 돌출부(23)에는 형성된 관통구멍(23a)을 갖춘 영역의 하부면 및 상부면이 포함되어 있는, 평면도에서 볼 때 장방형인, 오목(23b,23c)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 사이를 관통하는 슬롯-형상 관통구멍(23a)이 형성되어 이다. 캠 유지 플레이트(6,7)는 편심 캠(5)의 하기에 설명되는 축부(51)가 관통구멍(23a)에 삽입되는 상태에서 각각 오목부(23b,23c)에 부착된다. 이렇게하여 축부(51)는 관통구멍(23a)에 유지된다.
커버 하우징(3)에는 PGA 패키지의 핀이 삽입되는 그리드 어레이 방식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를 관통하는 복수의 거의 원형인 관통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부분(31c)에는 오류있는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구멍(31)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관통구멍(31)은 PGA 패키지의 핀(8)이 관통구멍(31)에 삽입시 콘택트(4)와 접촉하지 않으며 삽입 후 커버 하우징(3)이 베이스 하우징(2)에서 슬라이딩하는 경우 콘택트(4)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도 4 참조).
커버 하우징(3)에는 하방으로 뻗는 한쌍의 신장부(34a,34b)가 형성되어 있다. 신장부(34a)에는 장방형 개구부(32a,32b)가 형성되어 있다. 신장부(34a)에는 또한 마찬가지 방식으로 장방형 개구부(32c,32d)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2a,32b,32c,32d)의 높이(길이) 방향의 사이즈는 커버 하우징(3)이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 하우징(2)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삽입되어야 할 돌출부(22a,22b,22c,22d)에 대한 사이즈와 실질적으로 같다. 개구부(32a,32b,32c,32d)의 폭 방향의 사이즈는 PGA 패키지의 핀(8)과 콘택트(4)가 커버 하우징(3)이 베이스 하우징(2)을 활주 이동함에 의해 접촉되고 및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돌출부(22a,22b,22c,22d)의 폭 방향의 사이즈 보다 넓다.
게다가, 커버 하우징(3)에는 신장부(34a,34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에실질적으로 장방형 평행육면체 돌출부(33)가 구비된다. 돌출부(33)는 상부면과 하부면사이 관통하는 슬롯-형상 관통구멍(33a)을 갖는다. 편심캠(5)의 편심부(53)는 관통구멍(33a)에 삽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4)는 플레이트 형상 베이스부(41), 직교방향으로 베이스부(41)를 가로지르도록 베이스부(41)의 일 단부에서 연속적으로 구비된 끝부(42), 베이스부(41)와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상에서 뻗도록 베이스부(41)의 한 쌍의 측면의 중앙 둘레에 연속적으로 구비된 한 쌍의 돌출부(43a,43b), 및 직교방향으로 베이스부(41)를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도록 한 쌍의 돌출부(43a,43b)에 대해 베이스부(41)의 타단부의 측부에서 연속적으로 구비된 만곡부(44,45)를 포함한다.
끝부(42)는 기판에 장착되어야 할 PGA 소켓(1)을 위한 크림 솔더에 의해 납땜된다. 즉, 끝부(42)는 납땜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돌출부(43a,43b)는 각각 베이스 하우징(2)에 형성된 콘택트 홀(21)의 오목부(21a,21b)에 눌러-맞춤된다. 즉, 돌출부(43a,43b)는 베이스 하우징(2)에 대한 눌러-맞춤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만곡부(44,45)는 베이스부(41)를 회전시킴으로써 형성된, 밑둥부(44a,45a)간의 간격이 만곡부(44,45)의 팁부(44b,45b)간의 간격 보다 길도록 그 중간 부분이 구부러진다. 상세히는, 만곡부(44,45)는 밑둥부(44a,45a)간의 간격이 PGA 패키지의 핀의 직경 보다 길고 팁부(44b,45b)간의 간격이 PGA 패키지의 핀의 직경 보다 약간 짧도록 그 중앙에서 구부러진다. 그러므로, PGA 패키지의 핀과만곡부(44,45)는 PGA 패키지의 핀이 삽입되었을 때 접촉하지 않는다(도 7(b) 참조). PGA 패키지의 핀과 만곡부(44,45)의 팁부(44b,45b)는 삽입 후 핀을 활주시킴으로써 접촉하게 된다(도 7(b) 참조). 만곡부(44,45)의 팁부(44b,45b)는 그 연결로 인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즉, 만곡부(44,45)는 핀(8)과 접촉하게 되는 콘택트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4)는, 콘택트(4)의 끝부(42)의 만곡부(44,45)와 대면하지 않고, 베이스 하우징(2)의 콘택트 홀(21)에에 콘택트가 유지된 상태에서, 커버 하우징(3)을 오버래핑하는 베이스 하우징(2)의 표면에 대향하는 표면(2a)과 거의 동일한 평면에 있는, 표면(42a)과 베이스 하우징(2)의 콘택트 홀(21)에 실질적으로 수용된다.
편심 캠(5)은 커버 하우징(3)이 베이스 하우징(2)에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 매커니즘으로서 기능을 한다. 편심 캠(5)은 실린더형 축부(51), 축부(51)의 축 방향에서 축부(51)의 단부 표면으로부터 뻗는 실린더형 연결부(52), 및 연결부(52)의 축 방향에서 연결부(52)의 단부 표면으로부터 뻗는 편심부(53)를 포함한다. 축부(51)는 연결부(52)와 축방향 정렬되고 편심 캠(5)과 축방향 정렬되지 않는다. 편평날 스쿠루드라이버와 같은 작동 도구를 끼워맞추기 위한 장방형 오목부(53a)는 편심부(53)에 형성된다. 축부(51)는 베이스 하우징(2)의 관통구멍(23a)에 삽입되고 편심부(53)는 커버 하우징(3)의 관통구멍(33a)에 삽입된다. 편심 캠(5)은 서로 오버래핑하는 커버 하우징(3)의 돌출부(33)와 베이스 하우징(2)의 돌출부(23)의 전체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연결부(52)는 베이스 하우징(2)의 돌출부(23)의 오목부(23b)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오목부(53a)에 끼워 맞춰진 편평날 스쿠루드라이버를 도 2(a)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커버 하우징(3)은 도 2(a)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베이스 하우징(2)에서 슬라이딩한다. 스쿠루드라이버를 도 2(a)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커버 하우징(3)은 도 2(a)의 화살표 B 방향에서 활주한다. 캠 유지 보드(6)에는 그 한 측면의 중앙에서 반 슬롯-형상 노치(6a)가 구비된다. 조립된 상태의 PGA 소켓(1)에서, 캠 유지 보드(6)는 베이스 하우징(2)의 오목부(23b)에 위치되고, 이에따라 노치(6a)가 구비된 측면과 대면하는 그 측면이 베이스 하우징(2) 측부에 있을 수 있다.
캠 유지 보드(7)는 장방형 측 플레이트(71), 교차 방향으로 측 플레이트(71)의 최상부로부터 뻗는 상부 플레이트(72), 및 상부 플레이트(72)와 동일한 방향에서 측 플레이트(71)의 바닥부로부터 뻗는 하부 플레이트(73)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72)에는 측 플레이트(71)와 이어지지 않는 측 표면의 중앙에서 반 슬롯-형상 노치(72a)가 구비된다. 상부 플레이트(72)는 베이스 하우징(2)의 돌출부(23)의 오목부(23b)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이다. 하부 플레이트(73)는 베이스 하우징(2)의 돌출부(23)의 오목부(23c)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이다. 상부 플레이트(72)와 하부 플레이트(73)간의 간격은 베이스 하우징(2)의 돌출부(23)의 오목부(23b,23c)가 구비된 섹션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다. 캠 유지 보드(7)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72,73)는 각각 베이스 하우징(2)의 오목부(23b,23c)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하우징(2)의 돌출부(23)에 장착된다.
연결부(52)는 캠 유지 보드(7)의 노치(72a)와 캠 유지 보드(6)의 노치(6a)가 형성된 슬롯에 위치된다. 슬롯의 사이즈는 편심 캠(5)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편심 캠(5)의 축부(51)의 사이즈 보다 작다. 그러므로, 편심 캠(5)이 PGA 소켓(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가능케하고, 편심 캠(5)의 회전을 보장한다.
PGA 소켓의 조립된 상태가 하기에 설명된다.
편심 캠(5)의 축부(51)는 베이스 하우징(2)의 돌출부((23)의 관통구멍(23a)에 삽입된다. 캠 유지 보드(6)는 베이스 하우징(2)의 돌출부(23)의 오목부(23b)에 위치된다. 캠 유지 보드(7)는 캠 유지 보드(7)의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72 및 73)가 각각 베이스 하우징(2)의 돌출부(23)의 오목부(23b,23c)에 위치될 수 있ㄷ록 베이스 하우징(2)의 돌출부(23)에 장착된다. 더우기, 커버 하우징(3)은 베이스 하우징(2)이 커버 하우징(3)의 신장부(34a,34b)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2)의 돌출부(22a,22b,22c,22d)가 커버 하우징(3)의 개구부(32a,32b,32c,32d)에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 하우징(2)에 장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4)가 각각 베이스 하우징(2)의 콘택트 홀(21)에 유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4)의 각각의 전체 몸체는 실질적으로 베이스 하우징(2)의 콘택트 홀(21)에 수용되고 콘택트(4)의 각각의 끝부(42)의 표면(42a)는 콘택트(4)가 콘택트 홀(21)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베이스 하우징(2)의 표면(2a)가 같은 평면에 있다.
콘택트(4)와 핀(8)의 위치 관계는 하기에 설명된다.
PGA 패키지가 PGA 소켓에 장착될 때, PGA 패키지의 각각의 핀(8)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3)과 베이스 하우징(2)을 접촉하지 않고 핀(8)이 그들사이의 위치에서 콘택트(4)의 만곡부(44,45)의 밑둥부(44a,45a)를 대면할 때 까지 커버 하우징(3)의 관통구멍(31)을 통해 베이스 하우징(2)의 콘택트 홀(210에 삽입된다. 콘택트(4) 및 핀(8)은 이 상태에서 접촉하지 않는다.
편심 캠(5)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2(a)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편평 날 스쿠루드라이버에 의해 회전될 때, 커버 하우징(3)은 도 2(a)의 화살표 A 방향으로즉, 도 7(a)의 화살표 C 방향으로 베이스 하우징(2)을 활주한다. 커버 하우징(3)이 활주 상태에 있는 동안 커버 하우징(3)의 관통구멍(31)의 내벽은 핀(8)과 접촉하게 된다. 그후 핀(8)은 커버 하우징(3)에 밀어짐으로써 도 7(a)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8)은 만곡부(44,45)의 팁부(44b,45b)와 접촉하게 되는 콘택트(4)의 만곡부(44,45)의 팁부(44b,45b) 사이의 한 지점에 도달한다. 이때, 핀(8)은 만곡부(44,45)가 베이스부(41)를 직교방향으로 가로지르고 만곡부(44,45)간의 간격이 길게되는 방향으로 콘택트부(44b,45b)를 누름으로써 만곡부(44,45)를 탄성적으로 약간 변형시킨다. 이렇게하여 핀(8) 및 콘택트부(44b,45b)는 만곡부(44,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서로 누르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GA 소켓(1)에서, 각각의 콘택트(4)의 전체 몸체는 각각의 콘택트(4)의 끝부(42)가 베이스 하우징(2)의 표면(2a)과 같은 평면에 있도록 실질적으로 콘택트 홀(21)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PGA 소켓은 납땜부로서 끝부가 외부로 돌출하는 구조를 갖는 종래의 PGA 소켓 보다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장비의 두께의 감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GA 소켓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콘택트가 변형된, 제1실시예에 따른 PGA 소켓의 변형실시예이다. 오목부(21a,21b)는 콘택트 홀(21)의 돌출부(23)에 형성되고 콘택트의 방향은 제1 실시예의 콘택트의 방향과 반대이다.
PGA 소켓의 콘택트는 제2 실시예에서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8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9)는 플레이트-형상 베이스부(91), 베이스부(9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뻗도록 베이스부(91)의 일단부에서 연속적으로 구비된 한 쌍의 돌출부(92a,92b), 콘택트부(93a)가 베이스부(91)의 대향측 내부로 돌출하도록 구부러지고, 베이스부(91)와 대면하도록 베이스부(91)의 일단부에서 연속적으로 구비된 만곡부(93), 및 베이스부(91)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되도록 베이스부(91)의 타단부에서 연속적으로 구비된 끝부(94)를 포함한다. 만곡부(92a,92b)는 콘택트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끝부(94)는 납땜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콘택트(9)는 콘택트(9)의 전체 몸체가 콘택트 홀(21)에 유지되고 끝부(94)의 하부면(94b)이 커버 하우징(3)을 오버래핑하는 베이스 하우징(2)의 표면과 대향하는 표면(2a)과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에 있도록 베이스 하우징(2)에 의해 유지된다(도 9(a) 및 (b) 참조).
상기 설명한 구조의 콘택트(9)에서, 플럭스는 만곡부(93)를 대면하는 베이스부(91)의 표면 위에서 끝부(94)로부터 지나기 때문에 플럭스는 일반적으로만곡부(93)의 콘택트부(93a)에 부착되지 않는다.
만곡부(93)를 대면하는 베이스부(91)의 표면 위를 지난 후 콘택트부(93a)에 부착시키기 위해, 플럭스는 끝부(94)로부터 베이스부(91)를 통하는 만곡부(93)와 베이스부(91)를 분할하는 경계부(95a,95b)까지 상승하여 만곡부(93)를 따라 흐를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더 많은 플럭스가 상승할수록,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로 된다. 따라서, 플럭스는 납땜된 끝부(94)에 대한 위치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경계부(95a,95b)에 도달할 가능성이 없다. 그러므로, 플럭스는 콘택트(9)의 콘택트부(93a)의 콘택트 표면에 부착될 가능성이 없다.
상기한 구조의 콘택트(9)가 구비된 PGA 소켓에서, PGA 패키지가 PGA 소켓에 장착되었을 때, PGA 패키지의 핀(8)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GA 패키지의 핀(8)이 커버 하우징(3)과 베이스 하우징(2)을 접촉하지 않고 콘택트(9)의 만곡부(93)를 대면하는 위치로 커버 하우징(3)의 관통구멍(31)을 통하여 베이스 하우징(2)의 콘택트 홀(21)에 삽입된다. 콘택트(9) 및 핀(8)은 이 상태에서 아직 접촉하지 않는다. 편심 캠(5)이 이 상태에서 편평 날 스쿠루드라이버에 의해 회전되었을 때, 커버 하우징(3)은 도 9(a)의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베이스 하우징(2)을 활주한다. 커버 하우징(3)이 활주하고 있는 동안, 그것의 관통구멍(31)의 내벽은 핀(8)과 접촉하게 된다. 그후 핀(8)은 커버 하우징(3)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도 9(a)의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8)은 이렇게하여 콘택트(9)의 만곡부(93)의 콘택트부(93a)와 접촉하게 된다.
제1 실시예의 PGA 소켓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콘택트(9)가 구비된 PGA 소켓은 납땜부로서의 끝부가 외부로 돌출하는 구조를 갖는 종래의 PGA 소켓 보다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장비의 두께의 감소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PGA 소켓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콘택트(9)는 플럭스가 일반적으로 그것의 콘택트부(93a)에 부착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콘택트(9)는 PGA 소켓에 사용되기 때문에, PGA 패키지의 핀(8) 및 콘택트(4)의 헐거운 전기적 연결이 방지되고, 이에따라 제조 수율의 증가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특허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 예를들어, 콘택트의 형상은 콘택트가 베이스 하우징에 유지되는 한 콘택트(4 및 9)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콘택트의 끝부의 하부면은 베이스 하우징(2)의 표면(2a)과 같은 평면에 있을 수 있다.
PGA 소켓의 두께의 감소 관점에서 볼 때, 콘택트(4)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하우징(2)의 콘택트 홀(21)에 수용되고 이에따라 콘택트(4)의 끝부(42)의 표면(42a)이 베이스 하우징(2)의 표면(2a)과 같은 평면상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끝부(42)의 표면(42a)이 베이스 하우징(2)의 표면(2a) 보다 더욱 내측으로 위치될 때 콘택트(4)가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끝부(42)의 표면(42a)은 베이스 하우징(2)의 표면(2a)의 약간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노트북 유형의 개인용 컴퓨터등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PGA 소켓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Claims (3)

  1. 그리드 어레이 방식으로 다수의 콘택트 홀이 형성된 베이스 하우징;
    그리드 어레이 방식으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베이스 하우징을 오버래핑하도록 위치된 커버 하우징;
    커버 하우징을 베이스 하우징에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매커니즘; 및
    베이스 하우징의 콘택트 홀에 유지되고 슬라이딩 매커니즘에 의해 야기된 커버 하우징에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PGA 패키지의 핀과 접촉하게 되는 복수의 콘택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콘택트의 전체 몸체는 베이스 하우징의 콘택트 홀에 실질적으로 수용되고 각각의 콘택트의 표면은 커버 하우징을 오버래핑하는 베이스 하우징의 표면과 대향하는 베이스 하우징의 외부 표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GA 소켓.
  2. 제 1 항에 따른 PGA 소켓에 의해서 유지되어 PGA 패키지의 핀과 접촉하게 되는 콘택트에 있어서,
    플레이트-형상 베이스부; 및
    직교 방향으로 베이스부를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도록 베이스부의 일 단부에서 연속적으로 제공된 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3. 제 1 항에 따른 PGA 소켓에 의해서 유지되어 PGA 패키지의 핀과 접촉하게 되는 콘택트에 있어서,
    플레이트-형상 베이스부;
    베이스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뻗도록 베이스부에 연속적으로 제공된 돌출부;
    베이스부와 대면하도록 베이스부의 일단부에서 연속적으로 제공된 만곡부; 및
    베이스부와 대면하지 않도록 베이스부의 타단부에서 연속적으로 제공된 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GA 소켓.
KR10-2002-0017979A 2001-04-19 2002-04-02 Pga 소켓 및 콘택트 KR100519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20697 2001-04-19
JP2001120697A JP3912723B2 (ja) 2001-04-19 2001-04-19 Pgaソ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408A true KR20020082408A (ko) 2002-10-31
KR100519561B1 KR100519561B1 (ko) 2005-10-10

Family

ID=1897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979A KR100519561B1 (ko) 2001-04-19 2002-04-02 Pga 소켓 및 콘택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76431B2 (ko)
JP (1) JP3912723B2 (ko)
KR (1) KR100519561B1 (ko)
CN (1) CN1255910C (ko)
TW (1) TW5336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1975B1 (en) 1999-11-24 2013-10-29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money via E-mail over the internet
TW532634U (en) * 2002-06-28 200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CPU socket
TW549643U (en) * 2002-12-06 2003-08-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243970B2 (ja) * 2003-04-15 2009-03-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ボールグリッドアレー型icソケット
CN2697853Y (zh) * 2004-03-05 2005-05-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266583U (en) * 2004-07-23 2005-06-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JP4471941B2 (ja) * 2005-03-10 2010-06-02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US7056140B1 (en) * 2005-04-15 2006-06-06 Starlink Electronics Corp. Zero-insertion-force connector structure
JP2009036679A (ja) * 2007-08-02 2009-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4495200B2 (ja) * 2007-09-28 2010-06-30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2010118275A (ja) * 2008-11-13 2010-05-2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US8292631B2 (en) * 2010-11-16 2012-10-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JP1667252S (ja) * 2020-01-21 2020-08-31 コネクタ
JP1667254S (ja) * 2020-02-14 2020-08-31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4539B1 (fr) * 1993-12-24 1996-01-26 Itt Composants Instr Connecteur électrique pour le raccordement d'une carte à mémoire électronique.
TW443622U (en) * 1999-03-02 2001-06-23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431674U (en) * 1999-04-16 2001-04-21 Hon Hai Prec Ind Co Ltd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TW462541U (en) * 2000-12-01 2001-11-01 Hon Hai Prec Ind Co Ltd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9561B1 (ko) 2005-10-10
JP2002314005A (ja) 2002-10-25
CN1255910C (zh) 2006-05-10
US20020155743A1 (en) 2002-10-24
CN1381927A (zh) 2002-11-27
US6676431B2 (en) 2004-01-13
JP3912723B2 (ja) 2007-05-09
TW533628B (en) 200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3320B2 (en) Contact for PGA and PGA socket
US4351580A (en) Carrier socket for leadless integrated circuit devices
EP0780028B1 (en) Ball grid array socket
KR100519561B1 (ko) Pga 소켓 및 콘택트
CN107112674B (zh) 圆形电源连接器
JP2001006771A (ja) コネクタ
US6695624B1 (en) Electrical contacts used in an electrical connector
KR100343081B1 (ko) 핀 격자 어레이 패키지용 소켓 조립체 및 이를 위한 단자
US3905670A (en) Actuated printed circuit connector
US5938456A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6450826B1 (en) Contact of electrical connector
US6644985B2 (en) Ball attached zero insertion force socket
US6454588B1 (en) Contact of socket connector
US632858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ontact element with large flexibility and a short transmission path
US6866520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pplying the conductive terminal
US20050196982A1 (en) Land grid array connector with reliable securing blocks
US20050170674A1 (en) Socket connector
KR100496582B1 (ko) Pga 소켓
US656181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 retention arms
US2003019488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cap connector
JP3006206B2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JP2001196144A (ja) ランドグリッドアレイ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JPH05218154A (ja) Ic用ソケット
JP2003142853A (ja) ソケットの固定構造
JP2002260798A (ja) 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