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142A -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142A
KR20020082142A KR1020020021867A KR20020021867A KR20020082142A KR 20020082142 A KR20020082142 A KR 20020082142A KR 1020020021867 A KR1020020021867 A KR 1020020021867A KR 20020021867 A KR20020021867 A KR 20020021867A KR 20020082142 A KR20020082142 A KR 20020082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represented
mentoxypropane
aliphatic carboxylic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8442B1 (ko
Inventor
아마노아키라
아키야마데루요시
미우라다카시
하기와라도시미쓰
Original Assignee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사고 고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09Preparation of ethers by dehyd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18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 C07C41/26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by introduction of hydroxy or O-met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02Preparation of ethers from oxiranes
    • C07C41/03Preparation of ethers from oxiranes by reaction of oxirane rings with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3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41/40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of physical state, e.g. by crystallisation
    • C07C4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of physical state, e.g. by crystallisation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1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carboxylic acids or symmetrical anhydrides with ester groups or with a carbon-halogen bond
    • C07C67/11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carboxylic acids or symmetrical anhydrides with ester groups or with a carbon-halogen bond being mineral est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법에 사용하려는 고순도의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 및 중간체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제조에 관한 것이다.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ℓ-멘톨을 유기 용매중에서 루이스산의 존재하에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여기서, X는 할로겐 원자이다)에 첨가하여,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제조하는데, 제1 중간체를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켜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제조한 다음, 제2 중간체를 가수분해함으로써 화학식 4로 나타내어지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제조한다.

Description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3-ℓ-menthoxypropane-1,2-diol}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냉감제(cool-feeling agent) 또는 청량개선제(refreshment improving agent)로서 유용한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방법, 및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시 중간체로서 유용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순도가 높은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 및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합성 중간체로서 유용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안전하게 고수율로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광학 순도가 높고, 프로판 잔기의 2번 위치의 배열이 제어되며, 보다 우수한 청량감을 나타내는 (2S)-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수득할 수 있다.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은 일본 특허공보 제61-48813호와 같은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된 화합물이다.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은 안전성이 우수하며, 피부 및 점막 위에 ℓ-멘톨 유사 냉감 작용을 제공하는 특성을 갖는 한편,무취이고, ℓ-메톨과는 다르게 그 자체로 냄새가 없다. 따라서,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이 사용되는 경우, 생성물에 첨가된 향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생성물에 냉감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는 경우,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치마분(tooth powder) 및 츄잉검(chewing gum)과 같은 구강용 조성물 및 셔벗(sherbet) 및 하드 캔디(hard candy)와 같은 다과, 및 화장실용 물품(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0-259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3-208505호), 아이 팩(eye pack)(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2-96403호) 및 모발용 화장품(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2-192312호)과 같은 방향성 화장품 뿐만 아니라 소염제 및 진통제용 에어로졸 조성물(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3-264522호)에 첨가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통상적으로 공지된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 제조방법으로는 (i)ℓ-멘톨을 금속성 나트륨 또는 수소화 나트륨을 이용하여 나트륨 염으로 만든 다음, 알릴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3-ℓ-멘톡시프로판-1-엔을 제조하고, 이것을 유기 과산화물을 이용하여 산화시켜 산화물로 전환시킨 다음, 가수분해시키는 방법(일본 특허공보 제61-48813호), 및 (ii)ℓ-멘톨을 루이스산의 존재하에 벤질 글리시딜 에테르에 첨가하여 1-벤질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제조하고, 이것을 팔라듐-탄소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화분해시켜 벤질 그룹을 제거하는 방법(일본 공개특허공보 제7-82200호)이 포함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방법(i)에서, ℓ-멘톨의 나트륨 염은 금속성 나트륨 또는 수소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제조되는데, 이는 폭발의 위험과 수소 기체가 생성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간체로서 3-ℓ-멘톡시프로판-1-엔의 산화가 유기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서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본 방법을 공업적으로 유리한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으며, 경제적인 관점에서 볼 때 추가로 개선시켜야할 여지가 있다.
또한, 통상적인 방법(ii)은 광학 활성체를 합성하기 위한 제조방법이기 때문에, 고가의 벤질 글리시딜 에테르를 사용해야만 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수득된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은 약 10%의 2-ℓ-멘톡시프로판-1,3-디올에 의해 오염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정제 및 분별을 수행해야만 하므로, 고순도의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다량으로 수득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방법 이외에, ℓ-멘톨을 수용액 중 염기와 4급 암모늄 염의 존재하에 1,2-에폭시-3-할로겐프로판(예: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합성 중간체로서 1,2-에폭시-3-ℓ-멘톡시프로판을 합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져 왔다[참조: 프랑스 특허 제2,479,822호(1981)]. 그러나,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예: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은 산 또는 염기의 존재하에서 불안정하여, 분해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은 공지되어 있다[참조: "화학대사전(Dictionary of Chemistry)" P. 292, Tokyo Kagaku Dojin(1989)]. 따라서,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을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키는 본 방법의 경우에,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은 반응이 오랜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우 분해되어, 1,2-에폭시-3-ℓ-메톡시프로판을 다량으로 합성하기가 곤란하므로, 공업적 및 경제적으로 유리한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또한, (iv)광학 활성 글리세롤 유도체로서 1-알릴옥시-3-클로로-2-프로판올이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알릴 알코올을 산성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방법이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알코올의 반응으로서 제안되어져 왔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221호). 그러나, 본 통상적인 방법(iv)은 반응시 사용되는 알코올로서 단지 1급 알릴 알코올만을 사용하며, 2급 알코올에의 적용이 보고되지 않았으며, 멘톨과의 부가 반응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또한, 또 다른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알코올을 산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시킨 다음, 알칼리 처리하여 폐환시키고, 이에 의해 글리시딜 에테르로 전환시킨 다음, 이를 차후에 가수분해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을 강염기성 화합물과 약산성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염의 존재하에 100 내지 230℃의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글리세롤 에테르를 제조하는 방법(v)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본 방법의 경우, 글리시딜 에테르의 가수분해물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 할로겐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반응 혼합물을 강염기성 화합물과 약산성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염의 존재하에 100 내지 230℃, 특히 150 내지 200℃의 고온에서 가열해야만 하므로, 본 방법은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다. 또한, 이 방법에 사용된 알코올은 화학식 R-(OA)p-OH(여기서, R은 탄소수 1 내지 36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직쇄 또는 측쇄 탄화수소를 나타내고, A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킬렌 그룹을 나타내며, p는 0 내지 100의 수이다)으로 나타내어지는 1급 알코올이고, 2급 알코올의 사용이 기재되어 있지 않았으며, 멘톨의 사용에 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순도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간단한 방법에 의해 안전하게, 고 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순도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수득하는데 유용한 합성 중간체를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수득하는데 유용한 중간체의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프로판 잔기의 2번 위치의 배열이 조절되고, 청량감이 보다 우수한 (2S)-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높은 광학 순도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폭 넓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루이스산의 존재하에 유기 용매중에서 ℓ-멘톨을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과 부가 반응시켜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제조하고, 이렇게 수득된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지방족 카복실산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킴으로써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신규한 화합물로서 제조하는데 성공하였다. 추가 연구를 수행한 후, 이러한 신규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이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그 자체로 보존 가능하다는 사실과 이러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가수분해시킴으로써 고수율 및 고순도를 갖는 목적하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편리하게 수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그 후에, 본 발명자들은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과 같은 광학 활성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프로판 잔기의 2번 위치의 배열이 제어되고, 청량감이 매우 우수한 (2S)-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이 높은 광학 순도로 제조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ℓ-멘톨을 루이스산의 존재하에 유기 용매중에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에 첨가하여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제조한 후, 이를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제조한 다음, 이를 가수분해시켜 화학식 4로 나타내어지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제조함을 포함하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방법(1)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학식에서,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내며,
R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제조한 다음, 이를 가수분해시켜 하기 화학식 4로 나타내어지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제조함을 포함하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방법(2)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상기 화학식에서,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내며,
R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제조함을 포함하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의 제조방법(3)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화학식에서,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내며,
R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항목 (1) 내지 (3)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제조방법(4)[여기서, X는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 및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내의 염소 원자이다]; 상기 항목 (1) 내지 (4)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제조방법(5)[여기서, 프로판 잔기의 2번 위치의 배열은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의 (R)-형이며, 프로판 잔기의 2번 위치의 배열은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 및 화학식 4로 나타내어지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S)-형이다]; 및 상기 항목 (1) 내지 (5)중 어느 하나에 따르는 제조방법(6)[여기서, R1은 아세틸 그룹이고, R2는 화학식 3내의 수소 원자 또는 아세틸 그룹이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7)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내며,
R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양태로서, 하기 화학식 3a로 나타내어지는 1-아세톡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8); 하기 화학식 3aa로 나타내어지는 (2S)-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9); 및 하기 화학식 3aaa으로 나타내어지는 (2S)-1-아세톡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10)을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3a에서,
R1a는 아세틸 그룹을 나타내며,
R2a는 수소원자 또는 아세틸 그룹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3aa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내며,
R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3aaa에서,
R1a는 아세틸 그룹을 나타내며,
R2a는 수소원자 또는 아세틸 그룹을 나타낸다.
이제 본 발명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수행된다.
상기 반응식 1에서,
X는 할로겐 원자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이고,
R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이다.
즉, 신규한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은 루이스산의 존재하에 유기 용매중에서 ℓ-멘톨을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그 다음,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을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켜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을 제조하는데,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가수분해시켜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을 수득한다.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내의 할로겐 원자(X)의 예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가 포함된다.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의 실례로는 1,2-에폭시-3-플루오로프로판(에피플루오로하이드린), 1,2-에폭시-3-클로로프로판(에피클로로하이드린), 1,2-에폭시-3-브로모프로판(에피브로모하이드린) 및 1,2-에폭시-3-요오도프로판(에피요오도하이드린)이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 할로겐 원자(X)가 염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인 1,2-에폭시-3-클로로프로판(에피클로로하이드린) 또는 1,2-에폭시-3-브로모프로판(에피브로모하이드린)이 본 발명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며, 1,2-에폭시-3-클로로프로판(에피클로로하이드린)이 보다 적합하게 사용된다.
원료 화합물로서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 및 ℓ-멘톨에 있어서,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ℓ-멘톨을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에 첨가하는 반응을 수행함에 있어서, ℓ-멘톨을 유기 용매중에 용해시켜 제조된 용액에 루이스산을 첨가하고, 용해시킨 다음,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 유기 용매중에 용해시켜 제조된 용액을 적가하여 반응을 실행시킨다.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과 ℓ-멘톨의 사용비에 있어서, ℓ-멘톨은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의 1몰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약0.8 내지 2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9 내지 1.3몰이다.
또한, 루이스산의 사용량은 통상의 부가 반응의 촉매적 유효량과 유사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의 1몰 기준으로 약 0.01 내지 0.1몰이다.
루이스산의 구체적인 예로는 붕소 트리플루오라이드 에테르 착물, 염화 알루미늄, 염화 아연, 브롬화 아연 및 염화제2철이 포함되며, 이들을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염화 알루미늄 및/또는 삼불화 붕소 에테르 착물은 바람직하게는 손쉬운 조작 및 경제적으로 저렴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기 용매로서는, ℓ-멘톨과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의 부가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유기 용매가 사용되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헥산, 헵탄 및 옥탄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사이클로헥산 및 메틸사이클로헥산과 같은 지환족 탄화수소 용매;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및 석유 에테르 용매가 포함되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헵탄 및/또는 톨루엔이 손쉬운 조작 및 경제적으로 저렴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유기 용매의 사용량은 ℓ-멘톨 1용적부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5용적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용적부이다.
ℓ-멘톨의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의 부가 반응을 질소 기체 또는 아르곤 기체와 같은 불활성 기체의 대기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부가 반응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ℓ-멘톨과 루이스산의 유기 용매 용액에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의 유기 용매 용액을 적가하여 부가 반응을 수행함에 있어서,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의 유기 용매 용액의 적가 시간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3시간이다.
부가 반응 온도로서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130℃의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120℃의 온도가 사용되며,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의 유기 용매 용액의 적가를 완료한 후, 본 온도에서 약 0.5 내지 15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을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반응에 의해 수득된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은 안정하며, 일반적으로 유상이며, 보존 가능하다.
따라서, 부가 반응에 의해 수득된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은 예를 들면, 증류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한 후, 또는 정제 처리하지 않고 보존할 수 있으며, 그 다음,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 또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의 제조시 보존 용기로부터 수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부가 반응에 의해 형성된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을 필요에 따라 냉각시킨 다음, 정제와 같은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그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서, 광학 활성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을 사용하여 라세미화시키지 않고, 프로판 구조의 2번 위치의 배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R)-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을 사용함으로써, (2S)-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로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2S)-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을 사용하는 경우, (2R)-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로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부가 반응에 의해 수득된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을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킴으로써,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이 제조된다.
본 반응에 사용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으로서,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리튬 포름에이트, 리튬 아세테이트, 리튬 프로피오네이트, 리튬 부티레이트, 리튬 이소부티레이트, 리튬 발레레이트, 리튬 이소발레레이트, 리튬 피발레이트, 나트륨 포름에이트, 나트륨 아세테이트, 나트륨 프로피오네이트, 나트륨 부티레이트, 나트륨 이소부티레이트, 나트륨 발레레이트, 나트륨 이소발레레이트, 나트륨 피발레이트, 칼륨 포름에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칼륨 프로피오네이트, 칼륨 부티레이트, 칼륨 이소부티레이트, 칼륨 발레레이트, 칼륨 이소발레레이트 및 칼륨 피발레이트가 포함되며, 이를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조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저렴하다는 관점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나트륨 포름에이트, 칼륨 포름에이트, 나트륨아세테이트 및 칼륨 아세테이트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나트륨 아세테이트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 또는 방향족 카복실산 알칼리 금속 염을 사용하는 경우, 고체가 현저하게 석출되므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이 원활하게 제조될 수 없다.
경제적 관점에서,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의 사용량은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의 1몰 기준으로 약 1.0 내지 5.0몰, 특히 약 1.05 내지 2.0몰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사용된 알칼리 금속 염이 무수 상태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이 고수율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율이 안정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시판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을 그 자체로 사용하거나 또는 사전에 탈수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을 제조하기 위해,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의 반응을 필요에 따라 지방족 카복실산 무수물의 적용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지방족 카복실산 무수물로서,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 무수물이 적합하게 사용되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무수 아세트산, 무수 프로피온산, 무수 부티르산, 무수 이소부티르산, 무수 발레르산, 무수 이소발레르산 및 무수 피발산이 있으며, 이를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무수 아세트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지방족 카복실산 무수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이의 사용량은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의 1몰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5 내지 2.0몰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시판되는 지방족 카복실산 무수물을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을 제조하기 위해,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과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의 반응을 필요에 따라 상간 이동 촉매(phase transfer catalyst)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도 있다.
반응이 상간 이동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경우, 반응 속도 향상 효과가 나타난다.
상간 이동 촉매로서는, 4급 암모늄 염이 적합하게 사용되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아이오다이드, 트리메틸헥사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메틸디옥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트리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트리옥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공업적으로 용이하게 수득되는 4급 암모늄 염이 포함되며, 이를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테트라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가 취급이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저렴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의 제조 반응이 상간 이동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경우, 상간 이동 촉매의 사용량은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의 1몰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2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5몰이다.
시판되는 상간 이동 촉매를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다.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의 제조 반응은 용매의 부재하에 또는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의 제조 반응을 크게 저해하지 않는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지만, 유기 용매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적합하게 사용되는 유기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헥산, 헵탄 및 옥탄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사이클로헥산 및 메틸사이클로헥산과 같은 지환족 탄화수소 용매;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디메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및 1,3-디옥소푸란과 같은 에테르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N-메틸피롤리돈과 같은 아미드 용매; 및 석유 에테르 용매가 포함되며, 이를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가 반응의 원활한 진행, 우수한 취급 및 경제적으로 저렴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기 용매의 사용량은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 1용적부를 기준으로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용적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5용적부이다.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의 제조 반응을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기체의 대기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의 제조 반응을 약 60 내지 200℃, 특히 약 80 내지 17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약 0.5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을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다.
사용된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의 종류와 양에 따라,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을 임의로 변화시키고 조정할 수 있다.
본 반응에 의해 수득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은 프로판 잔기의 1번 위치만 아실옥시 그룹으로 치환된 1-아실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3-A)의 단일 생성물, 프로판 잔기의 1번 및 2번 위치가 아실옥시 그룹으로 치환된 1,2-디아실옥시-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B)의 단일 생성물, 또는 화학식 3-A와 화학식 3-B의 혼합물이다.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중의 화학식 3-A와 화학식 3-B의 생성 비율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의 종류와 양,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기타 성분(예: 지방족 카복실산 무수물 및 상간 이동 촉매)의 존재 여부, 종류 및 양에 따라 변화된다. 반응이 지방족 카복실산 무수물과 상간 이동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탄소수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만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경우, 1-아실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3-A)의 반응은 일반적으로 80% 이상이다. 한편, 지방족 카복실산 무수물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 지방족 카복실산 무수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1,2-디아실옥시-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B)의 비율도 증가한다.
본 반응에 의해 수득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은 일반적으로 유상이고, 보존 가능한 신규한 화합물이다.
이렇게 수득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을 예를 들면, 증류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거나, 또는 정제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보존할 수 있으며, 그 다음 이를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의 제조시에 보존 용기로부터 수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반응에 의해 형성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필요에 따라 냉각시킨 다음, 정제와 같은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의 제조에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반응시, 광학 활성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을 사용하여,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키는 경우, 프로판 잔기의 2번 위치의 배열이 고선택적으로 제어되는 광학 활성 1-아실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3-A)을 라세미화 없이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S)-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을 사용하여 지방족 카복실산 무수물의 부재하에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과 반응시키는 경우, 이를 (2S)-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A')으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2R)-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을 사용하여, 지방족 카복실산 무수물의 부재하에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키는 경우, 이를 (2S)-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A'')으로 도입할 수 있다.
본 반응에 의해 형성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의 구체적인 예로는 1-포르밀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1-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1-부티르일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1-이소부티르일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1-발레르일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1-이소발레르일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및 1-피발로일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과 같은 1-아실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및 1,2-디포르밀옥시-3-ℓ-멘톡시프로판, 1,2-디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 1,2-디프로피오닐옥시-3-ℓ-멘톡시프로판, 1,2-디부티르일옥시-3-ℓ-멘톡시프로판, 1,2-디이소부티르일옥시-3-ℓ-멘톡시프로판, 1,2-디발레르일옥시-3-ℓ-멘톡시프로판, 1,2-디이소부티르일옥시-3-ℓ-멘톡시프로판, 1,2-디이소발레로일옥시-3-ℓ-멘톡시프로판 및 1,2-디피발로일옥시-3-ℓ-멘톡시프로판과 같은 1,2-디아실옥시-3-ℓ-멘톡시프로판의 프로판 구조의 2번 라세미체 및 광학 활성체[(2S)-형 및 (2R)-형]가 포함된다.
본 반응에 의해 수득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을 가수분해시킴으로써,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이 형성된다.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의 가수분해를 염기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수분해에 사용되는 염기로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탄산염 및/또는 알콕시화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및 탄산칼륨이 포함되며, 이를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수산화나트륨 및/또는 수산화칼륨이 가수분해의 원활한 진행 및 경제적으로 저렴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반응계에 수용액 형태로 염기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 수용액의 농도는 40질량% 이상, 특히 45 내지 55질량%의 고농도인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이에 의해 가수분해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염기의 사용량은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의 1몰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5.0몰, 특히 약 1.5 내지 3.0몰이다.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의 가수분해 반응을 유기 용매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 용매,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디메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및 1,3-디옥소푸란과 같은 에테르 용매가 포함되며, 이를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경제적으로 저렴하다는 점에서, 메탄올 및/또는 에탄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사용된 유기산의 양은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의 1용적부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용적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5용적부이다.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의 가수분해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100℃, 특히 약 50 내지 80℃이며, 이 온도를 유지하면서, 약 0.5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이 형성된다.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을 함유하는 반응 생성물로부터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의 회수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특정하게 제한하지 않는다면, 예를 들어, 반응시 친수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반응 생성물에 물을 첨가하고, 반응에 사용된 친수성 유기 용매를 증발시킨 후, 반응 혼합물에 산성 수용액과 탄화수소 유기 용매(예: 헥산, 부탄, 벤젠, 톨루엔 또는 크실렌)를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된 염기의 중화를 수행하면서,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을 유기 용매로 추출한 다음, 용매를 증발시켜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을 농축 생성물로서 회수할 수 있다.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의 정제는 예를 들면, 증류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가수분해 반응에서, 광학 활성 1-아실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3-A)을 사용하는 경우, 라세미화를 수행하지 않고 프로판 잔기의 2번 위치의 배열이 제어되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로 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S)-1-아실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3-A')을 사용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용이하게 (2S)-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2R)-1-아실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3aaa')을 사용하는 경우,(2R)-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로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의 성분 중에서, 프로판 구조의 2번 위치의 배열이 제어되는 (2S)-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이 보다 우수한 청량감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으로서 (2R)-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을 사용하여, 루이스산의 존재하에 ℓ-멘톨과 반응시키는 경우, 이를 (2S)-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으로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으며, 이어서, 이를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킴으로써 (2S)-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식 2')을 (2S)-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aa)으로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으며, 이어서, (2S)-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화학식 3aa)을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청량감이 우수한 (2S)-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을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
이렇게 수득된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화학식 4)의 청량 작용, 냉각 작용, 무취성 및 안전성과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화장실용 용품, 입욕제, 음식품 및 의약품과 같은 각종 용도로 사용되며, 이들의 예로는 전신용 로션, 에프터 쉐이브(after-shave) 로션 및 헤어(hair) 로션과 같은 다양한 로션류; 워싱(washing) 크림, 배니싱(vanishing) 크림, 클린싱(cleansing) 크림, 콜드 크림, 유액, 화장수, 팩(pack), 화장 제거제 및 립(lip) 크림과 같은 피부 화장품류; 습포(poultice), 접착 제제, 비충혈(nasal hyperemia) 제거제 및 제한제(antiperspirant);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및 컨디셔너와 같은 모발 보호제품; 헤어 토닉(hair tonic), 헤어 크림 및 헤어 스프레이와 같은 모발용 화장품; 향수 및 오데 콜롱(eau de Cologne); 입욕제, 바디 샴푸 및 비누; 면도 거품 및 젤; 세제 및 유연제; 실내방향제; 치약; 구강 청정제; 연고; 및 청량음료, 츄잉 검, 캔디, 아이스 크림, 셔벗, 젤리, 정제 및 트로키제와 같은 음식품이 포함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로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화학 순도:
가스 크래마토그래피: 휴렛 팩카드(Hewlett Packard)사에서 제조한 "HP6890"
컬럼: GL 사이언스사에서 제조한 "NEUTRABOND-1"(내경 × 길이 = 0.25㎜ × 30m)
(2)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1H-NMR; 브룩커(Brucker)사에서 제조한 "DRX-500"(500MHz)
(3)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IR):
장비: 니콜렛 재팬(Nicolet Japan)사에서 제조한 "Nicolet AVATAR 360"
측정 방법: NaCl 필름법
(4) 질량 스펙트럼(MS):
M-80 질량분석계: 히다치(Hitachi)사 제조(이온화 전압 20eV)
(5) 정광도계:
재팬 스펙트로스코픽사에서 제조한 "DIP-360"
실시예 1
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의 합성
(1) 질소 대기중에서, ℓ-멘톨[다카사고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사 제조] 136.7g(0.8763몰) 및 n-헵탄 295㎖를 반응 플라스크(용량 500㎖)에 주입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그 다음, 여기에 무수 염화 알루미늄 3.5g(26.88밀리몰)을 첨가하고, 교반하에 용해시켰으며, 70℃로 가열하였다. 이 용액에,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키면서 에피클로로하이드린 61g(0.6572몰)을 적가하였다. 적가를 완료한 후, 동일한 온도에서 7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2) 단계(1)에서 수득된 반응 혼합물을 물, 그 다음 10%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하였으며, n-헵탄을 증발시켜 유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본 유상 물질을 감압하에 증류시켜, 78 내지 99℃/600Pa(4.5mmHg)의 비점에서 반응하지 않은 ℓ-멘톨 57.2g(0.37몰)을 회수한 다음, 98℃/35Pa(0.26mmHg) 내지 121℃/25Pa(0.19mmHg)의 비점에서 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화학 순도 97.86%) 117g을 무색 투명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에피클로로하이드린 기준으로 한 수율 70%).
(3) 단계(2)로부터 수득된 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α]D 25: -73.7。 (c = 1.05, EtOH)
MS (m/e): 248 (M+), 165, 163, 139, 138, 123, 109, 97, 95, 83, 81, 71,69, 57, 55, 53, 43, 41, 29, 27
IR (neat, cm-1): 3422, 2955, 2922, 2869, 1456, 1385, 1370, 1344, 1180, 1114, 1067, 1050, 1011, 991, 974, 922, 845, 753
1H-NMR (CDCl3; δppm): 0.78(3H, d, J = 6.9), 0.81-0.88(2H, m), 0.90(3H, d, J = 7.0), 0.93(3H, d, J = 6.5), 0.96-1.01(1H, m), 1.20-1.26(1H, m), 1.30-1.40(1H, broad), 1.61-1.66(2H, m), 2.09(1H, m), 2.14(1H, m), 2.52(1H, d, J = 5.9), 3.09(1H, dt, J = 10.6, 4.1), 3.44(1H, dd, J = 9.4, 5.2), 3.60(1H, dd, J = 11.0, 5.6), 3.73(1H, dd, J = 9.4, 5.2), 3.91-3.97(1H, m)
실시예 2
1-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2-올의 합성
질소 대기 하에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 20g(화학 순도 97.86%, 78.78밀리몰), 무수 아세테이트 나트륨 7.13g(86.92밀리몰)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0.51g(1.582밀리몰)을 반응 플라스크(용량 100㎖)에 주입한 다음, 150 내지 16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50℃ 이하로 냉각시켰다.
(2) 단계(1)에서 수득된 반응 혼합물을 물 30㎖ 및 헵탄 50㎖와 혼합하여 분리시키고,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brine)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회수하여 유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이 유상 물질을 감압하에증류시켜, 111 내지 120℃/25Pa(0.19mmHg)의 비점에서 부분 정제된 1-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수득하였다. 가스 크래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된 본 생성물의 조성은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 5.53질량%, 1-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86.04질량%(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 기준으로 한 수율 92.38%) 및 1,2-디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 5.13질량%로 이루어져 있다.
(3) 단계(2)에서 수득된 부분 정제된 생성물 15g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전개 용매로서,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으로 이루어진 혼합 용매를 사용하였으며,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비를 4용적%에서 10용적%로 점진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에 의해, 1-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2-올이 에틸 아세테이트 6 내지 10용적%를 함유하는 전개 용매에 의해 수득된 분획물로 매우 높은 순도로 용출되었다. 본 분획물로부터 용매를 분리 및 회수한 후, 잔사를 감압하에 증류시켜, 123 내지 124℃/32Pa(0.24mmHg)의 비점에서 1-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7.74g(화학 순도 99.72%)을 무색 투명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4) 단계(3)에서 수득된 1-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2-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α]D 25: -67.8。 (c = 1.0, EtOH)
MS (m/e): 169, 155, 139, 138, 123, 117, 97, 95, 83, 81, 69, 57, 55, 43, 41
IR (neat, cm-1): 3461, 2955, 2869, 1743, 1456, 1371, 1344, 1181, 1110, 1044, 973, 921, 846
1H-NMR (CDCl3; δppm): 0.78(3H, d, J = 6.9), 0.80-0.88(2H, m), 0.88-0.90(3H, d, J = 6.9), 0.91-0.92(3H, d, J = 6.7), 0.93-1.00(1H, m), 1.19-1.27(1H, m), 1.30-1.39(1H, broad), 1.59-1.68(2H, m), 2.04-2.10(1H, m), 2.09(3H, s), 2.11-2.18(1H, m), 2.59(0.5H, s), 2.60(0.5H, s), 3.04-3.11(1H, m), 3.33(0.25H, dd, J = 9.5, 7.8), 3.37(0.25H, dd, J = 9.4, 7.05), 3.62(0.25H, dd, J = 9.3, 7.65), 3.70(0.25H, dd, J = 9.4, 6.85), 3.97(1H, m), 4.10-4.19(2H, m)
실시예 3
1-포르밀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의 합성
무수 아세테이트 나트륨 대신 무수 포름에이트 나트륨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1-포르밀옥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수득하였다.
실시예 4
1,2-디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의 합성
(1) 질소 스트림내에서,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 100g(화학 순도 97.86%, 393.6밀리몰), 무수 아세테이트 나트륨36g(438.9밀리몰) 및 무수 아세트산 56.3g(550밀리몰)을 반응 플라스크(200㎖ 용적)에 주입한 다음, 135 내지 145℃에서 7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2) 단계(1)에서 수득된 반응 혼합물을 10% 탄산나트륨 수용액 528g(498밀리몰)에 첨가하여 아세트산 및 무수 아세트산을 중화시켰다. 톨루엔 200㎖를 첨가하여 층을 분리한 후,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회수하여 유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본 유상 물질을 감압하에 증류시켜, 119℃/26Pa(0.20mmHg)의 비점에서 1,2-디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을 113.5g(화학 순도 98.3%)을 무색 투명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 기준으로 한 수율 93.4%).
(3) 단계(2)에서 수득된 1,2-디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α]D 25: -60.5。 (c = 1.0, EtOH)
MS (m/e): 271, 254, 194, 181, 159, 139, 138, 117, 95, 83, 81, 69, 57, 55, 43, 41
IR (neat, cm-1): 2960, 2920, 2870, 1750, 1245, 1225, 1115, 1050, 963, 850
1H-NMR (CDCl3; δppm): 0.76(3H, d, J = 7.0), 0.80-0.88(2H, m), 0.88(3H,d, J = 7.1), 0.91(3H, d, J = 6.5), 0.93-0.99(1H, m), 1.18-1.25(1H, m), 1.33(1H, m), 1.60-1.66(2H, m), 2.01-2.07(1H, m), 2.05(3H, s), 2.07(3H, s), 2.13(1H, m), 3.03(1H, m), 3.40-3.46(1H, m), 3.71-3.76(1H, m), 4.15-4.21(1H, m), 4.31-4.35(1H, m), 5.09-5.18(1H, m)
실시예 5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합성
(1) 질소 스트림내에서,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 100g(화학 순도 97.86%, 395.1밀리몰), 무수 아세테이트 나트륨 35.65g(434.6밀리몰)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2.547g(7.9밀리몰)을 반응 플라스크(용량 300㎖)에 주입한 다음, 150 내지 16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50℃ 이하로 냉각시켰다.
(2) 단계(1)에서 수득된 50℃ 이하로 냉각시킨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18.91g(472.75밀리몰), 물 85.1㎖ 및 메탄올 85.1㎖로부터 미리 제조된 혼합 용액과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환류하에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다음에, 이를 50℃ 이하로 냉각시키고, 물 75㎖ 및 톨루엔 150㎖와 혼합하여 층을 분리하고, 이렇게 수득된 유기층을 10% 식염수로 2회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회수하여 유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본 유상 물질을 감압하에 증류시켜, 118℃/26Pa(0.20mmHg)의 비점에서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 88.17g(화학 순도 97.09%)을 무색 투명한 유상 물질로서 수득하였다(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 기준으로 한 수율 94.2%).
(3) 단계(2)에서 수득된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α]D 25: -84.17。 (c = 1.03, EtOH)
MS (m/e): 230 (M+), 215, 169, 155, 139, 138, 123, 109, 97, 95, 83, 81, 71, 69, 57, 55, 43, 41
IR (neat, cm-1): 3385, 2954, 2869, 1455, 1369, 1349, 1240, 1185, 1110, 1091, 1054, 920, 850
1H-NMR (CDCl3; δppm): 0.77(3H, d, J = 7.0), 0.80-0.88(2H, m), 0.88-0.92(3H, m), 0.92-0.99(1H, m), 1.19-1.25(1H, m), 1.35(1H, m), 1.59-1.66(2H, m), 2.06-2.11(1H, m), 2.13(1H, s), 2.34-2.60(2H, broad), 3.03-3.10(1H, m), 3.33-3.42(1H, m), 3.61-3.72(3H, m), 3.80-3.84(1H, m)
실시예 6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합성
질소 스트림내에서, 실시예 2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1-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10g(화학 순도 99.72%, 36.60밀리몰), 수산화나트륨 1.76g(43.9밀리몰), 물 10㎖ 및 메탄올 10㎖를 반응 플라스크(100㎖ 용적)에 주입한 다음, 환류하에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다음에, 이를 실시예 3의 단계(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 8.15g(화학 순도 98.8%)을 무색 투명한 유상 물질로서 수득하였다(1-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기준으로 한 수율 95.5%).
실시예 7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합성
질소 스트림내에서, 실시예 4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1,2-디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 10g(화학 순도 98.3%, 32.24밀리몰), 수산화나트륨 3.10g(77.38밀리몰), 물 10㎖ 및 메탄올 10㎖를 반응 플라스크(용량 100㎖)에 주입한 다음, 환류하에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다음에, 이를 실시예 3의 단계(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 7.15g(화학 순도 97.8%)을 무색 투명한 유상 물질로서 수득하였다(1-아세톡시-3-ℓ-멘톡시프로판-2-올 기준으로 한 수율 96.8%).
실시예 8
(2S)-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의 합성
(1) 질소 스트림내에서, ℓ-멘톨 8.5g(54.53밀리몰)(다카사고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제조), n-헵탄 6.5㎖ 및 무수 염화 알루미늄 219㎎(1.64밀리몰)을 반응 플라스크(용량 30㎖)에 주입한 다음, 교반하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70℃로 가열하였다. 본 용액에 (2R)-(-)-에피클로로하이드린 3.8g[다이소(Daiso)사 제조, 광학 순도 99% ee]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키면서 적가하였다. 적가를 완료한 후, 동일한 온도에서 5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본 반응 혼합물을 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회수하여 유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본 유상 물질을 감압하에 증류시켜, 101℃/36Pa(0.27mmHg)의 비점에서 (2S)-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 6.8g(화학 순도 97.74%)을 무색 투명한 유상 물질로서 수득하였다(에피클로로하이드린 기준으로 한 수율 65.07%).
(2) 단계(1)에서 수득된 (2S)-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α]D 25: -85.98。 (c = 1.02, EtOH)
1H-NMR (CDCl3; δppm): 0.78(3H, d, J = 6.9), 0.81-0.88(2H, m), 0.90(3H, d, J = 7.3), 0.92(3H, d, J = 6.6), 0.94-1.10(1H, m), 1.21-1.27(1H, m), 1.35(1H, m, broad), 1.59-1.67(2H, m), 2.06-2.10(1H, m), 2.11-2.17(1H, m), 2.54(1H, d, J = 5.8), 3.10(1H, dt, J = 10.6, 4.2), 3.42(1H, dd, J = 9.5, 5.1), 3.59(1H, dd, J = 11.0, 5.7), 3.65(1H, dd, J = 11.0, 5.8), 3.73(1H, dd, J = 9.5, 4.5), 3.93(1H, m)
실시예 9
(2S)-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합성
(1) 질소 스트림내에서, 실시예 8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2S)-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 5g(화학 순도 97.47%, 19.60밀리몰), 무수 아세테이트 나트륨 1.77g(21.6밀리몰)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126mg(0.4밀리몰)을 반응 플라스크(용량 10㎖)에 주입한 다음, 16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50℃ 이하로 냉각시켰다.
(2) 단계(1)에서 수득된 50℃ 이하로 냉각시킨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944mg(23.6밀리몰) 및 미리 준비한 50% 에탄올 수용액 10㎖와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환류하에 2.5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을 완료시킨 후, 에탄올을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그 다음에, 이를 헵탄 150㎖와 혼합하여 층을 분리시켰으며, 이렇게 수득된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용매를 회수하여 유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본 유상 물질을 감압하에 증류시켜, 125℃/41Pa(0.31mmHg)의 비점에서 (2S)-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 3.63g(화학 순도 97.06%)을 무색 투명한 유상 물질로서 수득하였다[(2S)-1-클로로-3-ℓ-멘톡시프로판-2-올 기준으로 한 수율 78.06%).
(3) 단계(2)에서 수득된 (2S)-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α]D 25: -89.41。 (c = 1.02, EtOH)
1H-NMR (CDCl3; δppm): 0.78(3H, d, J = 7.0), 0.81-0.88(2H, m), 0.90(3H, d, J = 7.2), 0.92(3H, d, J = 6.6), 0.93-1.00(1H, m), 1.21-1.27(1H, m), 1.35(1H, m, broad), 1.59-1.68(2H, m), 2.07-2.11(1H, m), 2.11-2.17(1H, m), 2.49(1H, s), 3.08(1H, dt, J = 7.0, 4.1), 3.37(1H, dd, J = 9.4, 6.1), 3.65(1H, dd, J = 11.5, 5.5), 3.72(2H, dd), 3.83(1H, m)
(4) 단계(2)에서 수득된 (2S)-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 210mg(0.913밀리몰), n-펜탄알 100mg(1.19밀리몰) 및 헥산 2㎖의 혼합 용액을 p-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 10㎎과 혼합하고, 환류하에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5%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키고, 물로 세정한 다음,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하여 이의 광학 순도가 99.03%임을 밝혀내었다.
GLC 분석:
컬럼: Neutrabound-1, 0.25㎜ × 30(GL 사이언스사 제조)
컬럼 온도: 180 내지 240℃(승온: 4℃/분)
검출 온도: 240℃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금속성 나트륨, 수소화나트륨 및 과산화물과 같은 불안정하고, 폭발을 야기하는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예를 들면, 냉감제 및 청량개선제로서 유용한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안전하게 고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본 방법은 공업적으로 유리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광학 활성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화학식 1)을 원료로서 사용함으로써, 프로판 구조의 2번 위치의 배열이 제어되고, 보다 우수한 청량감을 갖는 (2S)-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높은 광학 순도로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금속성 나트륨, 수소화나트륨 및 과산화물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 용매중에서 루이스산의 존재하에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에 ℓ-멘톨을 첨가함으로써,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용 중간체로서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안전하게 고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용 신규한 중간체로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안전하게 고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한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은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 제조용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을 이의 특정한 양태를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개질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인지할 것이다.
본 명세서는 일본 특허원 제2001-124134호(2001년 4월 23일 출원)를 기초로하며, 이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서 참조 문헌으로 인용되었다.

Claims (10)

  1. ℓ-멘톨을 루이스산의 존재하에 유기 용매중에서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에 첨가하여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제조한 다음, 이를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켜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제조한 다음, 이를 가수분해시켜 화학식 4로 나타내어지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제조함을 포함하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방법.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상기 화학식에서,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내며,
    R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낸다.
  2.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켜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제조한 다음, 이를 가수분해시켜 화학식 4로 나타내어지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을 제조함을 포함하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방법.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상기 화학식에서,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내며,
    R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낸다.
  3.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을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염과 반응시켜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을 제조함을 포함하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의 제조방법.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화학식에서,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내며,
    R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낸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 및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에서 X가 염소원자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1,2-에폭시-3-할로게노프로판에서 프로판 잔기의 2번 위치의 배열이 (R)-형이고,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1-할로게노-3-ℓ-멘톡시프로판-2-올,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 및 화학식 4로 나타내어지는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에서 프로판 잔기의 2번 위치의 배열이 (S)-형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3에서 R1이 아세틸 그룹이고, R2가 수소원자 또는 아세틸 그룹인 방법.
  7.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내며,
    R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낸다.
  8. 화학식 3a로 나타내어지는 1-아세톡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
    화학식 3a
    상기 화학식 3a에서,
    R1a는 아세틸 그룹을 나타내며,
    R2a는 수소원자 또는 아세틸 그룹을 나타낸다.
  9. 화학식 3aa로 나타내어지는 (2S)-1-아실옥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
    화학식 3aa
    상기 화학식 3aa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내며,
    R2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 내지 5의 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 그룹을 나타낸다.
  10. 화학식 3aaa으로 나타내어지는 (2S)-1-아세톡시-2-치환-3-ℓ-멘톡시프로판.
    화학식 3aaa
    상기 화학식 3aaa에서,
    R1a는 아세틸 그룹을 나타내며,
    R2a는 수소원자 또는 아세틸 그룹을 나타낸다.
KR1020020021867A 2001-04-23 2002-04-22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방법 KR100568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4134A JP4723751B2 (ja) 2001-04-23 2001-04-23 3−l−メントキシプロパン−1,2−ジオールの製造方法
JPJP-P-2001-00124134 2001-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142A true KR20020082142A (ko) 2002-10-30
KR100568442B1 KR100568442B1 (ko) 2006-04-07

Family

ID=1897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867A KR100568442B1 (ko) 2001-04-23 2002-04-22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15188B2 (ko)
EP (1) EP1253130B1 (ko)
JP (1) JP4723751B2 (ko)
KR (1) KR100568442B1 (ko)
CN (1) CN1226263C (ko)
AU (1) AU779935B2 (ko)
CA (1) CA2382863A1 (ko)
DE (1) DE60206996T2 (ko)
ES (1) ES225154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9916B2 (ja) * 2003-04-16 2008-11-12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2−(l−メントキシ)エタノールの製造方法
US7923585B2 (en) * 2004-05-31 2011-04-12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Menthol derivative and cooling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4859473B2 (ja) * 2006-02-10 2012-01-25 株式会社日本触媒 グリセリンカルボン酸ジエステルの製造方法
CN102153475A (zh) * 2011-01-27 2011-08-17 台州市尔康药业有限公司 新型薄荷衍生物的制备方法
JP5863019B2 (ja) * 2011-10-27 2016-02-16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3−メントキシプロパノールの製造方法、及び冷感剤組成物
EP3219303B1 (de) 2012-01-30 2019-11-06 Symrise AG Zubereitungen
US9743685B2 (en) 2012-05-16 2017-08-29 Symrise Ag Mixtures having improved cooling effect
WO2014090293A1 (de) 2012-12-12 2014-06-19 Symrise Ag Zubereitungen
DE202012013357U1 (de) 2012-12-12 2016-07-29 Symrise Ag Zubereitungen
EP2801263B1 (de) 2013-05-09 2021-04-14 Symris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ühlende Zusammensetzung in Form eines Granulats
EP2979751B1 (de) 2014-07-29 2020-10-28 Symris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sten kühlstoffen
EP3059009B1 (de) 2015-02-19 2022-05-04 Symrise AG Verfahren zur lagerung von kühlstoffen
ES2736875T3 (es) 2015-03-04 2020-01-08 Symrise Ag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compuestos de mentol como agentes calmantes
BR112018006471B1 (pt) 2015-10-01 2024-02-27 Senomyx, Inc Composto, composição, método de modular o membro de melastina do canal potencial do receptor transitório 8 (trpm8), método de modular a sensação de resfrescância de uma composição e método de induzir uma sensação de refrescância em um ser humano ou animal
US10933039B2 (en) 2016-05-05 2021-03-02 Symrise Ag Coolant mixtures
US11744787B2 (en) 2016-05-14 2023-09-05 Symrise Ag Menthol-containing aroma preparations
WO2020033669A1 (en) 2018-08-10 2020-02-13 Firmenich Incorporated Antagonists of t2r54 and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EP3689324A1 (de) 2019-02-04 2020-08-05 Symrise AG Neue kühlstoffe und zubereitungen, die diese enthalten
WO2022122144A1 (en) 2020-12-09 2022-06-16 Symrise Ag A method for fighting microorganisms using menthol derivatives
EP4351667A1 (en) 2021-06-10 2024-04-17 Symrise AG Compositions for fighting malodors
CN117813077A (zh) 2021-08-16 2024-04-02 西姆莱斯股份公司 组合物
WO2023083445A1 (en) 2021-11-10 2023-05-19 Symrise Ag Compositions comprising trpm8 agonistic cooling agents
WO2023147852A1 (en) 2022-02-02 2023-08-10 Symrise Ag Compositions (iii)
WO2023222213A1 (en) 2022-05-18 2023-11-23 Symrise Ag Antimicrobial mixtur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79822A1 (fr) 1980-04-04 1981-10-09 Fabre Sa Pierre Glycidylethers d'alcools utiles comme intermediaires de synthese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JPS5888334A (ja) 1981-11-20 1983-05-26 Takasago Corp 3−l−メントキシプロパン−1、2−ジオ−ル
JPH06104654B2 (ja) 1987-11-10 1994-12-21 ダイソー株式会社 光学活性グリセロール誘導体
GB9027448D0 (en) 1990-12-18 1991-02-06 Ciba Geigy Ag Production of glycidyl compounds
GB9125116D0 (en) 1991-11-23 1992-01-22 Ciba Geigy Ag Chemical process
JP2978043B2 (ja) * 1993-09-16 1999-11-15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2s)−3−{(1r,2s,5r)−[ 5−メチル−2−(1−メチルエチル)シクロヘキシル ]オキシ}−1,2−プロパンジオー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3544134B2 (ja) 1999-01-25 2004-07-21 花王株式会社 グリセリルエーテルの製造法
JP4587549B2 (ja) 2000-10-23 2010-11-24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1−ハロゲノ−3−1−メントキシプロパン−2−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22111A (ja) 2002-11-08
EP1253130A2 (en) 2002-10-30
CN1226263C (zh) 2005-11-09
KR100568442B1 (ko) 2006-04-07
ES2251540T3 (es) 2006-05-01
AU779935B2 (en) 2005-02-17
DE60206996T2 (de) 2006-06-22
JP4723751B2 (ja) 2011-07-13
US20020156327A1 (en) 2002-10-24
DE60206996D1 (de) 2005-12-08
US6515188B2 (en) 2003-02-04
EP1253130B1 (en) 2005-11-02
EP1253130A3 (en) 2003-10-15
CA2382863A1 (en) 2002-10-23
CN1382677A (zh) 2002-12-04
AU3433502A (en)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8442B1 (ko) 3-ℓ-멘톡시프로판-1,2-디올의 제조방법
JP4587549B2 (ja) 1−ハロゲノ−3−1−メントキシプロパン−2−オール
JP3071030B2 (ja) 生理的冷却効果をもつた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の製造法
EP1761238B1 (en) Menthol derivative and cooling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BR112019002053B1 (pt) Composto, métodos para preparar compostos e para transmitir e/ou intensificar um odor ou sabor de um produto, uso de um composto, composição flavorizante, e, produto perfumado ou aromatizado
Segi et al. Stereochemistry of Friedel-Crafts reaction of benzene with optically active 2-methyloxetane.
KR101841910B1 (ko) 신규 카르본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향료 조성물
JP5200071B2 (ja) 3−l−メントキシプロパン−1,2−ジオールの製造方法
JPS5942659B2 (ja) 二重結合1又は2個を有する環状オレフインのヒドロキシル化法
CN109195959A (zh) 四氢吡喃基低碳烷基酯和其使用烯酮化合物的制备
US4918052A (en) Perfume base composition
JP2023511281A (ja) ポリエーテルポリマーのビシナルジオールエーテル誘導体
CA3096241A1 (en) Novel lactone compound and novel ether compound
Kutner et al. Citramalic acid as chiral synthon. Synthesis of chiral aliphatic sulfones
Mitchell DEOXYGENATION OF EPOXIDES WITH ALUMINUM
JP2010090242A (ja) 新規ラクトン化合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香料組成物
JPS5822450B2 (ja) イソロンギホラン−3−オ−ル
JPS6048516B2 (ja) シクロヘキセニル‐β‐ケトール類、その製法及び利用
JP2002241343A (ja) 1,2−ジオールジエステ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