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111A - 약제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약제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111A
KR20020082111A KR1020020020775A KR20020020775A KR20020082111A KR 20020082111 A KR20020082111 A KR 20020082111A KR 1020020020775 A KR1020020020775 A KR 1020020020775A KR 20020020775 A KR20020020775 A KR 20020020775A KR 20020082111 A KR20020082111 A KR 20020082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storage container
dispensing
drug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8586B1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히로유키 유야마
토시히로 아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8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22Packaging glass ampoules, lamp bulbs, radio valves or tub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6Endless b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여러 가지 형태의 약제를 공급 가능하게 한다. 보지(保持)수단(7)을 수납용기(3)의 하부에 배치하고, 이 보지수단(7)에 의해 최하부로부터 2번째의 약제(10, 16 또는 17)를 보지함으로써, 최하부의 약제(10, 16 또는 17)를 자중에 의해 낙하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송출수단(8)에 의해, 보지수단(7)으로부터 낙하한 약제(10, 16 또는 17)를 송출한다. 더욱이, 수집수단(24)에 의해서, 송출수단(8)에 의해 송출된 약제(10, 16 또는 17)를 반송(搬送)하여 1개소에 수집한다.

Description

약제공급장치{medicine feed apparatus}
본 발명은, 종류별로 개별 포장된 약제, 5련(連) 플라스틱 앰플, PTP 포장된 약제 등의 특수약제를 자동 공급하기 위한 약제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제공급장치로서 예를 들면, 수납용기 내에 5련 플라스틱 앰프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보지(保持)하고, 최하부에 설치한 반송(搬送)벨트와 로우터에 의해 한 개씩 절단하여 배출하도록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8-243146호 공보, 특개평8-244889호 공보 등 참조).
그러나, 상기 약제공급장치에서는, 절단후, 투여되지 않고 회수된 앰플을 재차 공급하는 구성은 되어 있지 않다. 상기 장치에 의해 공급된 플라스틱 앰플 중약 20%가 투여되지 않고 회수되어 있는 것이 현상이고, 그러한 회수약제를 재공급 가능한 구성이 절실히 요망된다.
또한, 최근에는, 약제투여의 성력화(省力化)에 따라 개별 포장이나 유닛 포장된 약제가 판매되도록 되어 오고 있고, 그러한 포장된 약제이더라도 공급 가능한 구성도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형태의 약제를 공급 가능한 구성을 구비한 약제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약제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약제공급장치의 수납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약제공급장치의 수납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약제공급장치의 수납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3의 수납용기에 수용되는 약제의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4의 수납용기에 수용되는 약제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수납용기에 수용되는 약제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약제공급장치의 벨트 컨베이어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보지수단 및 송출수단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보지(保持)수단 및 송출수단에 의한 상자의 불출(拂出)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2a, 2b, 2c : 인출체
3 : 수납용기7 : 보지(保持)수단
8 : 송출수단9 : 보지부(保持部)
10 : 블리스터 팩11 : 돌출편
12 : 슈트15 : 반송벨트
16 : 상자17 : 앰플
18 : 걸림부(爪部)20 : 승강 리프터
24 : 벨트 컨베이어(수집수단)25a, 25b, 25c, 25d, 25e : 풀리
26 : 벨트27 : 셔터
28 : 회수박스29 : 제어장치
100a, 100b : 가이드편100c : 지지편
105 : 벨트 컨베이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납용기 내에 약제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수용하고, 처방전 데이터에 의거하여, 최하부에 위치하는 약제로부터 순서대로, 한 개씩 필요 수량만큼 공급하도록 한 약제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최하부로부터 2번째의 약제를 보지(保持)함으로써, 최하부의 약제를 자중에 의해 낙하 가능하도록 하는 보지(保持)수단과,
이 보지수단으로부터 낙하한 약제를 송출하는 송출수단과,
이 송출수단에 의해 송출된 약제를 반송하여 1개소에 수집하는 수집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처방전 데이터에 의거하여, 송출수단을 구동하면, 순차적으로, 수납용기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약제가, 필요한 수량만큼 수집수단에 송출되고,수집수단을 구동함으로써, 1개소에 수집된다.
상기 송출수단은, 보지수단으로부터 낙하한 약제가 재치된 상태에서 틸팅(傾動)되어, 상기 수집수단을 향하여 약제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슈트로 구성하면 좋다.
또한, 상기 송출수단은, 보지수단으로부터 낙하한 약제가 재치된 상태에서 구동되고, 수집수단을 향하여 약제를 반송하는 컨베이어로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수납용기는 상하방향이 다른 위치에 취부되어지고, 상기 수집수단은 승강 가능하고, 각 수납용기로부터 송출되는 약제를 수집하도록 하면, 수납용기를 고집적화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용기로부터 약제가 송출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이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수집수단을 구동하여 이 수집수단 상의 약제를 반송함으로써, 상기 수납용기로부터 송출되는 약제가 수집수단 상의 약제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면, 수납용기로부터 약제를 스무스하게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납용기 내에 약제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수용하고, 처방전 데이터에 의거하여, 최하부에 위치하는 약제부터 순서대로, 한 개씩 필요 수량만큼 공급하도록 한 약제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하부에 위치하고 약제를 수납용기의 최하점에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송출준비위치와 상기 약제를 측방에 이동시킴과 동시에 다음의 약제를 지지하여 최하점보다도 1단 상에 위치 결정하는 송출위치로 이동 가능한 보지수단과,
이 보지수단이 약제와 함께 송출위치에 이동하였을 때, 이 약제를 재치하여 송출하는 송출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보지수단을 왕복 이동시키면, 확실하게 최하부의 약제는 송출위치에 이동되고, 이 때 다음의 약제는 보지수단에 지지된다. 송출위치에 이동된 약제는 송출수단을 구동함으로써 간단하게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송출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약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보지수단 및 상기 송출수단의 구동에 의해, 소정시간 내에 검출수단으로 약제를 검출할 수 없을 때, 결품(欠品) 정보를 알리는 알림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지수단 및 상기 송출수단의 초기 동작시, 소정시간, 상기 송출수단을 역회전 구동하고, 해당 송출수단 상에 잔류하여 있는 약제를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시키면, 송출수단 상에 잔류하는 약제가 불출(拂出)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공급장치를 도시한다. 이 약제공급장치의 케이스(1)에는, 3개의 인출체(2a, 2b, 2c)가 수용되어 있다.
양측의 인출체(2a, 2b)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2단으로 수납용기(3)가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하단에 설치한 취부판(4)에, 수납용기(3)가 나사 체결되어 있다. 나사체결은 취부판(4)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슬릿(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수납용기(3)를 원하는 위치에 취부할 수 있고, 폭 치수가 다른 수납용기(3)라 하더라도 취부 장소의 제약을 받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취급하는 약제의 종류나 수량 등이 상이한 각 의료기관에 있어서, 취부하는 수납용기(3)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납용기(3)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류가 다른 약제를 수용하는 3종류가 준비되어 있다. 어느 수용용기(3)도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5)를 구비하고, 상하방향으로 약제를 적층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배면(6)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적층한 약제가 후방측에 기울고, 도어(5)를 개방하였을 때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수납용기(3)의 하부에는 보지수단(7)과 송출수단(8)이 설치되어져 있다. 보지수단(7)은 모터(7a)의 구동에 의해, 수납용기(3)의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보지부(保持部)(9)를 출몰시키는 구성이다. 송출수단(8)은 수납용기(3)의 저면에 위치하고, 최하부의 약제를 측방을 향하여 송출하는 구성이다. 또한, 송출수단(8)에 의해 송출되는 약제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도 3에 도시하는 수납용기(3)는, 도 6에 도시하는 블리스터 팩(blister pack)(10)의 송출에 적합하다. 즉, 보지수단(7)의 보지부(9)는, 최하층과 2번째의 블리스터 팩(10)의 시트 점착면(10a) 사이에 돌출하여, 2번째로부터 상방의 블리스터 팩(10)을 지지하는 돌출편(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출수단(8)은모터(12a)의 구동에 의해, 지축(12b)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을 향하여 약 45도 틸팅(傾動)하는 슈트(12)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수납용기(3)는, 도 7에 도시하는 상자에 채워진 약제의 송출에 적합하다. 즉, 보지수단(7)의 보지부(9)는, 상기 도 3과 마찬가지로, 2번째보다 상방의 상자(16)의 저면 양측부를 보지하는 돌출편(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출수단(8)은 지축(14)을 중심으로 하여 기울어 이동하는 반송벨트(1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하부에 위치하는 상자(16)를 반송벨트(15)에 의해 소정 치수 이동시키고, 상기 돌출편(11)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2번째의 상자(16)를 보지한 상태로 대기한다.
도 5에 도시하는 수납용기(3)는, 도 8에 도시하는 복련(複連)(실시예에서는 5련) 플라스틱 앰플(17)의 송출에 적합하다. 즉, 보지수단(7)의 보지부(9)는, 플라스틱 앰플(17)의 각 앰플의 저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걸림부(爪部)(18)와, 플라스틱 앰플(17)의 정부(頂部)를 지지하는 돌출편(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미 절단이 끝난 앰플(17)이라 하더라도 다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송출수단(8)은, 상기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반송벨트(15)로 구성되어 있다. 단, 반송벨트(15)의 선단부에는 앰플(17)을 한 개씩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인 로우터(19)(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8-243146호 공보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수납용기(3)에서는, 반송벨트(15)에 의해 적극적으로 약제를 반송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회동각도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용기(3)가 점유하는 스페이스가 작아지고,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수납용기(3)를 배치할 수 있으며, 수납용기(3)의 고집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자에 채워진 약제를 수납하는 수납용기(3)에 있어서, 그 효과를 발휘한다.
중앙의 인출체(2c)에는, 승강 리프터(20)에 의해 승강하는 프레임(21)이 설치되어져 있다. 승강 리프터(20)는, 인출체(2c)에 상하로 배열 설치한 롤러(22) 사이에 타이밍 벨트(23)를 걸어 놓고, 이 타이밍벨트(23)의 일부를 프레임(21)에 고정한 것이다. 프레임(21)의 저면은, 본 발명의 수집수단인 벨트 컨베이어(24)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24)는, 도 9에 도시하듯이, 다섯 개의 풀리(25a, 25b, 25c, 25d, 25e)에 벨트(26)를 걸어 놓은 것이다. 벨트(26)는 풀리(25d)를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 시킴으로써 순환하고, 벨트(26)의 상에 재치한 약제를 전후 어느 방향으로도 반송이 가능하다. 풀리(25a) 및 풀리(25b)는, 도 1에 도시하듯이, 모터(30)의 회전축에 설치한 랙(31) 및 피니언(32)을 개재하여 전후로 왕복이동하고, 벨트(26)의 전단(신축단)을 신축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26)의 후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셔터(27)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의 저부의 전면측에는, 벨트 컨베이어(24)의 수축단의 하방에 위치하는 회수박스(28)가 설치되어 있다. 회수박스(28)는 케이스(1)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진 레일 상을 반송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인출체(2a, 2b, 2c)는 통상, 도시하지 않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일체적으로 케이스(1)로부터 인출되며, 또한, 케이스(1) 내에 수용되어진다. 단, 메인터넌스시 등에는 상기 연결부재를 해제하여, 중앙부의 인출체(2c)만을 인출하고, 또한, 수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약제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데이터에 따라서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수납용기(3)를 특정한다. 그리고, 그 수납용기(3)가 상하단의 어디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해당하는 수납용기(3)가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벨트 컨베이어(24)의 위치는 그대로 하고,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승강 리프터(20)를 구동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24)를 상승시킨다. 이어서, 송출수단(8)을 구동시킴으로써, 최하부의 약제를 송출한다. 송출된 약제는, 벨트 컨베이어(24)의 벨트(26)상에 재치된다. 이 때, 센서에 의해 약제의 송출이 검출되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24)를 구동하고, 송출된 약제의 위치를 겹치지 않도록 비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송출되는 약제는 벨트(26) 상의 약제에 방해되는 일 없이, 스무스하게 송출된다. 이하, 처방전 데이터로 특정되는 소정 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 수량의 약제가 벨트 컨베이어(24)에 송출되면, 벨트 컨베이어(24)가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벨트 컨베이어(24)를 그대로의 상태로 하고,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벨트 컨베이어(24)를 일단 하강시킨다. 그리고,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24)를 정방향으로 구동함과 동시에, 벨트 컨베이어(24)의 수축단이 수축하도록 풀리(25a, 25b)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9(c)에 도시하듯이, 회수박스(28)가 노출하여 제1경로가 형성되고, 벨트(26) 상의 약제는 순차적으로 수축단을 거쳐서 회수박스(28)에 회수된다. 벨트(26) 상의 약제 전체가 회수박스(28)에 회수되면, 풀리(25a, 25b)를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키고, 벨트 컨베이어(24)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회수박스(28)는레일 상을 반송되어 도시하지 않은 공급장소에 공급된다.
어디인가의 약제가 부족하면, 케이스(1)로부터 인출체(2a, 2b, 2c)를 인출한다. 그리고, 해당하는 수납용기(3)의 도어(5)를 개방하여 약제를 보급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24)의 일단측에 회수박스(28)가 위치하여 제2경로가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이 보급작업중이라 하더라도, 처방전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납용기(3)로부터 약제가 벨트 컨베이어(24)에 송출된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24)를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셔터(27)를 개방함으로써, 약제는 수축단과 반대측의 단부를 거쳐서 회수박스(28)에 회수된다. 또한, 인출체(2a, 2b, 2c)의 인출이, 벨트 컨베이어(24)에 의한 약제의 반송 중에 행하여지면, 일단, 벨트 컨베이어(24)의 구동을 중지한다. 그리고, 케이스(1)로부터 인출체(2a, 2b, 2c)가 완전히 인출된 후, 다시 벨트 컨베이어(24)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24)의 구성에 의하면, 인출체(2a, 2b, 2c)를 인출하였을 때라 하더라도, 벨트(26) 상의 약제를 회수박스(28)에 회수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약제공급장치에 채용한 수납용기(3)의 구성은 조제기기, 예를 들면 정제포장장치, 앰플수납취출장치, 수액병 공급장치 등에도 용이하게 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지수단(7) 및 상기 송출수단(8)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에서는, 보지수단(7)은 수납용기(3)의 하부 대향벽을 구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편(100a, 100b)과, 가이드편(100a)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지지편(100c)(도 11참조)으로 구성된다. 가이드편(100a, 100b)은 일정 간격을 보지하도록 연결부(101)로 연결된다. 연결부(101)에는 암(10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암(102)은 모터(103)의 회전축에 일체화한 캠(104)에 의해 축(102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편(100a, 100b)은 모터(103)의 구동에 의해 송출준비위치(P1)와 송출위치(P2)와의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지지편(100c)은 가이드편(100a, 100b)이 후술하는 송출위치(P2)에 이동하였을 때,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상자(16)의 하단면에 당접(當接)하여 지지한다. 송출수단(8)에는, 풀리(105a) 사이에 벨트(105b)를 걸어 놓고, 한쪽의 풀리(105a)를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 회전 구동하도록 한 종래 주지의 벨트 컨베이어(105)가 사용된다. 또한, 송출수단(8)에는, 벨트 컨베이어(105) 이외에도, 슈트 등 여러 가지의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보지수단(7) 및 송출수단(8)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면, 우선, 초기동작으로서, 벨트 컨베이어(105)를 일정시간 역회전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05) 상에 잔류하는 상자(16)가 불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상자(16)를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24)를 정회전 구동하고, 센서(106)(도 11(d) 참조)에 의해 상자(16)의 송출상태를 검출한다. 벨트 컨베이어(105)의 정회전 구동을 일정시간 행하여도 센서가 상자(16)를 검출하지 않으면, 수신한 처방전 데이터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모터(103)를 구동하고, 가이드편(100a, 100b)을 왕복 이동시키고, 상자(16)의 불출작업을 개시한다.
우선, 가이드편(100a, 100b)을 도 11(a)에 도시하는 송출위치(P2)로부터 도 11(b)에 도시하는 송출준비위치(P1)에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수납용기(3) 내의 상자(16)가 하강하고, 최하부에 위치하는 상자(16a)가 지지편(100c)에 지지되어 송출준비위치(P1)에 위치 결정된다. 여기에서, 가이드편(100a, 100b)을 도 11(c)에 도시하는 송출위치(P2)에 이동시키면, 상자(16a)는 송출위치(P2)에 이동하고, 벨트 컨베이어(105) 상에 재치된다. 또한, 다음의 상자(16b)는 가이드편(100a)의 상단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105)를 구동함으로써, 상자(16a)를 송출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가이드편(100a, 100b)을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순차적으로 한 개씩 상자(16)를 송출하여 불출한다. 또한, 불출 도중에, 센서(106)에 의해 상자(16)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벨트 컨베이어(105)의 역회전 구동 및 정회전 구동을 반복한다. 이것에 의해, 이송 도중의 상자(16)가 막힌 경우라 하더라도, 간단한 것이라면, 자동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단, 막힘 상태가 해소되지 않는 경우 또는 결품인 경우에는 그 사항을 도시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알리면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지수단에 의해 수납용기 내의 약제를 그 형태에 따라 보지하고, 송출수단 및 수집수단에 의해 1개소에 모아서 공급할 수 있다.

Claims (8)

  1. 수납용기 내에 약제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수용하고, 처방전 데이터에 의거하여 최하부에 위치하는 약제로부터 순서대로 한 개씩 필요 수량만큼 공급하도록 한 약제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최하부로부터 2번째의 약제를 보지(保持)함으로써, 최하단의 약제를 자중에 의해 낙하 가능하도록 하는 보지(保持)수단과,
    이 보지수단으로부터 낙하한 약제를 송출하는 송출수단과,
    이 송출수단에 의해 송출된 약제를 반송하여 1개소에 수집하는 수집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수단은 보지수단으로부터 낙하한 약제가 재치된 상태에서 틸팅(傾動)되어, 상기 수집수단을 향하여 약제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슈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수단은 보지수단으로부터 낙하한 약제가 재치된 상태에서 구동되고, 수집수단을 향하여 약제를 반송(返送)하는 컨베이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상하방향이 다른 위치에 취부되어지고,상기 수집수단은 승강이 가능하며, 각 수납용기로부터 송출되는 약제를 수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로부터 약제가 송출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이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수집수단을 구동하여 이 수집수단 상의 약제를 반송함으로써, 상기 수납용기로부터 송출되는 약제가 수집수단 상의 약제와 간섭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공급장치.
  6. 수납용기 내에 약제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한 상태로 수용하고, 처방전 데이터에 의거하여, 최하부에 위치하는 약제로부터 순서대로 한 개씩 필요 수량만큼 공급하도록 한 약제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하부에 위치하고 약제를 수납용기의 최하점에 위치 결정 가능하도록 하는 송출준비위치와 상기 약제를 측방에 이동시킴과 동시에 다음의 약제를 지지하여 최하점보다도 1단 상에 위치 결정하는 송출위치로 이동 가능한 보지수단과,
    이 보지수단이 약제와 함께 송출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이 약제를 재치하여 송출하는 송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공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수단에 의해 송출하는 약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보지수단 및 상기 송출수단의 구동에 의해, 소정시간 내에 검출수단으로약제를 검출할 수 없을 때, 결품(欠品) 정보를 알리는 알림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공급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수단 및 상기 송출수단의 초기 동작시, 소정시간, 상기 송출수단을 역회전 구동하고, 당해 송출수단 상에 잔류하여 있는 약제를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공급장치.
KR1020020020775A 2001-04-19 2002-04-17 약제공급장치 KR100828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0995 2001-04-19
JPJP-P-2001-00120995 2001-04-19
JP2001191459 2001-06-25
JPJP-P-2001-00191459 2001-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111A true KR20020082111A (ko) 2002-10-30
KR100828586B1 KR100828586B1 (ko) 2008-05-09

Family

ID=2661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775A KR100828586B1 (ko) 2001-04-19 2002-04-17 약제공급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89996B2 (ko)
EP (1) EP1250905B1 (ko)
JP (1) JP4259811B2 (ko)
KR (1) KR100828586B1 (ko)
AT (1) ATE485803T1 (ko)
CA (1) CA2381894A1 (ko)
DE (1) DE60238094D1 (ko)
TW (1) TW5930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10309B (en) * 2002-10-18 2009-06-01 Yuyama Mfg Co Ltd Dispensing apparatus for multiply-connected ampuls
TWI294861B (en) * 2002-10-18 2008-03-21 Yuyama Mfg Co Ltd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JP4992262B2 (ja) * 2005-09-30 2012-08-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US9149405B2 (en) * 2009-03-03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Medication storage and dispensing unit having a vial dispenser
DE102009017869B3 (de) * 2009-04-17 2010-05-20 Sim Automation Gmbh & Co. Kg Verfahren zum individuellen Zusammenstellen von Tablett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101248057B1 (ko) * 2009-09-22 2013-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복용 지원 장치 및 복용 지원 방법
KR101297272B1 (ko) * 2009-12-18 2013-08-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약 복용 지원 장치의 수납함 배출 방법, 약복용 지원 시스템 및 약 복용 지원 방법
DE102011011581B4 (de) * 2011-02-18 2012-10-25 Kesseböhmer Warenpräsentation GmbH & Co.KG Selbstbedienungsvorrichtung für Warenpackungen, insbesondere Zigaretten- oder Tabakpackungen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US9511945B2 (en) 2012-10-12 2016-12-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EP2796749B1 (en) * 2013-04-24 2015-06-10 WEGMANN automotive GmbH & Co. K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Vehicle Balancing Weights
RU2541306C1 (ru) * 2013-12-11 2015-02-10 Евгений Николаевич Завьял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пачек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на транспортёрную ленту кассового узла супермаркета
CN103738645A (zh) * 2013-12-30 2014-04-23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快速集中发药系统
CN104326096A (zh) * 2014-01-24 2015-02-04 孙亮 中药自动配药装置及方法
GB2529667B (en) * 2014-08-28 2020-06-24 Pyramid Innovation Ltd A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 laboratory sample carrier from a stack of sample carriers
CN105599968B (zh) * 2016-01-15 2017-09-05 中州大学 一种中灯自动包装机的灯泡上料控制装置
US20190147686A1 (en) * 2016-05-20 2019-05-16 Wm. Wrigley Jr. Company Product column and ejector system for dispensing machin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0459011B (zh) * 2019-07-02 2021-07-20 常州中科绿塑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双位分配原理的智能高效自动售卖机
CN112489308A (zh) * 2020-12-01 2021-03-12 上海电机学院 中草药自动化抓药配药系统
CN117629368B (zh) * 2024-01-23 2024-04-02 成都森田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敏感药剂称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0216A (en) * 1971-10-12 1976-07-20 Rainey Don E Coin controlled vending apparatus
JPS5242986B2 (ko) * 1973-08-17 1977-10-27
JPS52116572A (en) * 1976-03-26 1977-09-30 Glory Kogyo Kk Device for throwing out article
FR2480101A1 (fr) * 1980-04-10 1981-10-16 Guigan Jean Dispositif pour le stockage et la distribution automatique d'objets
DE3147034A1 (de) * 1981-11-26 1983-07-07 Balzer & Dröll GmbH, 6369 Niederdorfeld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blechen von einem stapel
IT1169483B (it) * 1982-12-08 1987-05-27 Sanden Corp Meccanismo erogatore per macchine distributrici o simili
GB2162502B (en) * 1984-06-06 1987-12-16 Sanden Corp Dispensing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s
GB8825696D0 (en) * 1988-11-03 1988-12-07 Precision Vending Machines Ltd Article dispenser
DE3842935C1 (ko) * 1988-12-21 1989-11-02 Harting Elektronik Gmbh, 4992 Espelkamp, De
ES2024873A6 (es) * 1990-06-20 1992-03-01 Assembler Sl Dispositivo dispensador de productos empaquetados.
JPH07315573A (ja) * 1994-05-26 1995-12-05 Okura Yusoki Co Ltd ピッキング装置
JP3417711B2 (ja) 1995-03-13 2003-06-1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複連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の切り離し装置
JP3417712B2 (ja) 1995-03-13 2003-06-1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複連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の切り離し装置
JPH09192201A (ja) * 1996-01-24 1997-07-29 Yuyama Seisakusho:Kk アンプル取揃え方法
JP3239066B2 (ja) * 1996-05-28 2001-12-17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H11100126A (ja) * 1997-09-30 1999-04-13 Daiwa Seiko Inc 物品切出し装置及び物品販売装置
US6883681B1 (en) * 1998-12-10 2005-04-26 Scriptpro Llc Automatic dispensing system for unit medicament packages
US6071067A (en) * 1999-04-02 2000-06-06 Advanced Micro Devices, Inc. Tube pusher plate including rotary disk and cylindrical guide rod
US6419441B1 (en) * 2000-07-07 2002-07-16 Eagle Automation Lamination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lamin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89996B2 (en) 2004-09-14
EP1250905B1 (en) 2010-10-27
CA2381894A1 (en) 2002-10-19
KR100828586B1 (ko) 2008-05-09
ATE485803T1 (de) 2010-11-15
TW593065B (en) 2004-06-21
JP2003081201A (ja) 2003-03-19
EP1250905A2 (en) 2002-10-23
JP4259811B2 (ja) 2009-04-30
EP1250905A3 (en) 2003-12-03
DE60238094D1 (de) 2010-12-09
US20020154987A1 (en)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586B1 (ko) 약제공급장치
US5761877A (en) System for individual dosage medication distribution
US6883681B1 (en) Automatic dispensing system for unit medicament packages
US7121427B2 (en) Fork based transport storage system for pharmaceutical unit of use dispenser
KR100753753B1 (ko) 주사약 수용 부재의 자동 공급 장치
US5832693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mpules
JP3388935B2 (ja) 薬剤の払出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4345837A (ja) 医療用格納装置
KR100788543B1 (ko) 약제 공급 장치
JP2006206090A (ja) 薬剤供給装置
JP3860272B2 (ja) 調剤用薬剤払出装置
JPH07285674A (ja) アンプル払い出し装置
JP4488917B2 (ja) 薬剤供給装置
JP4230712B2 (ja) 薬剤供給装置
JP4488918B2 (ja) 薬剤供給装置
JPH11152113A (ja) 注射剤袋詰め装置
US202401743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volume filling of pharmaceutical prescriptions
JP2006204493A (ja) 薬剤供給装置
JP2003305108A (ja) 包装薬剤取出し装置
JP2001335147A (ja) 注射薬払出装置
JPH10192368A (ja) 調剤用薬剤払出装置
JP2006204494A (ja) タブレットケース
JP2003095205A (ja) 注射剤袋詰装置
JPH11263301A (ja) 薬袋投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