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683A - 프레임 구조물 - Google Patents

프레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683A
KR20020081683A KR1020027008654A KR20027008654A KR20020081683A KR 20020081683 A KR20020081683 A KR 20020081683A KR 1020027008654 A KR1020027008654 A KR 1020027008654A KR 20027008654 A KR20027008654 A KR 20027008654A KR 20020081683 A KR20020081683 A KR 20020081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tructure
gasket
tongu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4547B1 (ko
Inventor
존 브라우어 린더롭
Original Assignee
파록 그룹 오와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록 그룹 오와이 에이비 filed Critical 파록 그룹 오와이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20081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06B1/68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by profiled externa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벽 구조물 등에 윈도우(1) 등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물로서, 샌드위치 부재(2, 2')를 포함하며, 구조물내에 있는 샌드위치 부재의 하나의 엣지에는 설형 구조물(4)이 제공되며, 샌드위치 부재의 대향 엣지에는 대응하는 홈 구조물(5)이 제공되며, 윈도우를 둘러싸는 프로파일형 구조물(3)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은 프레임 구조물의 하부 틈막이재(6)는 샌드위치 부재의 상부 엣지에 있는 설형 구조물(4)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6')를 포함하고, 유용하게는 커버 플랜지(6")를 포함하며,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부 틈막이재(7)는 샌드위치 부재의 홈 구조물(5)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임 구조물{FRAME STRUCTURE}
이와 같이 공지된 이러한 부재는 설형 및 홈 구조물(a tongue and groove construction)에 의하여 두 개의 대향 엣지에서 서로 연결되고, 설형 및 홈 구조물은 표면 플레이트의 엣지 스트립을 벤딩함으로써 형성된다. 하나의 엣지는 홈을 가지며, 대향 엣지는 대응하는 설형부를 가진다. 특히, 벽 구조물에는 상기 부재가 통상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설형부가 상기 부재의 상부 엣지에 위치되며 상기 홈은 상기 부재의 하부 엣지에 위치된다. 상기 부재가 또한 설치되어 상기 설형 및 홈 구조물은 상기 부재의 수직 조인트를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설형 및 홈 구조물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상기 엣지는 통상적으로 전통적인 맞대기 조인트로서 설치되도록 의도된다.
이 같은 부재, 특히 벽이 조립되는 구조물은 공지된 방식으로 개구, 즉 윈도우를 위한 개구가 제공되며, 반면에 개구는 부재로부터 대응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윈도우는 적절한 프레임에 의해 개구에 설치되며, 적절한 프레임 구조물은 상이한 프로파일 구조물에 의하여 형성된다. 개구의 형성 및 형성된 개구로의 윈도우의 설치는, 설치가 내후성이 되도록, 전문적인 기술을 요구하는 성가신 절차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이 프레임 구조물로 윈도우 또는 대응하는 설치 부품(building component)이 샌드위치 구조물을 구비한 부재를 포함하는 벽 또는 대응하는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부재의 샌드위치 구조물은 공지된 방식의 단열재와, 주로 아교에 의해 고정되는 양측의 넓은 측부상의 표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종래의 단열재는 광모(mineral wool)이며, 표면 플레이트는 상대적으로 얇은 금속 시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프레임이 해결책으로 제공되는데, 프레임은 윈도우 등을 둘러싸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형 구조물로서 제작되어 프레임 구조물의 바닥 틈막이재(bottom batten)는 적어도 외측 부분에 맞춤조립 부품(fitting component)을 포함하고, 맞춤조립 부품은 상기 부재의 상부 엣지에서, 유용하게는 커버 프로파일에서, 설형 및 홈 구조물에 맞춤 조립되고,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부 틈막이재는 적어도 외측 부분에 맞춤 조립 부품을 포함하며 맞춤 조립 부품은 상기 부재의 하부 엣지에서 설형 및 홈 구조물에 맞춤 조립된다.
본(in question) 프레임이 제공된 윈도우 또는 대응하는 설치 부품은 벽 부재 대신 예를 들면 벽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어, 윈도우 또는 대응하는 설치 부품은 문제없이 맞춤 조립되고 다른 벽 부분과 서로 타이트한 구조(tight construction)를 형성한다. 본 설치 부품은 물론 다른 부재의 크기와 양립할 수 있는 크기이어야 한다. 높이는 설치되는 벽 부재의 높이로서 선택되는 것이 유용하다. 다양한 상보적인 벽 부재를 고려할 때 다른 선택적인 크기가 또한 고려될수 있다. 윈도우의 폭의 크기를 고려할 때도 실제로 동일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윈도우(1)는 수평의 하부 및 상부 샌드위치 벽 부재(2, 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샌드위치 벽 부재는 단열 코어를 포함하며, 단열 코어의 양측 넓은 표면은 금속 시트로 덮혀있다. 상기 시트의 하부 및 상부 엣지 스트립은 홈 및 설형 구조물(5 및 4)을 형성하도록 공지된 방식으로 벤딩되어 있다.
윈도우(1)는 프레임(3)으로 둘러싸이며, 프레임은 프로파일 틈막이재(profile batten)로 조립된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물의 외측 틈막이재(6 및 7), 뿐만 아니라 내측부를 형성하는 틈막이재(10 및 11)는 의도되는 윈도우 개구까지 연장되며 이들 사이에서 실제적인 윈도우(1)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적절한 플랜지 구조물(3a, 3b)과 같은 것으로 알려진, 타이트하게 폐쇄된 이중-페인 윈도우(double-pane window)를 포함한다. 외측 틈막이재(6 및 7)는각각 대응하는 내측 틈막이재(10 및 11)에 프레임 구조물의 적절한 바인딩 틈막이재(suitable binding batten)로 고정되며, 이는 도면에서 개략적인 외곽선으로 도시된다.
적절한 개스킷이 플랜지(3a, 3b)와 윈도우(1)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라, 프레임 구조물을 형성하는 프로파일 틈막이재가 제작되어 하부 틈막이재(6)가 맞춤조립부(6')를 가지며, 맞춤조립부는 아래에 위치된 부재의 상부 엣지에 있는 설형부(4)에 걸쳐 맞춤조립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부 틈막이재(6)는 커버 플랜지(6")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며, 커버 플랜지에는 윈도우와 부재 사이의 조인트에 유용한 방우부(good rain protection)가 제공된다. 상부 틈막이재(7)는 대응 맞춤조립부(7')를 포함하며, 대응 맞춤조립부는 상부에 위치된 부재의 하부 엣지에 홈 구조물(5)로 맞춤조립되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맞춤조립부는 돌출형 시트 형성 섹션(projecting seat-formed section)을 포함하며, 돌출형 시트 형성 섹션에 의해상부 부재(2')는 윈도우 프레임(3)에 설치된다.
부재와 윈도우 사이의 수직 조인트를 밀봉하기 위해, 대응하는 프레임 틈막이재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플랜지는 하부 틈막이재(6)의 커버 플랜지(6")에 대응하고, 윈도우의 어느 한 측상의 부재의 표면을 넘어 부재의 표면에 놓인다.
윈도우 둘레의 내부 조인트를 밀봉하기 위해 프레임 틈막이재는 또한 로킹 플랜지(8)를 포함하며, 로킹 플랜지의 도움으로 L형 단면을 가지는 커버 틈막이재(9)는 윈도우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에서, 윈도우는 부재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어제 위치에서 설치되어진 실제적인 부재와 매우 동일한 방식으로 구조물에서 작용한다. 설치, 밀봉 및 로딩 성능에 대한 가능성은 일반적인 부재에 대해 동일하다. 윈도우가 벽 구조물에 맞춤조립될 때, 윈도우는 또한 윈도우에 작용하는 바람 부하(wind load)에 대해 더 잘 견디게 된다.
윈도우가 설치되는 구조물은 수직이거나, 경사지거나 수평일 수 있으며, 이 구조물은 빌딩의 외면을 따를 수 있거나 빌딩의 내부 공간을 한정할 수 있다.
위에서 윈도우는 소위 수평 설치로서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며, 수평 설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틈막이재 구조물이 구조물의 받침대(the rest of the construction)에 있는 수평 조인트로 맞춤조립된다. 윈도우는 수직 구조물에서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수직 구조물에서 설형 및 홈 구조물은 부재의 수직 조인트에 위치한다.
프레임 구조물의 장점은 윈도우(1) 등이 나중에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다른 부재(2, 2')가 제위치에 설치될 수 있어야지만, 그 후에 윈도우(1)가 제위치에 설치되므로, 다른 부재(2, 2')와 동시에 윈도우가 설치되는 것에 비해 파손의 위험이 상당히 낮아진다.
도 2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물의 하부 틈막이재(6)는 개별 부품(12)을 가지며, 요구될 때 개별 부품은 전달이 불편하지 않도록 빌딩 위치(building site)에서만 설치될 수 있다. 틈막이재(6)를 개별 부품(12)에 고정하기 위해 로킹 홈(13)이 배치된다.
개별 부품(12)의 형상은 요구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는데, 즉 드립몰딩(drip moulding)을 가질 수 있으며(도 3), 드립 몰딩을 가지지 않을 수 있으며(도 2), 또는 원할 때 소정의 다른 장식 패널로 제공될 수 있다.
틈막이재 구조물을 구비한 윈도우(1)가 후방으로 설치될 수 있을 때, 또한 드립 몰딩[개별 부품(12)]은 윈도우(1)를 꺼내고 개별 부품(12)을 드립 몰딩이 통합된 개별 부품(12) 또는 개별 부품(12)에 고정될 수 있는 개별 부분이 되는 부분으로 대체함으로써 나중에 빌딩에 맞춤조립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로 인한 또 다른 장점은 윈도우(1)가 직립 위치에 있는 트럭 베드상에서 매우 편리하게 빌딩 위치로 수송될 수 있다는 것이다. 베드는 홈을 구비한 목재 스탠드를 가지며, 홈은 프레임의 하부 엣지로부터 돌출되는 커버 플랜지(6")를 수용한다. 윈도우의 상부 엣지는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목재 지지부에 고정되는데, 홈이 형성된 목재 지지부는 윈도우(1)의 맞춤조립부(7')를 수용한다. 따라서 윈도우(1)는 직립을 유지하며 윈도우는 수송동안 작은 공간에서 제 위치를 찾는다.

Claims (6)

  1. 벽 구조물 등에 윈도우(1) 등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물로서,
    샌드위치 부재(2, 2')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내에 있는 상기 샌드위치 부재의 하나의 엣지에는 설형 구조물(4)이 제공되며, 상기 샌드위치 부재의 대향 엣지에는 대응하는 홈 구조물(5)이 제공되며, 상기 윈도우를 둘러싸는 프로파일형 구조물(3)에 의하여 형성되는 프레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제 1 틈막이재(6)는 상기 설형 구조물(4)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부(6')를 포함하며,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제 1 틈막이재(6)에 관한 대향 측부의 제 2 틈막이재(7)는 상기 샌드위치 부재의 홈 구조물(5)에 끼워 맞추어지는 제 2 끼워맞춤부(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끼워맞춤부(6')는 상기 제 1 틈막이재(6)에 고정될 수 있는 개별 부품(1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틈막이재(6)는 상기 개별 부품(12)을 고정하기 위한 홈(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부품(12)은 드립 몰딩(14) 또는 소정의 다른커버링 패널 또는 재장식 틈막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틈막이재(6)는 커버 플랜지(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6. 벽 구조물 등에 윈도우(1) 등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물로서,
    샌드위치 부재(2, 2')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내에 있는 상기 샌드위치 부재의 하나의 엣지에는 설형 구조물(4)이 제공되며, 상기 샌드위치 부재의 대향 엣지에는 대응하는 홈 구조물(5)이 제공되며, 상기 윈도우를 둘러싸는 프로파일형 구조물(3)에 의하여 형성되는 프레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부 틈막이재(6)는 상기 샌드위치 부재의 상부 엣지에 있는 상기 설형 구조물(4)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6')와, 양호하게 커버 플랜지(6")를 포함하며,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부 틈막이재(7)는 상기 샌드위치 부재의 홈 구조물(5)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물.
KR1020027008654A 2000-01-14 2000-11-17 프레임 구조물 KR100714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00072A FI107952B (sv) 2000-01-14 2000-01-14 Bågkonstruktion
FI20000072 2000-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683A true KR20020081683A (ko) 2002-10-30
KR100714547B1 KR100714547B1 (ko) 2007-05-08

Family

ID=855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654A KR100714547B1 (ko) 2000-01-14 2000-11-17 프레임 구조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250508B1 (ko)
JP (1) JP2003519737A (ko)
KR (1) KR100714547B1 (ko)
CN (1) CN1152188C (ko)
AT (1) ATE341688T1 (ko)
AU (1) AU765155B2 (ko)
DE (1) DE60031169T2 (ko)
DK (1) DK1250508T3 (ko)
FI (1) FI107952B (ko)
HK (1) HK1050723A1 (ko)
NO (1) NO315621B1 (ko)
WO (1) WO2001051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7969C2 (sv) * 2005-11-10 2006-07-25 Nordiska Balco Ab Ramanordning för användning vid inbyggnad av en balkong
KR101077492B1 (ko) 2011-04-22 2011-10-27 (주)신창산업 단열성능과 조립성이 개선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JP2019131968A (ja) * 2018-01-29 2019-08-08 株式会社Karvi Japan 窓枠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10054B (ko) * 1957-10-16 1969-04-14 M Emmerich
DE1683365C3 (de) * 1966-12-24 1980-04-17 Peters, Heinrich W., Dipl.-Ing., 2000 Hamburg Profil für Fensterblendrahmen und Fensterflügel
SE415588B (sv) * 1977-07-19 1980-10-13 Johanssons Affers Ab Olof Konstruktionselement for byggnader
US4370828A (en) * 1978-06-12 1983-02-01 Miro Carl F Window frame assembly
DE3407639A1 (de) * 1984-03-01 1985-09-12 Gebrüder Kömmerling Kunststoffwerke GmbH, 6780 Pirmasens Verbundstab, insbesondere fuer fensterrahmen, tuerrahmen und rollaeden
JP3146860B2 (ja) * 1994-07-07 2001-03-1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窓枠の取付方法
JP3650187B2 (ja) * 1995-12-07 2005-05-18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住宅部品の係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000072A (fi) 2001-07-15
ATE341688T1 (de) 2006-10-15
EP1250508A1 (en) 2002-10-23
DK1250508T3 (da) 2007-01-29
DE60031169D1 (de) 2006-11-16
NO315621B1 (no) 2003-09-29
KR100714547B1 (ko) 2007-05-08
AU1709701A (en) 2001-07-24
NO20023065L (no) 2002-09-13
FI20000072A0 (fi) 2000-01-14
NO20023065D0 (no) 2002-06-25
JP2003519737A (ja) 2003-06-24
HK1050723A1 (en) 2003-07-04
CN1402809A (zh) 2003-03-12
EP1250508B1 (en) 2006-10-04
WO2001051749A1 (en) 2001-07-19
FI107952B (sv) 2001-10-31
AU765155B2 (en) 2003-09-11
DE60031169T2 (de) 2007-10-04
CN1152188C (zh)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3514A (en) Ceiling system for small buildings
US20070289226A1 (en) Window backdam assembly for preventing water intrusion
JPH11280214A (ja) 天窓組立体
EP1925761B1 (en) Window and insulating frame kit
KR100714547B1 (ko) 프레임 구조물
EP3404162A1 (en) A roof window installed in an inclined roof structure with a flash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weather proofing a roof window
US3869837A (en) Awning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
US2985262A (en) Wall panel
JPH0311292Y2 (ko)
KR101962423B1 (ko) 곡면 커튼월 창호 프레임의 단열 구조
JP7091849B2 (ja) 天窓の交換方法
JPH06240782A (ja) 通気壁パネル
JPH041267Y2 (ko)
JP2758842B2 (ja) 水切り板の取付構造
JPS636350Y2 (ko)
EP3404161A1 (en) A flash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weather proofing a roof window mounted in an inclined roof surface
JPH0681420A (ja) 天井構造
JP2024034425A (ja) ブラインドボックスの設置構造
JPH0827911A (ja) 外壁下端部と窓枠下端部の高さ調整装置
JPS5938866Y2 (ja) 出窓
JPS624148Y2 (ko)
JP4567864B2 (ja) 出窓ユニットおよび出窓ユニットの施工方法
JP2500042B2 (ja) ド―マ―のゲ―ブル取付け構造
JPH1122129A (ja) 階段支持構造
GB2294066A (en) Supporting window frames in open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