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473A - 상이한 전위를 가지며 진동을 받는 부품 연결용 장치 - Google Patents

상이한 전위를 가지며 진동을 받는 부품 연결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473A
KR20020081473A KR1020027012390A KR20027012390A KR20020081473A KR 20020081473 A KR20020081473 A KR 20020081473A KR 1020027012390 A KR1020027012390 A KR 1020027012390A KR 20027012390 A KR20027012390 A KR 20027012390A KR 20020081473 A KR20020081473 A KR 20020081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using
section
pole housing
plastic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6206B1 (ko
Inventor
바우어페터-요제프
로트토마스
벡커라이너
슈페트미하엘
마이어크리스티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81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Linear Motor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이한 전위를 가지며 진동을 받는 부품, 특히 전기 모터(1)의 극 하우징(8)을 자동차의 클러치 조절기 내에서 전자 제어 장치(6)의 하우징(4)과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부품 사이를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 접촉 수단(30) 및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2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계적 연결을 위한 수단이, 제 1 부품(2, 4, 6)의 개구(16)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링(26) 및, 제 2 부품(1, 8)에 형성된 핀형 고정 섹션(14)을 포함하며, 제 2 부품(1, 8)의 핀형 고정 섹션(14)이 제 1 부품(2, 4, 6)의 개구(16) 내에 삽입됨으로써, 플라스틱 링(26)은 양 부품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마찰 결합을 일으켜 압착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전기 접촉 수단(30)은 서로 맞물려질 수 있다.

Description

상이한 전위를 가지며 진동을 받는 부품 연결용 장치{Device for connecting components with various electrical potentials and subject to vibration}
DE 197 01 739 A1에는 자동차 클러치의 커플링 및 디커플링을 위한 커플링 조절기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기는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길쭉한 전기 모터를 구비한다. 전기 모터 및 전자 제어 장치는 자동차 진동에 노출되며, 특히 클러치 조절기가 트랜스미션에 직접 고정될 때 큰 진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품 사이의 기계적 연결은 영구적으로 내진동성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전기 모터 및 전자 제어 장치는 전류가 흐르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간섭원(source of interference)이며 상기 간섭원은 상호적이고 자동차의 다른 전기 부품에 영향을 준다. 예컨대 전기 모터의 극 하우징은, 전자 제어 장치가 내장된 하우징과는 다른 전위를 가지므로, 전위차에 의해 전자기장은 방사된다. 상기의 이유로 상기와 같은 부품들은, 상호간에 또한 다른 부품들에 대해서 전자기적으로 호환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라, 상이한 전위를 가지며 진동을 받는 부품, 특히 전기 모터의 극 하우징을 자동차의 클러치 조절기 내에서 전자 제어 장치의 하우징과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도 2의 I-I 선상에서 절취된 고정 플레이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자동차 클러치 조절기의 부분인 전자 제어 장치 및 전기 모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고정 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섹션 Z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섹션 Y의 확대도.
양 부품 사이의 힘은 실제로 플라스틱 링을 통해서만 전달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고정 섹션 및 개구 사이에 플라스틱 링이 압입됨으로써 한편으로는 충분히 정적인 강성의 연결이 이뤄지고 다른 한편으로 플라스틱 재료에는 탄성이 남아 있기 때문에 변형이 보상될 수 있으므로 영구적으로 내진동성을 갖는 연결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의 휘는 성질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양 부품은 서로 전체적으로 진동이 분리되며, 부품 사이의 본체 잡음 전달이 방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별 부품으로 구성된 기계 구조의 댐핑은 주로, 개별 부품의 연결 지점에 발생된 댐핑을 통해 제한된다. 플라스틱 재료는 공지된 바와 같이 양호한 댐핑 특성을 가지므로 플라스틱 링을 이용하여, 분리 여기된 진동을 통해 발생된 공명 탄성은 감소될 수 있다.
전기 접촉 수단은, 고정 섹션의 반경 방향 외부 원주면 및, 플라스틱 링이 압입된 개구의 반경 방향 내부 원주면 사이의 틈을 덮으며, 이로써 부품들 사이의 전위를 보상하고 상기 부품들 상호간 및 다른 부품에 대한 전자기식 호환성을 돕는다.
기계식 연결을 이루며, 힘을 전달하는 플라스틱 링과 전기 접촉 수단이 하나의 조립 단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라 결합됨으로써, 즉 하나의 부품의 고정 섹션을 다른 하나의 부품의 개구 내에 삽입함으로써,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이 동시에 실현될 수 있다.
종속항에 기재된 조치를 통해 제 1 항에 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 및 개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부품은 전기 전도성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으로 구성된 고정 플레이트 및, 자동차 클러치의 커플링, 디커플링을 위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나의 단부에 고정되며 마찬가지로 전기 전도성인, 클러치 조절기의 전자 제어 장치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고정 플레이트의 다른 단부에는 슬리브 내에 개구가 형성된다. 제 2 부품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극 하우징을 포함하는 클러치 조절기의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자 제어 장치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극 하우징은 고정 플레이트의 동일한 면에 대해 적은 간격으로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동일한 구성을 통해 길다란 전기 모터 및 전자 제어 장치는 특히 컴팩트한 유닛을 형성하며 상기 유닛은 클러치 조절기 하우징 내에서 공간을 줄이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기 접촉 수단은 고정 플레이트의 개구의 반경 방향 내부 원주면에 형성된 림을 포함하며, 원주 방향 간격을 갖고 개구의 원주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걸쳐 배열되고 반경 방향 내부로 연장되며 자유 단부에는 각각 얇은 핀치 립이 제공된 텅이 제공되고, 핀치 립은 고정 섹션을 개구에 삽입하는 동안 고정 섹션의 외부 원주에 지지될 수 있으므로 반경 방향으로 작게 압축될 수 있다. 이로써 생긴 핀치 립의 탄성 및/또는 플라스틱 변형으로 인해, 확실한 전기 전도성 접촉이 이뤄지므로 낮은 임피던스의 연결이 생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며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클러치 조절기에 의해 자동차 클러치를 커플링 및 디커플링하기 위해, 도 1에는 축적상의 이유로 단지 하나의 길다란 전기 모터(1) 및, 평평한 고정 플레이트(2)에 의해 상기 전기 모터에 고정되는 전자 제어 장치(6)의 하우징(4)이 도시되며,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전기 모터(1)를 제어한다. 전기 모터(1)의 외부 슬리브는 금속으로 된 원통형 극 하우징(8)으로 구성되며 고정 플레이트(2)에 대향 배열된 하우징의 단부(10)는 숄더부(12)를 포함하고, 이로써 직경이 감소된 핀형 고정 섹션(1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섹션은 예컨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극 하우징(8)의 핀형 고정 섹션(14)은 예컨대 고정 플레이트(2)의 단부에 형성된 슬리브(18)의 관통 개구(16)로 돌출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2)는 전기 전도성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2)의 다른 단부에는 장공(20)이 제공되는데, 이는 전자 제어 장치(6)의 하우징(4) 내에 조여진 고정 나사(22)를 관통할 수 있기 위함이다. 전자 제어 장치(6) 및 전기 모터(1)는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고정 플레이트(2)의 동일한 면에 적은 간격을 두고서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실제로 고정 플레이트의 경로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한다.
도 3에 따른 확대된 섹션 Z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8)의 반경 방향 내부 원주면(25)은 극 하우징(8)의 자유 단부(10)로부터 떨어진 숄더부(24)를 포함하며 상기 숄더부에는 플라스틱 링(26)이 프레스되고 상기 플라스틱 링의 내부 직경은 극 하우징(8)의 숄더부(12)의 영역 내에 있는 고정 섹션(14)의 외부 직경보다 작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8)의 반경 방향 내부 원주면(25)에서 부가적으로 림(30)은, 주로 원주 간격 하에 슬리브(18)의 대부분에 걸쳐서 배열되고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해 연장된 텅(3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텅의 자유 단부에는, 도 4에 따라 확대된 섹션 Y에서 가장 잘 도시되는 각각 하나의 얇은 핀치 립(33)이 제공된다. 플라스틱 링(26) 및 림(30)은 적은 축방향 간격을 두고 앞뒤로 또는 서로 나란히 슬리브(18)의 개구(16) 내에 배열된다(도 3).
조립을 위해, 극 하우징(8)의 핀형 고정 섹션(14)은 슬리브(18)의 개구(16) 내에 눌러지므로, 플라스틱 링(26)은 반경 방향으로 압축된다. 상기 플라스틱 링(26)을 통해 극 하우징(8)은 마찰 결합으로 고정 플레이트(2)에 진동이 없이 지지된다. 또한 고정 섹션(14)을 개구(16) 내에 삽입함으로써, 림(30)의 핀치 립(33)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섹션(14)의 외부 원주면(34)에 선 접촉되며, 반경 방향으로 작게 압축된다. 상기의 방식으로 조립시 플라스틱 링(26)에 의한 기계적 연결 외에도 동시에, 극 하우징(8)과 고정 플레이트(2) 사이의 전기전도성 콘택이 제조된다. 기능적인 관점에서, 즉 극 하우징(8) 및 고정 플레이트(2) 사이의 기계 및 전기 연결에 대해서 플라스틱 링(26) 및 림(30)은 평행하게 접속된다.
주로 조립된 상태시, 극 하우징(8)의 숄더부(12)를 향해 있는 슬리브(18)의 정면(36)은 극 하우징(8)을 접촉하지 않으므로, 고정 플레이트(2)의 개구(16)의 반경 방향 내부 원주면(25) 및 극 하우징(8)의 고정 섹션(14)의 반경 방향 외부 원주면(34) 사이에 형성된 환형 틈(40)은 림(30)을 통해서만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되는 반면, 플라스틱 링(26)은 절연되게 작용한다. 이로써 고정 플레이트(2)의 림(30)을 통해, 극 하우징(8) 및 전자 제어 장치(6)의 하우징(4) 사이는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되므로, 전기 모터(1)의 작동 사이의 전위 보상은 극 하우징(8)의 전위 및 이에 대한 전자제어 장치(6)의 하우징(4)의 다른 전위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조치를 통해 극 하우징(8)은 전자기식으로 호환되는 방식으로 전자 제어 장치(6)의 하우징(4)과 연결된다.
대체 실시예에 따라, 극 하우징(8)의 고정 섹션(14)은 원통형 대신에 극 하우징(8)의 자유 단부에 대해 가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섹션(14) 및 슬리브(18)의 할당된 개구(16)는 원통형 대신에 예컨대 직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또는 각각 다른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플라스틱 링(26) 및 림(30)의 윤곽은 각각의 횡단면 경로에 맞게 맞춰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수의 플라스틱 링(26) 또는 림(30)이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모터(1)와 클러치 조절기의 전자 제어 장치(6) 사이의 연결에 대해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이한 전위를 포함하는 부품들과 서로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0)

  1. 상이한 전위를 가지며 진동을 받는 부품, 특히 전기 모터(1)의 극 하우징(8)을 자동차의 클러치 조절기 내에서 전자 제어 장치(6)의 하우징(4)과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부품 사이를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 접촉 수단(30) 및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26)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계적 연결을 위한 수단은, 제 1 부품(2, 4, 6)의 개구(16)에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링(26) 및, 제 2 부품(1, 8)에 형성된 핀형 고정 섹션(14)을 포함하며, 제 2 부품(1, 8)의 핀형 고정 섹션(14)이 제 1 부품(2, 4, 6)의 개구(16) 내에 삽입됨으로써, 플라스틱 링(26)은 양 부품 사이에 마찰 결합을 일으켜서 반경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전기 접촉 수단(30)이 서로 맞물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품은 전기 전도성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으로 구성된 고정 플레이트(2)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단부에 고정되며 마찬가지로 전기 전도성인 전자 제어 장치(6)의 하우징(4)을 포함하고, 고정 플레이트(2)의 다른 단부에서 개구(16)는 슬리브(18)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8)의 반경 방향 내부 원주면(25)에는 숄더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숄더부 내에 플라스틱 링(26)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품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극 하우징(8)을 포함하는 클러치 조절기의 전기 모터(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6)를 지지하는 하우징(4) 및 극 하우징(8)은, 고정 플레이트(2)의 동일한 면에 적은 간격을 두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극 하우징(8)은 고정 플레이트(2)에 대해 대향된 단부(10)에 숄더부(12)를 포함하므로, 직경이 감소된 핀형 고정 섹션(14)이 형성되며 상기 섹션은 바람직하게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링(26)은 조립된 상태시, 고정 섹션(14)의 반경 방향 외부 원주면(34) 및 개구(16)의 반경 방향 내부 원주면(25) 사이의 환형 틈(40)에서 프레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전기 접촉 수단은, 고정 플레이트(2)의 개구(16)의 반경 방향 내부 원주면(25)에 형성된 림(30)을 포함하며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개구(16)의 원주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걸쳐서 배열되고 반경 방향으로 내부쪽으로 연장된 텅(32)을 포함하며, 상기 텅의 자유 단부에는 각각 하나의 얇은 핀치 립(33)이 제공되고, 상기 립은 고정 섹션(14)이 개구(16) 내에 삽입되는 동안 고정 섹션(14)의 외부 원주면(34)에 접할 수 있으므로 반경 방향으로 작게 압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링(26) 및 림(30)은 개구(16) 내에 적은 축방향 간격을 두고 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극 하우징(8) 및 고정 플레이트(2) 사이는 림(30)을 통해서만 전기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7012390A 2000-03-22 2001-01-20 상이한 전위를 가지며 진동 부하를 받는 부품 연결용 장치 KR100756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4227.3 2000-03-22
DE10014227A DE10014227A1 (de) 2000-03-22 2000-03-22 Vorrichtung zur Verbindung schwingungsbelasteter, unterschiedliche elektrische Potenziale aufweisender Komponen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473A true KR20020081473A (ko) 2002-10-26
KR100756206B1 KR100756206B1 (ko) 2007-09-07

Family

ID=763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390A KR100756206B1 (ko) 2000-03-22 2001-01-20 상이한 전위를 가지며 진동 부하를 받는 부품 연결용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722907B2 (ko)
EP (1) EP1275193B1 (ko)
JP (1) JP4546689B2 (ko)
KR (1) KR100756206B1 (ko)
CN (1) CN1204675C (ko)
AT (1) ATE464689T1 (ko)
BR (1) BR0109344A (ko)
CZ (1) CZ20023052A3 (ko)
DE (2) DE10014227A1 (ko)
WO (1) WO2001071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0139B1 (ja) * 2015-03-04 2016-07-13 Smk株式会社 電子機器の振動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099A (en) * 1985-02-26 1987-04-07 Tri-Tech, Incorporated Noiseless stepper motor
US4648579A (en) * 1985-06-10 1987-03-10 Wilson John D Cushioned mounting arrangement for a motor housing
DE3838285C2 (de) * 1988-11-11 1996-09-12 Teves Gmbh Alfred Elektromotor, insbesondere elektrischer Kleinmotor zum Antrieb von Scheibenwischeranlagen in Kraftfahrzeugen
DE59102373D1 (de) * 1991-07-31 1994-09-01 Siemens Ag Motorischer Fensterheber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DE4337390C3 (de) * 1993-10-26 1999-06-24 Brose Fahrzeugteile Antriebseinheit für Verstellsysteme in Kraftfahrzeugen
GB2284246B (en) * 1993-10-28 1998-04-29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Vibration isolator for motor
DE19701739A1 (de) 1997-01-20 1998-07-23 Bosch Gmbh Robert Stellvorrichtung
DE19832015B4 (de) * 1997-08-06 2012-11-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DE19800707A1 (de) * 1998-01-10 1999-07-15 Mannesmann Vdo A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19851455A1 (de) * 1998-02-05 1999-08-12 Bosch Gmbh Robert Elektronikmodul für eine elektromotorisch betriebene Antriebseinheit
US6227901B1 (en) * 1998-07-10 2001-05-0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Motor boot for a circuit board
US6379169B1 (en) * 2000-08-07 2002-04-30 Dsm & T Co. Inc. Electrical plug housing
US6453545B1 (en) * 2000-12-06 2002-09-24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act inflatable device for applying localized pressure to turbine generator armature ba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1889A1 (de) 2001-09-27
JP4546689B2 (ja) 2010-09-15
ATE464689T1 (de) 2010-04-15
JP2003528556A (ja) 2003-09-24
KR100756206B1 (ko) 2007-09-07
CN1204675C (zh) 2005-06-01
CZ20023052A3 (cs) 2003-04-16
US20030032323A1 (en) 2003-02-13
US6722907B2 (en) 2004-04-20
DE10014227A1 (de) 2001-09-27
EP1275193A1 (de) 2003-01-15
CN1419730A (zh) 2003-05-21
EP1275193B1 (de) 2010-04-14
DE50115433D1 (de) 2010-05-27
BR0109344A (pt) 200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8410B2 (en) Motor having shaft-grounding arrangement
CN110771017B (zh) 具有壳体的电驱动单元
US7755232B2 (en) DC motor with suppressor
US8264313B2 (en) Linear solenoid for vehicle
JPH0776575B2 (ja) 車両部分を弾性的に結合し特にサブフレームを車体に結合する支持ブラケット
US7558397B2 (en) Condenser microphone
KR20010101482A (ko) 전기식 구동 유니트
US5131857A (en) Power strip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in common to a plurality of electrically actuatable unit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6279381B1 (en) Vibration pickup with pressure sheath
US20090251266A1 (en) Mounting device for a coil
US4922149A (en) Electric motor device
KR20020081473A (ko) 상이한 전위를 가지며 진동을 받는 부품 연결용 장치
US11799349B2 (en) Motor
CN112585376B (zh) 用于盲孔的支承套和用于车辆的转向机构悬置装置
US11128079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for holding obliquely wound spring
EP0940906A2 (en) Housing structure of electric motor
US20190305656A1 (en) Motor
CN113541404B (zh) 电子换向电动机、制动设备和制造电子换向电动机的方法
JP6572189B2 (ja) 樹脂成形体
US6864609B2 (en) Low noise motor with one-piece frame and torsion flux ring
TW423196B (en) Housing for electric motor
CN116508242A (zh) 带有电气的滑动触点的电机
US20190363604A1 (en) Connection plate for an electric machine
KR102162398B1 (ko) 스피커와 기판의 접속장치
CN216161545U (zh) 引线组件、超导磁体和磁共振成像扫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