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187A -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187A
KR20020081187A KR1020020059278A KR20020059278A KR20020081187A KR 20020081187 A KR20020081187 A KR 20020081187A KR 1020020059278 A KR1020020059278 A KR 1020020059278A KR 20020059278 A KR20020059278 A KR 20020059278A KR 20020081187 A KR20020081187 A KR 20020081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molded article
mixture
molding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7086B1 (ko
Inventor
이강희
Original Assignee
이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희 filed Critical 이강희
Priority to KR10-2002-005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0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1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2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combinations of reinforcements, e.g. non-specified reinforcements, fibrous reinforcing inserts and fillers, e.g. particulate filler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or non-filled layers
    • B29C70/026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combinations of reinforcements, e.g. non-specified reinforcements, fibrous reinforcing inserts and fillers, e.g. particulate filler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or non-filled layers and with one or more layers of pure plastics material, e.g. foam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성형품의 제조 중에 성형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성형용 수지에 감온색소(感溫色素)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하여 성형품이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될 수 있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감온색소 10 내지 50중량%와 유색안료 50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혼합된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성형용 수지 20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충진제를 포함하는 성형혼합물과, 상기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및 70 내지 90중량%의 성형용 수지를 포함하는 피복혼합물을 사용하여 세면기나 욕조 등의 물품으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을 제공하며, 또한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Synthetic resin mold having color-changing character according to ambient tempera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합성수지 성형품의 제조 중에 성형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성형용 수지에 감온색소(感溫色素)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하여 성형품이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될 수 있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 등 인간이 거주하는 건물 내에 세면기, 욕조 등의 사용상의 편의를 위한 내장재에서 이들 용도에 따른 형상으로 성형된 합성수지 성형품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합성수지 성형품들은 고래로부터 사용되던 용기 형태의 물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과 기능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종래 목재, 금속 또는 석재로 성형되어 사용되던 것들을 화학공업의 발달로 인하여 내수성, 발수성 및 성형성 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대체된 것이다.
특히, 합성수지 성형품은 합성수지의 우수한 성형성과 착색성 등으로 최근 들어 그 사용의 폭이 확대되고 있다.
합성수지 성형품의 제조에는 통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같은 열경화성수지가 성형용 수지로 주로 사용된다. 열경화성수지는 초기 가열에 의하여 경화될 수 있으며, 일단 경화된 후에는 재가열에 의하여 다시 연화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히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합성수지 성형품에는 성형용 수지에 충진제와 안료를 가하여 주형(mold)에서 성형하여 성형품으로 제조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충진제로는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백운석, 탄산칼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충진제가 사용될 수 있다. 충진제는 성형용 수지와 혼합되어 성형용 수지의 사용량을 줄이고, 기계적 성질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안료로는 상용화된 거의 모든 종류의 유색안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청결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흰색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이산화티탄(TiO2)와 같은 유색안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 성형품에 원하는 색상을 나타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합성수지 성형품의 경우에는 초기 제작에서 발색된 색상으로만 한정되기 때문에 사용상에 있어서 단조로움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청결감을 강조하다 보니 지나치게 흰색 위주의 제품으로 한정되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청색 또는 대리석 질감의 색상 등을 부여하는 경우도 있으나, 역시 초기에 부여된 색상으로 고정되어 사용상에 있어서 단조로움을준다는 점에서는 거의 개선된 효과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합성수지 성형품이 세면기나 욕조 등의 경우와 같이 직접 인체에 접촉하는 물을 담고 있는 경우, 특히 김이 많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온을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전에 손을 잠깐 담가 수온을 피부로 직접 느낄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특히 수온 등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욕조 등의 합성수지 성형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합성수지 성형품의 제조과정에서 성형용 수지에 감온색소를 포함시켜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은, 감온색소 10 내지 50중량%와 유색안료 50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혼합된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성형용 수지 20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충진제를 포함하는 성형혼합물과, 상기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및 70 내지 90중량%의 성형용 수지를 포함하는 피복혼합물을 사용하여 세면기나 욕조 등의 물품으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감온색소는 전자공여성물질(발색성분)로서 2,2-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2,2-dibutylamino-6-methyl-7-anilinofluorane), 2,2-부틸이소아밀-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2,2-butylisoamyl-6-methyl-7-anilinofluorane), 3,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3,3-dibutylamino-6-methyl-7-anilinofluorane), 3,3,-디메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3,3-dimethylamino-6-methyl-7-anilinofluorane) 등이 전자수용성물질(현색제)로서 비스페놀-에이(Bisphenol-A), 비스페놀-에스(Bisphenol-S) 등의 페놀계 화합물과 파라-히드록시벤질벤조익애시드(p-hydroxy benzyl benzoic acid), 파라페닐페놀(p-phenyl phenol) 및 산성 백토 등과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감온색소에는 파라벤질비페닐(PBBP), 벤질옥시나프탈렌(BON),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등이 증감제로서 더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로서는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백운석, 탄산칼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은, 유색안료 10 내지 30중량%, 성형용 수지 20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충진제를 포함하는 성형혼합물과, 감온색소 10 내지 50중량%와 유색안료 50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혼합된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및 70 내지 90중량%의 성형용 수지를 포함하는 피복혼합물을 사용하여 세면기나 욕조 등의 물품으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수지 성형품은 서로 다른 감온색소와 유색안료의 혼합비를 갖는 2가지 이상의 피복혼합물로 성형품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피복하여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은,(1) 성형품의 외형을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몰드에 이형왁스를 도포하는 몰드준비단계; (2) 감온색소 10 내지 50중량%와 유색안료 50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혼합된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성형용 수지 20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충진제를 포함하는 성형혼합물과 상기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및 70 내지 90중량%의 성형용 수지를 포함하는 피복혼합물을 각각 혼합에 의하여 준비하는 혼합물준비단계; (3) 준비된 피복혼합물을 몰드에 스프레이도장 또는 붓도장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코팅하는 피복코팅단계; (4) 피복코팅된 몰드를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후, 열경화 또는 자연경화에 의하여 경화시키는 피복경화단계; (5) 피복된 몰드 내에 상기 성형혼합물을 투입하고, 진동을 가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 (6) 몰드내에서 성형품이 일정한 강도를 갖도록 경화시키는 초기경화단계; 및 (7) 몰드로부터 이형된 성형품을 경화시키는 재경화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2)의 혼합물준비단계에서 피복혼합물에만 감온색소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2)의 혼합물준비단계에서 피복혼합물을 서로 다른 감온색소와 유색안료의 혼합비를 갖는 2가지 이상의 피복혼합물로 준비하고, 이들 2가지 이상의 피복혼합물들을 상기 (3)의 피복코팅단계에서 상기 2가지 이상의 피복혼합물들이 서로 구분되어 피복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은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감온색소를 유색안료와 함께 성형용 수지에 혼합시켜 성형품을 제조함으로써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이 가능하게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은 감온색소 10 내지 50중량%와 유색안료 50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혼합된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성형용 수지 20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충진제를 포함하는 성형혼합물과, 상기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및 70 내지 90중량%의 성형용 수지를 포함하는 피복혼합물을 사용하여 세면기나 욕조 등의 물품으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색제를 구성하는 상기 감온색소는 주변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역적으로 변하는 것으로서, 최근 건물용의 변색도료나 직물지 등에 적용된 사례가 잇따라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자공여성물질과 전자수용성 물질은 특정 분위기 중에서의 전자의 주고받음에 의하여 변색되는 착색성 안료를 특별히 지칭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온색소는 전자공여성물질과 전자수용성물질을 함께 포함하도록 하여 마이크로캡슐화시킨 것들이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하여 상용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것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품화된 것으로는 '로이코염료'로 일반적으로 칭하여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는 전자공여성물질 즉, 발색성분으로서 2,2-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2,2-dibutylamino-6-methyl-7-anilinofluorane), 2,2-부틸이소아밀-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2,2-butylisoamyl-6-methyl-7-anilinofluorane), 3,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3,3-dibutylamino-6-methyl-7-anilinofluorane), 3,3,-디메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3,3-dimethylamino-6-methyl-7-anilinofluorane) 등이 전자수용성물질 즉, 현색제로서비스페놀-에이(Bisphenol-A), 비스페놀-에스(Bisphenol-S) 등의 페놀계 화합물과 파라-히드록시벤질벤조익애시드(p-hydroxy benzyl benzoic acid), 파라페닐페놀(p-phenyl phenol) 및 산성 백토 등과 혼합되어 전자의 주고받음에 의하여 발색 및 소색이 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는 증감제로서 파라벤질비페닐(PBBP), 벤질옥시나프탈렌(BON),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등이 더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표명으로서는 벤조일 로이코메틸렌블루, 크리스탈 바이올렛-락톤, 피에스디-150(PSD-150), 피에스디-180(PSD-180), 오디비-원(ODB-I), 오디비-투OBB-II), 에스-205(S-205), 티에이취-51(TH-51), 티지-21(TG-21), 티지-31(TG-31)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감온색소들은 예시적으로 나열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며, 당업자에게는 상용화된 여러 감온색소들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제를 구성하는 다른 하나의 성분으로서의 유색안료로는 상용화된 거의 모든 종류의 유색안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청결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흰색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이산화티탄(TiO2)와 같은 유색안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 성형품에 원하는 색상을 나타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진제로서는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백운석, 탄산칼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성형용 수지와 혼합되어 성형용 수지의 사용량을 줄이고, 기계적 성질을 높이는 역할을한다.
상기 성형용 수지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통상의 열경화성수지들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성형용 수지에는 경화를 촉진하기 위한 경화촉진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촉진제를 포함하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성형용 수지 역시 국내외 유수의 업자들에 의하여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성형혼합물의 경우, 착색제가 10 내지 30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착색제가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착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용 수지나 충진제의 함량에 영향을 주어 수득되는 성형품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착색제 중의 감온색소에 대한 유색안료의 혼합비에서 감온색소가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수득되는 성형품에서 주변온도에 따른 변색효과가 충분치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50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효과에는 큰 지장이 없으나, 유색안료에 의한 원제품의 색상이 불충분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용 수지가 2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수지성분이 불충분하여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40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충진제의 사용량을 줄여 기계적 강도의 저하 및 수지의 과다사용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은, 유색안료 10 내지 30중량%, 성형용 수지 20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충진제를 포함하는 성형혼합물과, 감온색소 10 내지 50중량%와 유색안료 50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혼합된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및 70 내지 90중량%의 성형용 수지를 포함하는 피복혼합물을 사용하여 세면기나 욕조 등의 물품으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서 수득되는 성형품의 경우, 감온색소가 성형품의 표면에만 집중적으로 분포하게 되며, 변색효과에서의 큰 차이 없이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성형품을 경제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성형품은 서로 다른 감온색소와 유색안료의 혼합비를 갖는 2가지 이상의 피복혼합물로 성형품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피복하여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무늬의 형성은 붓도장 등의 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무늬를 성형품의 표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은, (1) 성형품의 외형을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몰드에 이형왁스를 도포하는 몰드준비단계; (2) 감온색소 10 내지 50중량%와 유색안료 50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혼합된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성형용 수지 20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충진제를 포함하는 성형혼합물과 상기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및 70 내지 90중량%의 성형용 수지를 포함하는 피복혼합물을 각각 혼합에 의하여 준비하는 혼합물준비단계; (3) 준비된 피복혼합물을 몰드에 스프레이도장 또는 붓도장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코팅하는 피복코팅단계; (4) 피복코팅된 몰드를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후, 열경화 또는 자연경화에 의하여 경화시키는 피복경화단계; (5) 피복된 몰드 내에 상기 성형혼합물을 투입하고, 진동을 가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 (6) 몰드내에서 성형품이 일정한 강도를 갖도록 경화시키는 초기경화단계; 및 (7) 몰드로부터 이형된 성형품을 경화시키는 재경화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몰드준비단계에서는 성형품의 외형을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몰드에 이형왁스를 도포하는 것으로서, 성형 후 성형품의 이형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2)의 혼합물준비단계에서는 성형혼합물과 피복혼합물을 각각 준비함에 있어서, 성형혼합물은 감온색소 10 내지 50중량%와 유색안료 50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혼합된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성형용 수지 20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충진제를 고르게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피복혼합물은 상기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및 70 내지 90중량%의 성형용 수지를 고르게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3)의 피복코팅단계에서는 성형품의 표면을 구성하게 되는 피복혼합물을 선행적으로 몰드에 적용시키는 단계로서, 성형 후, 이 피복코팅단계에서 피복된 피복조성물이 성형품의 표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피복코팅단계에서의 피복코팅은 점질, 액상의 피복혼합물을 통상의 스프레이도장 또는 붓도장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몰드에 코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4)의 피복경화단계에서는 일단 피복코팅된 몰드를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후, 열경화 또는 자연경화에 의하여 경화시켜 표면을 완성시키는 것으로서, 후속하는 성형혼합물의 투입시 성형혼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5)의 성형단계에서는 실질적으로 성형품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피복된 몰드 내에 상기 성형혼합물을 투입하고, 진동을 가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성형단계에 의하여 몰드가 성형혼합물로 채워지고, 성형 후, 이형하게 되면 완전한 성형품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6)의 초기경화단계에서는 몰드로부터의 성형품의 이형 전에 성형품을 몰드내에서 일정한 강도를 갖도록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형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7)의 재경화단계는 몰드로부터 이형된 성형품을 완전히 경화시키는 단계로서, 이 재경화단계는 초기경화단계에서의 완전한 경화로 생략될 수도 있으나, 초기경화 후 완전경화 이전에 성형품을 몰드로부터 이형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용이하기 때문에 초기경화와 재경화로 구분하여 수행한다.
상기 (2)의 혼합물준비단계에서 피복혼합물에만 감온색소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수득되는 성형품의 경우, 감온색소가 성형품의 표면에만 집중적으로 분포하게 되며, 변색효과에서의 큰 차이 없이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성형품을 경제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2)의 혼합물준비단계에서 피복혼합물을 서로 다른 감온색소와 유색안료의 혼합비를 갖는 2가지 이상의 피복혼합물로 준비하고, 이들 2가지 이상의 피복혼합물들을 상기 (3)의 피복코팅단계에서 상기 2가지 이상의 피복혼합물들이 서로 구분되어 피복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소정의 무늬를 임의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무늬를 성형품의 표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세면기의 형상을 내부공간으로 갖는 몰드를 사용하여 세면기를 생산하였다. 몰드의 내면에 통상의 이형제로서 이형왁스를 도포하여 몰드를 준비하였다.
성형용 수지 90kg에 착색제(감온색소 : 유색안료 = 1 : 1) 10kg을 혼합하여 피복혼합물을 준비하고, 성형용 수지 30kg, 착색제 20kg 및 충진제로서 실리카 50kg을 혼합하여 성형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성형용 수지 성형용 수지로서는 대한민국 소재 세원화성주식회사의 상품 중 겔-코트용 폴리스타(상품명)를 피복혼합물의 제조에 사용하였고, 동일 회사의 마블용 폴리스타(상품명)를 성형혼합물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이들 폴리스타(상품명)에는 촉진제가 포함되어 있다. 착색제를 구성하는 유색안료로는 이산화티탄을 사용하였으며, 감온색소로는 상용화된 로이코염료계의 감온색소를 사용하였다.
상기 피복혼합물을 이형왁스가 도포된 몰드에 피복혼합물을 붓도장에 의하여 0.4㎜의 두께로 도포하고, 표면의 핀홀(작은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대기상태에서 8분간 방치하고, 50℃의 온도에서 약 15분간 가열하여 열경화시켰다.
열경화 후, 상기 성형혼합물을 부어넣고, 진동테이블에서 약 5분간 진동을 가하여 내부가 완전히 충진되도록 한 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여 초기경화를 시키고, 이형한 후, 다시 약 1시간 동안 상온에 방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품으로서의 세면기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욕조의 형상을 내부공간으로 갖는 몰드를 사용하여 욕조를 생산하였다. 몰드의 내면에 통상의 이형제로서 이형왁스를 도포하여 몰드를 준비하였다.
성형용 수지 90kg에 착색제(감온색소 : 유색안료 = 1 : 1) 10kg을 혼합하여 피복혼합물을 준비하고, 성형용 수지 30kg, 착색제 20kg 및 충진제로서 실리카 50kg을 혼합하여 성형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성형용 수지 성형용 수지로서는 대한민국 소재 세원화성주식회사의 상품 중 겔-코트용 폴리스타(상품명)를 피복혼합물의 제조에 사용하였고, 동일 회사의 마블용 폴리스타(상품명)를 성형혼합물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이들 폴리스타(상품명)에는 촉진제가 포함되어 있다. 착색제를 구성하는 유색안료로는 이산화티탄을 사용하였으며, 감온색소로는 상용화된 로이코염료계의 감온색소를 사용하였다.
상기 피복혼합물을 이형왁스가 도포된 몰드에 피복혼합물을 스프레이도장에 의하여 0.4㎜의 두께로 도포하고, 표면의 핀홀(작은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대기상태에서 8분간 방치하고, 50℃의 온도에서 약 15분간 가열하여 열경화시켰다. 스프레이도장은 몰드의 표면 위 30 내지 40㎝의 높이에서 분사하되, 전 표면에 1회 분사될 때까지 중복되는 곳이 없게 고르게 분사하였다.
열경화 후, 상기 성형혼합물을 부어넣고, 진동테이블에서 약 5분간 진동을 가하여 내부가 완전히 충진되도록 한 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여 초기경화를 시키고, 이형한 후, 다시 약 1시간 동안 상온에 방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성형품으로서의 욕조를 완성하였다.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성형품의 크기에 따라 붓도장 또는 스프레이도장 등 다양한 방법으로 피복혼합물을 사용하여 표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붓도장에 의하여 자유로이 무늬를 형성할 수도 있어 다양한 합성수지 성형품을 수득할 수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득된 성형품의 표면은 광택을 갖는 매끄러운 표면을 나타내며, 또한 성형품 중에 포함된 감온색소에 의하여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을 제공하며, 성형품의 표면이 광택을 갖는 매끄러운 표면을 나타내는,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유색안료 10 내지 30중량%, 성형용 수지 20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충진제를 포함하는 성형혼합물과 감온색소 10 내지 50중량%와 유색안료 50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혼합된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및 70 내지 90중량%의 성형용 수지를 포함하는 피복혼합물을 사용하여 세면기나 욕조 등의 물품으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수지 성형품은 서로 다른 감온색소와 유색안료의 혼합비를 갖는 2가지 이상의 피복혼합물로 성형품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피복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온색소가 전자공여성물질(발색성분)로서 2,2-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2,2-dibutylamino-6-methyl-7-anilinofluorane), 2,2-부틸이소아밀-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2,2-butylisoamyl-6-methyl-7-anilinofluorane), 3,3,-디부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3,3-dibutylamino-6-methyl-7-anilinofluorane), 3,3,-디메틸아미노-6-메틸-7-아닐리노플루오란(3,3-dimethylamino-6-methyl-7-anilinofluorane) 등이 전자수용성물질(현색제)로서 비스페놀-에이(Bisphenol-A), 비스페놀-에스(Bisphenol-S) 등의 페놀계 화합물과 파라-히드록시벤질벤조익애시드(p-hydroxy benzyl benzoic acid), 파라페닐페놀(p-phenyl phenol) 및 산성 백토 등과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합성수지 성형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온색소에 파라벤질비페닐(PBBP), 벤질옥시나프탈렌(BON),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 등이 증감제로서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합성수지 성형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로서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백운석, 탄산칼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합성수지 성형품.
  5. (1) 성형품의 외형을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몰드에 이형왁스를 도포하는 몰드준비단계;
    (2) 유색안료 10 내지 30중량%, 성형용 수지 20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충진제를 포함하는 성형혼합물과 감온색소 10 내지 50중량%와 유색안료 50 내지 90중량%의 범위로 혼합된 착색제 10 내지 30중량% 및 70 내지 90중량%의 성형용 수지를 포함하는 피복혼합물을 각각 혼합에 의하여 준비하는 혼합물준비단계;
    (3) 준비된 피복혼합물을 몰드에 스프레이도장 또는 붓도장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코팅하는 피복코팅단계;
    (4) 피복코팅된 몰드를 방치하여 기포를 제거한 후, 열경화 또는 자연경화에 의하여 경화시키는 피복경화단계;
    (5) 피복된 몰드 내에 상기 성형혼합물을 투입하고, 진동을 가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
    (6) 몰드내에서 성형품이 일정한 강도를 갖도록 경화시키는 초기경화단계; 및
    (7) 몰드로부터 이형된 성형품을 경화시키는 재경화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의 혼합물준비단계에서 피복혼합물을 서로 다른 감온색소와 유색안료의 혼합비를 갖는 2가지 이상의 피복혼합물로 준비하고, 이들 2가지 이상의 피복혼합물들을 상기 (3)의 피복코팅단계에서 상기 2가지 이상의 피복혼합물들이 서로 구분되어 피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합성수지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2002-0059278A 2002-09-30 2002-09-30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제조방법 KR10038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278A KR100387086B1 (ko) 2002-09-30 2002-09-30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278A KR100387086B1 (ko) 2002-09-30 2002-09-30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077A Division KR100387088B1 (ko) 2000-06-12 2000-06-12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187A true KR20020081187A (ko) 2002-10-26
KR100387086B1 KR100387086B1 (ko) 2003-06-18

Family

ID=2772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278A KR100387086B1 (ko) 2002-09-30 2002-09-30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0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7086B1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5948A (en) Simulated stone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3957943A (en) Method for producing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molded articles with decorative patterns and article produced thereby
US4233343A (en) Three-dimensional decorative surface
DE69529102D1 (de) Geschäumte Stärkezusammensetzungen, Gegenstände und Verfahren
CA1067266A (en) Molded articl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the dies therefor
CN105907321A (zh) 一种凹凸模内吸塑pvc贴标及其制备方法
KR100387086B1 (ko)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제조방법
KR100387088B1 (ko) 주변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제조방법
KR100744789B1 (ko) 자연무늬 및 색상 표현이 가능한 옻 도료 나무판재제조방법
US5278237A (en) Sculpturing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sculpturing a sculptured product
CN1064006C (zh) 青铜器仿制品的制作工艺
KR100266415B1 (ko) 표층에 입체감을 주는 인조석재의 제조 방법
KR19980023026A (ko) 물방울 무늬가 형성된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JP2564417B2 (ja) 模様付合成樹脂成形体
KR980002292A (ko) 장식판의 제조방법
KR930010209B1 (ko) 양각으로 조각되는 조각판재 및 그 성형틀의 제조방법
JPS59108036A (ja) シ−トモ−ルデイングコンパウンド
CN105907319A (zh) 一种凹凸模内吸塑贴标及其制备方法
KR20000018008A (ko) 물방울 장식무늬의 형성방법
SU1253828A1 (ru) Материал дл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и кожи
KR100650042B1 (ko) 형광색이 발현되는 욕조의 제조방법
KR101559325B1 (ko) 플라스틱 성형물에 자개를 무늬로 형성하는 방법
JP2001261852A (ja) ガラス繊維強化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成形材料
JPH0410908A (ja) 合成樹脂積層構造体の成形方法
KR19980035132A (ko) 비닐에스테르 겔 코팅(Vinyl Ester Gel Coating)을 이용한 색채욕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