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0788A -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방법 및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과 그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방법 및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과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0788A
KR20020080788A KR1020010020551A KR20010020551A KR20020080788A KR 20020080788 A KR20020080788 A KR 20020080788A KR 1020010020551 A KR1020010020551 A KR 1020010020551A KR 20010020551 A KR20010020551 A KR 20010020551A KR 20020080788 A KR20020080788 A KR 20020080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home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vices
additional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7466B1 (ko
Inventor
최문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466B1/ko
Priority to US09/985,827 priority patent/US20030018710A1/en
Priority to CN01130315A priority patent/CN1381969A/zh
Priority to AT01128007T priority patent/ATE293324T1/de
Priority to ES01128007T priority patent/ES2238376T3/es
Priority to DE60110037T priority patent/DE60110037T2/de
Priority to EP01128007A priority patent/EP1251658B1/en
Priority to JP2002043766A priority patent/JP4261111B2/ja
Publication of KR20020080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5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involving non-standard use of addresses for implementing network functionalities, e.g. coding subscription information within the address or functional addressing, i.e. assigning an address to a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복수개의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홈네트워크내의 특정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등록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그 홈네트워크내의 서비스 대상기기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1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전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의 수신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대상기기들이 속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서비스 대상기기의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는 응답신호가 수신된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서비스를 받기위해 등록한 기기와 유사한 기기가 추가되어 동일한 서비스를 받고하 하는 경우에 추가로 서비스 제공서버에 등록할 필요없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및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service with device in home network and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receiving service in homenetwor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서비스를 받기위해 등록한 기기의 정보에 의거하여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및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SOHO(small office home office) 또는 집에서 컴퓨터, 팩스, 모뎀, 전화기 등의 여러 대의 정보 통신기기 들이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가정뿐만 아니라 SOHO에 구축된 네트워크를 설명의 편의상 홈네트워크라 칭한다.
또한, 이러한 홈네트워크내의 기기들은 인터넷을 통하여 온라인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수 있다. 이를 위해, 홈네트워크내의 기기들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외부 서비스 제공서버에 가입 또는 탈퇴할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제공서버는 등록된 기기에 등록번호(Identification number)를 제공하고, 등록번호에 의거하여 등록여부를 관리하고, 등록된 기기에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등록번호(ID)는 각 기기에 부여되는 것으로서, 중복사용될수 없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서비스 제공서버가 홈네트워크의 기기단위로 등록여부를 처리하고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때문에 동일한 서비스 제공대상기기가 증가될 경우 관리 및 서비스 처리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입장에서는, 홈네트워크의 기존의 기기와 동종의 서비스를 받는 기기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그 때마다 일일이 서비스 제공서버에 추가 기기에 대해 등록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동종의 서비스를 받는 기기들중 일부가 제거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된다.
한편, 서비스 제공서버는 등록된 기기들을 ID로 관리하므로, 해커와 같이 나쁜 뜻을 품고 ID를 도용하고자 하는 자들에게 기기의 ID가 쉽게 노출되어 보안이 염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홈네트워크에 동종의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기기의 추가 또는 감소에 따른 관리부담을 억제시킬수 있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 및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내의 기기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1의 룩업 서버가 구비한 데이터 베이스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신호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RS: 서비스 제공서버 SR: 인터넷 접속 제공서버
LS: 룩업서버 1 ∼ n:홈네트워크
LD1 ∼ LDn: 제 1기기 ∼ 제 n기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홈네트워크내의 특정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등록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그 홈네트워크내의 서비스 대상기기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1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전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의 수신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대상기기들이 속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서비스 대상기기의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는 응답신호가 수신된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부가식별정보는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동일 기종의 기기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가식별정보는 적어도 서비스 대상 기기의 유형(type), 속성(property), 사용자이름(user name), 벤더(vender), 모델명(model name), 시리얼넘버(serial number)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는 일정 주기마다 반복하여 서비스 대상 기기에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시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의 기기들을 관리하고, 상기 홈네트워크의 외부에 있는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내의 기기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들의 ID와 사설(dynamic) IP어드레스를 저장한 제 2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의 수신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대상기기들의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기기가 있는지 판단하고, 해당하는 기기가 있으면, 상기 기기들의 ID를 IP어드레스로 변환하여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이 연결되어있는 홈네트워크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홈네트워크내의 특정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등록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그 홈네트워크내의 서비스 대상기기들의 부가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서비스를 제공하기전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의 수신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대상기기들이 속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서비스 대상기기의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는 응답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에서 그 기기들을 관리하는 룩업서버가 상기 홈네트워크의 외부에 있는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룩업서버는 상기 홈네트워크내의 기기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들의 ID와 사설(dynamic) IP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의 수신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대상기기들의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기기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기기가 있는 경우, 해당 기기들의 ID를 IP어드레스로 변환하여 상기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등록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그 홈네트워크내의 서비스 대상기기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서비스를 제공하기전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의 수신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대상기기들이 속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서비스 대상기기의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서버;및 상기 홈네트워크내의 기기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들의 ID와 사설(dynamic) IP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기기가 있는지 판단하고, 해당하는 기기가 있으면, 상기 기기들의 ID를 IP어드레스로 변환하여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홈네트워크내의 룩업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는 응답신호가 수신된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내의 기기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내의 기기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서버(RS), 인터넷 접속 제공서버(SR) 및 여러 개의 홈네트워크(1 ∼ n)가 인터넷(1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홈네트워크는복수개의 기기(LD1, LD2, … , LDn)와 룩업서버(LS)를 포함한다.
서비스 제공서버(Remote Server)(RS)는 홈네트워크의 외부에 존재하며, 인터넷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서비스 제공서버(RS)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 등록한 홈네트워크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서비스 제공서버(RS)는 푸시서비스를 제공한다. 푸시서비스란 이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서비스와 다르게, 푸시서비스를 받고자 등록한 특정 기기에 소정 주기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푸시서비스의 예로는 주기적으로 제공되는 "오늘의 운세", "주식정보", "날씨", "스포츠 이벤트"등과 같은 정보제공서비스가 있다.
또한, 일정한 시간이 되면 전등을 켜는 것과 같이 특정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비스도 있다.
서비스 제공서버(RS)는 서비스 대상이 되는 홈네트워크들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가 제공된다고 하는 통지 메시지(notify message)를 서비스 대상 홈네트워크들에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서버(RS)는 서비스를 받기로 등록한 홈네트워크들에 통지 메시지를 일정 기간동안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지 메시지는 서비스를 받기로 등록한 홈네트워크의 ID와 홈네트워크내의 서비스 대상 기기의 유형(type), 속성(property), 사용자이름(user name), 벤더(vender), 모델명(model name), 시리얼넘버(serial number) 등과 같이 기기와 관련된 정보중에서 미리 약속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바람직하게는 부가식별정보는 동일 기종의 기기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정보를 이용한다. 통지 메시지는 예를 들면, 유동태그를 갖는 XML형태로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통지 메시지가 전송된 홈네트워크들로부터 서비스를 받을수 있다는 내용의 "서비스가능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인터넷 접속 제공서버(SR)는 홈네트워크들에게 공인 IP어드레스(global IP address)를 할당하고, 홈네트워크의 ID(예를 들면, URL) 및 홈네트워크에 할당된 공인 IP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인터넷 접속서비스 제공서버(SR)는 서비스 제공서버(RS)로부터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통지 메시지에 기록되어 있는 홈네트워크가 등록된 홈네트워크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등록된 홈네트워크이면, 통지메시지의 홈ID를 해당 IP어드레스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홈네트워크의 룩업서버(LS)는 인터넷 접속서비스 제공서버(SR)로부터 통지메시지를 수신한다.
룩업 서버(LS)는 도 2와 같은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룩업 서버(LS)의 데이터베이스는 홈네트워크(1)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서버(RS)와 약속된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관련정보 예컨대, 그 기기들의 ID, 그 기기들에 할당된 사설 IP 어드레스, 유형(type), 속성(property), 사용자이름(user name), 벤더(vender), 모델명(model name), 시리얼넘버(serial number) 등의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등록테이블은 홈네트워크의 구성이 바뀔 때에 갱신된다.
또한, 룩업 서버(LS)는 인터넷 접속제공 서버(SR)에 홈네트워크의 ID 및 홈네트워크에 현재 할당되어 있는 공용 IP 어드레스를 등록하여 홈네트워크와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룩업서버(LS)는 수신된 통지메시지에 기록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기기가 있는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한다.
그리고, 통지메시지에 기록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기기가 있으면, 해당 기기들의 사설 IP 어드레스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해당 기기는 한개 또는 여러 개일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홈네트워크내의 기기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신호흐름도이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서버(RS)는 최신 연예가 뉴스와 스포츠뉴스를 주기적으로 제공해주는 서버이고, 서비스를 받기로 등록한 홈의 ID가 Samsung1이고, 서비스 대상 기기는 1280 x 720p의 해상도를 갖는 컴퓨터인 경우를 예로 든다.
서비스 제공서버(RS)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서비스 대상 기기의 부가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기기가 속한 홈네트워크의 ID를 기록하고 있는 통지 메시지를 인터넷 접속 제공서버(SR)에 전송한다(단계 402).
이 경우, 통지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NOTIFY … >
<Home Id>Samsung1</Home Id>
<Ld type, property> computer, Resolution 1280x720p</Ld type, property>
</NOTIFY>
그다음, 인터넷 접속 제공서버(SR)는 서비스 제공서버(RS)가 전송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한 통지메시지에 지정된 홈이 인터넷 접속 제공서버(SR)에 등록된 홈인지 확인한다(단계 404).
만약, 수신한 통지메시지에 지정된 홈이 인터넷 접속 제공서버(SR)에 등록된 홈이 아니면, "서비스 불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406).
단계 404에서 등록된 홈네트워크라고 판단되면, 인터넷 접속 제공서버(SR)는 통지메시지에 지정된 홈네트워크의 ID를 해당 홈의 IP어드레스로 변환하여(단계 408), 서비스 대상 기기의 유형과 속성정보와 그 기기가 속한 홈의 IP 어드레스를 담고 있는 통지메시지를 해당 홈에 전송한다(단계 410).
이 경우, 통지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NOTIFY … >
<Home IPaddress>111.222.333.444</Home IPaddress>
<Ld type, property> computer, Resolution 1280x720p</Ld type, property>
</NOTIFY>
그러면, 홈네트워크의 룩업서버(LS)는 인터넷 접속 제공서버(SR)가 전송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한 통지메시지에 지정된 기기의 부가식별정보에 의거하여 그 기기가 룩업서버(LS)에 등록된 기기인지 확인한다(단계 412).
만약, 수신한 통지메시지에 포함된 부가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기기가 룩업서버(LS)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서비스 불가"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서버(RS)에 전송한다(단계 414).
수신한 통지메시지에 포함된 부가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기기가 룩업서버(LS)에 등록되어 있으면, 부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기기의 ID를 구하고, 그 ID에 해당하는 사설 IP어드레스를 구한다.(단계 416).
만약, 기기의 부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기기가 2개이고, 각각의 ID가 PC1, PC2인 경우, ID가 PC1, PC2인 기기의 사설 IP 어드레스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얻는다. 그리고, 서비스 대상 기기들의 사설 IP어드레스로 통지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418).
이 경우, 통지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NOTIFY … >
<Home IPaddress>111.222.333.444</Home IPaddress>
<Ld IPaddress>xxx.xxx.xxx.xxx, △△△.△△△.△△△.△△△</Ld IPaddress>
</NOTIFY>
여기서, xxx.xxx.xxx.xxx는 PC1의 IP 어드레스이고, △△△.△△△.△△△.△△△는 PC2의 IP 어드레스이다.
그러면, 통지메시지를 수신받은 서비스 대상 기기들(즉, PC1, PC2)은 서비스 준비 프로그램을 구동하고(단계 420), 서비스를 제공받을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응답메시지(Result=SUCCESS, Reason=SERVICE_READY)를 서비스 제공서버(RS)에 전송한다(단계 422).
그러면, 서비스 제공서버(RS)는 서비스 대상 기기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424).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한정될 것이다.
이러한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홈네트워크단위로 등록된 동종기기에 대해서는 상호 구별을 위한 정보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게 됨으로써 관리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서비스 가입자는 등록된 기기와 유사한 기기가 추가되어 동일한 서비스를 받고하 하는 경우에 추가로 서비스 제공서버에 등록할 필요없어 편리하다.
그리고, 서비스등록시 발생된 기기의 ID로 인해, 기기의 정보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보안이 유지된다.

Claims (17)

  1. 복수개의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홈네트워크내의 특정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등록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그 홈네트워크내의 서비스 대상기기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 1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기전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의 수신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대상기기들이 속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서비스 대상기기의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는 응답신호가 수신된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식별정보는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동일 기종의 기기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식별정보는 적어도 서비스 대상 기기의 유형(type), 속성(property), 사용자이름(user name), 벤더(vender), 모델명(model name), 시리얼넘버(serial number)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일정 주기마다 반복하여 서비스 대상 기기에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시서비스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5. 복수개의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의 기기들을 관리하고, 상기 홈네트워크의 외부에 있는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내의 기기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들의 ID와 사설(dynamic) IP어드레스를 저장한 제 2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의 수신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대상기기들의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기기가 있는지 판단하고, 해당하는 기기가 있으면, 상기 기기들의 ID를 IP어드레스로 변환하여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식별정보는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동일 기종의 기기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식별정보는 적어도 서비스 대상 기기의 유형(type), 속성(property), 사용자이름(user name), 벤더(vender), 모델명(model name), 시리얼넘버(serial number)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일정 주기마다 반복하여 서비스 대상 기기에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시서비스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
  9. 복수개의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홈네트워크내의 특정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등록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그 홈네트워크내의 서비스 대상기기들의 부가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서비스를 제공하기전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의 수신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대상기기들이 속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서비스 대상기기의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이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는 응답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식별정보는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동일 기종의 기기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식별정보는 적어도 서비스 대상 기기의 유형(type), 속성(property), 사용자이름(user name), 벤더(vender), 모델명(model name), 시리얼넘버(serial number)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일정 주기마다 반복하여 서비스 대상 기기에 특정 서비스를제공하는 푸시서비스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복수개의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에서 그 기기들을 관리하는 룩업서버가 상기 홈네트워크의 외부에 있는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룩업서버는 상기 홈네트워크내의 기기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들의 ID와 사설(dynamic) IP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의 수신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대상기기들의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기기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기기가 있는 경우, 해당 기기들의 ID를 IP어드레스로 변환하여 상기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식별정보는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동일 기종의 기기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식별정보는 적어도 서비스 대상 기기의 유형(type), 속성(property), 사용자이름(user name), 벤더(vender), 모델명(model name), 시리얼넘버(serial number)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일정 주기마다 반복하여 서비스 대상 기기에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시서비스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17. 복수개의 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등록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그 홈네트워크내의 서비스 대상기기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서비스를 제공하기전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의 수신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대상기기들이 속한 홈네트워크의 주소정보와 서비스 대상기기의 부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서버;및
    상기 홈네트워크내의 기기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 등록되어 있는부가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기기들의 ID와 사설(dynamic) IP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통지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기기가 있는지 판단하고, 해당하는 기기가 있으면, 상기 기기들의 ID를 IP어드레스로 변환하여 통지메시지를 전송하는 홈네트워크내의 룩업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서비스 대상 기기들로부터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는 응답신호가 수신된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010020551A 2001-04-17 2001-04-17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방법 및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과 그방법 KR100757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551A KR100757466B1 (ko) 2001-04-17 2001-04-17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방법 및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과 그방법
US09/985,827 US20030018710A1 (en) 2001-04-17 2001-11-06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vices in a home network with a service, and a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 service in a home network
CN01130315A CN1381969A (zh) 2001-04-17 2001-11-20 向家庭网络装置提供服务及接收服务的系统和方法
AT01128007T ATE293324T1 (de) 2001-04-17 2001-11-24 System und methode zur dienstbereitstellung für geräte in einem hausnetz
ES01128007T ES2238376T3 (es) 2001-04-17 2001-11-24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prestar un servicio a los dispositivos de una red domestica.
DE60110037T DE60110037T2 (de) 2001-04-17 2001-11-24 System und Methode zur Dienstbereitstellung für Geräte in einem Hausnetz
EP01128007A EP1251658B1 (en) 2001-04-17 2001-11-2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vices in a home network with a service
JP2002043766A JP4261111B2 (ja) 2001-04-17 2002-02-20 ホームネットワーク内の機器に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とその方法及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でサービスが提供されるシステムと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551A KR100757466B1 (ko) 2001-04-17 2001-04-17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방법 및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과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788A true KR20020080788A (ko) 2002-10-26
KR100757466B1 KR100757466B1 (ko) 2007-09-11

Family

ID=1970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551A KR100757466B1 (ko) 2001-04-17 2001-04-17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방법 및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과 그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30018710A1 (ko)
EP (1) EP1251658B1 (ko)
JP (1) JP4261111B2 (ko)
KR (1) KR100757466B1 (ko)
CN (1) CN1381969A (ko)
AT (1) ATE293324T1 (ko)
DE (1) DE60110037T2 (ko)
ES (1) ES2238376T3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194A (ko) * 2001-10-30 2003-05-09 포디홈네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자동 관리 방법
KR100529876B1 (ko) * 2002-10-10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방법
WO2006062376A1 (en) * 2004-12-09 2006-06-15 Lg Electronics Inc. Structure of objects stored in a media server and improving accessibility to the structure
US7974217B2 (en) 2004-07-19 2011-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network device corresponding to internet protocol addres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5202A1 (en) * 2003-01-03 2006-04-20 Bjorn Sahlberg Method and a system for responding to a request for access to an application service
US20050243978A1 (en) * 2004-04-14 2005-11-03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of interworking message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JP4533247B2 (ja) * 2004-06-08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装置
US20060018328A1 (en) * 2004-07-23 2006-01-26 Comcast Cable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powerline networking
JP4451378B2 (ja) * 2005-11-08 2010-04-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機器設定情報通知方法及び機器
WO2007100849A2 (en) 2006-02-27 2007-09-07 Microcontinuum, Inc. Formation of pattern replicating tools
US8312155B2 (en) * 2006-11-28 2012-11-13 Canon Kabushiki Kaisha Service publication restric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00045716A (ko) * 2008-10-24 2010-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적 식별자 및 동적 식별자를 이용한 정품 인증에 기초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8819233B2 (en) 2011-03-11 2014-08-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using a web proxy-server to access a device having an assigned network address
US8862693B2 (en) 2011-03-11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access and administration of device content and configuration using HTTP protocol
US8924556B2 (en) 2011-03-11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device having an assigned network address
US8799470B2 (en) 2011-03-11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using a client-local proxy-server to access a device having an assigned network address
US9052898B2 (en) 2011-03-11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access and administration of device content, with device power optimization, using HTTP protocol
KR101909487B1 (ko) 2011-09-30 2018-1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US9407586B2 (en) * 2013-03-15 2016-08-02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cross device notification
US9589797B2 (en) 2013-05-17 2017-03-07 Microcontinuum, Inc. Tools and methods for producing nanoantenna electronic devices
CN112039685B (zh) * 2019-06-04 2022-11-15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网络管理方法、装置、计算网络和物联网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723A (en) * 1994-06-23 1997-01-21 Dell Usa,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he available network services in a network system
US6122287A (en) * 1996-02-09 2000-09-19 Microcom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witched network protocols
US5892909A (en) * 1996-09-27 1999-04-06 Diffusion, Inc. Intranet-based system with methods for co-active delivery of information to multiple users
US5999979A (en) * 1997-01-30 1999-12-0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most advantageous protocol for use in a computer network
US7216043B2 (en) * 1997-02-12 2007-05-08 Power Measurement Ltd. Push communications architecture for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JP2000512472A (ja) * 1997-06-25 2000-09-19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プログラミングツール
US6393481B1 (en) * 1997-10-06 2002-05-21 World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time call processing services in an intelligent network
US6167449A (en) * 1997-11-19 2000-12-26 Apple Compu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locating services on multiple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a query by type
JPH11194987A (ja) * 1998-01-05 1999-07-21 Toshiba Corp 通信装置
US6337899B1 (en) * 1998-03-31 2002-0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eaker verification for authorizing updates to user subscription service received by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using an intelligent peripheral (IP) in an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AIN)
AU758868B2 (en) * 1998-05-07 2003-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niversally accessible command and control information in a network
US6359711B1 (en) * 1998-05-20 2002-03-19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 worker in a distributed work environment
US20010052015A1 (en) * 1998-06-24 2001-12-13 Chueng-Hsien Lin Push-pull sevices for the internet
AUPP471098A0 (en) * 1998-07-16 1998-08-06 United Technology Pty Ltd Internet utility interconnect method and means
US6304905B1 (en) * 1998-09-16 2001-10-16 Cisco Technology, Inc. Detecting an active network node using an invalid protocol option
US6311206B1 (en) * 1999-01-13 2001-10-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wareness-triggered push
WO2000059230A1 (en) * 1999-03-30 2000-10-05 Sony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 device for managing resources in a network
US7120167B1 (en) * 1999-06-03 2006-10-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ing system and its method
US6892230B1 (en) * 1999-06-11 2005-05-10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self-configuration for ad hoc peer networking using mark-up language formated description messages
US6594700B1 (en) * 1999-06-14 2003-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universal service broker interchange mechanism
JP3318289B2 (ja) * 1999-08-10 2002-08-26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ゲートウエイ装置
US7200683B1 (en) * 1999-08-17 2007-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communication and control in a home network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JP3379489B2 (ja) * 1999-09-14 2003-02-24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ーバー・クライアント型システム及びデータダウンロード方法
JP2001125823A (ja) * 1999-10-29 2001-05-11 Fujitsu Ltd プッシュ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プッシュサービス処理方法
JP3367493B2 (ja) * 1999-12-06 2003-01-14 日本電気株式会社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そのサーバ、その構成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6343317B1 (en) * 1999-12-29 2002-01-29 Harry A. Glorikian Internet system for connecting client-travelers with geographically-associated data
KR20010103481A (ko) * 2000-05-10 2001-11-23 김진성 인터넷 가전제품용 리모트 컨트롤/디스플레이 시스템
US6633765B1 (en) * 2000-08-28 2003-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verage control for multicast services in a wireless network
KR20020040959A (ko) * 2000-11-25 2002-05-31 구자홍 지니 기반의 홈 오토메이션 방법
KR20020051569A (ko) * 2000-12-22 2002-06-29 구자홍 지니 홈 네트워크 서비스 관리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708467B1 (ko) * 2001-02-03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방법
US7003569B2 (en) * 2001-03-20 2006-02-21 Cypress Semiconductor Corp. Follow-up notification of availability of requested application service and bandwidth between client(s) and server(s) over any network
US20020143951A1 (en) * 2001-03-30 2002-10-03 Eyeball.Com Network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cast to unicast bridg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194A (ko) * 2001-10-30 2003-05-09 포디홈네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자동 관리 방법
KR100529876B1 (ko) * 2002-10-10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방법
US7974217B2 (en) 2004-07-19 2011-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network device corresponding to internet protocol addres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WO2006062376A1 (en) * 2004-12-09 2006-06-15 Lg Electronics Inc. Structure of objects stored in a media server and improving accessibility to the structure
WO2006062375A1 (en) * 2004-12-09 2006-06-15 Lg Electronics Inc. Structure of objects stored in a media server and improving accessibility to th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1969A (zh) 2002-11-27
EP1251658A3 (en) 2003-12-10
US20030018710A1 (en) 2003-01-23
JP2002344475A (ja) 2002-11-29
KR100757466B1 (ko) 2007-09-11
JP4261111B2 (ja) 2009-04-30
ATE293324T1 (de) 2005-04-15
EP1251658A2 (en) 2002-10-23
ES2238376T3 (es) 2005-09-01
DE60110037D1 (de) 2005-05-19
DE60110037T2 (de) 2005-09-08
EP1251658B1 (en) 200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466B1 (ko)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방법 및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과 그방법
US6775238B1 (en) Image forming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7379958B2 (en) Automatic and dynamic service information delivery from service providers to data terminals in an access point network
CN101925045B (zh) 一种提供用户业务数据的方法及系统
CN1939035B (zh) 用于在计算机设备之间传送数据的方法和设备
US6694350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erver, cli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0701656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communication network event in application server capable of supporting open API based on Web services
EP1693812A1 (en) Method of controlling plurality of home devices using single controller and system thereof
US7239878B2 (en) Telecommunication method for a wireless network
CN102014121A (zh) 作为通过事件驱动架构对服务激活去相关的手段的网络自动发现
CN101155147B (zh) 一种即时通讯服务器监控数据的分发方法和装置
US7716325B2 (en) Method and system of determining possible change in location of network element
US20070043838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activation/deactivation of services for communication terminals via an IP network
CN102075506A (zh) 用于远程设备管理的方法和系统
US8456671B2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storage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terminal device
JP2002368781A (ja) ユーザ位置管理ドメインネーム変換システム
CN101836405B (zh) 用于通过SIP终端在VoIP网络系统中发布、查询和订阅信息的方法、SIP终端、SIP应用服务器、SIP信息中心和VoIP网络系统
JPWO2009087885A1 (ja) サーバシステムとそのイベントメッセージ送信方法、クライアント端末とその接続方法と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609689B1 (ko)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연동 시스템 및 방법
EP13091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selection of electronic services using infrared communication
CN1925479B (zh) 通信控制装置及通信控制方法
US20120072545A1 (en) Remote maintenance and monitoring service framework for heterogeneous device and system
JP2004201201A (ja) Wap端末及び通信方法並びに通信プログラム
JPH05316116A (ja) サーバの予備系の一元管理装置
JPH1027647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