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689B1 -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연동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연동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689B1
KR100609689B1 KR1020040108980A KR20040108980A KR100609689B1 KR 100609689 B1 KR100609689 B1 KR 100609689B1 KR 1020040108980 A KR1020040108980 A KR 1020040108980A KR 20040108980 A KR20040108980 A KR 20040108980A KR 100609689 B1 KR100609689 B1 KR 100609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scf
message
identifier
inter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294A (ko
Inventor
정기숙
구연헌
김상현
최영일
이병선
전경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8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689B1/ko
Priority to US11/223,542 priority patent/US7680131B2/en
Publication of KR2006007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3Media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4Signalling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96Supplementary features, e.g. call forwarding or call ho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5Provisions for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9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 H04Q3/0045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involving hybrid, i.e. a mixture of public and private, or multi-vend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프로토콜의 SCF 연동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프로토콜의 SCF 연동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 및 처리하는 SCF와 통신망과 연동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한다. 프로토콜 스택은 다양한 프로토콜, 데이터 연결, 메시지 전달 및 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다양한 프로토콜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프로토콜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토콜 식별자와 SCF를 구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자(MID)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 내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내에서 프로토콜 분배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정의하고 개방형 응용 서버로부터 서비스 요청 시에 SCF에서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처리하는 과정과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프로토콜 메시지를 해당 SCF로 분배하는 과정을 통하여, SCF간의 프로토콜 분배가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Description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interworking SCFs and protocols in the open service gateway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환경의 망구성도,
도 2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 내의 SCF들과 SS NO.7 프로토콜 스택간의 연동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프로토콜 분배에 필요한 정보 테이블을 도시한 도,
도 4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응용서버로부터 받은 프로토콜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프로토콜 메시지를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SCF로 분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방형 응용 서버 2 :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3 : INAP 4 : WIN
5 : MAP 6 : TCAP
7 : SCCP 8 : MTP
본 발명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프로토콜의 SCF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 존재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인 SCF(Service Capability Feature)와 프로토콜간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유선망/무선망/IP망 등 망의 종류와 상관없이 표준화된 개방형 API 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개방형 망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호제어, 호감시, 위치정보, 과금, 프레즌스 정보 제공 등 다양한 망의 기능을 추상화하여 SCF의 형태로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프로토콜 연동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통신망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특정 단일망에 의존적인 형태로 개발되어 왔지만,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단일망이 아닌 다양한 망에서 동일한 개방형 API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무선 통신망, 유선 통신망, IP망 등 다양한 망에 대한 기능을 추상화하여 제공하므로 응용 서비스 제공자가 망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이도 개방형 API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 통신망과 연동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통신망에 맞는 프로토콜 스택을 갖추고 해당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하는데,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WIN(wireless intelligent network), MAP(Mobile Application Part), INAP (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art), CAP (Camel Application Part),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중에서도 IP 프로토콜인 SIP을 제외한 모든 프로토콜이 SS No.7 스택의 응용 부분에 해당한다. 한편,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SCF(Service Capability Feature)들은 이들 프로토콜 중 일부 또는 전부와 각각 연동하므로 하나의 프로토콜 메시지에 대하여 해당 SCF를 찾아내어 전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SCF간의 프로토콜 분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 및 분배를 위한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데이터 구조에 의거해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프로토콜의 SCF 연동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종류의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 및 처리하기 위한 SCF(Service Capability Feature) 및 통신망과 연동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구비하며, 상기 프로토콜 스택은 프로토콜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토콜 식별자와 SCF를 구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자(MID)를 갖는다.
상기 프로토콜 스택은 다양한 프로토콜; 데이터 연결, 메시지 전달 및 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다양한 프로토콜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토콜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토콜 식별자와 SCF를 구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자(MID)는 상기 다양한 프로토콜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 내에 저장된다.
상기 프로토콜 식별자는 서브시스템번호(SSN; Subsystem Number)이며, 상기 메시지 식별자는 각 SCF별로 메시지 식별자의 범위를 다르게 할당된다.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는 상기 서브시스템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프로토콜로 분배되며, 상기 메시지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SCF가 검색되어 분배된다.
상기 프로토콜 스택은 SS NO.7이며, 상기 데이터 연결, 메시지 전달 및 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메시지 전송부(MTP)이고, 상기 다양한 프로토콜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은 신호 연결 제어부(SSCP)이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프로토콜의 SCF 연동 방법의 일 실시예는, (a) 개방형 응용 서버로부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SCF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b)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고, SCF를 구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자(MID; Message Identifier)를 포함하여 인코딩하는 단계; (c) 인코딩된 프로토콜 메시지를 SCF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전달하는 단계; 및 (d) 전달된 프로토콜 메시지에 프로토콜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토콜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요청이 새로운 세션인 경우, SCF에 적합한 메시지 식별자(MID)를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로토콜 식별자는 서브시스템번호(SSN; Subsystem Number)이며, 상기 메시지 식별자는 각 SCF별로 메시지 식별자의 범위를 다르게 할당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프로토콜의 SCF 연동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a) 프로토콜을 구분하기 위 한 프로토콜 식별자와 SCF를 구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자(MID)가 포함된 프로토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프로토콜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단계; (c) 프로토콜 식별자를 확인한 후, 프로토콜 메시지를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전달하는 단계; 및 (d) 프로토콜 메시지 내의 메시지 식별자(MID)를 확인한 후, 상응하는 SCF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 식별자가 없는 경우에는 망 이벤트 처리 SCF로 분배하며, 상기 프로토콜 식별자는 서브시스템번호(SSN; Subsystem Number)이다.
이에 의해, SCF간의 프로토콜 분배가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프로토콜의 SCF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2)가 각 망에 대한 기능을 추상화해서 개방형 API의 형태로 제공하고 응용 서비스 로직을 수행하는 개방형 응용서버가 API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2)는 각 망과 연동하기 위해서 이동망 프로토콜, 유선망 프로토콜, IP 망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개방형 망 구조에서는 응용 서비스 제공자가 망에 대한 전문 지식 없이도 응용서비스를 망의 종류와 상관없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 내의 SCF들과 SS NO.7 프로토콜 스택간의 연동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기능을 추상화하여 각 SCF의 형태로 구성된다. 각 SCF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호제어, 호감시, 위치 정보 관리, 프레즌스 정보 관리, 단말 상태 관리등이며, 제공 기능 별로 필요한 망 프로토콜과 연동하여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프로토콜 스택은 유무선 망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SS no.7 스택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 데이터 연결 기능과 신호 메시지 전달 및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레벨 1에서 레벨3까지의 메시지 전송부(Message Transfer Part : MTP)(8), 망내의 논리적인 신호접속 제어와 신호데이터의 전송 능력을 제공하는 신호연결 제어부(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 : SCCP)(7), SCCP 사용자부의 일종인 문답처리 응용부(Transaction Capability Application Part : TCAP)(6), TCAP 사용자부이면서 SCF와 직접 연동하는 INAP(3), WIN(4), MAP(5)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SCCP(7)가 여러 개의 프로토콜(3,4,5)을 관리하게 되며, 이들 프로토콜들은 타 프로토콜과의 구별을 위해 고유한 서브시스템번호(SubSystem Number : SSN)를 가지고 있으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2)내의 SCF들은 MID(Message Identifier) 범위내의 MID를 사용함으로써 각자 해당하는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처리 절차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것으로, TCAP(6)의 사용자부인 INAP(3), WIN(4), MAP(5)를 서브시스템 번호(SSN)로 구분하게 하고 각 SCF별로 MID 범위를 할당한 예가 도시된다.
서브시스템 번호는 SCCP(7)에 정의되며 SCCP 사용자부의 기능 별로 구분할 수 있는 번호로 각 프로토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NAP에 0x31, WIN에 0x32, MAP에 0x33을 할당하여 다중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내에서 프로토콜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로 사용된다.
개방형 응용서버로부터 신호 메시지를 수신하여 SCCP(7)가 해당 서브시스템 번호를 이용하여,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서브시스템, 즉 게이트웨이 내의 프로토콜로 해당 신호 메시지를 분배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프로토콜이 여러 SCF와 연동하게 되면 해당 메시지를 전달할 대상 SCF를 찾아내야 하는데, 각 SCF 별로 할당된 MID range를 검색하여 해당 SCF를 찾아낼 수 있다. 즉, SCCP(7)에서 사용하는 서브시스템번호와 프로토콜 메시지의 MID를 이용하여 SCF 로 분배를 할 수 있다.
도 4는 응용서버로부터 요청을 받아 SCF가 해당 프로토콜로 처리를 요청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반대방향, 즉, 망에서 전달받은 프로토콜 메시지를 해당 SCF로 전달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응용서버에서 개방형 API를 통하여 SCF로 프로토콜 관련 서비스, 즉, 호제어, 이벤트감시서비스 등을 요청한다(S410).
이 때의 서비스 요청은 새로운 세션의 시작 요청일 수도 있고 기존 세션의 연속 요청일 수 있으므로, 새로운 세션인지 판단한다(S420). 기존의 세션에 연속적인 서비스 요청인 경우에는 기할당된 MID를 사용하면 되며 새로운 세션에 대한 시작인 경우에는 MID를 할당하며(S430),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정보를 이용해서 SCF에 맞는 MID범위에서 가용한 MID를 할당한다. SCF에서 서비스 수행 상에 필요한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MID를 포함하여 인코딩하고(S440), 이를 해당 프로토콜 로 전달한다(S450).
해당 프로토콜에서 TCAP(6)으로 전달하면 TCAP(6)에서는 다이얼로그 ID와 맵핑하여 SCCP(7)로 전달한다. SCCP(7)은 전달받은 메시지의 다이얼로그 ID범위를 확인하여 서브시스템 번호를 맵핑하고 인코딩한 후, 메시지를 타국 신호점으로 전달한다(S460).
도 5는 프로토콜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나 망 이벤트 감시를 통한 보고를 할 때 망에서 발생하는 프로토콜 메시지를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2)내의 해당 SCF로 분배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메시지 수신 후 SCCP(7)는 해당 SS no.7 스택에서 디코딩/인코딩 작업을 수행한다(S510). SCCP(7)는 서브시스템 번호를 확인하여 TCAP(6) 다이얼로그 ID로 변환하며, TCAP는 해당 프로토콜을 구분하여 INAP(3), WIN(4) 또는 MAP(5)으로 전달한다(S520).
각 프로토콜에서는 메시지 내의 MID를 검사하여(S530), 도 3의 정보를 이용하여 SCF를 찾아내 메시지를 전달한다(S540). 이 때, 어느 MID 범위에도 속하지 않는 프로토콜 메시지는 SCF가 보낸 프로토콜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아니라 망 이벤트를 보고하는 프로토콜 메시지이므로 망 이벤트 처리 SCF로 전달한다(S550). 이로써 통신망에서 전달받은 프로토콜 메시지는 해당 SCF로 분배되어 처리된다(S56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 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 내에서 프로토콜 분배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정의하고 개방형 응용 서버로부터 서비스 요청 시에 SCF에서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처리하는 과정과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프로토콜 메시지를 해당 SCF로 분배하는 과정을 통하여, SCF간의 프로토콜 분배가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Claims (12)

  1.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시스템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 및 처리하기 위한 SCF(Service Capability Feature); 및
    통신망과 연동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토콜 스택은 프로토콜을 구분하기 위한 서브시스템 번호(SSN; Subsystem Number)인 프로토콜 식별자와 각 SCF별로 그 범위(range)를 다르게 할당받아 상기 SCF를 구분하는 식별자인 메시지 식별자(MID)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토콜 식별자, 상기 메시지 식별자(MID) 및 상기 SCF 간의 연동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스택은,
    다양한 프로토콜;
    데이터 연결, 메시지 전달 및 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다양한 프로토콜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토콜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토콜 식별자와 SCF를 구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자(MID)는 상기 다양한 프로토콜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 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는 상기 서브시스템번호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상의 해당 프로토콜로 분배되고, 상기 메시지 식별자(MID)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상의 해당 SCF로 검색되어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스택은 SS NO.7이며, 상기 데이터 연결, 메시지 전달 및 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메시지 전송부(MTP)이고, 상기 다양한 프로토콜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은 신호 연결 제어부(SS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시스템.
  6.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Service Capability Feature)와 프로토콜간 연동 방법에 있어서,
    (a) 개방형 응용 서버로부터 상기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내 SCF로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SCF에서 상기 요청받은 서비스의 수행에 필요한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한 후, 프로토콜 식별자, 메시지 식별자(MID) 및 각 SCF 간의 연동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 테이블에서 상기 SCF에 상응하는 메시지 식별자의 범위(MID range)를 찾아 상기 범위(range)내에서 사용가능한 메시지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c) 상기 메시지 식별자를 프로토콜 메시지에 포함하여 인코딩한 후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상에서 상기 SCF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상기 인코딩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d) 프로토콜 스택을 거쳐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에 서브 시스템 번호(SSN)를 프로토콜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토콜 식별자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받은 서비스가 새로운 세션인 경우, 상기 메시지 식별자는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상에서 상기 SCF에 상응하는 메시지 식별자 범위(MID range)내의 새로운 식별자 값을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방법.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식별자(MID)는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의해 각 SCF별로 다른 범위의 메시지 식별자 값을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방법.
  10.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Service Capability Feature)와 프로토콜간 연동 방법에 있어서,
    (a) 프로토콜을 구분하기 위한 서브시스템번호(SSN)인 프로토콜 식별자와 SCF를 구분하기 위한 메시지 식별자(MID)를 포함한 프로토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프로토콜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단계;
    (c) 프로토콜 식별자, 메시지 식별자 및 각 SCF 간의 연동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 테이블에서 상기 프로토콜 식별자에 상응되는 프로토콜로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d)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서 상기 메시지 식별자에 상응하는 SCF로 상기 프로토콜 메시지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메시지 식별자가 없는 경우에는 망 이벤트 처리 SCF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테이블은 각 SCF별로 메시지 식별자의 범위(MID range)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 SCF와 프로토콜간 연동 방법.
KR1020040108980A 2004-12-20 2004-12-20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609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980A KR100609689B1 (ko) 2004-12-20 2004-12-20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연동 시스템 및 방법
US11/223,542 US7680131B2 (en) 2004-12-20 2005-09-09 System and method for interworking SCFs and protocols in open service gate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980A KR100609689B1 (ko) 2004-12-20 2004-12-20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연동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294A KR20060070294A (ko) 2006-06-23
KR100609689B1 true KR100609689B1 (ko) 2006-08-08

Family

ID=3659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980A KR100609689B1 (ko) 2004-12-20 2004-12-20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에서의 scf와 프로토콜간연동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80131B2 (ko)
KR (1) KR100609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1153B2 (en) 2006-02-17 2013-03-05 Cisco Technology, Inc. Decoupl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from an access gateway
CN101496387B (zh) * 2006-03-06 2012-09-05 思科技术公司 用于移动无线网络中的接入认证的系统和方法
KR100901703B1 (ko) * 2006-12-01 2009-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비동기 응용 서비스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이를구현한 개방형 웹서비스 게이트웨이
US8046419B2 (en) * 2006-12-01 2011-10-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processing open asynchronous application service event and open web service gateway implementing the same
CN101808168B (zh) * 2009-02-17 2013-0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企业总机平台以及呼叫处理方法
US8375144B2 (en) * 2010-03-22 2013-02-12 Metaswitch Networks Ltd System for connecting applications to legacy and next generation networks
US9973475B2 (en) * 2014-10-22 2018-05-15 Protegrity Corporation Data computation in a multi-domain cloud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9578A1 (de) * 1998-10-27 2000-01-13 Siemens Ag Verfahren und Mobilfunknetz zur Behandlung eines Paketdatendienstes
US6856676B1 (en) * 1998-10-15 2005-02-15 Alcate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nd managing voice and data servic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FI990939A (fi) * 1999-04-26 2000-10-27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älyverkkopalvelun tehostamiseksi ja älyverkko
KR100325386B1 (ko) 1999-06-02 2002-03-04 서평원 넘버.세븐 신호망에서의 신호연결 제어부 메시지 루팅 방법
KR20010087959A (ko) * 2000-03-09 2001-09-26 서평원 에스에스피에서 티씨에이피와 통신하기 위한 아이엔에이피처리 방법
EP1407623B1 (en) * 2001-07-13 2007-11-14 Telenor ASA Extended tele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for open service access
KR20030012507A (ko) 2001-08-01 2003-02-12 플로리다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리서치 파운데이션, 인크 C10 카르보네이트 치환된 탁산
KR100402529B1 (ko) * 2001-11-05 2003-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엠에이피 프로토콜 처리 방법
US7167917B2 (en) * 2002-01-03 2007-0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sual tool for developing service components for use in advanced intelligent networks
KR100794428B1 (ko) * 2002-05-03 2008-01-16 엘지노텔 주식회사 넘버.세븐 신호 링크셋 내의 이종 데이터 링크 수용 및운용 방법
KR100896611B1 (ko) 2002-06-27 2009-05-08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의 서비스 제어기와 Parlay 서버간의 정합시스템
US7272133B2 (en) * 2002-08-12 2007-09-18 Telcordi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tandard applications on an intelligent network service control point through an open services gateway
KR20030068105A (ko) 2003-07-26 2003-08-19 고재량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인터넷 호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5045555A2 (en) * 2003-11-05 2005-05-19 Septier Communication Ltd. Hybrid intelligent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80131B2 (en) 2010-03-16
US20060133420A1 (en) 2006-06-22
KR20060070294A (ko) 200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4321B1 (en) Naming convention for different types of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s using the naming convention
US6829232B1 (en) Communication method for terminals connected to IP networks to receive services provided by intelligent networks
RU2225080C2 (ru) Независимый от носителя протокол сигнализации
US74836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quality of service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US76801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working SCFs and protocols in open service gateway
CN101510842A (zh) 以封包流为基础应用通话服务
KR100757466B1 (ko)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방법 및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과 그방법
WO2007085167A1 (en) A method, system and application of implementing an identification of a service based on an address
US6870923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message in a message transfer part with high speed
JP5122577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へのアクセス
KR100842285B1 (ko)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관리 및 호 수락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CN106792468A (zh) 机器通信中标识发现的方法与系统
CN115580634A (zh) 算力网络系统及算力网络系统的运行方法
EP0912069A2 (en) Execution of service control requests in a single service control point
US6763101B2 (en) Service unit using essential and non-essential service request message classifications
JP2004201201A (ja) Wap端末及び通信方法並びに通信プログラム
KR100249495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검증 장치 및 그방법
CN101193153A (zh) 一种实现控制计费的方法、系统及装置
CN1193625C (zh) 管理通信业务量的方法和系统
KR100511747B1 (ko) 신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신호망 제원 운용 방법
KR100249857B1 (ko)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 루팅주소, 서비스 제어 기능번호, 상관관계 번호 파라미터 처리방법
CN101471870B (zh) 一种获取资源期满信息的方法和装置
CN116866096A (zh) 流量计费信息上报及流量计费报告生成方法、装置
KR100310866B1 (ko) 광가입자시설 할당 및 해제 방법
US20020051529A1 (en) Method for managing signal network including a mixed message transfer part signal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