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0264A - 철하는 기구 - Google Patents

철하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0264A
KR20020080264A KR1020020019696A KR20020019696A KR20020080264A KR 20020080264 A KR20020080264 A KR 20020080264A KR 1020020019696 A KR1020020019696 A KR 1020020019696A KR 20020019696 A KR20020019696 A KR 20020019696A KR 20020080264 A KR20020080264 A KR 20020080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ase
passages
members
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미다키오
Original Assignee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쿠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26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42F13/0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with strips or band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 Binders And Loading Units For Sheave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각 이동부재를 동기하여 이동시키므로서 각 철하는 다리의 철하는 힘의 부여 및 해제를 원활하게 행할수 있는외에, 삽입통로에 철하는 다리를 용이하게 삽입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
복수의 철하는 다리를 각각 삽입관통시키는 복수의 삽입통로를 구비한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설치됨과 동시에, 삽입통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 이동부재와, 이들 이동부재를 상호연결하여 이동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한 철하는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각 이동부재는 상기 삽입통로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그 삽입통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철하는 다리에 철하는 힘을 부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부를 소정량 조작한때에 삽입통로를 폐쇄하는 위치와, 개방시키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동기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철하는 기구{FASTENER}
본 발명은 철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에 따른 위치에 철하는 다리를 넘어뜨림으로써 철하는 힘을 부여할 수 있는 철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플랫파일이나, 레터파일등에 사용되는 철하는 기구로서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형태의 것이 존재한다.
이 철하는 기구(80)는 판상으로 뻗는 가늘고 긴 베이스(81)와, 이 베이스 (81)의 길이방향 2개소에 형성된 구멍으로 된 철하는 다리(82)용의 삽입통로(83)와, 이 베이스(81)의 상면측에 형성된 삽입통로(83)를 개방하는 위치와, 폐쇄시키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한쌍의 이동부재(85),(85)와, 이들 이동부재(85),(85)를 상호 연결하여 그 이동부재(85),(85)를 조작하는 조작부(8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86)는 길이방향 양단측 및 중앙부에 얇은 두께로 된 힌지부(87)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스듬히 교차하는 형상으로 굴곡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철하는 기구(80)는 조작부(86)를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각 이동부재 (85),(85)를 상호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켰을때 철하는 다리(82)의 넘어뜨리는 자세를 유지하여 철하는 힘을 부여하는 한편, 조작부(86)의 중앙부로부터 돌출한 편부재(86A)를 들어올려서 각 이동부재(85),(85)를 상호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켰을때 철하는 다리(82)를 삽입통로(83)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철하는 기구(80)에 있어서는 조작부(86)를 조작했을때 각 이동부재(85),(85)와 베이스(81) 및 철하는 다리(82)와의 사이의 마찰저항 혹은 조작부(86)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조작과정에서 변화하는 것에 기인하여 각 이동부재(85),(85)를 동등하게 이동시킬 수 없고, 각 삽입통로(83),(83)와,
이동부재(85),(85)의 상대위치를 대칭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각 철하는 다리(82),(82)에의 철하는 힘의 부여 및 해제가 동일한 타이밍으로 행해지지 않고, 조작부(86)의 조작에 무리가 생긴다는 불합리함이 발생한다.
또 이동부재(85),(85) 및 조작부(86)는 수지성형품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베이스(81)를 철하는 다리(83)로부터 떼어낸 후, 힌지부(87)의 탄성력에 의해 각 이동부재(85)가 상호 이간되어서, 삽입통로(83)를 폐쇄해 버려 그 이동부재(85)가 방해가 되고, 삽입통로(83)에 철하는 다리(82)를 삽입 관통시키는 작업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없다는 불합리함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불합리함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 이동부재를 동기하여 이동시킴으로써 각 철하는 다리의 철하는 힘의 부여 및 해제를 원활히 행할 수 있는 철하는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삽입통로를 개방했을때의 그 개방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철하는 다리를 삽입통로에 용이하게 삽입 관통시킬 수 있는 철하는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철하는 기구가 적용된 파일의 개략사시도.
도 2는 철하는 기구의 확대사시도.
도 3은 철하는 기구의 취급시의 개략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른 철하는 기구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른 철하는 기구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평면도.
도 7은 도 2의 정면도.
도 8(A)는 베이스의 평면도, (B)는 (A)의 저면도.
도 9는 도 8(A)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베이스의 확대측면도.
도 11은 도 9의 D-D선을 따른 확대단면도.
도 12는 도 4의 E-E선을 따른 확대단면도.
도 13은 이동부재, 조작부 및 동기 이동수단의 개략 분해사시도.
도 14는 조작부를 생략한 도 3과 같은 평면도.
도 15는 종래의 철하는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16은 삽입통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5와 같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철하는 기구13. 철하는 다리
14. 삽입통로15. 베이스
16. 이동부재17. 조작부
18. 동기 이동수단 34. 위치결정수단
50. 피니언기어51. 랙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철하는 다리를 각각 삽입관통시키는 복수의 삽입통로를 구비한 베이스와, 각 삽입통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베이스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이동부재와, 그 이동부재를 조작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이동부재는 상기 각 삽입통로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그 삽입통로를 폐쇄하여 철하는 다리에 철하는 힘을 부여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를 소정대로 조작했을때 각 이동부재가 동기하여 삽입통로를 폐쇄하는 위치와, 개방시키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고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철하는 힘의 부여 및 해제가 이동부재마다에 별도의 타이밍으로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한 각 이동부재의 이동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사용자에게 양호한 조작감을 부여하는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상에는 상기 각 이동부재를 동기 이동시키는 동기 이동수단이 설치되고, 이 동기 이동수단은 상기 조작부를 소정량 조작했을때 각 이동부재의 삽입통로에 대한 상대위치를 대략 동일하게 유지하여 각 이동부재를 이동시킨다는 구성이 채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를 소정량 조작했을때 각 이동부재가 삽입통로를 동시에 개폐하게 되어, 각 철하는 다리에의 철하는 힘의 부여 및 해제를 대략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를 무리없이 조작하는 것이 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그 조작에 의해 각 이동부재를 원활히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동기 이동수단은 각 이동부재가 이동할때, 일정한 저항을 부여하는 기능, 다시 말하면, 조작부 및 이동부재에 의도적인 외력을 부여하지 않는 한, 이동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는 구성을 채용하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면, 베이스를 철하는 다리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각 삽입통로의 개방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이동부재를 방해로 느끼는일이 없이 각 철하는 다리를 삽입통로에 원활하게 즉시 삽입 관통시킬 수 있고, 철하는 작업의 신속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동기 이동수단은 베이스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피니언기어(pinion gear)와 각 이동부재에 연달아서 형성되어서,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림이 가능한 랙(rack)에 의해 구성된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이동부재의 이동오차를 최소한으로 하여 동기이동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한 이동부재에 이동저항을 부여하여 삽입통로의 개방자세를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베이스에는 각 이동부재를 베이스에 장착시킬때, 각 삽입통로와 그 삽입통로에 대응하는 이동부재와의 상대위치를 대칭으로 하는 위치결정수단이 설치된다는 구성도 채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베이스에 이동부재를 조립할때 각 삽입통로와 이동부재의 거리를 일정 간격으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조립작업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실시예에 관한 철하는 기구가 파일에 적용된 개략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2에는 상기 철하는 기구의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 도 3에는 상기 철하는 기구의 취급시의 개략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철하는 기구(10)는 표지체(11)의 내면측에 설치된 한쌍의 철하는 다리(13),(13)와, 이들 철하는 다리(13),(13)를 각각 삽입관통시키는 한쌍의 삽입통로(14),(14)를 구비한 베이스(base)(15)와, 각 삽입통로(14),(14)에 대응하여 베이스(15)의 상면측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이동부재(16),(16)와, 이들 이동부재(16),(16)를 상호 연결하는 조작부(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15)의 상면측에는 각 이동부재(16),(16)를 동기 이동시키는 동기이동수단(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철하는 다리(13),(13)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틸렌등의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성형된 굴곡가능한 끈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철하는 다리(13),(1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표지체(11)의 내면에 장착되는 철하는 다리용 베이스(20)에 연달아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철하는 다리(13),(13)는 도 4 및 도 5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면측, 즉 넘어뜨릴때에 있어서의 하면측에 양 각면(21)을 구비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베이스(15)의 후술하는 톱니상 돌기에 맞물려서 철하는 다리(13)와, 베이스 (15)와의 상대이동이 규제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5)는 본 실시예에서는, 적절한 수지재료, 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일체성형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15)는 도 6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류(P)를 철해 넣은 상태에서 철하는 다리(13)의 짧은 치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중앙부 상단측에 바닥이 얕은 오목부(24)를 구비한 한쌍의 측면벽(25),(25)과 이들 측면벽(25),(25)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통로(14),(14)를 면내에 갖는 베이스면부(26)와, 각 삽입통로(14),(14)의 위쪽에 위치함과 동시에, 각 측면벽(25),(25)의 상단에 연달아 내향하여 각각 설치된 안내편부(2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면벽(25),(25)에 있어서의 오목부(24)의아래쪽 위치 외측면에는, 정면에서 보면 반원호상이 되는 오목면부(29)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한편, 오목부(24)의 내면측에 있어서의 도 9 중 좌우 양측위치에는 조작부(17)와 끼워맞춤 가능한 돌기(30)(도 8참조)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면부(26)는 도 8(A)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통로 (14)의 도 9중 좌우 양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톱니상 돌기(31)와, 베이스면부(26)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동기 이동수단(18)의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를 지지 가능하게 설치된 대략 통상의 지지부(33)와, 각 삽입통로 (14), (14)로부터 중앙측으로 동일거리를 떨어져서 위치함과 동시에, 베이스면부(26)의 상면보다 약간 돌출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위치결정수단(34),(34)을 구비하고 있다.
각 위치결정수단(34),(34)은 베이스면부(26)의 일부를 절단하여 세우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베이스면부(26)의 중앙측으로 향하여 낮게 되는 경사면 (34A)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이동부재(16)는 베이스(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슬라이드이동에 의해 각 삽입통로(14),(14)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이동부재(16)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방향에 따른 단면에서 가로로 긴 볼록한 형상으로 설치되고,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면부(26)와 각 안내편부(27),(27)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형성부(36)와, 이 하부형성부(36)의 상면에 연달아 안내편부(27),(27)간에 위치하는 상부형성부(37)와, 하부형성부(36)의 하면측을 오목하게 하여 형성시킴과 동시에, 내부에 철하는 다리(13)를 수용가능하게 형성된 수용부(38)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각 이동부재(16),(16)는 베이스(15)에 수용되도록 위치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베이스면부(26)로부터 부상하는 일이 없이, 슬라이드이동 가능해지고, 또 삽입통로(14)를 폐쇄했을때, 베이스면부(26)와 상호작용하여 철하는 다리(13)를 끼워넣어 그 철하는 다리(13)에 철하는 힘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17)는 도 4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이동부재(16),(16)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편상의 두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도 4중 우측의 이동부재(16)에 연달음과 동시에 선단측에 파지편(40)을 구비한 제1의 조작편부(41)와, 동 도면 중 좌측의 이동부재(16)에 연달은 제2의 조작편부(4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파지편(4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을 한 상태에서 상기 각 오목부(24),(24)내에 위치함과 동시에, 베이스(15)의 짧은 치수폭보다 약간 적은 짧은 치수폭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제2의 조작편부(42)의 상면측에는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편 (40)의 하측으로부터 도 4 중 좌측을 향하여 뻗는 오목한 영역(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조작편부(41),(42)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이동부재(16),(16)에 얇은 두께부(45),(45)를 거쳐 연달아 있고, 베이스(15)에 따른 위치와 선단을 상향으로 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굴곡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조작편부(41),(42)의 각 선단측은 힌지부(46)를 거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17)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파지편(40)을 위쪽으로 들어올렸을때, 각 얇은 두께부(45),(45) 및 힌지부(46)에 있어서 굴곡하고 각 이동부재(16),(16)가 상호 접근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는 형상으로 굴곡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힌지부(46)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편(40)의 이면측에 설치된 한쌍의 축받이부(47),(47)와, 제2의 조작편부(42)의 선단측에 형성됨과 동시에 각 축받이부(47),(47)에 삽입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슬릿(48A)을 구비한 2분할형의 축부(48)에 의해 구성되고, 슬릿(48A)의 폭을 좁히도록 축부(48)의 양측을 끼움으로써 그 축부(48)를 각 축받이부(47),(47)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동기 이동수단(18)은 조작부(17)를 조작했을때 각 이동부재 (16),(16)를 대략 동일한 타이밍으로 상호 이간 및 접근이동 즉, 동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동기 이동수단(18)은 도 3 및 도 14에도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3)에 장착된 피니언기어(50)와, 각 이동부재(16)의 상대하는 내측 단말에 연달아 형성됨과 동시에 피니언기어(50)에 맞물림이 가능하게 설치된 랙(5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랙(51)과 피니언기어(50)의 사이에는 마찰저항이 생겨 의도적인 외력을 부여하지 않는 한 이동부재(16)의 슬라이드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피니언기어(50)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원주측에 지지부 (33)에 형성된 돌기부(33A)(도 11참조)에 걸어맞추는 계단부(50A)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철하는 기구(10)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철하는 기구(10)의 조립은 우선, 각 이동부재(16),(16)를 베이스 (15)의 중앙부로부터 베이스면부(26)와 안내편부(27)의 사이에 삽입한다.
다음에, 각 이동부재(16),(16)의 삽입통로(14)에 대한 상대위치를 대략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각 이동부재(16),(16)의 상대하는 안쪽단말을 각 위치결정부(34),(34)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33)에 피니언기어(50)를 장착하여 그 피니언기어(50)와 랙(51),(51)을 맞물리게 한다.
이때 각 위치결정부(34),(34)는 각 삽입통로(14),(14)로부터 동일거리를 떨어져 위치함과 동시에, 지지부(33)로부터도 동일거리를 떨어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33)를 대칭중심으로 하여 각 랙(51),(51)이 대칭 배치되고, 랙(51),(51)간에 피니언기어(50)를 원활하게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부(46)의 축부(48)와, 축받이부(47)를 조합함으로써 각 조작편부(41),(42)가 연결되고, 철하는 기구(10)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철하는 기구(10)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철하는 기구(10)를 사용하여 서류(P)를 철하는 경우, 우선 서류(P)의 철하는 구멍(P1),(P2)에 철하는 다리(13),(13)를 삽입한 후, 각 삽입통로(14), (14)에 철하는 다리(13),(13)를 각각 삽입관통시켜서 베이스(15)를 서류(P)상에 올려 놓는다.
이때 랙(51) 및 피니언기어(50)의 적당한 마찰저항에 의해 각 삽입통로 (14),(14)의 개방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철하는 다리(13)를 삽입관통시킬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파지편(40)을 아래쪽으로 가압함으로써 각 이동부재(16), (16)의 삽입통로(14),(14)에 대한 상대위치를 대략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그 이동부재(16),(16)가 동기하여 상호 이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각 철하는 다리(13),(13)에 대략 동시에 철하는 힘이 부여된다.
최종적으로 파지편(40)이 측면벽(25)의 오목부(24)내에 배치되고, 각 조작편부(41),(42)의 양측단말과 돌기(30)가 끼워 맞추어져 조작부(17)의 굴곡변형이 규제된다.
한편 상기 철하는 다리(13)의 철하는 자세를 해제하는 작업은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각 측면벽(25),(25)의 오목면부(29)에 손가락끝을 대고 파지편(40)을 잡도록 들어올림으로써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7)가 힌지부(46) 및 얇은 두께부(45)의 위치에서, 굴곡변형함과 동시에, 동기 이동수단(18)의 작용에 의해 각 이동부재(16),(16)가 동기하여 상호 접근하고 각 삽입통로(14),(14)를 개방하여철하는 다리(13)에의 철하는 힘이 대략 동시에 해제된다.
또한 파지편(40)의 들어 올리는 방법은 제2의 조작편부(42)의 오목한 영역 (43)에 손가락끝을 삽입하여 파지편(40)의 이면에 손가락끝을 걸어 당겨서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각 이동부재(16),(16)의 삽입통로 (14), (14)에 대한 상대위치를 대략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그 이동부재 (16),(16)가 동기하여 슬라이드이동함으로써 각 철하는 다리(13),(13)에의 철하는 힘의 부여 및 해제를 대략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것외에 파지편(40)이 도 4중 좌우로 거의 흔들리는일이 없이,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궤적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조작부(17)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랙(51) 및 피니언기어(50)에 의해 동기 이동수단(18)을 구성했으므로 각 삽입통로(14),(14)에 철하는 다리(13),(13)를 삽입관통시킬때, 베이스(15)가 경사지거나 힌지부(46)가 탄성을 구비한 것이라 해도 뜻하지 않게 이동부재(16)가 슬라이드하여 삽입통로(14)를 폐쇄해 버리는 것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하는 다리(13) 및 삽입통로(14)의 형성수는 도시한 구성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증가시켜도 된다.
요는 본 발명은 각 삽입통로(14)를 개폐시킬때 각 이동부재(16)가 동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족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상에 삽입통로를 개폐시켜, 철하는다리에 철하는 힘을 부여하는 복수의 이동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이동부재를 조작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그 조작부의 소정량의 조작에 의해 각 이동부재를 동기하여 삽입통로를 개방하는 위치와 폐쇄시키는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한 것때문에, 각 이동부재에 의한 철하는 힘의 부여 및 해제의 타이밍이 별도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 이동부재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베이스상에 각 이동부재를 동기이동시키는 동기 이동수단을 설치하여, 이 동기 이동수단이 각 이동부재의 삽입통로에 대한 상대위치를 대략 동일하게 유지하여 각 이동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작부를 소정량 조작했을때 각 이동부재의 철하는 힘의 부여 및 해제가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각 이동부재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서류의 추가 및 제거작업을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기 이동수단은 각 이동부재의 이동시에, 일정한 저항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베이스를 철하는 다리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각 삽입통로의 개방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이동부재를 방해를 느끼는 일이 없이 철하는 다리를 삽입통로에 원활하게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동기 이동수단은 베이스상에 설치된 피니언기어와, 각 이동부재에 연달은 피니언기어에 맞물리는 랙에 의해 구성했으므로 각 이동부재의 동기이동이 안정적으로 행해짐과 동시에, 그 이동시, 이동저항을 부여하여 각 삽입통로의 개방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에 각 삽입통로와 그 삽입통로에 대응하는 이동부재와의 상대위치를 대칭으로 하는 위치결정수단을 설치한 경우에는 베이스에 이동부재를 조립할때 각 삽입통로와 이동부재의 거리를 일정간격으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들의 조립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복수의 철하는 다리를 각각 삽입관통시키는 복수의 삽입통로를 구비한 베이스와, 각 삽입통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베이스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이동부재와, 그 이동부재를 조작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이동부재는 상기 각 삽입통로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그 삽입통로를 폐쇄하여 철하는 다리에 철하는 힘을 부여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를 소정량 조작했을때, 각 이동부재가 동기하여 삽입통로를 폐쇄하는 위치와 개방시키는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하는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상에는 상기 각 이동부재를 동기이동시키는 동기 이동수단이 설치되고, 이 동기 이동수단은 상기 조작부를 소정량 조작했을때 각 이동부재의 삽입통로에 대한 상대위치를 대략 동일하게 유지하여 각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하는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이동수단은 각 이동부재가 이동할때 일정한 저항을 부여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하는 기구.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이동수단은 베이스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피니언기어와, 각 이동부재에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림이 가능한 랙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하는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각 이동부재를 베이스에 장착시킬때, 각 삽입통로와 그 삽입통로에 대응하는 이동부재의 상대위치를 대칭으로 하는 위치결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하는 기구.
KR1020020019696A 2001-04-12 2002-04-11 철하는 기구 KR200200802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13952 2001-04-12
JP2001113952A JP2002307884A (ja) 2001-04-12 2001-04-12 綴じ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264A true KR20020080264A (ko) 2002-10-23

Family

ID=1896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696A KR20020080264A (ko) 2001-04-12 2002-04-11 철하는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99504B2 (ko)
EP (1) EP1384598A4 (ko)
JP (1) JP2002307884A (ko)
KR (1) KR20020080264A (ko)
CN (1) CN1380192A (ko)
CA (1) CA2408912C (ko)
TW (1) TW562756B (ko)
WO (1) WO2002083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884A (ja) * 2001-04-12 2002-10-23 Kokuyo Co Ltd 綴じ具
JP4373705B2 (ja) 2003-05-16 2009-11-25 ナカバヤシ株式会社 綴じ具
CN101817275B (zh) * 2006-09-26 2013-05-08 普乐士文具株式会社 文件夹用装订具本体及可调整封背幅度的文件夹
JP4395530B2 (ja) * 2007-12-28 2010-01-13 プラスステーショナリー株式会社 ファイル用綴じ具
JP5396619B2 (ja) * 2009-12-22 2014-01-22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及びファイル
JP5617098B2 (ja) * 2010-06-17 2014-11-05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及びファイル
JP5845398B2 (ja) * 2011-07-25 2016-01-20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及びファイル
CN104417133B (zh) * 2013-09-02 2017-09-12 李良 简易装订夹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212A (en) * 1907-03-21 1908-07-14 Library Bureau Loose-leaf binder.
US1165305A (en) * 1912-03-30 1915-12-21 Clinton B Alenxander Loose-leaf binder.
US1331588A (en) * 1918-04-29 1920-02-24 Co Braddock Trust Loose-leaf binder
US1526673A (en) * 1922-05-11 1925-02-17 Mcbee Binder Company Loose-leaf binder
JPS5720379Y2 (ko) * 1974-12-27 1982-04-30
US4305675A (en) * 1979-07-19 1981-12-15 Jacinto Roberto A File fastener
JP2690454B2 (ja) * 1994-02-28 1997-12-10 コクヨ株式会社 ファイル
DE69620809T2 (de) * 1995-01-19 2002-08-14 Fuji Photo Film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lluloseacetatfolien
EP1134259B1 (en) * 1995-01-19 2005-04-06 Fuji Photo Film Co., Ltd. Cellulose acetate solutio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same
JPH1013641A (ja) 1996-06-21 1998-01-16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
JP3169566B2 (ja) * 1997-03-10 2001-05-28 セキセイ株式会社 綴じ具
JP4298852B2 (ja) * 1999-07-01 2009-07-22 株式会社大成社 綴り具
JP4380078B2 (ja) * 2001-04-02 2009-12-09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
JP2002307884A (ja) * 2001-04-12 2002-10-23 Kokuyo Co Ltd 綴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08912C (en) 2007-08-07
EP1384598A4 (en) 2007-05-02
WO2002083428A1 (fr) 2002-10-24
TW562756B (en) 2003-11-21
CA2408912A1 (en) 2002-11-12
JP2002307884A (ja) 2002-10-23
US20030138308A1 (en) 2003-07-24
CN1380192A (zh) 2002-11-20
US6899504B2 (en) 2005-05-31
EP1384598A1 (en)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74318A (ko) 뚜껑 개폐 장치
KR100669406B1 (ko) 종이 더미를 파일에 보존하기 위한 장치
KR20020080264A (ko) 철하는 기구
CA2780517C (en) Ring binder mechanism with self-locking actuator
EP2409617A2 (en) Roll paper holder
EP1980171B1 (en) Clasp, band with a clasp, portable device, timepiece, and accessory
EP1960214A2 (en) Ring binder mechanism
KR100498567B1 (ko) 철구
JP5973154B2 (ja) バインダーのロック補助装置
KR20210015935A (ko) 철구
JP3790837B2 (ja) 綴じ具及びこれを用いたファイル
CN100352670C (zh) 文件夹及装订腿系止部
JP6925471B1 (ja) 書籍前揃え装置及び書籍前揃え装置を備える本棚
KR102648428B1 (ko) 치열 교정 브라켓
JP2003072274A (ja) 綴じ具
JP3025041U (ja) カードケース
KR200362675Y1 (ko) 홀딩기능을 가진 키보드
JP5396619B2 (ja) 綴じ具及びファイル
KR20090030501A (ko) 데이터 처리장치 및 데이터 처리장치의 도어
KR20210048181A (ko) 양방향으로 체결이 가능한 양방향 지퍼
JP2002112806A (ja) アジャスター
JP4160867B2 (ja) シート押さえ部材、綴じ具、ファイル
JP2001191677A (ja) スライド式綴具
KR20180048248A (ko) 명함 케이스
KR20210000220U (ko) 가방용 버튼식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