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765A -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765A
KR20020079765A KR1020027008426A KR20027008426A KR20020079765A KR 20020079765 A KR20020079765 A KR 20020079765A KR 1020027008426 A KR1020027008426 A KR 1020027008426A KR 20027008426 A KR20027008426 A KR 20027008426A KR 20020079765 A KR20020079765 A KR 20020079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ipe
wall
sealing devi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터비히만
게오르그비히만
Original Assignee
발터 비히만 브란트슈츠쥐스테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터 비히만 브란트슈츠쥐스테메 filed Critical 발터 비히만 브란트슈츠쥐스테메
Publication of KR2002007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7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케이스(1)를 에워싸고 있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의 벽관통구의 내화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스(1)는 벽공간부안으로 삽입시킬 수 있거나 또는 벽을 만드는 동안에 벽공간부 안에 통합되고, 상기 케이스(1) 전구간에 걸쳐 자리잡고있는 공간부(6)를 통해 서로 반대편에 놓여있는 두개의 결합된 개구부(5)가 상기 케이스(1)를 통해 파이프 또는 케이블을 에워싸고 있고, 이때 케이스(1)의 내부를 에워싸는 공간부(6)의 영역에 방화요소(7)가 배열되어 있고, 이는 열의 영향으로 거품을 내는 방화재(8)를 감싸고 있으며, 케이스(1)의 내부에 있는 영역에서 적어도 수직방향의 관통방향으로 적어도 두개의 방화요소(7)가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Device for sealing off pipe or cable feedthroughs in walls in a fireproof manner}
예를들어 앞서말한 기술의 장치는 독일 실용신안 DE 9315956 U1에 의해 알려져 있다. 방화재로는 대개 팔루쏠(Palusol)이라는 상품명(Handelsname)으로 알려진 물질이 사용된다. 예로서 100℃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방화재는 거품이 발생하여 두개의 개구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공간부로 스며든다.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모양의 얇은 금속판 케이스를 통해 실시되는 파이프 관통장치는 보통 오직 하나의 파이프만을 관통시킬 수 있어서 불리하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 그 이유는, 최근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공간부 전구간에 걸쳐 부설되어 있는 파이프에 대해서 오직 중심부만 케이스의 덮개 또는 바닥의 팔루쏠 다발(Palusolpakete)이 공간부에서 거품을 완전히 멈추게 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다는데 있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안에 두개 이상의 파이프와 추가 케이블이 반입되면, 종래기술에 따라 이용되는 방화용 다발(Brandschutzpaket)로는 완전히 거품을 멈추게 할 수 없어서, 벽을 관통하는 어떤 내화성 밀봉(feuersichere Abschottung)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사실 화재의 경우 만약 파이프가 합성수지로 마감되어 있다면 보통 팔루쏠 다발의 팽창에 의해 파이프가 납작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방화용 다발은 케이블의 실제 존재에 의해 납작하게 된 파이프와 케이블 사이의 공간에서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파이프 마다 하나의 벽관통장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또는 파이프와 케이블을 분리하여 관통하는 것은 언제나 비교적 많은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최소거리는 파이프의 부설과 다수의 해당 장치의 설치시에 동시에 이미 유지되어야 하나, 최소거리가 담당 배관공에 의해 자주 유지되지 않아서 나중에 수정이 요구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의 다른 단점은 보통 팔루쏠 다발이 공간부를 통과하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는 점이다.
계속해서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의 단점으로 밝혀진 것은 바닥, 덮개 그리고 측면부에 배열된 팔루쏠 다발은, 방화용관통장치 안으로 팔루쏠 방화용 다발을 공기를 차단한채 장입하기 위해, 속이 비게 변형되고 서로 용접된 폴리스티롤 포장안으로 많은 돈을 들여서 장입된다는 점이다.
계속해서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의 단점으로 밝혀진 것은 케이스 특히 케이스덮개가 열의 영향으로 찌그러지고 그때문에 물결모양이 된다는 점이다.
이와같은 물결모양의 케이스 덮개는, 물결모양의 덮개와 벽관통틈 (Wanddurchbruch)의 해당 측면 사이에 있는 해당 틈새공간을 통해 연소가스가 새어나갈 수 있는 위험을 갖고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얇은 금속판으로 마감된 케이스를 에워싸고 있고, 상기 케이스는 벽공간부 안으로 삽입시킬 수 있거나 또는 벽을 만드는 동안에 벽공간부 안에 통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전구간에 걸쳐있는 공간부를 통해 서로 반대편에 놓여있는 두개의 결합된 개구부가 상기 케이스를 통해 파이프 또는 케이블을 에워싸고 있고, 이때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에워싸는 공간부 영역에 방화요소가 정렬되어 있고, 상기 방화요소는 열의 영향으로 거품을 발생하는 방화재를 감싸고 있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앞의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에 따라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는 다음 도면들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상응하는 단면의 상세도.
도 5는 얇은 금속판으로된 본 발명 장치의 케이스 덮개/바닥 또는 측면부;
도 6은 도 5의 절곡한 덮개/바닥 또는 측면부;
도 7은 방화요소 주입후 도 6에 해당하는 덮개/바닥 또는 측면부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상응하는 단면의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덮개판의 저면부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XII-XII에 따른 도면.
1: 케이스(Gehaeuse) 2: 덮개(Deckel)
3: 바닥(Boden) 4: 측면부(Seitenteil)
5: 개구부(Oeffnung) 6,14: 공간부(Aussparung)
7: 방화요소(Brandschutzelement) 8: 방화재(Brandschutzstoff)
9: 포장재(Verpackungsfolie)
10: 합성수지재 덮개(Kunststoffabdeckung)
11: 제 1 절곡부(erste Umbiegung) 12: 제 2 절곡부(zweite Umbiegung)
13: 접합부(Laschen) 15: 절곡부(Umbiegung)
16: 덮개부(Abdeckteil) 17: U-홈(U-Profil)
18: 홈부(Walznute)
전술한 발명의 기초가 되는 문제는 가격이 싸고 효율적으로 만들어지는 처음으로 제시되는 기술 장치의 창작품이다.
이것은 청구항 1 내지 4 항과 14항의 하나 이상의 발명에 따라 구현된다.
청구항 1에 따르면, 케이스 안쪽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관통방향으로의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두개의 방화요소(Brandschutzelement)가 나란히 배열되는 것이 기대된다. 이 기대를 통해 두개 이상의 수평방향의 방화요소를 상기 공간부를 통해 두개 이상의 파이프가 관통할 가능성이 있다. 예로서, 상기 공간부를 관통하는 두개의 파이프에 두개 이상의 방화요소가 파이프와 케이스의 측면벽 사이의 공간에서도 공간부의 완전한 거품발생 중지를 보증한다는 것이 입증된다.
청구항 2에 따르면, 개구부 영역에 있는 케이스는 공간부 안 전체에 퍼져있는정면 절곡부를 감싸고 있다. 상기 정면 절곡부는 공간부를 케이블이 관통하는 경우 덮개 역할을 할 수 있어서, 방화요소의 파손을 대폭적으로 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청구항 3에 따르면, 방화요소는 포장재를 감싸고, 포장재는 방화재를 공기 및 가스가 통하지 않게 특히 진공상태로 둘러싸고 있다. 하나의 포장재 특히 진공 포장된 방화요소의 사용을 통해 폴리스티롤부의 시간을 오래끌고 비용을 많이 필요로하는 함석을 속이 비게 변형하는 것과(Tiefziehen) 용접을 피하게 된다. 더우기 비교적 얇고 보통 잘 휘는 포장재를 통해 방화요소는 방화재로 이루어지는 다발(Paket) 사이의 틈새가 매우 좁아지게 같이 눌려질 수 있다. 더우기 그것을 통해 케이스는 보다 짧게 예를 들어서 3cm 더 짧게 마감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보다 적은 두께의 벽에서도 간결하게 장입되는 것이 기대된다.
청구항 4에 따르면, 케이스는 자신의 외측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 위에 강화부(Verstaerkungsteil)가 특히 길게 뻗은 U-홈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종류의 강화부를 통해 케이스의 해당하는 외측면은 화재시에 일그러지고 특히 물결모양의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예를 들면 케이스의 상부면과 벽 사이에서의 연소가스의 관통 위험은 피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를 들면 실제로 직육면체 형태의 모양을 갖는 케이스를 감쌀 수 있고, 이때 이 케이스는 덮개, 바닥 및 측면부를 나타낸다. 대안으로서이것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직육면체 단면을 갖는 케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bevorzugte Ausfuehrungsform)에 따르면 양쪽 개구부로부터 공간부로 뻗어 있는 두개의 서로 마주보고 놓여있는 절곡부 아래서는 언제나 합성수지재 덮개가 장입될 수 있고, 상기 합성수지재 덮개는 절곡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방화요소를 분리시킨다. 이것으로 정면절곡부는 방화요소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할뿐만 아니라 동시에 보통 사용되는 합성수지재 덮개 (Kunststoffabdeckung)의 간단한 지지대(Halterung)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재 덮개에 추가로 또는 이의 대안으로서 하나의 뚜껑부가 방화요소의 하나 또는 다수가 공간부의 반대편에 격리되어 경계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 기대될 수 있다. 하나는 예를 들어 U-홈 횡단면을 나타낼 수 있는 이런종류의 덮개를 통해 하나의 방화요소 또는 방화요소 그룹이 보호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해당 틈새로 거품을 일게하는 방화요소가 그룹화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란히 정렬된 방화요소가 언제나 같은 폭을 나타낼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나란히 정렬된 방화요소가 서로 다른 폭을 나타낼 수도 있다. 방화요소 폭의 선택은 장소에 달려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부분은 얇은 금속판으로된 프레스부분으로서 구부림을 통해 최종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이 기대될 수 있다. 앞서 말한 것에 덧붙여 케이스의 이 부분에 각각의 인접한 부분으로 향한 면에 접합부가 정렬될 수 있고, 이 접합부는 케이스의 공동건축을 위해 접합부를 해당 공간부로 구부린 뒤 인접한 부분과 맞물릴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접합부는 예를 들면 직육면체 모양의 케이스로 덮개에도 바닥과 측면부에도 계획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바닥, 한편으로는 덮개가 다른 한편으로는 측면부가 다만 그들의 폭을 통해 구별될 때에는, 바닥, 덮개 및 측면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프레스부의 한 형태만 생산되어야 한다. 이런 종류의 케이스 부분의 제작(Ausgestaltung)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보다 단순하고 값싼 구축이 보증된다.
청구항 14에 따르면 자신의 외측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 위에 케이스는 강화부를 특히 길게 뻗은 홈부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종류의 강화부를 통해 케이스의 해당 외측면은 화재시 손상되는 것을 특히 물결 구조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연소가스가 예를 들면 케이스의 윗면과 벽 사이로 침투할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따른 장치의 더 이상의 구축은, 케이스는 자신의 외측면의 적어도 하나 위에 하나의 강화부를 특히 길게 뻗은 U-홈 형태로 또는 길게 뻗은 홈부 형태로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종류의 강화부를 통해 케이스의 해당 외측면은 화재시 특히 물결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예를 들면 케이스의 윗면과 벽 사이로 연소가스가 침투할 위험을 피하게 된다.
도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또는 케이블의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는 케이스(1)를 포함하고, 케이스는 덮개(2), 바닥(3) 및 측면부(4)를 나타냄이 명백하다. 도 1에서 명백하게 프레스부에 개구부(5)들이 예상되고, 이들은 각각 반대편에 놓여 있고 도 2에서 명백한 것 처럼 케이스(1)를 통해 위로 돌출하는 하나의 공간부(6)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도 1에서 묘사된 케이스(1)는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된다. 하지만 또한 원통형 케이스 또는 그와 같은 것을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 케이스(1)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가 개구부(5)와 공간부(6)를 통해 지나갈 수 있을 때 벽관통구 안에 설치될 수 있고,
덮개(2), 바닥(3) 및 측면부(4)의 내부면 영역에 방화요소(7)가 정렬되어 있다. 이 방화요소(7)는 방화재(8)를 포함하고 있고, 방화재는 예로서 상품명 팔루쏠로 유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종류의 팔루쏠은 열의 영향으로 거품이 인다. 방화재(8)는 하나의 포장재(9)에 의해 공기 및 가스 밀봉이 되고 특히 진공밀봉상태로 둘러싸여 있다. 포장재(9)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결합박 (Auminiumverbundfolie)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방화요소(7)는 케이스벽 외측면 즉 덮개(2), 바닥(3) 및 측면부(4)에 놓여있다. 내측면에는 방화요소(7)가 합성수지재 덮개(10)를 통해 공간부(6)로부터 분리된다. 이런 종류의 합성수지재 덮개910)는 종래기술로부터 충분히 잘 알려져 있고 열의 영향으로 녹아서 방화요소(7)는 열의 영향시 장애없이 공간부로 확장되어 들어갈 수 있다.
도 2와 도 3으로부터 방화요소(7)의 각각은 공간부(6)의 전체로 뻗는 것이 명백하다. 하지만 덮개(2)와 바닥(3)의 폭 위로 하나의 방화요소(7)뿐만 아니라 세개의 다른 크기의 방화요소(7)가 정렬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한 도 4로부터 명백하듯이 새개 이상 예를 들어 다섯개의 같은 크기의 방화요소(7)가 덮개(2)와 바닥(3)의 폭으로 정렬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두개의 방화요소(7)가 예상된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부 영역에는 도 3에서 명백하듯이 각각 하나의 방화요소(7)뿐만이 아니라 하나 이상 예를 들면 두개 또는 세개 또는 그 이상의 작은 방화요소(7)가 예상될 가능성도 있다. 도 5와 도 6으로부터 덮개(2)와 바닥(3) 및 측면부(4)의 구성(Aufbau)은 명백하다. 마지막으로 측면부(4)는 보다 가늘고 길며, 도 6에서 이중으로 가늘고 짧게 그어진 선으로 윤곽이 그려져 있다. 도 5는 얇은 함석으로 마감된 덮개(2)와 바닥(3)으로서 사용되는 부분의 형(型, Zuschnitt)을 나타낸다. 이 형은 제 1 부분(Abschnitt)을 전면부(stirnseitig)에서 나타내고, 이 제 1 부분은 전면 절곡부(11)로서 사용될 수 있고, 제 2 부분은 거기에 연결되어 다음 절곡부(12)로서의 사용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도 7로부터 얇은 금속판을 구부림에 의해 명백하다. 덮개(2) 및 바닥(3)의 저면으로부터제 1 절곡부는 90°의 각도 밑에서 위쪽으로 돌출한다. 제 1 절곡부(11)에 제 2 절곡부(12)가 이어지고, 제 2 절곡부는 마찬가지로 도 7에서제 1 절곡부(11)의 90°의 각도 밑에서 내부쪽으로 돌출한다. 마찬가지로 도 7에서 방화요소(7)는 명백하게 내부쪽으로 돌출하는 절곡부(12) 밑으로 자기의 테를 가지고 정렬하였다고 기입했다. 따라서 내부쪽으로 돌출하는 절곡부(12)는 방화요소(7)의 지지를 위한 역할을 한다.
계속해서 도 5의 형으로부터 이웃한 측면부(4)의 공간부(14)에서 접합부들(13)을 구부림에 의해 접합부들을 잡을 수 있고 그래서 케이스를 공동으로 구축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비슷한 접합부들이 역시 측면부(4)에 정렬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5와 도 8로부터 덮개(2) 및 바닥(3)의 측면 절곡부(15)가 도 8에서 보듯이 방화요소(7)의측면 경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도 9로부터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 덮개(10)에 추가로 덮개부(16)의 하나의 방화요소(7) 또는 방화요소(7) 그룹이 공간부쪽으로 구부릴 수 있음이 명백하다. 덮개부(16)는 묘사된 실시예에서 U-형의 횡단면을 갖고 방화요소(7)와 측면과 공간부로 경계를 이루고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런 종류의 덮개부(16)를 이용하여 합성수지재덮개(10)에 추가로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
도 10으로부터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Ausfuehrungsform)에서, 케이스(1)의 덮개(2) 위에 수평방향으로 강화부로서 역할하는 U-홈(17)이 예로서 용접을 통해 설치되어 있음이 명백하다. 벽관통구멍내기(Wanddurchbrechung)에서 이 장치의 수용시 U-홈(17)은 그 위에 놓여있는 벽과 함께 몰탈로 연결될 수 있다. 화재시 U-홈(17)은 덮개(2)의 물결 구조의 형성을 U-홈(17)의 길이 방향으로 방해한다. 그러나 덮개(2)와 벽 사이의 가스 기밀에도 불구하고 U-홈(17)은 과연 벽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화재시 가볍게 움직일 수 있음이 보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11로부터 도 13까지에서 명백하다. 강화부 역할을 하는 U-홈 대신 홈부(18)가 기대된다. 이미 덮개(2) 또는 바닥(3)의 생산시에 롤러로 눌리워질 수 있고 화재시에 그리고 그것으로 결합된 장치의 심한 가열시에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고 덮개(2) 또는 바닥(3)의 휨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로써 연기가 휨을 통해 생기는 빈틈을 통해 장치와 건물벽 사이에서 새어나오는 것을 방해한다. 홈부는 또한 측면부(4)에서 기대되는 것이 자명하다. 하지만 그것은 본질적으로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기대되고, 상기 얇은 금속판은, 여기서 휠 위험은 열의 영향이 가장 크므로 길다란 길이를 명시하고 있다. 또한 홈부(18)의 임의의 갯수와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산업상 유용하게 이용가능하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부를 관통하는 두개의 파이프에 두개 이상의 방화요소가 파이프와 케이스의 측면벽 사이의 공간에서도 공간부의 완전한 거품발생 중지를 보증한다는 것이 입증된다.
둘째, 정면 절곡부는 공간부를 케이블이 관통하는 경우 덮개로서 역할을 할 수 있어서, 방화요소의 파손을 대폭적으로 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보다 적은 두께의 벽에서도 간결하게 장입되는 것이 기대된다.
넷째, 케이스 외측면은 화재시에 일그러지고 특히 물결모양의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예를 들면 케이스의 상부면과 벽 사이에서의 연소가스의 관통 위험은 피해진다.
다섯째, 정면절곡부는 방화요소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할뿐만 아니라 동시에 보통 사용되는 합성수지재 덮개 (Kunststoffabdeckung)의 간단한 지지대 (Halterung) 역할을 할 수 있다.
여섯째, 연소가스가 예를 들면 케이스의 윗면과 벽 사이로 침투할 위험을 피할 수 있다.

Claims (15)

  1. 얇은 금속판으로 마감된 케이스(1)를 에워싸고 있고, 상기 케이스는 벽공간부안으로 삽입시킬 수 있거나 또는 벽을 만드는 동안에 벽공간부 안에 통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 전구간에 걸쳐있는 공간부(6)를 통해 서로 반대편에 놓여있는 두개의 결합된 개구부(5)가 상기 케이스(1)를 통해 파이프 또는 케이블을에워싸고 있고, 이때 상기 케이스(1)의 내부를 에워싸는 공간부(6)의 영역에 방화요소(7)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방화요소는 열의 영향으로 거품을 내는 방화재(8)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1)의 내부 영역에서 적어도 수직방향의 관통방향으로 적어도 두개의 상기 방화요소(7)가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5) 영역에서 상기 케이스(1)가 전면 절곡부(11,12)들을 에워싸고, 상기 절곡부들은 상기 공간부(6)까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요소(7)는 포장재(9)를 에워싸고, 상기 포장재는 상기 방화재(8)로 공기와 가스를 통과시키지 않으며 특히 상기 방화재를 진공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케이스의 바깥면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 위에 강화부를 특히 길게 뻗은 U-홈(17) 형태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본질적으로 덮개(2), 바닥(3) 및 측면부(4)로 직육면체 모양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본질적으로 파이프 형태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본질적으로 육각모서리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내화 밀봉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개의 개구부(5)의 반대편에 놓여있고 상기 공간부(6)로 뻗어 있는 상기 두개의 절곡부(12) 각각은 언제나 하나의 합성수지재덮개(10)를 장입할 수 있고, 적어도 상기 합성수지재덮개는상기 공간부(6)와 방화요소(7)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합성수지재덮개(10)에 덮개부(16)를 계획하고, 방화요소(7)의 하나 또는 다수개가 상기 공간부(6)의 반대편에 분리되어 놓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옆에 나란히 정렬되어 있는 방화요소(7)가 언제나 같은 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옆에 나란히 정렬되어 있는 방화요소(7)가 서로 다른 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상기 부분들(덮개 2, 바닥 3, 측면부 4)은 엷은 금속판재를 프레스처리한 것들이고, 상기 프레스처리한 것들을 구부려서 상기 부분들의 최종적인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부분들(덮개 2, 바닥 3, 측면부 4) 각각의 이웃한 부분들(덮개 2, 바닥 3, 측면부 4)을 향한 상기 부분들에게 접합부(13)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케이스(1)의 공동 건축을 위해 상응하는 공간부(14)로 상기 접합부(13)를 구부려서 상기 이웃한 부분들 (덮개 2, 바닥 3, 측면부 4)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적어도 자신의 바깥면의 하나 위에 보강부를 특히 길게 뻗은 홈부(18)의 형태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15. 얇은 금속판으로 마감된 케이스(1)를 에워싸고 있고, 상기 케이스는 벽공간부안으로 삽입시킬 수 있거나 또는 벽을 만드는 동안에 벽공간부 안에 통합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 전구간에 걸쳐있는 공간부(6)를 통해 서로 반대편에 놓여있는 두개의 결합된 개구부(5)가 상기 케이스(1)를 통해 파이프 또는 케이블을에워싸고 있고, 이때 상기 케이스(1)의 내부를 에워싸는 공간부(6)의 영역에 방화요소(7)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방화요소는 열의 영향으로 거품을 내는 방화재(8)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1)는 적어도 자신의 바깥면의 하나 위에 보강부를 특히 길게 뻗은 홈부(18)의 형태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KR1020027008426A 2000-10-31 2001-10-04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KR200200797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18643.4 2000-10-31
DE20018643U DE20018643U1 (de) 2000-10-31 2000-10-31 Vorrichtung für die feuersichere Abschottung von Wanddurchführungen für Rohre oder Kabel
PCT/EP2001/011453 WO2002037011A1 (de) 2000-10-31 2001-10-04 Vorrichtung für die feuersichere abschottung von wanddurchführungen für rohre oder kab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765A true KR20020079765A (ko) 2002-10-19

Family

ID=794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426A KR20020079765A (ko) 2000-10-31 2001-10-04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20079765A (ko)
AU (1) AU2002223586A1 (ko)
DE (2) DE20018643U1 (ko)
WO (1) WO20020370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1126B1 (de) * 2007-11-19 2012-08-01 Volker Rodenberg Brandschutz-Kabeldurchführung
GB0818679D0 (en) * 2008-10-11 2008-11-19 Mccann Jamie fire retardant structures
EP2881638A1 (de) 2013-12-09 2015-06-10 HILTI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von Rohren oder Kabeln durch eine Gebäudeföffnung
EP3088783A1 (de) 2015-04-27 2016-11-02 Hilti Aktiengesellschaft Brandschutzmanschette
EP3088784A1 (de) 2015-04-27 2016-11-02 Hilti Aktiengesellschaft Brandschutzmanschette
DE102022102611A1 (de) 2021-02-06 2022-08-11 Wichmann Brandschutzsysteme Gmbh & Co. Kg Kabelbox für Brandschutz-Abschott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2333A1 (de) * 1979-10-19 1981-04-23 Arno 4450 Lingen Domnick Brandschutzmanschette
DE8515724U1 (de) * 1985-05-29 1985-07-18 Wichmann, Walter, 5952 Attendorn Wand-Bauelement für eine feuersichere Kabelführung
DE3724744A1 (de) * 1987-07-25 1989-02-02 Minnesota Mining & Mfg Intumeszierendes feuerschutzmaterial
DE3803858A1 (de) * 1988-02-09 1989-08-17 Manfred Heger Dinkelschaelmaschine
DE9014517U1 (de) * 1990-10-19 1991-01-03 Wichmann, Walter, 5952 Attendorn Brandschutzelement für isolierte Metallrohre
DE9315956U1 (de) 1993-10-20 1993-12-23 Wichmann, Walter, 57439 Attendorn Lüftungselement für Kabelkanäle
DE19653963C2 (de) * 1996-10-28 1999-09-23 Reinhold Drosselmeyer Brandschutz-Kabelgehä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018643U1 (de) 2001-02-15
DE10194577D2 (de) 2003-10-16
DE10194577B4 (de) 2011-12-15
AU2002223586A1 (en) 2002-05-15
WO2002037011A1 (de) 200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9745A (en) Devices for the fire stopping of plastics pipes
US11913585B2 (en) Device for passing pipes or cables through an opening in a building
KR20020079765A (ko) 파이프 또는 케이블 벽관통구 내화 밀봉 장치
AU2018226076B2 (en) Fire protection element
KR102406903B1 (ko) 화재확산방지 및 내진성능을 갖는 오픈조인트패널조립체
US5058346A (en) Fire protection collar
GB2462000A (en) Fire protected security room
JP2011163553A (ja) 耐火閉塞具による排水管を閉塞する方法
KR20190096568A (ko)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JP6348320B2 (ja) 耐火部材及び防火区画壁構造
KR102280637B1 (ko) 내진성능을 갖는 오픈조인트패널 난연조립체
JP2955446B2 (ja) 配管貫通部の防火処置工法および防火装置
JP4927797B2 (ja) 配線ボックス用耐火処理部材
JP3883913B2 (ja) 防火区画体の貫通構造及び同貫通構造を形成する貫通筒体
EP3792420A1 (en) Fireproof structure for through-penetration firestopping of building
JP3765383B2 (ja) 可燃性長尺物貫通部防火処置用箱型枠体
KR102245923B1 (ko) 스틸 격벽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36191B1 (ko) 층간 슬라브의 하층에서 시공되는 방화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24834B1 (ko) 반도체 fab 제조공정용 배관의 내화 충전장치
JPH0465182B2 (ko)
JP7399445B2 (ja) 防水部材
JPH04151086A (ja) 区画体における多条合成樹脂製管貫通部の防火措置工法
KR200270185Y1 (ko) 건축용 내화패널
US20220047904A1 (en) Fire protection sleeve segment and fire protection sleeve
JP3623024B2 (ja) 建物の防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