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827A - 네트워크 기반의 택시 서비스의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반의 택시 서비스의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827A
KR20020078827A KR1020010018985A KR20010018985A KR20020078827A KR 20020078827 A KR20020078827 A KR 20020078827A KR 1020010018985 A KR1020010018985 A KR 1020010018985A KR 20010018985 A KR20010018985 A KR 20010018985A KR 20020078827 A KR20020078827 A KR 20020078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i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at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봉환
Original Assignee
(주)이너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너베이 filed Critical (주)이너베이
Priority to KR1020010018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8827A/ko
Publication of KR2002007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827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택시 서비스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통신사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기지국의 발신 전계강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전계강도를 통하여 산출된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산출한 후에, 택시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회원등록 및 택시 이용 가능 여부 데이터를 전송 받고,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택시 서비스 요청신호를 전송 받으면, 택시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CID 데이터를 택시 이용 정보 서버로 전송하고, 택시 이용 정보 서버에서 택시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CID 데이터에 의거하여 택시 사용자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택시 운전자와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신 접속하여 상호간의 직접통화에 의해 세부위치를 파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추가적인 장비나 기기 등을 고가로 설치할 필요 없이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발신자 정보 확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택시 운전자와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호 통신 접속하여 편리하게 택시를 이용하고 승객을 유치함으로써 시간 및 경제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택시 서비스의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Operating system for network_based providing taxi ser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택시 서비스의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데이터와 발신자 전화번호 서비스 (Caller Identification ; 이하 CID 서비스라 칭함)를 이용하여 택시 사용자와 택시 운전자의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신 접속함으로써, 택시 운전자와 택시 사용자 상호간의 직접통화에 의해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택시를 이용하는 택시 서비스의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하철을 제외한 도시내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방법은, 이용자가 버스정류장에서 배차 간격에 따라 운행되는 노선 버스가 오기를 기다리거나 또는 도로변에서 지나가는 택시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운행중인 버스의 배차간격이 불규칙하고 인적이 드문 장소에서 택시를 이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GPS를 이용한 지리정보 시스템의 활용은 일부 고급 승용차에 부착되어 있는 기기를 통해서 개인 운전자가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복잡한 운영시스템과 고가의 장비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사
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기지국의 발신 전계강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전계강도를 통하여 측정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발신자 전화번호(Caller Identification ;이하 CID라 칭함)서비스에 의거하여, 택시 운전자와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통신 접속함으로써, 추가적인 장치나 고가의 기기 등의 도움 없이 편리하게 택시를 이용하고 승객을 유치하여 시간 및 경제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택시 서비스의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택시 서비스의 운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택시 서비스 운영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운전자의 해당 서비스의 이용신청 및 회원등록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택시 사용자의 택시 서비스 이용신청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접속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네트워크 통신망 20 : 기지국
30 : 택시 운전자 이동통신 단말기 40 : 택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
50 : 이동 통신사 60 : 택시 이용 정보 서버
70 : 택시 이용 정보 서버의 DB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데이터와 CID서비스를 이용한 콜택시 서비스의 운영 시스템으로서, 불특정 다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위치정보신호를 송출하고, 택시 이용 가능여부의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택시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위치정보신호를 송출하고, 택시 서비스의 요청신호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택시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택시 이용 가능여부의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 및 택시 운전자의 CID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위치정보 데이터와 CID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이동 통신사; 및 이동 통신사로부터 입력된 택시 이용 가능 여부 데이터와 택시 운전자의 CID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동 통신사로부터 입력된 택시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CID 데이터에 의거하여 택시 사용자에 가장 근접한 택시를 DB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에 의거하여 택시 운전자와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통신 접속하는 택시 이용 정보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택시 서비스 운영방법은, (1) 택시 운전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외부로 회원등록 후에, 택시 이용 가능 여부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과정; (2) 택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택시 서비스의 요청신호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과정; (3) 택시 이용 정보 서버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택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CID 데이터를 이용하여 택시 사용자에 근접한 택시를 검색하고,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택시 사용자와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택시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신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택시 서비스의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망(10)은 유/무선 인터넷 등의 통신망으로서, 후술하는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와 이동 통신사(50)간에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망(10)은 각 기지국과 무선으로 연결된 각 이동통신 단말기(30),(40)와 이동통신사(50)간에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택시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위치정보 신호를 이동 통신사(50)의 기지국으로 송출하고, 택시 운전자가 입력한 현재 택시 이용 가능 여부의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로 전송한다.
또한, 택시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는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통신 접속되는 이동 통신사(50)로부터 입력된 택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데이터와 CID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위치정보 신호를 이동 통신사(50)의 기지국으로 송출하고, 택시 사용자가 입력한 택시 서비스의 요청신호를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이동통신사(50)로 전송한다.
또한,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는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통신 접속되는 이동통신사(50)로부터 입력된 택시 운전자의 위치 정보 데이터와 CID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동통신사(50)는 기지국(20)의 발신 전계강도 및 이동통신 단말기(30),(40)의 수신 전계강도를 통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30),(40)의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이동통신 단말기(30),(40)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로 전송한다.
이동통신사(50)는 택시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를 통하여 입력된 택시 이용 가능 여부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 및 택시 운전자의 CID 데이터를 입력받아택시 이용 정보 서버(50)로 전송하고,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를 통하여 입력된 택시 서비스 요청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 및 CID 데이터를 택시 이용 정보 서버 (60)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통신사(50)는 택시 이용 정보 서버 (60)에서 검색된 택시 사용자와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택시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와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통신접속 한다.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는, 기지국(20)의 발신 전계강도 및 이동통신 단말기 (30),(40)의 수신 전계강도를 통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30),(40)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이동통신사(50)로부터 각 이동통신 단말기(30),(40)의 위치정보를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입력받아 저장한다.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는, 택시 운전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30)를 사용하여 입력한 택시 이용 가능 여부 데이터에 의거하여, 현재 이용 가능한 택시 및 해당 택시 운전자의 CID 데이터와 이용 불가능한 택시 및 해당 택시 운전자의 CID 데이터를 각각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70)에 저장한다.
또한,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는, 택시 사용자의 택시 요청신호가 이동통신사(50)로부터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입력되면, 택시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CID 데이터에 의거하여 택시 사용자와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택시 데이터를 DB(70)로부터 검색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호 통신연결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택시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고, 도 3내지 도5는 도 2에 대한 서브루틴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 이다.
우선, 택시 운전자의 해당 서비스 이용신청 및 등록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택시 운전자는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로 통신접속 한 후에(S101),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양식 데이터에 가입자 정보, 예를 들면 성명, 나이 및 주소 등의 개인정보,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차량번호 등을 입력하고(S102),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에서 택시 운전자가 입력한 가입자 정보를 DB(70)에 저장한다(S103).
이후, 택시 운전자가 이동통신 단말기(30)를 통하여 택시 이용의 가능여부 데이터를 이동통신사(50)로 입력할 때(S104), 택시 운전자가 현재 운행중인 택시의 이용가능 여부를 판단하고(S105), 현재 운행중인 택시가 이용 가능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소정의 동작키를 사용하여 택시 이용 가능 여부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S106).
단계(S105)의 판단 결과 현재 운행중인 택시가 이용 가능 한 경우, 택시 운전자가 이동통신 단말기(30)를 사용하여 택시 이용 가능 정보신호를 이동통신사(50)로 전송하면(S106), 이동통신사(50)는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해당하는 택시정보와 택시 운전자의 CID데이터를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로 전송하고(S107),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는 입력된 해당 택시를 이용 가능한 택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08).
단계(S105)의 판단 결과 현재 운행중인 택시가 이용 불가능 한 경우, 택시 운전자가 이동통신 단말기(30)를 사용하여 택시 이용 불가능 정보신호를 이동통신사 (50)로 전송하면(S109), 이동통신사(50)는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해당하는 택시정보와 택시 운전자의 CID데이터를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로 전송하고 (S110),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는 입력된 해당 택시를 이용 불가능한 택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11).
이와 같이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에서 서비스 이용을 위한 회원등록을 수행하고 이용 가능 여부의 택시 데이터를 저장한 후에,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입력된 택시 사용자의 택시 서비스의 이용신청 통화를 수행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택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40)를 사용하여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로 통신접속 한 후에(S201), 콜택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요청신호를 이동통신사(50)로 전송한다 (S202).
이동통신사(50)는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입력된 택시 사용자의 택시 서비스의 이용신청, 위치정보 및 CID 데이터를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로 전송한다 (S203).
이후,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는 입력된 택시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DB(70)에 저장된 택시 데이터 중에서 해당 택시 사용자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택시 데이터를 검색한 후에(S204), 해당 택시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로 통신접속한다(S204).
이와 같이 상술한 과정을 통해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에서 택시 사용자에 가장 근접한 택시를 검색한 후에, 택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CID데이터에 의거하여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와 택시 사용자와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택시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상호 통신접속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택시 운전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30)를 사용하여 택시 이용 가능 여부의 정보 신호를 이동통신사(50)로 전송하면 (S301), 이동통신사(50)는 해당 정보 신호 및 택시 운전자의 CID 데이터를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로 전송한다(S302).
택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40)를 사용하여 택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요청신호를 이동통신사(50)로 송출하면(S303), 이동통신사(50)는 해당 택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데이터 및 CID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로 전송한다(S304).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에서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입력된 해당 택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데이터 및 CID데이터에 의거하여 택시 사용자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이용 가능한 택시를 검색하고(S305), 네트워크 통신망(10)을 통하여 택시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30)로 통화연결을 실행한다.
이후, 택시 이용 정보 서버(60)는 이동 통신사(50)를 통하여 택시 운전자와택시 사용자의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30),(40)를 네트워크 통신망(10)을 상호 통신접속하고(S306), 택시 운전자와 택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30),(40)를 사용하여 서로의 세부위치를 확인한 후에 택시를 이용한다(S307).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의 발신 전계강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전계강도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확인정보 데이터와 발신자 정보 확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택시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택시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통신 접속함으로써, 다른 추가적인 장비나 고가의 기기 등을 설치할 필요 없이 택시 운전자와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직접통화에 의해 편리하고 경제적인 택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불특정 다수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위치정보신호를 송출하고, 택시 이용 가능여부의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택시 운전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위치정보신호를 송출하고, 택시 서비스의 요청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택시 운전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택시 이용 가능여부의 데이터, 위치정보 데이터 및 CID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택시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위치정보 데이터와 CID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고, 택시 운전자와 택시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통신 접속하는 이동 통신사; 및
    상기 이동 통신사로부터 입력된 택시 운전자의 위치 정보 데이터와 택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데이터에 의거하여, 택시 사용자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택시를 DB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택시 운전자와 택시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호 통신 접속하는 택시 이용 정보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서비스 운영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사는,
    기지국의 발신 전계강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전계강도를 통하여 택시 운전자 및 택시 사용자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서비스 운영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택시 이용 정보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사로부터 입력된 택시 이용가능 여부 데이터에 의거하여, 현재 이용 가능한 택시 데이터와 이용 불가능한 택시 데이터로 분류하여 상기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서비스 운영시스템.
  4. (1) 택시 운전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외부로 회원등록 후에, 택시 이용 가능 여부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사로 전송하는 과정;
    (2) 택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콜택시 서비스의 요청신호를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사로 전송하는 과정;
    (3)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택시 사용자와 근접하여 위치한 택시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신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서비스 운영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1)은,
    (1-1) 복수의 택시 운전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택시 이용 정보 서버로 통신접속 하는 단계;
    (1-2) 상기 택시 이용 정보 서버에서 택시 운전자가 소정의 양식 데이터에 입력한 가입자 정보, 예를 들면 성명, 나이, 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및 차량번호 등을 입력받아 DB에 저장하는 단계:
    (1-3) 복수의 택시 운전자가 현재 운행중인 택시의 이용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동작키를 사용하여 택시 이용 가능여부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사로 전송하는 단계;
    (1-4) 단계(1-3)의 판단결과, 현재 운행중인 택시가 이용 가능 한 경우, 상기이동통신사에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이용 가능한 택시의 위치정보와 택시 운전자의 CID 데이터를 택시 이용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1-5) 단계(1-3)의 판단 결과, 현재 운행중인 택시가 이용 불가능 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사에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이용 불가능한 택시의 위치정보와 택시 운전자의 CID 데이터를 택시 이용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1-6) 상기 택시 이용 정보 서버에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사로부터 입력된 택시의 위치정보 데이터와 택시 운전 운전자의 CID 데이터에 의거하여, 이용 가능한 택시와 이용 불가능한 택시로 데이터를 분류하여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서비스 운영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2)은,
    (2-1) 복수의 택시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택시의 요청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사로 전송하는 단계;
    (2-2)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입력된 택시 사용자의 택시 서비스의 요청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이동통신사에서 택시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CID 데이터를 택시 이용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2-3) 상기 택시 이용 정보 서버에서 택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위치정보와 CID 데이터 의거하여 DB에 저장된 택시 데이터 중에서 해당 택시 사용자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한 택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및
    (2-4) 상기 택시 이용 정보 서버에서 택시 사용자와 택시 운전자의 각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호 통신접속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서비스 운영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은
    (3-1) 택시 운전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택시 이용 가능 여부의 정보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사로 전송하는 단계;
    (3-2) 상기 이동통신사에서 정보 신호 및 택시 운전자의 CID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택시 이용 정보 서버로 전송 하는 단계;
    (3-3) 택시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택시 서비스 이용을 위한 요청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사로 전송하는 단계;
    (3-4) 상기 이동통신사에서 해당 택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데이터 및 CID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택시 이용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3-5) 상기 택시 이용 정보 서버에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입력된 해당 택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데이터 및 CID데이터에 의거하여, 택시 운전자와 택시 사용자의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호 통신 접속하는 단계;
    (3-6) 택시 운전자와 택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서로의 세부위치를 확인한 후에 택시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서비스 운영방법.
KR1020010018985A 2001-04-10 2001-04-10 네트워크 기반의 택시 서비스의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78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985A KR20020078827A (ko) 2001-04-10 2001-04-10 네트워크 기반의 택시 서비스의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985A KR20020078827A (ko) 2001-04-10 2001-04-10 네트워크 기반의 택시 서비스의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827A true KR20020078827A (ko) 2002-10-19

Family

ID=2770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985A KR20020078827A (ko) 2001-04-10 2001-04-10 네트워크 기반의 택시 서비스의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88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173A (ko) 2014-07-28 2016-02-11 이상태 택시 승강장 운영 시스템 및 택시 승강장 운영 방법
KR20200065592A (ko) 2018-11-30 2020-06-09 이상태 택시 승강장 추천을 위한 중앙 관제 서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182A (ja) * 1995-07-06 1997-01-21 M Japan:Kk 移動体の呼び出しシステム
JPH09115095A (ja) * 1995-10-16 1997-05-02 Yoshiaki Masuno タクシー呼び出し装置
KR19980075401A (ko) * 1997-03-31 1998-11-16 조영선 이동전화를 이용한 이동체 위치 관리시스템
JP2000082199A (ja) * 1998-09-07 2000-03-21 Futaba Keiki Kk 車両配車システム
KR20000054480A (ko) * 2000-06-08 2000-09-05 황도환 고객, 공급자 전화간에 직접연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182A (ja) * 1995-07-06 1997-01-21 M Japan:Kk 移動体の呼び出しシステム
JPH09115095A (ja) * 1995-10-16 1997-05-02 Yoshiaki Masuno タクシー呼び出し装置
KR19980075401A (ko) * 1997-03-31 1998-11-16 조영선 이동전화를 이용한 이동체 위치 관리시스템
JP2000082199A (ja) * 1998-09-07 2000-03-21 Futaba Keiki Kk 車両配車システム
KR20000054480A (ko) * 2000-06-08 2000-09-05 황도환 고객, 공급자 전화간에 직접연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173A (ko) 2014-07-28 2016-02-11 이상태 택시 승강장 운영 시스템 및 택시 승강장 운영 방법
KR20200065592A (ko) 2018-11-30 2020-06-09 이상태 택시 승강장 추천을 위한 중앙 관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136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00549B1 (ko) 단거리 무선전용 통신망을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장치
US7027772B2 (en) Inter-vehicle message disse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KR101174688B1 (ko) 실시간 버스 정보를 이용한 승객 하차 지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H0876706A (ja) 電子広告方法及び装置
JPH1146164A (ja) 移動物体呼び出しシステム
JP2000082199A (ja) 車両配車システム
KR101229513B1 (ko) 대중교통 이용시 엔에프씨를 이용한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113568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임시주차 정보시스템
JPH06120875A (ja) 携帯端末装置
KR20020078827A (ko) 네트워크 기반의 택시 서비스의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JP2912332B1 (ja) 携帯通信端末の位置検索方法
JP2001283384A (ja) 運行状態報知システムとその移動通信基地局装置
JP4090217B2 (ja) 無線通信を用いた配車要求システム
KR19990019264A (ko) 개인휴대통신 (pcs 및 cellular)을 이용한 자동위치확인 및 정보전달시스템
JP3049597B2 (ja) Phs端末位置情報の取得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0018646A (ko) 교통정보 제공방법
KR20070007533A (ko) 차량위치 확인을 통한 도착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도착알림 서비스 방법
KR100447221B1 (ko) 버스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H10243456A (ja) 位置推定可能通信システムおよび位置推定機能付き携帯通信機
KR20030060405A (ko) 노변정류장 근거리무선통신 기지국을 이용한 단말의 위치파악 및 위치전달 방법
JP3933837B2 (ja) 目的位置通知システム並びに基地局情報管理端末、無線端末
JP2001331562A (ja) タクシー送迎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70065473A (ko)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5867B1 (ko) 차량 목적지 안내 시스템 및 그에 이용되는 이동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