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308A - 한 손용 키보드, 그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한글 키인식방법 - Google Patents

한 손용 키보드, 그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한글 키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308A
KR20020078308A KR1020010018637A KR20010018637A KR20020078308A KR 20020078308 A KR20020078308 A KR 20020078308A KR 1020010018637 A KR1020010018637 A KR 1020010018637A KR 20010018637 A KR20010018637 A KR 20010018637A KR 20020078308 A KR20020078308 A KR 20020078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board
keys
pressed
keybo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천
Original Assignee
한기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천 filed Critical 한기천
Priority to KR102001001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8308A/ko
Publication of KR20020078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30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손용 키보드, 그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한글 키 인식방법을 개시한다.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정보처리장치에 전달하는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호 동일한 내부 구조를 가지며, 양손용 키보드를 분할한 형태로 형성된 제1 키보드 및 제2 키보드; 및 키들을 포함한 각각의 앞면에 대한 각각의 배면이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키보드들이 그들 사이의 축을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키보드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 손용 키보드, 그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한글 키 인식방법{One hand keyboard, key recognition method therein and hangul key recognition method therein}
본 발명은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손용 키보드, 그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한글 키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양손으로 키를 입력하게 편하게 만들어져 있다. 예컨대, 자음 키들은 왼쪽에, 모음 키들은 오른쪽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양손으로 키를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키보드는 장소에 따라서는 면적이 넓어 자리를 많이 차지한다. 또한, 한 손(일반적으로 오른손)으로 마우스나 전화 기 등을 잡은 상황에서, 필요에 따라 다른 한 손(일반적으로 왼손)만으로 키보드를 조작해야 할 경우 여러가지 불편함이 많다. 예컨대, 키보드가 옆으로 넓고, 중복되는 키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손을 키보드의 좌우로 움직여 가며 키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로 인해 키 입력 속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 손용 키보드를 두개의 한 손용 키보드로 분할하지만 두개의 키보드들이 각각 종래의 키보드의 역할을 수행하고, 접힘가능하게 함으로써, 한 손으로 종래의 키보드의 모든 키들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한 손용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양 손용으로 분할하여 배치된 문자 키들에 상대편 키들이 중복 배치된 한손용 키보드에서 용이한 키 인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일부 문자 키들에 자음 키와 모음 키가 함께 배치된 한 손용 키보드에서 용이한 한글 키 인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의 전체 상면도이다.
도 2는 V자 형으로 벌어진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의 배면도이다.
도 4는 V자 형으로 벌어진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접혀진 상태의 키보드에서 왼손용 키보드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접혀진 상태의 키보드에서 오른손용 키보드의 상면도이다.
도 7은 접혀진 상태의 키보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키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키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정보처리장치에 전달하는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는, 정보처리장치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호 동일한 내부 구조를 가지며, 양손용 키보드를 분할한 형태로 형성된 제1 키보드 및 제2 키보드; 및 키들을 포함한 각각의 앞면에 대한 각각의 배면이 마주보는 상태로 키보드들이 그들 사이의 축을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키보드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문자 키들을 제1 및 제2 키보드에 분할하여 각각 주 키들로 배치한 후, 키보드들 각각에 해당 주 키들과 함께 상대편 키보드의 키들을 부 키들로 배치한 구성을 갖는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은, (a) 제1 및 제2 키보드 각각에 해당 주 키들과 부 키들간의 전환을 위해 마련된 전환키가 눌려졌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전환키가 눌려진 채 눌린 키를 상대편 키보드의 키로 인식하고, 그 키 스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a) 단계에서 전환키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눌린 키를 해당 키보드의 키로 인식하고, 그 키 스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일부 문자 키들에 자음 키와 모음 키가 함께 배치된 한손용 키보드에서의 한글 키 인식방법은, (a) 한글 모드시, 문자 키들중 처음 눌린 키에서 그 키에 표시된 자음을 초성으로 인식하여 출력하는 단계, (b) 문자 키들중 다음에 눌린 키에서 그 키에 표시된 모음을 중성으로 인식하여 출력하는 단계, (c) 다음에 눌린 키가 미리 설정된 완료키인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받침없는 글자로 출력을 완료하는 단계, (d) 다음에 눌린 키가 상기 완료키가 아니면, 문자 키들중 다음에 눌린 키에서 그 키에 표시된 자음을 종성으로 인식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e) 받침있는 글자로 출력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의 전체 상면도로서, 왼쪽 키보드(1), 오른쪽 키보드(2), 연결부(3) 및 키 보호판들(7)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왼쪽 키보드(1) 및 오른쪽 키보드(2)는 예컨대, 종래의 키보드를 세로축으로 적절히 절단한 모양이지만, 일반 컴퓨터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호 동일한 내부 구조를 갖는다. 즉, 양 키보드 각각이 종래의 양손용 키보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컴퓨터에 전달하는 종래의 키보드 역할을 한다. 물론, 왼쪽 키보드(1)와 오른쪽 키보드(2) 각각이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한손용 키보드이지만, 종래의 양손용 키보드와 같이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는 기본적으로, 양손용 키보드에 근거하여 키보드가 갖는 모든 문자 키들을 왼쪽 키보드(1) 및 오른쪽 키보드(3)에 분할하여 주 키들로 배치한다. 한 손용 키보드를 위해 키보드들(1,2) 각각에 해당 주 키들과 함께 상대편 키보드의 키들을 부 키들로 배치한 구성을 갖는다. 도 1에 예시된 바에 의하면, 왼쪽 키보드(1) 및 오른쪽 키보드(2)는 서로 상대편 문자 키들을 포함하며, 특히 대칭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키 배치는 한 예에 불과하며, 다른 다양한 키 배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는 사용자가 좁은 공간에서 왼쪽 키보드(1) 또는 오른쪽 키보드(2)만 이용할 수 있도록, 키보드 크기를 줄이는 연결부(3)를 포함한다. 연결부(3)는 왼쪽 키보드(1)와 오른쪽 키보드(2)가 키들을 포함한 그들의 앞면에 대한 각각의 배면이 마주보는 상태로, 그들 사이의 축을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왼쪽 키보드(1)와 오른쪽 키보드(2)를 바람직하게, 힌지식으로 연결한다. 도 5는 접혀진 상태의 키보드에서 왼손용 키보드의 상면도를, 도 6은 접혀진 상태의 키보드에서 오른손용 키보드의 상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연결부(3)는 바람직하게 경첩일 수 있지만, 유연성 재질로 된 부재이거나, 왼쪽 키보드(1)와 오른쪽 키보드(2)를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부재 등일 수도 있다.
도 7은 접혀진 상태의 키보드의 측면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 있는 왼쪽 키보드(1)와 오른쪽 키보드(2)중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키보드의 키들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키보드들의 상단 및 하단에 키 보호판들(7)이 마련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키 보호판들(7)은 단순히 돌출된 형상이지만, 키들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보호하는 다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키보드들의 상단 및 하단이 아닌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판 구조가 아닌 다른 키 보호부가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할 경우에도 키보드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면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V자 형으로 벌어진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의 상면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접혀지지않은 왼쪽 키보드(1)와 오른쪽 키보드(2)가 그들의 윗변이 V자 형인 상태로 연결부(3)를 사이에 두고 벌어져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배면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의 배면도로서, 걸림판(4), 홈(5), 걸림쇠(6), 구멍(9) 및 두 키보드간의 신호 전달을 위한 케이블(8)을 나타낸다. 왼쪽 키보드(1)는 연결부(3)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연결부(3)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걸림판(4)을 포함한다. 대응하여, 오른쪽 키보드(2)는 걸림판(4)이 왼쪽 키보드(1)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걸림판(4)의 두께만큼 들어간 홈(5)을 포함한다.
도 4는 V자 형으로 벌어진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의 배면도이다. 키보드들이 V자 형인 상태로 벌어지도록, 홈(5)의 일부는 실질적으로 호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걸림판(4)의 일부는 호를 따라 미끄럼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홈(5)과 걸림판(4)이 확실히 걸려지도록, 홈(5)에는 그 홈의 내부로부터 바람직하게, 수직으로 돌출된 걸림쇠(6)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판(4)에는 걸림쇠(6)를 여유있게 삽입시키는 곡선 형상의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쇠(6)가 긴 구멍의 한쪽 끝에서 걸려지면 왼쪽 키보드(1)와 오른쪽 키보드(2)는 보통의 펼친 상태이고, 걸림쇠(6)가 긴 구멍의 다른쪽 끝에서 걸려지면, 왼쪽 키보드(1)와 오른쪽 키보드(2)는 그들의 윗변이 V자 형인 상태로 벌어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키보드의 배면은 일예일 뿐, 키보드를 V자 형으로 벌리는데 용이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V자 형으로 벌리지 않는다면, 키보드의 배면은 보다 단순한 구조일 것이고, 케이블(8)은 내장될 수 있다.
이제, 한손용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특히, 한글 키 인식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양 손용으로 분할하여 배치된 문자 키들에 상대편 키들이중복 배치되어 있다. 왼쪽 키보드(1)와 오른쪽 키보드(2)는 해당 주 키들과 함께 상대편 키보드의 키들을 부 키들로 배치하고 있다. 사용자가 한쪽 키보드만을 사용할 경우에 종래의 키보드를 사용할 때처럼 키 입력을 하면, 한쪽 키보드의 해당 키들만 인식되기 때문에 새로운 키 인식방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왼쪽 키보드(1)와 오른쪽 키보드(2)는 해당 주 키들과 부 키들간의 전환을 위한 전환키를 각각 포함한다. 전환키는 특수키처럼 별도로 마련된 키(미도시)일 수 있고, 기존의 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환키로 스페이스 바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키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전환키가 눌려졌는가를 판단한다(제800단계). 그렇다면 전환키가 눌려졌다가 떼어졌는가를 판단한다(제802단계). 또는 전환키가 눌려진 채 다른 키 입력없이 일정 시간이 지났는가를 판단한다. 이들을 만족시키면, 전환키의 본래 키능이 있으면 그대로 출력한다(제804단계). 예컨대, 전환키가 스페이스 바이면, 스페이스가 계속 출력된다.
한편, 제800단계에서 전환키가 눌려지지 않았으면, 사용자에 의해 눌린 키를 그대로 해당 키보드의 키로 인식하고, 그 키 스캔코드를 출력한다(제808단계). 한편, 제802단계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전환키가 눌려진 채 사용자에 의해 눌린 키를 상대편 키보드의 키로 인식하고, 그 키 스캔코드를 출력한다(제806단계).
이와 같이 전환키를 이용하는 방법이외에, 다른 실시예로서 키 입력 순서에 따른 키 인식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한글 키들은 양손용 키보드에서 자음 키들과 모음 키들로 분할되어 있어 양손을 번갈아 입력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도 1을 참조하면, 한 손용 키보드를 위해 한 키에 자음 키와 모음 키가 함께 배치되어 있다. 도 1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ㅒ,ㅖ,ㅃ,ㅉ,ㄸ,ㄲ은 종래의 키보드에서 처럼 각각 ㅐ,ㅔ,ㅂ,ㅈ,ㄷ,ㄱ과 같이 배치되며, 종래와 마찬가지로 쉬프트 키와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은 한 손용 키보드에서 특히, 한글 모드시 용이한 한글 키 인식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한/영 키가 2개이며, 둘중 하나는 한손용 키보드시에만 적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키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한 손용 키보드를 위한 한글 모드인가를 판단한다(제900단계). 그렇다면, 문자 키들중 사용자에 의해 처음 눌린 키에서 그 키에 표시된 자음을 '초성'으로 인식하여 출력한다(제902단계). 다음에, 문자 키들중 다음에 눌린 키에서 그 키에 표시된 모음을 '중성'으로 인식하여 출력한다(제904단계). 다음에 눌린 키가 미리 설정된 완료키인가를 판단한다(제910단계). 완료키이면, 받침없는 글자로 출력을 완료한다(제912단계). 여기서, 완료키는 도 1과 같이 예컨대, 옛이응(ㆁ)을 만들어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키들중 하나에 완료키 기능을 부여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제910단계에서, 문자 키들중 다음에 눌린 키에서 그 키에 표시된 자음을 '종성'으로 인식하여 출력한다(제914단계). 끝으로, 받침있는 글자로 출력을 완료한다(제920단계).
한편, '초성' 및 '종성'으로 복자음이 사용되고, '중성'으로 복모음이 사용될 경우에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904단계에서 눌린 키와 동시에 눌린 문자 키가 있으면, 제904단계에서의 모음에 이어서 복모음으로 출력한다(제908단계). 또한, 제914단계에서 눌린 키와 동시에 눌린 문자 키가 있으면, 제914단계에서의 자음에 이어서 복자음으로 출력한다(제918단계). 예컨대, 복모음 'ㅢ'의 경우 'ㅡ'와 'ㅣ'가 동시에 눌려지면(즉, 'ㅡ'가 눌려진 후 사용자가 키에서 손을 떼기 전에 'ㅣ'를 누르면), 'ㅢ'로 인식하여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키보드의 키 자체에 복모음들 및 복자음들을 미리 배치한다. 예컨대, 종래의 키보드에서 ㅒ,ㅖ,ㅃ,ㅉ,ㄸ,ㄲ이 다른 키들과 함께 배치되어 있다. 제902단계, 제904단계 및 제914단계에서 눌린 키는 ㅒ,ㅖ,ㅃ,ㅉ,ㄸ,ㄲ 키를 위해 쉬프트 키와 함께 눌려진 키를 포함한다. 복모음 및 복자음도 마찬가지로, 키들중 일부 자음 키들 및 모음 키들에 각각 복자음들 및 복모음들을 함께 배치하고, 쉬프트 키와 함께 눌려지도록 설정함으로써, 해당 키들이 제902단계, 제904단계 및 제914단계에서 눌린 키에 포함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의한 한 손용 키보드, 그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한글 키 인식방법을 설명하였다. 도 1에 도시된 간략화된 키의 배치, 키의 배면, 복모음 및 복자음 문제 등은 실례들 불과하며, 다양한 다른 실례들이 있을 수 있으며, 그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 손용 키보드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한 손에 마우스나 전화 등을 사용하면서, 다른 한 손만으로 손을 좌우로 많이 움직일 필요없이 손가락이 뻗치는 거리내에서 모든 키의 입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편리하고, 빠른 키 입력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키보드를 접을 수 있어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V자 형으로 벌어질 수 있어 인체공학적으로 편리한 키 입력을 도모하여 작업 효율을 보다 증대시킨다. 또한, 한 손용 키보드에서의 키 입력이 용이하며, 특히 한글 모드시 한 손으로 모든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누를 수 있어 빠른 한글 입력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정보처리장치에 전달하는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호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호 동일한 내부 구조를 가지며, 양손용 키보드를 분할한 형태로 형성된 제1 키보드 및 제2 키보드; 및
    키들을 포함한 각각의 앞면에 대한 각각의 배면이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키보드들이 그들 사이의 축을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키보드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양손용 키보드에 근거하여 키보드가 갖는 문자 키들을 상기 제1 및 제2 키보드에 분할하여 주 키들로 배치한 후,
    한 손용 키보드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키보드 각각에 해당 주 키들과 함께상대편 키보드의 키들을 부 키들로 배치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키보드는 해당 주 키들과 부 키들간의 전환을 위한 전환키를 각각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보드는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키보드는 상기 걸림판이 상기 제2 키보드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걸림판의 두께만큼 들어간 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접혀지지않은 상기 제1 및 제2 키보드가 그들의 윗변이 V자 형인 상태로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벌어지도록, 상기 홈의 일부는 실질적으로 호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걸림판의 일부는 호를 따라 미끄럼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는 그 홈의 내부로부터 돌출된 걸림쇠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판에는 상기 걸림쇠를 여유있게 삽입시키는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접혀진 상태에 있는 상기 제1 및 제2 키보드중 사용자가 사용하지않는 키보드의 키들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키보드의 상단 및 하단에 마련된 키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6. 양손용 키보드에 근거하여 문자 키들을 제1 및 제2 키보드에 분할하여 각각 주 키들로 배치한 후, 한 손용 키보드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키보드 각각에 해당 주 키들과 함께 상대편 키보드의 키들을 부 키들로 배치한 구성을 갖는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및 제2 키보드 각각에 해당 주 키들과 부 키들간의 전환을 위해 마련된 전환키가 눌려졌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전환키가 눌려진 채 눌린 키를 상대편 키보드의 키로 인식하고, 그 키 스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전환키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눌린 키를 해당 키보드의 키로 인식하고, 그 키 스캔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키로 스페이스 바를 이용하며,
    상기 (a) 단계 후에 상기 전환키가 눌려졌다가 떼어졌거나, 눌려진 채 다른 키 입력없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스페이스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방법.
  8. 한 손용 키보드를 위해 일부 문자 키들에 자음 키와 모음 키가 함께 배치된 키보드에서의 한글 키 인식방법에 있어서,
    (a) 한글 모드시, 문자 키들중 처음 눌린 키에서 그 키에 표시된 자음을 초성으로 인식하여 출력하는 단계;
    (b) 문자 키들중 다음에 눌린 키에서 그 키에 표시된 모음을 중성으로 인식하여 출력하는 단계;
    (c) 다음에 눌린 키가 미리 설정된 완료키인가를 판단하고, 그렇다면 받침없는 글자로 출력을 완료하는 단계;
    (d) 다음에 눌린 키가 상기 완료키가 아니면, 문자 키들중 다음에 눌린 키에서 그 키에 표시된 자음을 종성으로 인식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e) 받침있는 글자로 출력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키 인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키 인식방법은,
    (b') 상기 (b) 단계에서 눌린 키와 동시에 눌린 문자 키가 있으면, 상기 (b) 단계에서의 모음에 이어서 복모음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d) 단계에서 눌린 키와 동시에 눌린 키가 있으면, 상기 (d) 단계에서의 자음에 이어서 복자음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키 인식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들중 일부 자음 키들 및 모음 키들에 각각 복자음들 및 복모음들이 함께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쉬프트 키와 함께 눌려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a), (b) 및 (d) 단계에서 눌린 키는 쉬프트 키와 함께 눌려진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키 인식방법.
KR1020010018637A 2001-04-09 2001-04-09 한 손용 키보드, 그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한글 키인식방법 KR20020078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637A KR20020078308A (ko) 2001-04-09 2001-04-09 한 손용 키보드, 그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한글 키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637A KR20020078308A (ko) 2001-04-09 2001-04-09 한 손용 키보드, 그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한글 키인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308A true KR20020078308A (ko) 2002-10-18

Family

ID=2770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637A KR20020078308A (ko) 2001-04-09 2001-04-09 한 손용 키보드, 그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한글 키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83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237B1 (ko) * 2005-10-25 2007-04-19 전한구 단말기의 문자열 처리 방법
WO2022045577A1 (en) * 2020-08-27 2022-03-03 Hyeon Gi Jeon Separated keyboard and method for changing keyboard layout for each communication connection
KR20220107604A (ko) 2021-01-25 2022-08-02 김다훈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512A (ja) * 1986-01-28 1987-07-30 Nitsukisou Kenkoo Kk キ−ボ−ド
US5574481A (en) * 1994-01-18 1996-11-12 Silitek Corporation Detachable folding keyboard device
JPH1063393A (ja) * 1996-08-14 1998-03-06 Nippon Denki Ido Tsushin Kk ディスプレイ収納式折り畳みキーボード
KR20000065463A (ko) * 1999-04-03 2000-11-15 류공현 키보드
US20020097226A1 (en) * 2001-01-19 2002-07-25 Mei-Ling Chen Folding keyboar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512A (ja) * 1986-01-28 1987-07-30 Nitsukisou Kenkoo Kk キ−ボ−ド
US5574481A (en) * 1994-01-18 1996-11-12 Silitek Corporation Detachable folding keyboard device
JPH1063393A (ja) * 1996-08-14 1998-03-06 Nippon Denki Ido Tsushin Kk ディスプレイ収納式折り畳みキーボード
KR20000065463A (ko) * 1999-04-03 2000-11-15 류공현 키보드
US20020097226A1 (en) * 2001-01-19 2002-07-25 Mei-Ling Chen Folding keyboar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237B1 (ko) * 2005-10-25 2007-04-19 전한구 단말기의 문자열 처리 방법
WO2007049890A1 (en) * 2005-10-25 2007-05-03 Han Koo Jeon Character input device for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character string
WO2022045577A1 (en) * 2020-08-27 2022-03-03 Hyeon Gi Jeon Separated keyboard and method for changing keyboard layout for each communication connection
KR20220027462A (ko) * 2020-08-27 2022-03-08 전현기 분리형 무선 키보드 장치 및 연결 구조별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 방법
KR20220107604A (ko) 2021-01-25 2022-08-02 김다훈 한손 및 양손 겸용 키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7949A (en) Ergonomic computer keyboard
KR0130878Y1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분할 구조
US6894626B2 (en) Foldable keyboard
WO2002008849A3 (en) Computer-compatible, color-coded manual input system
JPH0612164A (ja) 折りたたみ式キーボード
JPH1063392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キーボード
WO200108662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ar-facing touch typing keyboard
EP1542119A1 (en) Ultra high-speed character input device of cellular telephone
KR20020078308A (ko) 한 손용 키보드, 그 키보드에서의 키 인식방법 및 한글 키인식방법
US7287921B2 (en) Key array of keyboard
KR200205575Y1 (ko) 휴대폰 문자 입력 장치
JPH0793069A (ja) ワープロ等用入力キーボード
JP2000089896A (ja) コード入力装置
KR100735146B1 (ko)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200269602Y1 (ko) 소형 키패드용 3분할 사용가능 키버튼
JPH09311744A (ja) キーボード
JPH02131623A (ja) 文字列入力用キーボード
JPH08115150A (ja) 片手入力可能なキーボード、並びにそのキー配列
JP2000259322A (ja) キーボード装置
CA2448420A1 (en) Ergonomic keyboard tilted forward with non-qwerty key layout
JPH01196617A (ja) 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2544445Y2 (ja) キーボード用キー
EP0897615B1 (en) Expandable keyboard with interleaving sections
KR20010087753A (ko) 휴대폰 문자입력 방법.
JP3072517U (ja) 多指入力型かな入力機能を持つ小型無線装置及び多指入力型かな入力機能を持つ携帯型情報機器及び多指入力型かな入力機能を持つ情報入力装置の情報入力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