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7496A - 보수 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 Google Patents

보수 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7496A
KR20020077496A KR1020027010928A KR20027010928A KR20020077496A KR 20020077496 A KR20020077496 A KR 20020077496A KR 1020027010928 A KR1020027010928 A KR 1020027010928A KR 20027010928 A KR20027010928 A KR 20027010928A KR 20020077496 A KR20020077496 A KR 20020077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eral fat
subject
sectional area
abdominal
abdominal visc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401B1 (ko
Inventor
쇼조 카와니시
코이치 오키타
Original Assignee
야마도세이고오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도세이고오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도세이고오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6Evaluating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06Ped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2Computer assisted medical diagno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besit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Abstract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운동량을 구할 수 있으며, 복부에서의 내장지방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구할 수 있고, 또한 일상적으로 휴대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를 이하에서와 같이 구성한다. 피검자의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보수를 측정하는 보수측정수단을 구비하며, 그 본체를 휴대 가능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등의 신체 데이터가 조작부를 통하여 입력되면, 신체 데이터의 소정 연산식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해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에 대하여 정량적인 정보에 관한 연산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보수 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Visceral fat meter having pace counting function}
체내의 지방량을 적절한 양으로 유지하는 것은 성인병 등을 예방하여 건강을 지키는 데 필요하며, 이러한 체내 지방량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일상적으로 섭취되는 에너지(칼로리)와 기초대사, 운동, 신체동작 그리고 식물의 소화흡수 등의 밸런스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보행, 주행 등의 운동은 칼로리를 소비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상적으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운동과, 그 운동에 따른 운동량이나 소비 칼로리의 관계를 알 수 있는 기기나, 체내 지방량을 알 수 있는 각종의 기기가 있다.
이들 기기 중, 보행에 따른 운동량이나 소비 칼로리를 간단하게 알 수 있는 것으로서, 보수계(步數計)(소위 "만보계"라 일반적으로 칭한다)가 있다. 이 보수계는 신체의 허리부분 등에 부착함으로써 보행이나 주행 시의 보수를 카운트하는 기기로서, 이 보수와, 보폭, 체중, 연령 등의 필요한 개인 테이터에 기초하여 소비 칼로리를 추정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보행, 주행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여 소정시간의 평균속도를 구하고, 그에 기초하여 소비 칼로리를 추정하는 것도 있다.
한편, 신체의 체지방중량 또는 체지방율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로서 체지방계가 있다. 이 체지방계는 신체의 부위에 전극을 접촉시킴으로써 측정된 인체의 임피던스인 생체 임피던스와, 체중이나 신장, 연령 등과 같은 필요한 개인 데인타로부터 체지방중량 또는 체지방율을 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전거식 에르고미터(ergometer)를 사용한 트레이닝 장치가 있다. 이 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운동량이나 소비 칼로리에 상당하는 운동을 포함한 메뉴를 결정하고, 이 메뉴에 따라서 트레이닝을 행한다. 또한, 이러한 트레이닝 장치의 핸들 부분에 전극을 설치하여, 체지방율을 측정하도록 한 것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수계에 의하면, 측정된 보수에 기초하여 운동량이나 소비 칼로리를 알 수 있으며, 목표로 하는 운동량 등에 따른 보행 등의 운동을 행할 수 있지만, 그 측정된 운동에 따라 변화된 체내의 지방 변화까지는 알 수 없다.
또한, 체내 지방 중, 특히 복부에서의 내장(內臟) 부분이나 그 주변에 부착하는, 소위 복부내장지방(腹部內臟脂肪)으로 불리는 지방이 성인병 등과 관계가 깊다고 생각되므로, 체내 지방 중 복부내장지방에 관한 정보를 구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체지방계에서는 신체의 전체에 축적된 체지방율 등을 구하는 것이 가능할 뿐이며, 특히 내장 부위에 축적된 지방에 관한 정보를 구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내장 부위에 축적된 지방에 관한 정보를 구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게다가, 스포츠 센터 등에 설치되는 대형 기기가 아니라, 개인이 일상적으로 휴대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운동량을 구할 수 있으며, 복부에서의 내장지방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구할 수 있고, 또한 일상적으로 휴대하여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수(步數) 측정기능을 가짐과 함께, 복부에서의 내장지방(內臟脂肪)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얻는 것도 가능한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內臟脂肪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보수 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보수 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내장지방 변화 연산제어루틴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보행속도로부터 소비 칼로리를 구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內臟脂肪計)는, 피검자의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보수를 측정하는 보수측정수단을 가지며 본체가 휴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를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신체 데이터의 소정 연산식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해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구할 수 있고, 구해진 측정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부내장지방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표시수단에 적어도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보수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서는, 보수데이터를 통하여 표현되는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허리사이즈에 기초하여 복부내장지방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는, 휴대 가능하게 형성되어 일상적으로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 등에 따른 운동량과 복부내장지방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간편하게 언제든지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보행 전후의 복부내장지방을 측정함으로써, 보행 등에 따른 운동에 대한 내장지방의 변화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간편하게 언제라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를, 피검자의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보수를 측정하는 보수측정수단을 가지며 본체가 휴대 가능하게 형성하고,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를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신체 데이터의 소정 연산식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해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할 수 있고, 구해진 측정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신체 데이터로서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수단에 적어도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보수가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에 따른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의하면, 보수 데이터를 통하여 표현되는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허리사이즈에 기초하여 복부내장지방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로서, 내장지방량과 상관 관계가 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발명에 따른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는, 휴대 가능하게 형성되어 일상적으로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 등에 따른 운동량과 복부내장지방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간편하게 언제든지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보행 전후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측정함으로써, 보행 등에 따른 운동에 대한 내장지방의 변화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간편하게 언제라도 알 수 있다.
또한,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를,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보수 데이터를 기억하여 둘 수 있으며, 제 1 신체 데이터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해 구해진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상기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이 구해진 다음에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보수 데이터와, 그 이후에 다시 제 2 신체 데이터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해 구해진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에 기초하여, 상기 보수 데이터에 대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변화를 연산하는 내장지방변화 연산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에 따른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의하면, 보행 등의 운동 전후에서의 상기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적면 및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으로부터 구해지는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변화를, 보수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보수 데이터에 의하여 파악되는 운동량에 대한 변화로서 연산하고,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보행 등의 운동이 복부내장지방을 소비시키는 효과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보수 데이터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의 연산은, 상기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의 차이인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차를 구하고, 상기 보수 데이터에 대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차의 비율을 구하는 것이다. 그 외에, 보수 데이터로부터 보행거리 등의 운동량을 구하고, 그 운동량에 대한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차의 비율을 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보수 데이터에 대한 복부내장지방 변화의 연산으로서,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차에 상당하는 내장지방량을 구하고, 보수 데이터로부터 구해진 소비 칼로리에 대한 상기 내장지방량의 비율 구하는 것 등, 보행 등의 전후에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변화를 상기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차로부터 구하고, 상기 보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해진 운동량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를 평가하는 각종의 연산이 포함된다.
또한,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를, 상기 제 1 신체 데이터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한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측정 및 상기 제 2 신체 데이터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한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측정을 지시하는 내장지방측정 지시수단과, 상기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는 연산의 종료가 검지되면,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한 보수 데이터의 측정 개시를 지시하는 보수측정개시 지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한 보수 측정의 종료가 검지되면, 상기 내장지방측정 지시수단이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측정을 지시하고, 상기 내장지방변화 연산수단이 상기 측정된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 및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보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수 데이터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를 연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보행 등의 운동을 개시하기 전의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보행 등에 따른 보수 데이터의 측정과, 운동 후의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측정을 조작 오류 등을 일으키지 않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보행 등에 대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변화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장지방변화 연산수단을, 상기 보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보행 등의 운동에 따라 소비된 소비 칼로리를 연산하며, 상기 보수 데이터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로서, 소비 칼로리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로서의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보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보수에 따른 운동량으로서 소비 칼로리를 구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량으로 표현되는 소비 칼로리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소비 칼로리를 통하여 복부내장지방 변화와 섭취 음식물을 명확하게 대응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상기 피검자의 보행 등에 다른 소비 칼로리 및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하는 것이 가능한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대하여, 피검자의 보폭 및 체중을 입력할 수 있게 하면서, 상기 내장지방변화 연산수단을, 상기 측정된 보수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피검자의 보폭 및 체중에 기초하여 상기 소비 칼로리 및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보수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피검자으 보폭 및 체중 데이터에 의하여, 피검자가 소정 거리를 보행함으로써 소비한 운동량인 소비 칼로리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소비 칼로리와,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로부터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검자의 보행 등에 따른 소비 칼로리 및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하는 것이 가능한 보수측정 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대하여,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을 기억해 둘 수 있으며,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과, 상기 측정된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 및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으로부터 구해지는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량에 의하여, 소비 칼로리를 추정하는 연산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피검자의 보행 등에 따른 소비 칼로리 및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하는 것이 가능한 보수측정 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대하여,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을 기억해 둘 수 있으며,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과, 상기 보수 데이터의 측정에 기초하여 구해진 소비 칼로리로부터 복부내장지방 변화량을 추정하는 연산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해진 내장지방 소비율은, 소비 칼로리로 환산된 소정 운동량에 대하여 복부내장지방을 소비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며, 피검자 개인의 체질에 기초한 고유의 것이다. 이러한 복부내장지방 소비율을 일단 구할 수 있으면, 운동에 따른 소비 칼로리를 측정함으로써, 그 측정된 소비 칼로리와 복부내장지방 소비율로부터 소비된 복부내장지방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복부내장지방을 소비하는 것에 의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와 내장지방 소비율로부터 소비 칼로리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검자의 보행 등에 따른 소비 칼로리 및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하는 것이 가능한 보수측정 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대하여, 상기 소비 칼로리 및 내장지방 소비율을 기억해 둘 수 있으며, 상기 내장지방변화 연산수단을, 상기보수 데이터와, 소비 칼로리 및 내장지방 소비율에 기초하여, 목표하는 내장지방의 소정 량을 소비시키기 위한, 보수, 보행거리, 소비 칼로리를 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검자가 복부내장지방의 소정량을 소비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를 목표치로 설정하면, 해당 복부내장지바의 소정량을 소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보수, 보행거리, 소비칼로리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행 등을 보행 등의 운동 목표로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피검자의 보폭 및 체중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대하여,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한 보수의 측정을 개시한 후에 시간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내장지방변화 연산수단이, 보수 데이터와 상기 보폭으로부터 피검자가 이동한 거리와, 그 이동거리와 이동에 소요된 시간으로부터 평균이동속도를 구하며, 상기 평균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에 따른 소비 칼로리를 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할 수 있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대하여,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한 보수의 측정을 개시한 후에 시간을 측정할 수 있고, 보행 등의 특정 종류의 운동 개시 후에 소정 시간마다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소정 시간마다 측정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상기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순차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상기 소정 시간마다 측정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의 차이가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종류의 운동을 개시한 후에내장지방의 연소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내장지방의 연소가 개시될 때까지의 경과 시간인 내장지방 연소개시시간을 기억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종류의 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내장지방 연소개시시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보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보행 등의 운동에 따라서 소비되는 소비 칼로리를 연산하고, 그 소비 칼로리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로서, 수정된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의하면, 상기 지방 연소개시시간이 경과하여 복부내장지방 자체의 소비가 시작된 이후에서의, 상기 보수 데이터에 기초한 피검자의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소비 칼로리에 대한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할 수 있다.
즉, 인체에서의 상기 복부내장지방은, 보행 등의 운동 개시 후 바로 소비가 시작되지 아니하며, 인체에 축적되는 글리코겐 등의 소비가 시작된 후 소정 시간이 경하고 나서, 그 소비가 개시된다. 따라서, 복부내장지방 자체의 직접적인 소비에 대응하는 보수나 소비 칼로리 등을 알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인체의 소비 메커니즘에 대응시켜, 복부내장지방 자체의 소비가 시작되고 난 이후의 보수나 소비 칼로리 등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복부내장지방 자체의 소비가 시작될 때까지의 상기 소정 시간은, 보행이나 주행 등의 운동 종류와, 피검자의 체질 등에 기초한 고유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의하면, 이러한 소정 시간을 상기 지방연소 개시시간으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방연소 개시시간이 일단 구해진 이후에, 이 지방연소 개시시간의 경과 후 소비 칼로리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로서 수정된 내장지방 소비율이 구해진다. 그리고, 이 수정된 내장지방 소비율에 의하면, 복부내장지방 자체의 직접적인 소비에 결부된 소비 칼로리에 대한 복부내장지방 변화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할 수 있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대하여, 여러 번에 걸쳐서 구해진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의 평균치를 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여러 번에 걸쳐서 구해진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의 누적치를 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정된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할 수 있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대하여, 여러 번에 걸쳐서 구해진 상기 수정된 내장지방 소비율의 평균치를 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여러 번에 걸쳐서 구해진 상기 수정된 내장지방 소비율의 누적치를 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할 수 있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있어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을,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우고,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를,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할 수 있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있어서,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 신장 및 체중을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을,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우고,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를,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및 피검자의 신장과 체중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BMI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할 수 있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있어서,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 신장, 체중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을,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우고,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를,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피검자의 신장과 체중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BMI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할 수 있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있어서, 피검자의 인체 말단에 접촉시키는 전극을 통하여 측정되는 상기 피검자의 신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체지방율을 구할 수 있는 체지방율 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을,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우고,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를,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및 체지방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할 수 있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있어서,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피검자의 인체 말단에 접촉시키는 전극을 통하여 측정되는 상기 피검자의 신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체지방율을 구할 수 있는 체지방율 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을,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우고,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를,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복부피하지방 두께 및 체지방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할 수 있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있어서,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 신장 및 체중을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피검자의 인체 말단에 접촉시키는 전극을 통하여 측정되는 상기 피검자의 신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체지방율을 구할 수 있는 체지방율 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을,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우고,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를,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피검자의 신장과 체중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BMI 및 체지방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할 수 있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 신장, 체중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피검자의 인체 말단에 접촉시키는 전극을 통하여 측정되는 상기 피검자의 신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체지방율을 구할 수 있는 체지방율 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을,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우고,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를,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피검자의 신장과 체중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BMI, 복부피하지방 및 체지방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할 수 있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있어서, 피검자의 인체 말단에 접촉시키는 전극을 통하여 피검자의 신체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을,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우고,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를,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및 신체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이,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체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워져 이루어진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있어서,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상기 피검자의 연령에 의한 보정항 및/또는 성별에 의한 보정항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보수 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內臟脂肪計)(10)(이하, "내장지방계(10)"라 한다)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내장지방계(10)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피검자의 복부의 내장지방에 관한 측정을 행하는 것에 더하여, 일반적으로 보수계(步數計)라 불리는 기기로서의 기능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내장지방계(10)는, 고정구(11)에 의하여 사람의 의복 허리 부분의 벨트에 본체(1)가 부착됨으로써, 일상적으로 휴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1)는 사람이 일상적으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중량과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내장지방계(10)의 인체에의 착용은, 상기 벨트에 부착하는 것 외에도, 모자, 목걸이, 포켓에 부착할 수도 있으며, 손목시계처럼 손목에 감아서 고정시키는 등, 인체에 휴대하는 각종의 착용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체(1)는 표면(1a) 및 저면(1b)과, 그 외주를 둘러싼 정면(1c)과 배면(1d) 등의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카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의 표면(1a)에는 조작부(6)와, 표시부(7)가 배설되어 있다. 조작부(6)에는 조작키(key)로서 절환키(8)와, 개시/종료키(9)와, 선택키(5)와, 디크리먼트(decrement)키(4a) 등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입력키가 설치되어 있다.
절환키(8)는 내장지방계(10)에 구비되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다. 즉, 절환키(8)를 조작함으로써 내장지방계(10)를 보수계로 사용할 것인지, 내장지방의 측정에 사용할 것인지, 또는 그 쌍방을 조합시킨 사용 방식으로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절환키(8)의 조작에 의하여 내장지방 측정과 보수 측정의 쌍방이 조합된 모드가 선택되면, 후술할 내장지방변화 연산제어루틴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개시/종료키(9)는 후술할 보수측정수단에 의한 보수의 카운터 개시나 종료를행하기 위한 키이다.
데이터 입력키는 피검자의 허리 사이즈나 체중 등의 신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본 내장지방계(10)에서는, 데이터 입력키로서 신체 데이터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5)와, 수치데이터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크리먼트키(4a)와, 수치데이터를 증가시키기 위한 인크리먼트(increment)키(4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디크리먼트키(4a)나 선택키(5) 등의 조작을 통하여 수치데이터로 이루어진 각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 입력키를 소위 탱키(tang key)로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절환키(8)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상기 각종 기능에 대응하여, 필요한 소정의 신체 데이터를 데이터 입력키들(4a, 4b, 5)에 의해 입력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절환키(8)의 조작에 의하여 내장지방의 측정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키(5)에 의하여 선택 가능한 항목은 내장지방의 측정에 필요한 신체 데이터 항목이 된다. 또한, 보수계로의 사용이 선택되면, 선택키(5)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항목은 보수계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신체 데이터 항목이 된다.
그리고, 보수계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신체 데이터 항목으로는, 체중, 보폭, 단위 소비 칼로리 등이 있다. 또한, 내장지방의 측정을 행하기 위한 신체 데이터 항목으로는, 허리 사이즈, 신장, 체중, 복부피하지방 두께, 성별, 연령 등이 있다. 여기서, 허리 사이즈라 함은 피검자의 인체의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를 말한다.
이 허리 사이즈로서, 인체의 대락 제 4 요추(腰椎) 부위에서의 배(腹) 둘레의 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 사이즈의 치수로서 이러한 부위에서의 배 둘레의 치수가 피검자의 상반신 비만 등에 관한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한, 복부피하지방 두께라 함은 복부에서의 피하지방 두께를 말한다. 이 복부피하지방 두께로서, 소위 캘리퍼(caliper)라 불리는 것이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등, 주지의 피하지방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복부피하지방 두께는, 인체의 방제부(傍臍部) 및 장골상부(腸骨上部)의 부위로부터 측정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들 부위로부터 측정된 복부피하지방 두께에 대하여 어느 한 쪽의 측정치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들 두 개소로부터 측정된 것을 합한 평균치를 채용하여도 좋다.
표시부(7)에는, 상기 조작키의 조작을 통하여 입력된 각종의 신체 데이터나, 내장지방에 관한 측정을 행하는 경우, 또는 보수계로 사용하는 경우에, 이들의 측정 결과가 표시된다. 또한 후술할 내장지방변화 연산제어루틴의 실행에 따른 각 측정의 개시 지시가 표시부(7)에 표시됨과 함께, 상기 루틴의 실행에 의하여 구해지는 내장지방 소비율 등도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7)는 내장지방이나 보수 등의 측정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장지방계(10)의 내부에는 보수계로 기능시키기 위한 보수 측정수단이 조립되어 있다. 이러한 보수 측정수단으로서, 사람의 보행이나 주행에 다른 인체의 상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주지의 각종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과 스프링 및 센서를 조합한것이나, 전압소자, 전자(電磁) 픽업, 홀 소자, 또는 그 외에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인체의 상하 움직임을 검출하고, 그를 적산하여 보수를 카운터하도록 구성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내장지방계(10) 내부에는 시계가 구비되어, 보수의 측정을 개시한 후의 경과시간(타임)을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장지방계(10)의 신호처리에 관한 플로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내장지방계(10)에서의 각종 연산은 연산부(21)와 기억부(22)를 포함하는 연산처리부(20)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즉, 각종 신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내장지방의 측정에 관한 연산이나, 보행 또는 주행 등의 운동에 따른 운동량이나 소비 칼로리의 연산, 운동량이나 소비 칼로리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에 대한 연산은 연산처리부(20)에 의해 행하여진다.
기억부(22)에는, 조작키(4a) 등의 데이터 입력부의 조작을 통하여 입력된 피검자의 허리 사이즈나 체중, 신장 등의 신체 데이터가 기억된다. 또한, 기억부(22)에는 보수센서(13)과 보수계측부(14)로 이루어진 보수측정수단에 의하여 카운트된 보수가 기억되며, 시계(23)에 의해 측정된 시간도 기억된다.
또한, 기억부(22)에는 피검자의 BMI를 구하기 위한 연산식이 기억되어 있어, BMI를 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BMI는 비만에 관한 지표로서 비교적 간단하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체중)/(신장)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BMI가 구해지면, BMI에 대해서도 피검자의 신체의 특징을 표시하는 신체 데이터의 일 항목으로서 테이터 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22)에는 복부내장지방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로서, 각종의 신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추정 연산하기 위한 연산식도 기억되어 있다. 이러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추정 연산하기 위한 연산식으로서, 이하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이 기억되어 있다.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에서, VA는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표시하며, WL은 허리 사이즈를 표시하고, s는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에서, a1, a2, a4, b1, b2, c1, c2, c4, e1은, 이들 식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세우는 과정에서 얻어진 계수들이다.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의 연산에 의해 구해지는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VA)은, 복강(腹腔) 내에서의 내장부분의 지방 횡단면적이다. 즉, 직립자세를 취한 인체의 대략 제 1 요추 위치에서의 횡단면과 대략 제 5 요추 위치에서의 횡단면 사이의 임의의 횡단면을 따라 내장 및 그 주변에 부착되는 지방 부분이 점유하는 횡단면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는 데 있어서, 상기 횡단면 중, 특히 제 4 요추 중앙부의 위치의 횡단면에서의 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횡단면 위치에서의 내장지방 횡단면적은 복부에서의 내장지방량과 상관 관계가 특히 높다고 인식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은, 별도로 이하에서와 같이 만들어져 기억된다. 즉, 불특정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에 대하여, 각 개인의 실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과 같은 각 연산식에 이용되는 각종의 신체 데이터를 측정한다. 그리고, 각 연산식에서 이용되는 신체 데이터와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의 상관 관계를 가정하고, 그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각각 세울 수 있다.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세우는 것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학식 1에 대해서는,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하여 측정된 실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상기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한 허리 사이즈가 서로 관계 있다고 가정하고, 이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1에서, WL에 대한 계수 a1은 허리사이즈의 제 1 회귀계수이며, 계수 c1은 제 1 회귀정수이다.
또한, 수학식 2에 대해서는,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하여 측정된 실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상기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한 허리사이즈 및 BMI가 서로 관계 있다고 가정하고, 이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2에서, WL에 대한 계수 a2는 허리사이즈의 제 2 회귀계수이며, BMI에 대한 계수 b1은 BMI의 제 1 회귀계수이고, 계수 c2는 제 2 회귀정수이다.
또한, 수학식 3에 대해서는,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하여 측정된 실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상기 표본이된 각 개인에 대한 허리사이즈, BMI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가 서로 관계 있다고 가정하고, 이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3에서, WL에 대한 계수 a4는 허리사이즈의 제 4 회귀계수이며, BMI에 대한 계수 b2는 BMI의 제 2 회귀계수이고, s에 대한 계수 e1은 복부피하지방 두께의 제 1 회귀계수이며, 계수 c4는 제 4 회귀정수이다.
상기 표본으로서의 인체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측정은,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또한, 표본으로서의 인체에 대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측정하는 부위는, 내장지방계(10)가 구하고자 하는 상기 VA의 목적으로 하는 부위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측정하는 부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4 요추 중앙부의 위치에서의 횡단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본으로서의 인체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측정하기 위한 단층촬영 방식으로서, CT 스캔이나 MRI, 초음파 진단 등, 인체의 복부에서의 횡단면적을 정밀도가 양호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각종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세우는 데 있어서, 2종류 이상의 신체 데이터와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인 처리는 중회귀분석(重回歸分析)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세우는 데 있어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 및 신체 데이터의 채취를 행하는 표본이 되는 인체의 개수로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통계적 처리를 행하는 관점에서, 100인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00인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수학식 1에서는, VA를 구하기 위한 연산처리가 피검자의 신체 데이터로서 허리사이즈를 포함하게 되어 있으므로, VA를 구하는데 있어서 허리사이즈를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수학식 2에서는, VA를 구하기 위한 연산처리가 피검자의 신체 데이터로서 허리사이즈 및 BMI를 포함하게 되어 있으므로, VA를 구하는데 있어서 허리사이즈 및 BMI를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수학식 3에서는, VA를 구하기 위한 연산처리가 피검자의 신체 데이터로서 허리 사이즈, BMI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포함하게 되어 있으므로, VA를 구하는데 있어서 허리사이즈, BMI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에 관하여,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더욱 많은 신체 데이터 항목을 포함하여 구하는 것으로 하면, 피검자의 신체 상태를 보다 다면적으로 치밀하게 반영시킬 수 있으며, VA를 더욱 정밀도가 양호하게 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 각각에 대하여, 피검자의 연령에 의한 보정항(補正項)이나 성별에 의한 보정항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령에 의한 보정항 Yc는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성별에 의한 보정항 Xc는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4에서, age는 피검자의 연령이며, δ는 연령 보정계수이다. 또한, 수학식 5에서, sex는 남녀의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 변수이며, η는 성별 보정게수이다. 이들 보정항은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에 더하여진 경우에 중회귀식(重回歸式)의 변수항으로서 정의되어 다루어진다. 따라서, 수학식 4의 δ는 회귀변수, age는 변수로서, 수학식 5의 η는 회귀계수로서, 또한 sex는 변수로서, VA의 추정식과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구할 수 있다.
이상의 수학식 1 내지 3 각각에 대하여, 수학식 4의 보정항 Yc이나 수학식 5의 보정항 Xc을 더하여 VA를 구하도록 하면, 피검자의 연령이나 성별에 기초하여 개인적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반영할 수 있다.
이 보정항 Xc, Yc에 대해서는, 상기 수학식 1 내지 3 각각에 어느 하나를 더하여도 좋고, 양쪽 모두를 더하는 것도 무방하다. Xc 및 Yc 양쪽 모두를 더하면, 수학식 1 내지 3 각 식에 따라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피검자의 개인적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반영할 수 있다.
또한, 기억부(22)에는 내장지방변화 연산제어루틴이 저장되어 있다. 이 내장지방변화 연산제어루틴이 실행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장지방계(10)의 사용자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측정 지시나, 보수 측정개시 지시가 실행됨과 함께, 보행 등의 운동에 의하여 내장지방이 소비되는 것에 따른 내장지방 변화량의 연산 등도 실행된다.
다음으로, 내장지방계(10)의 동작예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행 등에 따른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량을 알 수 있는 사용방법의 예에 의해 설명한다. 상기 절환키(8)를 조작함으로써, 내장지방측정기능과 보수측정기능을 조합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측정모드가 선택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내장지방변화 연산제어루틴이 실행된다.
먼저, 신장, 체중, 연령, 성별, 보폭 등의 필요한 신체 데이터가 입력된다(S1). 또한, 후술할 S4 단계에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연산하는 데 있어서, 상기 식 (3)에 기초하여 연산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복부피하지방 두께도 S1 단계에서 입력된다.
다음으로, 피검자의 내장지방측정 개시가 지시된다(S2). 그리고, 그 지시에 따라(S2, Y), 피검자의 허리사이즈가 입력된다(S3).
다음으로, S3 단계에서 입력된 허리사이즈에 기초하여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VA1)이 연산에 의해 구해진다(S4). S4 단계에서 VA1의 연산은 상기 식 (1) 내지 식 (5)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구해진 VA1은 기억됨과 함께, 표시부(7)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내장지방측정을 종료할 것인 지의 여부가 지시된다(S5). 내장지방측정을 종료하는 경우에는(S5, Y), 보수의 카운트를 개시할 것인 지의 여부가 지시된다(S6). 그리고, 이러한 지시에 기초하여(S6, Y), 피검자가 개시/종료키(9)를 조작함으로써 보수 측정수단에 의한 보수의 카운트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하여, 피검자의 보행 등에 따른 보수가 카운트된다(S7).
그리고, 보수의 측정을 종료할 것인 지의 여부가 지시되고(S8), 피검자가 개시/종료키(9)를 조작하여 보수의 측정을 정지시키면(S8, Y), 보수의 카운트가 정지된다(S9). 그리고, 카운트된 보수는 보수 데이터로서 기억됨과 함께, 표시부(7)에 표시할 수 있다(S10). 또한, 이러한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피검자의 신체에서의 소비 칼로리(K)가 연산된다. 이렇게 연산된 소비 칼로리는 기억됨과 함께, 표시부(7)에 표시할 수 있다(S10). S10 단계에서 구해진 소비 칼로리는 보수와, 보폭과, 체중과, 단위 소비 칼로리(단위 체중 및 단위 보행거리에 대하여 소비되는 칼로리)의 곱으로서 구해진다.
다음으로, 피검자의 내장지방측정 개시가 다시 지시된다(S11). 그리고, 그 지싱에 따라(S11, Y), 피검자의 허리사이즈가 입력된다(S12).
다음으로, S12 단계에서 입력된 허리사이즈에 기초하여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VA2)이 연산에 의하여 구해진다(S13). S13 단계에서의 VA2의 연산은, 상기 식 (1) 내지 식 (5) 중, S4 단계에서의 VA1 연산에 이용된 식과 동일한 식에 의하여 실행된다. 이렇게 구해진 VA2는 기억됨과 함께, 표시부(7)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량(ΔVA)이 VA1과 VA2에 의하여 연산된다(S14). 또한, 상기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량(ΔVA)은 기억됨과함께, 표시부(7)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량(ΔVA)과, 소비 칼로리(K)에 의해, 지방량 소비율(ΔV/K)이 연산된다(S15). 상기 지방량 소비율은 기억됨과 동시에, 표시부(7)에 표시할 수 있다(S15).
이상의 설명에서는, 운동 전후의 내장지방의 변화를 구하는 예로서, 보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얻어진 소비 칼로리와, 복부내장지방 변화량의 관계를 구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 이외에도, 보수 데이터와 내장지방 변화의 관계를 표시하는 각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수 자체와, 보행 전후의 복부내장지방 변화의 관계를 구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렇게 하여도, 소정의 보수에 대하여 복부내장지방이 어느 정도 변화하는 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수와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으로부터 근사 연산으로 구해진 복부내장지방량과의 관계를 구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즉, 보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 데이터에 반영되는 운동량과, 복부내장지방에 대한 어떠한 정량적인 변화와의 관계를 알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또한, 본 내장지방계(10)에서는, 피검자의 이동속도인 보행속도(또는 주행속도)로부터 신체의 소비 칼로리를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내장지방변화 연산제어루틴에서의 S6 단계부터 S10 단계를, 도 4에 도시된 S16 단계부터 S25 단계까지의 순서로 대치하면, 보행속도로부터 신체의 소비 칼로리를 구할 수 있다. 즉, 보수의 카운트를 개시할지의 여부가 지시되고(S16), 이러한 지시에 기초하여(S16, Y), 피검자에 의한 개시/종료키(9) 조작에 의하여 보수계가 카운트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보행시간의 카운트가 개시되고(S17), 또한 보수가 카운트된다(S18).
다음으로, 보수 측정을 종료할 것인 지의 여부가 지시되고(S19), 피검자가 개시/종료키(9)를 조작하여 보수 측정을 정지시키면(S19, Y), 보수의 카운트가 정지된다(S20). 그리고, 카운트된 보수는 보수 데이터로서 기억됨과 함께, 표시부(7)에 표시될 수 있다(S20). 또한, 시간의 카운트도 정지된다(S21). 카운트된 시간은, 뒤에 구해지는 보행거리의 이동에 소요되는 보행시간이며, 그 시간이 기억됨과 함께, 표시부(7)에 표시될 수도 있다(S21).
다음으로, 피검자의 이동거리인 보행거리가 구해진다(S22). 이 보행거리는, 보수와 보폭의 곱으로 연산된다. 또한, 평균 이동속도인 평균 보행속도가 S22 단계에서 구해진 보행거리와, S21 단계에서 구해진 보행시간으로부터 연산된다(S23). 다음으로, 에너지 소비량(단위 칼로리(Kcal/Kg/분))이 결정된다(S24). 다음으로, 소비 칼로리가 구해진다(S25). 이 소비 칼로리는, S24 단계에서 결정된 단위 칼로리와, 보행시간과, 체중의 곱으로 연산된다.
여기서, 상기 S15 단계에서 지방량 소비율을 기억시키는 데 있어서, 보행이나 주행 등의 운동 종류, 그 운동을 행한 시간대, 운동을 행한 식전 식후의 상태 등, 내장지방의 변화를 측정한 부대조건도 함께 기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방량 소비율을 이러한 부대조건에서의 파라미터로서 표시부(7)에 그래프로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S15 단계에서 지방량 소비율을 기억해둠으로써, 다음 번에 보행 등에 따른 내장지방 변화량 또는 소비 칼로리의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 그들 중 하나와지방량 소비율로부터 다른 하나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5 단계에서 구해진 지방량 소비율에 기초하여, 개개의 측정에서 얻어진 지방량 소비율의 누적치를 구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복수 회 측정된 지방량 소비율의 평균치를 구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지방량 소비율의 누적치는, 소정 기간에 걸쳐서 누적적으로 소비한 복부내장지방의 량을 반영하는 것이므로, 소정 기간에 걸친 지방 소비의 목표를 계획하는 경우에, 해당 목표에 대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데에 편리하다. 또한, 지방량 소비율의 평균치는, 소정 기간에 걸친 평균적인 지방의 소비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소정 기간에 걸친 지방 소비의 평균적 상황을 파악하기 쉽다.
또한, S15 단계에서 기억된 지방량 소비율과, S10 단계에서 기억된 보수 및 소비 칼로리로부터, 목표하는 복부내장지방의 소정량의 소비(목표지방소비량)에 필요한 보수, 보행거리, 소비 칼로리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지방소비량을 보행 등의 운동을 하기 전에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보행 등에 의하여 목표지방소비량을 소비한 것을 표시부(7)에 표시하던지, 또는 부저에 의하여 경보를 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보수의 측정 개시 전과 종료 후에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측정하고, 보행 등의 전후에서의 2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보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행 등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를 구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인체의 복부내장지방은 운동 개시 후 바로 소비가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인체에 축적되는 글리코겐 등의 소비가 시작된 후의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로부터, 그 소비가 개시된다.
따라서, 복부내장지방 자체의 직접적인 소비에 대응하는 보수나 소비 칼로리 등을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체의 소비 메커니즘에 대응하여, 복부내장지방 자체의 소비가 시작되는 이후의 보수나 소비 칼로리 등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복부내장지방 자체의 소비와, 보수나 소비 칼로리 등과의 관계는, 예를 들어 이하의 순서를 이용함으로서 알 수 있다.
보수의 측정을 개시하기 전에서의 상기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측정한다. 그리고, 보행 등에 따르는 보수의 측정을 개시하면,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측정하고, 시간이나 보수와 함께 기억한다. 이러한 소정 시간 간격에서 측정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이들에서 차이가 검출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비교한다. 그리고, 그 차이가 검출되면, 상기 비교를 정지한다. 상기 비교에 의한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에 대한 차이가 검출되는 것은, 복부내장지방의 소비가 개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가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이, 보행 등의 개시 후에서의 복부내장지방의 소비가 시작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다(이를 「내장지방 연소개시시간」이라 한다).
그리고, 내장지방 연소개시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측정되는 보수에 기초한 소비 칼로리가 복부내장지방 자체의 소비에 직접 결부된 것이며, 보수 측정의 종료 후의 상기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으로부터, 복부내장지방 자체의 소비에 대한 수정된 지방량 소비율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내장지방 연소개시시간을 보행이나 주행 등의 운동 종류와 함께 기억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다음 번에 지방량 소비율을 측정하는 경우에, 이러한 운동 종류에 대응한 내장지방 연소개시시간을 이용함으로서, 복부내장지방 자체의 소비에 대한 수정된 지방량 소비율을 구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피검자가 한 보행 등에 따른 운동량에 상당하는 소비 칼로리를 구하는 데 있어서, 도 3에서의 S10 단계 및 도 4에서의 S25 단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보수나 보행시간 등의 운동상태에서의 측정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소비 칼로리를 구하는 것에 관하여, 소비 칼로리에 상당하는 운동량을, 이하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보행 등의 운동을 종료한 후에, 피검자가 촉진(觸診)에 의해 심박수 또는 맥박수를 카운트하고, 소정의 카운트에 필요한 시간을 시계(23)에서 측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심박수 등의 소정 카운트 수와 상기 측정된 시간으로부터 단위 시간당의 심박수 또는 맥박수를 연산처리부(20)에 의한 연산으로 구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구해진 단위 시간당의 심박수 등에 기초하여 운동강도를 구함으로써, 운동량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보행 등에 따른 운동량을 구하면, 보행 등의 정도 및 개인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으므로, 운동량을 더욱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수측정 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는,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복부내장지방과,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보수를 일상적으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보행 등의 운동에 따라서 변화한 복부내장지방이나, 해당 운동량과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량과의 관계를 간편하게 알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보수계나 내장지방 측정기기로서 기능하는 이외에 휴대성을 갖는 각종의 부재를, 일체를 이루도록 조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스톱워치, 야간조명 램프, 전자식 탁상 계산기, 라이터, 샤프펜슬, 넥타이핀, 온도계, 골프 코스의 거리계 등을 조합하여도 좋고, 이렇게 하면, 이들 조합된 부재로서 기능시키는 것도 가능하여 편리하다. 또한, 휴대성이 있는 맥박계, 혈압계, 호흡계, 체온계 등을 일체를 이루도록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렇게 하면, 운동능력 체커(checker)로서 이용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장지방계(10)를, 입력 또는 측정된 피검자의 신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체의 비만에 따라 발병 우려가 있는 각종 질병의 발병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BMI에 관한 판정기준치 JBM, 허리사이즈에 관한 판정기준치 JWS,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에 관한 판정기준치 JNZ를 기억부(22)에 미리 저장해 둔다. 그리고, 피검자에 대한 BMI, 허리사이즈,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상기 JBM, JWS, JNZ과 각각 비교하도록 한다.
그리고, BMI, 허리사이즈,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 각각이, 그 판정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질병이 발병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그 판정기준치 미만인경우에는 질병이 발병할 우려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며, 그들의 판정결과에 대하여, BMI, 허리사이즈,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 마다 표시부(7)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판정기준치 미만인 항목에 관한 판정결과를 ○로 표시하고, 판정기준치 이상인 항목에 관한 판정결과를 ×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BMI, 허리사이즈,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에 기초하여 판정할 수 있는 질병으로서, 당뇨병 등의 내당능이상(耐糖能異常), 고혈압, 지질대사이상(脂質代謝異常), 고뇨산혈증(高尿酸血症), 심장질환(심전도이상)이 있다.
또한, 내장지방계(10)에 대하여, 도 1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치수측정수단을 설치하여, 피검자의 허리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치수측정수단의 예로서, 내장지방계(10)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줄자(measure)를 부설하고, 상기 허리사이즈를 측정하는 경우에, 상기 줄자를 내장지방계(10)의 외부로 인출하여 측정부위에 두르면, 피검자가 허리사이즈의 치수를 알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내장지방계(10)에 치수측정수단이 부설되어 있으면, 허리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다른 줄자 등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내장지방계(10)를 사용하는 때에는 허리사이즈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어, 측정 시에 최신의 허리사이즈에 의한 정밀도가 높은 측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치수측정수단을 내장지방계(10)에 설치한 경우, 허리 둘레의 피측정 부위에 줄자를 둘러져 해당 줄자가 치수를 재는 상태에 있는 때에, 조작부(6)로부터의 조작에 따라서 허리사이즈의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연산처리부(20)에 입력되고, 기억부(22)에 기억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측정한 허리사이즈의 내장지방계(10)로의 입력에 관하여, 피검자에 의한 조작부(6)의 조작을 요하지 않고 입력할 수 있으므로, 허리사이즈의 입력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VA)을 구함에 있어서, 식 (1) 내지 식 (5)에 나타낸 것처럼, 허리사이즈나 BMI 등을 포함한 연산처리에 의해 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신체 데이터 항목으로서 체지방율을 포함한 연산처리에 의해 구할 수도 있다.
이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VA)을 구하는 데 있어서, 체지방율과의 상관 관계를 가정하여 구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장지방계(10)에서, 기억부(22)에 기억시킨 VA를 추정연산하기 위한 연산식으로서, 이하의 식 (6) 내지 식 (9)를 기억시킬 수 있다.
상기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에서, FAT는 체지방율(%)을 표시한다. 또한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에서, a3, a5, a6, a7, b3, b4, c3, c5, c9, c10, d1, d2, d3, d4, e2,e3은, 후술할 통계적 처리에 기초하여 이들 식을 세우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계수들이다.
수학식 6은,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하여 측정된 실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상기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한 허리사이즈(WL) 및 FAT가 서로 관계 있다고 가정하고, 그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6에서, WL에 대한 계수 a3은 허리사이즈의 제 3 회귀계수이며, FAT에 대한 계수 d1은 체지방율의 제 1 회귀계수이고, c3은 제 3 회귀정수이다.
또한, 수학식 7은,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하여 측정된 실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한 허리사이즈, FAT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가 서로 관계 있다고 가정하고, 그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7에서, WL에 대한 계수 a5는 허리사이즈의 제 5 회귀계수이며, FAT에 대한 계수 d2는 체지방율의 제 2 회귀계수이고, s에 대한 계수 e2는 복부피하지방 두께의 제 2 회귀계수이고, c5는 제 5 회귀정수이다.
또한, 수학식 8은,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하여 측정된 실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한 허리사이즈, BMI 및 FAT가 서로 관계 있다고 가정하고, 그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8에서, WL에 대한 계수 a6은 허리사이즈의 제 6 회귀계수이며, BMI에 대한 계수 b3은 BMI의 제 3 회귀계수이며, FAT에 대한 계수 d3은 체지방율의 제 3 회귀계수이고, c9는 제 9 회귀정수이다.
또한, 수학식 9는,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하여 측정된 실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한 허리사이즈, BMI, FAT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가 서로 관계 있다고 가정하고, 그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9에서, WL에 대한 계수 a7은 허리사이즈의 제 7 회귀계수이며, BMI에 대한 계수 b4는 BMI의 제 4 회귀계수이며, FAT에 대한 계수 d4는 체지방율의 제 4 회귀계수이고, s에 대한 계수 e3은 복부피하지방 두께의 제 3 회귀계수이고, c10은 제 10 회귀정수이다.
그리고, 상기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를 세우는 데에도,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본으로서의 인체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 측정은 단층촬영에 의할 수 있으며, 또한 2종류 이상의 신체 데이터와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인 처리는 중회귀분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를 세우는 데에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 및 신체 데이터의 측정을 행하는 표본이 되는 인체의 개수로서, 100인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인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수학식 6에서는, VA를 구하기 위한 연산처리가 피검자의 신체 데이터로서 허리사이즈 및 FAT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허리사이즈 및 FAT를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수학식 7에서는, VA를 구하기 위한 연산처리가 피검자의 신체 데이터로서 허리사이즈, FAT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허리사이즈, FAT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수학식 8에서는, VA를 구하기 위한 연산처리가 피검자의 신체 데이터로서 허리사이즈, BMI 및 FAT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허리사이즈, BMI 및 FAT를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수학식 9에서는, VA를 구하기 위한 연산처리가 피검자의 신체 데이터로서 허리사이즈, BMI, FAT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허리사이즈, BMI, FAT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반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에 대하여,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더욱 많은 신체 데이터 항목이 포함되도록 하면, 피검자의 신체 상태를 더욱 다면적으로 치밀하게 반영시킬 수 있어, VA를 보다 정밀도가 양호하게 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 각각에 관하여, 상기 수학식 4에 의한 연령에 따른 보정항이나, 상기 수학식 5에 의한 성별에 따른 보정항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학식 4의 보정항 Yc나 수학식 5의 보정항 Xc을 더하여 VA를 구하도록 하면, 피검자의 성별이나 연령에 기초한 개인적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정항 Xc, Yc에 대해서는, 상기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 각각에 어느 하나를 더하여도 좋고, 양쪽 모두를 더하는 것도 무방하다. Xc 및 Yc 양쪽 모두를 더하면,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의 각 식에 따라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피검자의 개인적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의 연산을 실행하는 경우의 체지방율(FAT)의 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체지방계 등에 의해 별도로 측정한 것을 조작부(6)를 통하여 신체 데이터의 일 항목으로서 입력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체지방율 데이터에 대하여, 내장지방계(10)에 체지방율 측정수단을 추가로 설치하고, 그 체지방율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것을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내장지방계(10)에 체지방율 측정수단을 설치하는 것은,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가능해진다. 내장지방계(10)의 본체(1)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 각각의 손에서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접촉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전극을 설치함과 함께, 좌우 각각의 손에서 다른 하나의 손가락을 접촉시킬 수 있는 다른 한 쌍의 전극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극을 그를 개재하여 양손을 인체의 양 말단으로 하는 전류로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전류통로형성 전극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한 쌍의 전극을 그를 개재하여 양손 사이에서의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한 쌍의 전압측정용 전극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류통로형성 전극에는 전류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인체에 전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한 쌍의 전압측정용 전극에는 전압측정수단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전압측정용 전극 사이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양손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체지방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임피던스와 함께 체지방율을 연산하기 위한 체중이나 신장, 성별, 연령 등의 신체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필요한 신체 데이터의 항목을 부족하지 않게 조작부(6)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들 임피던스나 신체 데이터로부터 체지방율을 연산하기 위한 소정의 연산식을 기억부(22)에 기억시킴과 함께, 연산처리부(20)에서의 연산에 의하여 체지방율을 구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의 예로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VA)를, 인체의 임피던스에 관한 항목을 포함하는 연산처리에 의해 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인체의 임피던스에 관한 항목과의 상관 관계를 가정하여 구하도록 구성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장지방계(10)에서, 기억부(22)에 기억시킨 VA를 추정연산하기 위한 연산식으로서, 이하의 수학식 10을 기억시킨다.
수학식 10에서, Z는 인체의 임피던스를 나타내며, TL은 신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수학식 10에서, a8, g1, c11은 후술할 통계적 처리에 기초하여 이들 식을 세우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계수이다.
수학식 10에 의하면,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VA)을, 피검자의 허리사이즈와, 신장의 제곱을 임피던스로 나누어 얻어지는 항(TL 2/Z)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수학식 10에서, (TL 2/Z)가 인체의 임피던스에 관한 항목이다.
수학식 10은,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하여 측정된 실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한 허리사이즈 및 (TL 2/Z)가 서로 관계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10에서, WL에 대한 계수 a8은 허리사이즈의 제 8 회귀계수이며, (TL 2/Z)에 대한 계수 g1은 (TL 2/Z)의 제 1 회귀계수이고, 계수 c11은 제 11 회귀정수이다.
수학식 10을 세우는 데 있어서도, 이상에서 설명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과 마찬가지로, 표본으로서의 인체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측정은 단층촬영에 의하여 할 수 있으며, 또한 신체 데이터의 복수 항목과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인 처리는 중회귀분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0을 세우는 데 있어서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 및 신체 데이터의 측정을 행할 표본이 되는 인체의 개수로서, 100인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인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수학식 10에서는, VA를 구하기 위한 연산처리가 피검자의 신체 데이터로서 허리사이즈 및 (TL 2/Z)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허리사이즈 및 (TL 2/Z)을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수학식 10에 관하여, 상기 수학식 4에서의 연령에 의한 보정항이나, 상기 수학식 5에서의 성별에 의한 보정항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학식 4의 보정항 Yc나 수학식 5의 보정항 Xc를 더하여 VA를 구하도록 하면, 피검자의 성별이나 연령에 기초한 개인적인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정항 Xc, Yc에 대해서는, 상기 수학식 10에 어느 하나를 더하여도 좋고, 양쪽 모두를 더하는 것도 무방하다. Xc 및 Yc 양쪽 모두를 더하면, 수학식 10에 따라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피검자의 개인적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0의 연산을 행하는 경우에서의 임피던스 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장치에 의해 별도로 측정한 것을 신체 데이터의 일 항목으로서 조작부(6)를 통하여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임피던스 데이터에 대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장지방계(10)에 체지방율 측정수단을 설치하고, 그 체지방율 측정수단의 임피던스 측정수단으로 측정된 임피던스 데이터가 연산처리부(20)에 입력되어 연산처리 되도록 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VA)을 구하는 연산식으로서, 임피던스에 관한 신체 데이터 항목을 임피던스(Z)로 함으로써, 다음의 수학식 11을 세울 수 있다.
수학식 11에서, a9, g2, c12는, 통계적 처리에 기초하여 수학식 11을 세우는 과정에서 얻어진 계수들이다.
수학식 11은, 수학식 10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하여 측정된 실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한 허리사이즈 및 임피던스(Z)가 서로 관계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11에서, WL에 대한 계수 a9는 허리사이즈의 제 9 회귀계수이며, (Z)에 2대한 계수 g2는 임피던스(Z)의 제 2 회귀계수이고, 계수 c12는 제 12 회귀정수이다.
또한, 수학식 11을 세우는 데 있어서도, 표본으로서의 인체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측정은 단층촬영에 의하여 할 수 있으며, 또한 신체 데이터의 복수 항목과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인 처리는 중회귀분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그 표본이 되는 인체의 개수로서, 100인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인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수학식 11에서는, VA를 구하기 위한 연산처리가 피검자의 신체 데이터로서 허리사이즈 및 임피던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허리사이즈 및 임피던스를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1을 연산처리하기 위한 임피던스 데이터의 입력에 관해서는, 수학식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작부(6)을 통하여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고, 체지방률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그 임피던스 측정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임피던스 데이터를 연산처리부(20)에 입력하여 연산처리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수학식 11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4나 수학식 5에 의한 보정항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피검자의 성별이나 연령에 기초한 개인적인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정항 Xc, Yc에 대하여, 어느 하나를 더하여도 좋고, 양쪽 모두를 더하는 것도 무방하다. Xc 및 Yc 양쪽 모두를 더하면,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피검자의 개인적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를,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VA)을 (WL 2·TL·age)와 (WL 2·TL·FAT)와의 상관 관계의 가정에 기초하여 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장지방계(10)의 기억부(22)에, VA를 추정연산하는 연산식으로서 다음의 수학식 12를 기억시킨다.
수학식 12에서, WL은 인체의 허리사이즈를 나타내며, TL은 신장을 나타내고, age는 연령을 나타내고, FAT는 체지방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수학식 12에서 i1, h1, c13은 후술할 통계적 처리에 기초하여 이 식을 세우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계수들이다.
수학식 12는,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하여 측정된 실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한 (WL 2·TL·age) 및 (WL 2·TL·FAT)가 서로 관계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12에서, (WL 2·TL·age)에 대한 계수 i1은 (WL 2·TL·age)의 제 1 회귀계수이며, (WL 2·TL·FAT)에 대한 계수 h1은 (WL 2·TL·FAT)의 제 1 회귀계수이고, 계수 c13은 제 13 회귀정수이다.
수학식 12에 의해 VA의 추정치를 구하면, 피검자가 남성인 경우에 정밀도가 양호하게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7)로부터 피검자의 성별이 남성이라고 입력된 경우에, 수학식 12를 선택하여 VA의 추정치를 구하면, 남성 피검자에 대하여 정밀도가 양호하게 VA의 추정치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2에 의하면, VA를 구하기 위한 연산처리가 피검자의 신체데이터로서 (WL 2·TL·age) 및 (WL 2·TL·FA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VA를 구하는데 있어서 (WL 2·TL·age) 및 (WL 2·TL·FAT)를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를,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VA)를 (WL 2·TL·age)과 체지방률(FAT)과의 상관 관계의 가정에 기초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장지방계(10)의 기억부(22)에, VA를 추정연산하는 연산식으로서 다음의 수학식 13을 기억시킨다.
수학식 13에서, WL은 인체의 허리사이즈를 나타내며, TL은 신장을 나타내고, age는 연령을 나타내고, FAT는 체지방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수학식 13에서 i2, d5, c14는 후술할 통계적 처리에 기초하여 이 식을 세우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계수들이다.
수학식 13은,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하여 측정된 실제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표본이 된 각 개인에 대한 (WL 2·TL·age) 및 FAT가 서로 관계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 상관 관계를 통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13에서, (WL 2·TL·age)에 대한 계수 i2는 (WL 2·TL·age)의 제 2 회귀계수이며, FAT에 대한 계수 d5는 FAT의 제 5 회귀계수이고, 계수 c14는 제 14 회귀정수이다.
수학식 13에 의해 VA의 추정치를 구하면, 피검자가 여성인 경우에 정밀도가 양호하게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7)로부터 피검자의 성별이 여성이라고 입력된 경우에, 수학식 13을 선택하여 VA의 추정치를 구하면, 여성 피검자에 대하여 정밀도가 양호하게 VA의 추정치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3에 의하면, VA를 구하기 위한 연산처리가 피검자의 신체데이터 로서 (WL 2·TL·age) 및 FA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VA를 구하는데 있어서 (WL 2·TL·age) 및 FAT를 반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수학식 12, 13을 세우는 데 있어서도, 표본으로서의 인체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측정은 단층촬영에 의하여 할 수 있으며, 또한 신체 데이터의 복수 항목과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인 처리는 중회귀분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그 표본이 되는 인체의 개수로서, 100인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인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수학식 12, 13의 연산에 이용되는 체지방율(FAT)의 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체지방계 등에 의하여 별도로 측정한 것을 조작부(6)를 통하여 신체 데이터의 일 항목으로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체지방율의 데이터에 대하여, 내장지방계(10)에 체지방율 측정수단을 설치하고, 그 체지방율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것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학식 12, 13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4나 수학식 5에 의한 보정항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면, 피검자의 성별이나 연령에 기초한 개인적인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정항 Xc, Yc에 대하여, 어느 하나를 더하여도 좋고, 양쪽 모두를 더하는 것도 무방하다. Xc 및 Yc 양쪽 모두를 더하면, VA를 구하는 데 있어서 피검자의 개인적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에 의하면, 휴대가 가능하며, 복부의 내장지방에 관한 측정과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보수를 일상적으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운동량이나 소비 칼로리와 해당 운동에 의하여 소비된 복부내장지방과의 관계를 알 수도 있다.

Claims (24)

  1. 피검자의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보수를 측정하는 보수측정수단을 가지며 본체가 휴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를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신체 데이터의 소정 연산식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해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구할 수 있고,
    구해진 측정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부내장지방에 관한 정량적인 정보를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수단에는 적어도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보수가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2. 피검자의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보수를 측정하는 보수측정수단을 가지며 본체가 휴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를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신체 데이터의 소정 연산식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해 상기 피검자의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할 수 있고,
    구해진 측정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신체 데이터로서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수단에는 적어도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보수가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3. 피검자의 보행 등의 운동에 따른 보수를 측정하는 보수측정수단을 가지며 본체가 휴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를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신체 데이터의 소정 연산식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해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할 수 있고,
    구해진 측정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신체 데이터로서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수단에는 적어도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보수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보수 데이터를 기억하여 둘 수 있으며,
    제 1 신체 데이터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해 구해진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상기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이 구해진 다음에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보수 데이터와, 그 이후에 다시 제 2 신체 데이터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해 구해진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에 기초하여,
    상기 보수 데이터에 대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변화를 연산하는 내장지방변화 연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체 데이터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한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측정 및 상기 제 2 신체 데이터에 기초한 연산처리에 의한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측정을 지시하는 내장지방측정 지시수단과,
    상기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는 연산의 종료가 검지되면,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한 보수 데이터의 측정 개시를 지시하는 보수측정개시 지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한 보수 측정의 종료가 검지되면, 상기 내장지방측정 지시수단이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측정을 지시하고,
    상기 내장지방변화 연산수단이 상기 측정된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 및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보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보수 데이터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를 연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지방변화 연산수단은, 상기 보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보행 등의 운동에 따라 소비된 소비 칼로리를 연산하며,
    상기 보수 데이터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로서, 소비 칼로리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로서의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6. 제 5 항에 있어서,
    피검자의 보폭 및 체중을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상기 내장지방변화 연산수단은, 상기 측정된 보수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피검자의 보폭 및 체중에 기초하여 상기 소비 칼로리 및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을 기억할 수 있으며,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과, 상기측정된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 및 제 2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으로부터 구해진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량에 의하여, 소비 칼로리를 추정하는 연산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을 기억할 수 있으며,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과, 상기 보수 데이터의 측정에 기초하여 구해진 소비 칼로리로부터 복부내장지방 변화량을 추정하는 연산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칼로리 및 내장지방 소비율을 기억할 수 있으며,
    상기 내장지방변화 연산수단은, 상기 보수 데이터와, 소비 칼로리 및 내장지방 소비율에 기초하여, 목표하는 내장지방의 소정량을 소비시키기 위한, 보수, 보행거리, 소비 칼로리를 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한 보수의 측정을 개시한 후에 시간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내장지방변화 연산수단이, 보수 데이터와 상기 보폭으로부터 피검자가 이동한 거리와, 그 이동거리와 이동에 소요된 시간으로부터 평균이동속도를 구하며,
    상기 평균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에 따른 소비 칼로리를 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한 보수의 측정을 개시한 후에 시간을 측정할 수 있고, 보행 등의 특정 종류의 운동 개시 후에 소정 시간마다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소정 시간마다 측정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상기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순차적으로 비교하고, 상기 제 1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 상기 소정 시간마다 측정된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과의 차이가 검출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종류의 운동을 개시한 후에 내장지방의 연소가 개시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내장지방의 연소가 개시될 때까지의 경과 시간인 내장지방 연소개시시간을 기억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종류의 운동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내장지방 연소개시시간을 경과한 후에 상기 보수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보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보행 등의 운동에 따라서 소비되는 소비 칼로리를 연산하고, 그 소비 칼로리에 대한 복부내장지방의 변화로서, 수정된 내장지방 소비율을 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12.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여러 번에 걸쳐서 구해진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의 평균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13.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여러 번에 걸쳐서 구해진 상기 내장지방 소비율의 누적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14. 제 11 항에 있어서,
    여러 번에 걸쳐서 구해진 상기 수정된 내장지방 소비율의 평균치를 구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15. 제 11 항에 있어서,
    여러 번에 걸쳐서 구해진 상기 수정된 내장지방 소비율의 누적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16. 제 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이,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워지게 되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17. 제 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 신장 및 체중을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이,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워지게 되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및 피검자의 신장과 체중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BMI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18. 제 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 신장, 체중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이,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워지게 되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피검자의 신장과 체중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BMI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19. 제 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인체 말단에 접촉시키는 전극을 통하여 측정되는 상기 피검자의 신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체지방율을 구할 수 있는 체지방율 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이,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워지게 되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및 체지방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20. 제 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피검자의 인체 말단에 접촉시키는 전극을 통하여 측정되는 상기 피검자의 신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체지방율을 구할 수 있는 체지방율 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이,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워지게 되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복부피하지방 두께 및 체지방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21. 제 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 신장 및 체중을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피검자의 인체 말단에 접촉시키는 전극을 통하여 측정되는 상기 피검자의 신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체지방율을 구할 수 있는 체지방율 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이,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워지게 되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상기피검자의 허리사이즈, 피검자의 신장과 체중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BMI 및 체지방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22. 제 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인체 몸통 부위에서의 둘레 치수인 허리사이즈, 신장, 체중 및 복부피하지방 두께를 포함한 신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피검자의 인체 말단에 접촉시키는 전극을 통하여 측정되는 상기 피검자의 신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체지방율을 구할 수 있는 체지방율 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이,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워지게 되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피검자의 신장과 체중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BMI, 복부피하지방 및 체지방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23. 제 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인체 말단에 접촉시키는 전극을 통하여 피검자의 신체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는 임피던스 측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피검자의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이, 다수의 표본이 되는 인체의 복부를 단층 촬영하여 얻어진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의 실제 측정치와, 상기 표본이 된 인체의 신체 데이터와의 상관 관계의 통계적 처리에 의해 세워지게 되며,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상기 피검자의 허리사이즈 및 신체 임피던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24. 제 16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내장지방 횡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연산식에 의한 연산처리가, 상기 피검자의 연령에 의한 보정항 및/또는 성별에 의한 보정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KR10-2002-7010928A 2000-12-22 2001-12-20 보수 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KR100457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0798 2000-12-22
JPJP-P-2000-00390798 2000-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496A true KR20020077496A (ko) 2002-10-11
KR100457401B1 KR100457401B1 (ko) 2004-11-16

Family

ID=1885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928A KR100457401B1 (ko) 2000-12-22 2001-12-20 보수 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83082B2 (ko)
EP (1) EP1344490B1 (ko)
JP (1) JP4104979B2 (ko)
KR (1) KR100457401B1 (ko)
CN (1) CN1193708C (ko)
AU (1) AU2002216378B2 (ko)
CA (1) CA2406199C (ko)
HK (1) HK1051960B (ko)
TW (1) TW514511B (ko)
WO (1) WO20020513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458B1 (ko) * 2006-07-24 2009-12-11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허리 둘레 계산 장치 및 체성분 판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9165B1 (fr) 1997-09-26 2002-11-29 Technical Maintenance Corp Systeme sans fil a transmission numerique pour haut-parleurs
FR2781591B1 (fr) 1998-07-22 2000-09-22 Technical Maintenance Corp Systeme de reproduction audiovisuelle
FR2781580B1 (fr) 1998-07-22 2000-09-22 Technical Maintenance Corp Circuit de commande de son pour systeme de reproduction audiovisuelle numerique intelligent
FR2805377B1 (fr) 2000-02-23 2003-09-12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e commande anticipee d'une selection, systeme numerique et juke-box permettant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FR2805060B1 (fr) 2000-02-16 2005-04-08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e reception de fichiers lors d'un telechargement
FR2808906B1 (fr) 2000-05-10 2005-02-11 Touchtunes Music Corp Dispositif et procede de gestion a distance d'un reseau de systemes 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audiovisuelles
FR2811114B1 (fr) 2000-06-29 2002-12-27 Touchtunes Music Corp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unication entre un systeme 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audiovisuelles et d'une machine electronique de divertissement
FR2814085B1 (fr) 2000-09-15 2005-02-11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e divertissement base sur les jeux concours a choix multiples
US10373420B2 (en) 2002-09-16 2019-08-06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with enhanced communication features
US7822687B2 (en) 2002-09-16 2010-10-26 Francois Brillon Jukebox with customizable avatar
US8584175B2 (en) 2002-09-16 2013-11-12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system with user-tailored music management, communications, and other tools
US8332895B2 (en) 2002-09-16 2012-12-11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system with user-tailored music management, communications, and other tools
US9646339B2 (en) 2002-09-16 2017-05-09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system with central and local music servers
US11029823B2 (en) 2002-09-16 2021-06-08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Jukebox with customizable avatar
US8103589B2 (en) 2002-09-16 2012-01-2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system with central and local music servers
CN100443048C (zh) 2003-02-18 2008-12-17 松下电工株式会社 内脏脂肪计测装置、内脏脂肪计测方法、程序以及记录媒体
JP4461763B2 (ja) * 2003-10-02 2010-05-1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内臓脂肪算出装置
FI118149B (fi) * 2003-12-05 2007-07-31 Elisa Oyj Menetelmä, järjestelmä, mittauslaite ja vastaanottolaite palautteen antamiseksi
US20050272564A1 (en) * 2004-06-02 2005-12-08 Johnson Health Tech Co., Ltd.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number of steps
DE602005027638D1 (de) * 2004-07-21 2011-06-09 Panasonic Elec Works Co Ltd System zur Messung der Körperaktivität
US20070232452A1 (en) * 2004-10-22 2007-10-04 Mytrak Health System Inc. Computerized Spinning Exercise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20070232450A1 (en) * 2004-10-22 2007-10-04 Mytrak Health System Inc. Characterizing Fitness and Providing Fitness Feedback
US20070232455A1 (en) * 2004-10-22 2007-10-04 Mytrak Health System Inc. Computerized Physical Activity System to Provide Feedback
US7846067B2 (en) 2004-10-22 2010-12-07 Mytrak Health System Inc. Fatigue and consistency in exercising
US7914425B2 (en) 2004-10-22 2011-03-29 Mytrak Health System Inc. Hydraulic exercise machine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20060189440A1 (en) * 2004-12-02 2006-08-24 Baylor University Exercise circuit system and method
US7519537B2 (en) * 2005-07-19 2009-04-14 Outland Research,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bo-manual gesture interface
US20120237906A9 (en) * 2006-03-15 2012-09-20 Glass Andrew B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of Material and Operation of External Devices
WO2007109050A2 (en) * 2006-03-15 2007-09-27 Glass Andrew B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of material and operation of external devices
FI119717B (fi) * 2006-05-04 2009-02-27 Polar Electro Oy Käyttäjäkohtainen suoritemittari, menetelmä ja tietokoneohjelmistotuote
JP4231876B2 (ja) * 2006-05-18 2009-03-04 株式会社コナミスポーツ&ライフ 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操作端末、及びトレーニング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FI120133B (fi) * 2006-05-29 2009-07-15 Polar Electro Oy Rannelaite ja menetelmä liikeinformaation määrittämiseksi
US20080032870A1 (en) * 2006-08-02 2008-02-07 Shen Yi Wu Method and apparatus of counting steps for treadmill
US20080090703A1 (en) * 2006-10-14 2008-04-17 Outland Research, Llc Automated Personal Exercise Regimen Tracking Apparatus
US20080103023A1 (en) * 2006-10-26 2008-05-01 Sonu Ed Chung Method of Developing and Creating a Personalized Exercise Regime in a Digital Medium
WO2008053419A2 (en) * 2006-10-30 2008-05-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termining body composition
US20080146416A1 (en) * 2006-12-13 2008-06-19 Motorola, Inc. Generation of user activity feedback
US9171419B2 (en) 2007-01-17 2015-10-27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Coin operated entertainment system
US9330529B2 (en) 2007-01-17 2016-05-03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Game terminal configured for interaction with jukebox device systems including same, and/or associated methods
US20080204225A1 (en) * 2007-02-22 2008-08-28 David Kitchen System for measuring and analyzing human movement
JP5016352B2 (ja) * 2007-03-30 2012-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活動量計
US20080312041A1 (en) * 2007-06-12 2008-12-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of Telemonitoring
US10290006B2 (en) 2008-08-15 2019-05-1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signage and gaming services to comply with federal and state alcohol and beverage laws and regulations
US8882668B2 (en) * 2007-11-19 2014-11-11 Elizabeth S. Thompson Method and process for body composition management
WO2010005569A1 (en) 2008-07-09 2010-01-1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with revenue-enhancing features
KR100964976B1 (ko) * 2008-08-18 2010-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허리둘레 자동 측정 벨트
US9292166B2 (en) 2009-03-18 2016-03-22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karaoke-relat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748448B1 (ko) 2009-03-18 2017-06-16 터치튠즈 뮤직 코포레이션 엔터테인먼트 서버 및 관련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CA2881448C (en) 2010-01-26 2017-09-05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851089B1 (ko) 2011-09-18 2018-04-20 터치튠즈 뮤직 코포레이션 가라오케 및/또는 포토 부스 특징들을 갖는 디지털 주크박스 디바이스, 및 연관된 방법들
US11151224B2 (en) 2012-01-09 2021-10-19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Systems and/or methods for monitoring audio inputs to jukebox devices
US9619626B2 (en) 2013-01-08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exercise information of user
CN103919575B (zh) * 2014-04-11 2016-01-20 北京海波尔达科技有限公司 全自动超声波医用人体体形测量仪
CN104454750A (zh) * 2014-11-26 2015-03-25 上海华岛液压设备制造有限公司 电磁组合换向阀
CN105138567B (zh) * 2015-07-24 2018-10-2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
TWM547950U (zh) 2016-05-31 2017-09-01 宜強科技股份有限公司 不具加壓泵的穿戴式血壓量測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0996A (en) * 1979-01-31 1980-09-02 Searcy Talmadge R Jogger's computational device
US5615689A (en) * 1994-12-12 1997-04-01 St. Luke's-Roosevelt Hospital Method of predicting body cell mass using bioimpedance analysis
FR2731144B1 (fr) * 1995-03-01 1997-08-14 Bernard Georges Procede et appareil de mesure pour l'estimation de la masse grasse chez un patient adulte, sain et en poids stable
JPH11123182A (ja) 1997-10-22 1999-05-11 Yamato Scale Co Ltd 体内脂肪計
EP0926488B1 (en) * 1997-12-25 2003-07-16 Yamato Scale Co., Ltd. Body fat determining device
JP4065614B2 (ja) * 1998-12-03 2008-03-26 大和製衡株式会社 歩数計付き体脂肪計
JP3988910B2 (ja) * 1999-06-11 2007-10-10 株式会社タニタ 体脂肪分布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TW514510B (en) * 1999-06-11 2002-12-21 Tanita Seisakusho Kk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istribution of body fat
JP2000350727A (ja) * 1999-06-11 2000-12-19 Tanita Corp 体脂肪分布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3449951B2 (ja) * 1999-08-30 2003-09-22 ヤーマン株式会社 健康歩数管理装置
JP3356745B2 (ja) * 1999-12-07 2002-12-16 ヤーマン株式会社 カロリー計算機
US6322504B1 (en) * 2000-03-27 2001-11-27 R And T, Llc Computerized interactive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and the consequences of developing the disease
JP4773666B2 (ja) * 2000-04-18 2011-09-14 勝三 川西 内臓脂肪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458B1 (ko) * 2006-07-24 2009-12-11 가부시키가이샤 타니타 허리 둘레 계산 장치 및 체성분 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4490B1 (en) 2015-08-26
HK1051960A1 (en) 2003-08-29
KR100457401B1 (ko) 2004-11-16
JP4104979B2 (ja) 2008-06-18
CA2406199C (en) 2007-02-13
JPWO2002051309A1 (ja) 2004-04-22
EP1344490A1 (en) 2003-09-17
TW514511B (en) 2002-12-21
CN1193708C (zh) 2005-03-23
CA2406199A1 (en) 2002-10-15
US7383082B2 (en) 2008-06-03
CN1404374A (zh) 2003-03-19
WO2002051309A1 (en) 2002-07-04
HK1051960B (zh) 2005-09-02
AU2002216378B2 (en) 2004-03-18
US20040102684A1 (en) 2004-05-27
EP1344490A4 (en)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401B1 (ko) 보수 측정기능을 갖는 내장지방계
JP4597450B2 (ja) 健康状態判定表示装置
JP5923857B2 (ja) 活動量計
KR100453181B1 (ko) 내장 지방 측정장치
JP4773666B2 (ja) 内臓脂肪計
KR20020059835A (ko) 칼로리 계산기
JP2006145540A (ja) 脈搏或は心搏測定が可能な体重計
JP2016508756A (ja) 個人の相関係数を使用してカロリー摂取量を判定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20017153A (ja) 健康状態診断システム
US7146207B2 (en) Health administration apparatus
JPH11332845A (ja)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及び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システム
KR20030036053A (ko) 내장 지방 추정 장치
EP1488742B1 (en) Biological data acquiring apparatus
US7594891B2 (en) Portable physiological parameter monitor
JP4065614B2 (ja) 歩数計付き体脂肪計
US8808146B2 (en) Activity meter
JP2002336219A (ja) 消費カロリー測定方法及び消費カロリー測定装置
JP2003265427A (ja) 健康管理装置
JP2002177234A (ja) 歩数測定機能付き内臓脂肪計
JP2003111734A (ja) 健康情報表示装置
WO2008053419A2 (en) Determining body composition
JP2002034939A (ja) 人体の鼓動の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