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994A - 독서대 - Google Patents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994A
KR20020076994A KR1020010030739A KR20010030739A KR20020076994A KR 20020076994 A KR20020076994 A KR 20020076994A KR 1020010030739 A KR1020010030739 A KR 1020010030739A KR 20010030739 A KR20010030739 A KR 20010030739A KR 20020076994 A KR20020076994 A KR 20020076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page
pressing
arm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무라소테츠
Original Assignee
소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테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테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9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07Overhead reading-racks or boo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펼쳐진 상태로 세팅한 책을 그 상태에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페이지를 용이하게 넘겨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것도 용이한 독서대가 개시되어 있다. 독서대는, 스탠드부재(1)와, 그 아암부재(1c)의 선단에 각도변경 가능하도록 장착한 책받침부(2)와, 책받침부(2)의 바닥판부(2b)의 중앙부로부터 세워 올린 지지핀(3)과, 한 쌍의 페이지누름부재(4)로 구성한다. 각 페이지누름부재(4)는 누름용 소형 아암(4a)과, 그 선단에 구를 수 있도록 배치한 롤러(4b)와, 누름용 소형 아암(4a)을 지지하는 베이스부(4c)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4c)는 책받침부(2)의 보조후판부(2c)에 배치한 연장 플레이트(2c6, 2c6)에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부(4c)에는 누름용 소형 아암(4a)을 기복(起伏)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작용을 가진 기복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롤러(4b)의 외주는 매끄럽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독서대{Book stand}
본 발명은, 독서시 대상인 책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독서대가 제안되어 왔다.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나 워드 프로세서 등으로 데이터의 입력을 행할 경우 오리지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서류를 그 측방에 보기 쉬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독서대, 책상에 앉아 독서를 행할 때 책의 페이지면을 독서를 행하는 자에 대하여 적절한 각도가 되도록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독서대, 혹은 다양한 자세, 예컨대,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도 독서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독서대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이들 종래의 독서대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 효과적인 것이라고는 인정되지만, 어느 경우에도, 책을 세팅한 경우, 양 바깥쪽으로부터 펼쳐진 페이지를 페이지누름수단으로 눌러, 독서 중에 페이지가 마구 덮이거나, 다음 페이지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이 페이지 누름수단이 반대로 당해 페이지를 다 읽어 페이지를 넘기고자 할 때에 방해가 되어, 원활한 페이지이동을 방해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예의 불편함을 해결하여, 책을 펼쳐진 상태로 세팅하였을 경우, 펼쳐진 페이지의 누름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독서 중에 페이지가 마구 덮이거나, 어느 한 페이지로 이동되지도 않고, 또한 당해 페이지를 다 읽은 경우에는, 원활하게 페이지를 넘겨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고, 새로운 페이지의 누름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독서대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책받침부에 책을 세팅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정면도이고,
도 3은 책받침부의 중앙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보조후판부와 연장플레이트와의 확대종단면도이고,
도 5는 한쪽의 보조후판부와 연장플레이트와의 확대배면도이고,
도 6a는 베이스부의 확대평면단면도이고, 도 6b는 베이스부의 확대평면도이며,
도 7a는 아암부재에의 책받침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확대정면도이고, 도 7b는 아암부재에의 책받침부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확대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스탠드부재1a다리판부재
1b지지기둥부재 1b1내측파이프
1b2외측파이프 1b3조작 링
1c아암부재 1c1슬라이드 접속수단
1c2조절나사 2책받침부
2a중앙후판부 2a1가이드슬릿
2a2장착편 2a3브라켓
2a4짧은 원주부재2a5축부재
2a6박스너트부재 2a7결합볼트
2a8그립붙이 박스너트2b바닥판부
2c보조후판부 2c1슬라이더
2c2끼움지지판2c3보강판
2c4조임 박스너트 2c5가이드레일
2c6연장플레이트 2c7안내슬릿
3c8안내돌기 2c9볼트
2c9오목부 2a10돌기부
3지지핀4페이지누름부재
4a누름용 소형 아암4a1축
4b롤러(롤러부재)4c베이스부
4c1포지편 4c2고정용 나사
4c3원형작동구멍 4c4작동원주
4c5위치결정 나사4c6코일스프링
4c7결합홈 4c8슬릿
4c9가이드봉 4c10누름판
4c11비스B책
p페이지
본 발명의 1은, 스탠드부재와, 상기 스탠드부재에 지지되며, 펼쳐진 책의 뒤쪽을 받는 책받침부와, 상기 책받침부의 중앙부에 배치한 페이지간 지지부재로서, 그 책받침부에 배치한 책의 양측에 펼쳐진 페이지 사이를 그 책받침부와 이것으로 끼워 지지하도록 누르는 페이지간 지지부재와,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에 구성한 페이지누름부재로서, 각각 펼쳐진 책의 양측의 페이지를 양 바깥쪽으로부터 책받침부와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도록 누르는 누름용 소형 아암 및 그 선단에 구를 수 있도록 배치한 롤러부재로 구성한 페이지누름부재로 구성한 독서대이다.
본 발명의 2는, 본 발명의 1의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에, 각각 폭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부를 구성하고, 상기 각 신축부에 상기 페이지누름부재를 장착한 독서대이다.
본 발명의 3은, 본 발명의 1의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누름부재의 누름용 소형 아암을 각각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단에, 이것에 배치한 책의 페이지를 누르는 방향의 스프링작용을 가진 기복기구를 통해 기복 가능하도록 장착한 독서대이다.
본 발명의 4는, 본 발명의 2의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누름부재의 누름용 소형 아암을 각각 상기 신축부에, 상기 책받침부에 배치한 책의 페이지를 누르는 방향의 스프링작용을 가진 기복기구를 통해 기복 가능하도록 장착한 독서대이다.
본 발명의 5는, 본 발명의 4의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기복기구를 상기 신축부에 장착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신축부의 신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한 원형 작동구멍과, 상기 원형작동구멍의 중앙에 삽입한 작동원주로서, 그 둘레측 중앙에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의 베이스부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결합홈을 구비한 작동원주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한 슬릿으로서, 베이스부를 상기 결합홈에 결합한 누름용 소형 아암이 상기 신축부의 축소방향을 향해 통과하기 위한 슬릿과, 상기 원형작동구멍내에, 일방의 바깥단으로부터 상기 작동원주의 일단측을 위치결정하기 위해 조인 위치결정나사와, 상기 원형작동구멍내에 상기 페이지누름용 소형 아암을 엎드림 작동시키도록 타방의 바깥단으로부터 삽입함과 동시에 그 일단을 베이스부의 일부에, 타단을 그 작동원주의 타단측 외주 근방의 부위에 각각 결합한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측에 배치하며, 일단을 상기 작동원주의 중앙부에 고정설치하고, 타단을 상기 원형작동구멍을 덮는 누름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닿도록 한 가이드봉과, 상기 원형작동구멍의 상기 위치결정나사를 조인 측과 반대측의 단부를 덮는 상기 누름판으로 구성한 독서대이다.
본 발명의 6은, 본 발명의 1, 2, 3, 4 또는 5의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의 둘레측면을 매끄럽게 구성한 독서대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스탠드부재와, 책받침부와, 페이지간 지지부재와, 페이지누름부재로 구성한 독서대이다.
상기 스탠드부재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목적에 따른 형태로, 책받침부 및 이것에 구성한 페이지간 지지부재 및 페이지누름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상기 스탠드부재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소파에 걸터앉은 상태로 책을 읽는 경우나, 침대에 누운 상태로 책을 읽는 경우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한 경우에는, 지지부재와, 이것을 넘어뜨리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세워 올린 다리판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신축 가능하도록 연장한 아암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부재를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아암부재의 선단에 상기 책받침부를 장착하도록 한다. 상기 책받침부의 방향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도록, 장착부위를 회전 및 기복 가능하도록 하면 사용이 편리하다. 물론,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한 다음에는, 그 상태를 고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것이 가능하도록 고정수단을 구성할 필요가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상기 책받침부는, 책을 펼친 상태에서, 그 뒤쪽을 이것에 맞닿게 하면서 세팅하는 후판부 및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바닥판부가 최소한 필요하다. 책을 양호한 상태로 세팅 가능하다면, 형상 등은 자유롭다.
상기 책받침부에는, 크기가 다른 책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세팅 가능하도록, 그 폭방향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신축부를 구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예컨대, 상기 신축부는,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양 신축부를 신축함으로써 상기 책받침부의 전체적인 폭을 확대 또는 축소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페이지간 지지부재는, 상기 책받침부에 페이지를 펼친 상태로 세팅한 책의 중앙부(양측페이지 사이)를 전면측으로부터 누르기 위한 수단이다. 예컨대, 상기 책받침부의 바닥판부로부터 상기 책받침부의 전면에 이와 평행하도록 세워 올린 핀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책을 상기 책받침부에 세팅할 경우에는, 그 책을 페이지를 펼친 상태에서, 상기 책받침부의 상방으로부터 그 전면에 접한 상태로 미끄러지게 하여 하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책의 뒷면측은 상기 책받침부로 지지되고, 하부는 바닥판부로 지지되며, 또한 전면중앙부(페이지사이)는 바닥판부로부터 세워 올려지는 핀부재(페이지간 지지부재)로 지지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상과 같이, 상기 페이지간 지지부재를 핀부재와 같이 가는 부재로 구성하면, 페이지를 넘길 경우, 상기 페이지간 지지부재가 거의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일일이 책을 다시 세팅하지 않아도 된다. 즉, 넘긴 페이지를 그대로 반대측으로 넘겨 그 바깥단 부근을 대응하는 측의 페이지누름부재로 눌러, 새로운 페이지를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도 문제는 없다.
상기 페이지누름부재는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에 구성한다.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에 구성하는 각각은, 각각 펼쳐진 책의 양측의 페이지를 양 바깥쪽으로부터 책받침부와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도록 누르는 누름용 소형 아암 및 그 선단에 구를 수 있도록 배치한 롤러부재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페이지누름부재의 누름용 소형 아암은, 각각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단에, 이것에 배치한 책의 페이지를 누르는 방향의 스프링작용을 가진 기복기구를 통해 기복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을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예컨대, 페이지를 넘기기 위해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을 약간 일으켜도, 넘긴 후에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은 스프링작용에 의해 스스로 엎드림 방향으로 되돌아오고, 또한 그 엎드림 방향으로의 복귀는 당해 페이지의 두께가 변화하여도 그에 따른 것으로 되므로, 조정이 불필요하여, 취급에 편리하다.
또한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에, 상기와 같이 신축부를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페이지누름부재는 각각 상기 각 신축부에 장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페이지누름부재의 누름용 소형 아암을, 상기 책받침부에 배치한 책의 페이지를 누르는 방향의 스프링작용을 가진 기복기구를 통해 각각 신축부에 기복 가능하도록 장착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에 장착하는 경우와 완전히 동일한 취지이다.
또한 상기 기복기구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한데, 예컨대 상기 신축부에 장착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신축부의 신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한 원형작동구멍과, 상기 원형작동구멍의 중앙에 삽입한 작동원주로서, 상기 둘레측중앙에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의 베이스부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결함홈을 구비한 작동원주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한 슬릿으로서, 베이스부를 상기 결합홈에 결합한 누름용 소형 아암이 상기 신축부의 축소방향을 향해 통과하기 위한 슬릿과, 상기 원형작동구멍내에 일방의 바깥단으로부터 상기 작동원주의 일단측을 위치결정하기 위해 조인 위치결정나사와, 상기 원형작동구멍내에 상기 페이지누름용 소형아암을 엎드림 작동시키기 위해 타방의 바깥단으로부터 삽입하며, 그 일단을 베이스부의 일부에, 타단을 상기 작동원주의 타단측 외주 근방의 부위에 각각 결합한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측에 배치하며, 일단을 그 작동원주의 중앙부에 고정설치하고, 타단을 상기 원형작동구멍을 덮는 누름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닿게 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원형작동구멍의 상기 위치결정나사를 조인 측과 반대측의 단부를 덮는 상기 누름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복기구를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한 페이지누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페이지누름력을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의 선단에 배치하는 롤러부재는, 페이지를 넘길 때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가능한 한 경쾌하게 구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으로부터, 롤러부재의 둘레측면은 가능한 한 매끄러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독서대에 의하면, 스탠드부재를 목적에 따른 것으로 함으로써, 신체에 불편함이 있는 자가 침대에 누워 책을 읽을 때 이용하는 것도, 소파에서 편안히 쉬면서 책을 읽을 때 이용하는 것도, 혹은 책상에 앉아 책을 읽을 때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독서대에 의하면, 특히, 이것에 세팅한 책의 페이지를 넘길 때, 번거로운 조작이 불필요하므로, 그 점에 이점이 있다.
상기 스탠드부재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기둥부재와, 이것을 넘어뜨리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세워 올리는 다리판부재와, 상기 지지기둥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신축 가능하도록 연장한 아암부재로 구성한 것을 채용하고, 또한 그 아암부재의 선단에 상기 책받침부를 각도변경 가능하도록 장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소파에서 편안히 쉬면서 책을 읽는 경우에는, 상기 책받침부에 책을 세팅하고, 아암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고, 또한 상기 책받침부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해서 고정하여, 독서자의 전방의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각도로 책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책의 상기 책받침부에의 세팅은, 상기 책을, 페이지를 펼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상기 책받침부의 전면을 미끄러지게 하여 하강시켜 행한다. 상기 페이지간 지지부재를 상기 책받침부의 바닥판부로부터 전면에 평행하게 세워 올린 핀부재로 구성한 경우에는,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책의 전면중앙부에 상기 핀부재가 위치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상기 책을 그 배후는 상기 책받침부로 지지하고, 하부는 바닥판부로 지지하고, 또한 전면중앙부는 상기 핀부재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책받침부에 세팅한 책은, 그 양측부를 각각 페이지누름부재로 누른다. 상기 페이지누름부재는,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에 각각 신축부를 구성하여 각 신축부에 장착한 경우에는, 상기 신축부를 신축 조정하여 책받침부에 세팅한 책의 크기에 맞추어 그렇게 한 다음에, 상기 페이지누름부재의 누름용 소형 아암의 선단에 배치한 롤러부재를 상기 책의 양측의 페이지에 눌러 접촉시킨다.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을 스프링작용을 가진 기복기구로 기복 가능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을 일으키면서 상기 신축부를 신축조절하고, 가로폭을 상기 책의 크기에 대응시키고, 그런 다음에 통상,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을 상기 기복기구의 스프링작용을 자유롭게 작용하여 넘어뜨리고, 상기 책의 양 페이지의 바깥가장자리 부근을 상기 롤러부재에 의해 누르도록 한다.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의 누른 상태는 말할 것도 없이, 상기 기복기구의 스프링작용에 의해 유지된다.
어쨌든 이러한 상태에서 책은 페이지를 펼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페이지가 독서를 하는 사람의 면전의 적당한 위치에 적당한 각도로 위치하게 되므로, 편리하게 독서를 할 수 있다.
페이지를 넘길 경우에는, 넘길 페이지를 이것을 누르고 있는 롤러부재로부터 중앙측에서 중앙방향으로 잡아당기도록 하면서, 상기 롤러부재의 아래쪽으로부터 빼내고, 이어서 상기 페이지를 반대측으로 넘어뜨리며, 또한 상기 페이지의 바깥단을 반대측의 롤러부재와 이것으로 눌려져 있는 페이지와의 사이에 끼워 넣는다.
롤러부재에 눌려져 있는 페이지는, 이것을 빼내기 위해 중앙측으로부터 잡아당긴 경우, 상기 롤러부재가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둘레 측면이 매끄럽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이것을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페이지를 반대측으로 넘어뜨려 반대측의 롤러부재와 이것으로 눌려져 있는 페이지와의 사이에 끼워 넣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롤러부재가 구를 수 있고, 또한 그 둘레 측면이 매끄럽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끼워 넣음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지를 넘겨 다음 페이지로 이행하는 조작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독서대에 비하여 매우 우수해진다.
독서를 마치고, 책을 이 독서대로부터 제거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신축부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바깥쪽으로 신장시키고, 이에 의해, 이것에 장착되어 있는 각 페이지누름부재를 바깥쪽으로 이동시키고, 책의 바깥가장자리에 대한 이에 의한 누름상태를 해제하고, 그런 다음, 상기 책을 상방으로 끌어올리면, 그것으로 완료이다. 상기 신축부를 구성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책이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페이지누름부재의 누름용 소형 아암을 일으키면서 상기 책을 끌어올리는 것이 좋다. 물론, 한 번에 양쪽을 모두 일으키는 것은 어려우므로, 한쪽을 일으켜 끌어올리게 된다. 롤러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그 외주면이 매끄럽게 구성되어 있으면, 이것으로도 거의 지장은 없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의 독서대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책받침부에 책을 세팅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정면도이고, 도 3은 책받침부의 중앙부 종단면도, 도 4는 보조후판부와 연장플레이트와의 확대종단면도, 도 5는 일방의 보조후판부와 연장플레이트와의 확대배면도, 도 6a는 베이스부의 확대평면단면도, 도 6b는 베이스부의 확대평면도, 도 7a는 아암부재에의 책받침부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확대정면도, 도 7b는 아암부재에의 책받침부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확대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독서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탠드부재(1)와, 책받침부(2)와, 페이지간 지지부재인 지지핀(3)과, 페이지누름부재(4)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스탠드부재(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한 중량을 가진 다리판부재(1a)와, 상기 다리판부재(1a)로부터 세워 올린 지지기둥부재(1b)와, 상기 지지기둥부재(1b)의 상단에 배치한 아암부재(1c)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상기 지지기둥부재(1b)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파이프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측파이프(1b1)가 승강함으로써 신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파이프(1b1)는 회전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외측파이프(1b2)의 최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링(1b3)을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측파이프(1b1)의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해지고, 상기 조작링(1b3)을 상기 소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및 승강이 불가능해져 그 때의 신축 및 회동상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공지의 구성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아암부재(1c)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기둥부재(1b)의 내측파이프(1b1)의 상단에 슬라이딩 접속수단(1c1)을 통해 접속된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접속수단(1c1)은 각기둥모양의 부재로서, 상기 내측파이프(1b1)의 상단에 그 하단에서 고정 설치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접속수단(1c1)의 상부에는 약간 기울어진 횡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부재(1c)가 이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상기 아암부재(1c)는 그 선단측이 기울기의 상방측이 되도록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고, 그 관통진퇴상태는, 상기 슬라이딩 접속수단(1c1)의 상단으로부터 조여져 있는 조절나사(1c2)의 조임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책받침부(2)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후판부(2a)와, 그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뻗어남과 동시에 폭방향으로도 넓힌 바닥판부(2b)와, 상기 중앙후판부(2a)에, 그 중간으로부터 하부도중까지의 사이를 슬라이딩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한 횡방향의 보조후판부(2c)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중앙후판부(2a)의 중간 정도로부터 하부 도중까지의 사이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슬릿(2a1)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후판부(2c)를 상기 중앙후판부(2a)의 배후에 접합하고, 상기 가이드슬릿(2a1)에 상기 보조후판부(2c)의 중앙에 고정 설치한 슬라이더(2c1)를 슬라이딩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한다. 상기 슬라이더(2c1)에 대응시켜 상기 중앙후판부(2a)의 전면측에 끼움지지판(2c2)을 배치하고, 상기 끼움지지판(2c2)의 뒷면에 고정 설치한 두 개의 볼트(2c9, 2c9)를 상기 슬라이더(2c1), 상기 보조후판부(2c) 및 그 뒷면에 형성한 보강판(2c3)의 대응하는 볼트구멍에 관통시키고, 배후에 돌출된 두 볼트(2c9, 2c9)에 조임박스너트(2c4, 2c4)를 각각 나사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상기 보조후판부(2c)는, 상기 조임박스너트(2c4, 2c4)를 느슨하게 하면, 상기 가이드슬릿(2a1)이 형성되어 있는 범위에서 이를 승강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임박스너트(2c4, 2c4)를 조이면, 조였을 때 위치하였던 부위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조후판부(2c)는, 앞서 설명하고,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본형상은 횡방향의 판재이지만,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단 및 하단을 각각 뒷부분 비스듬히 내측으로 절곡한 상하의 가이드레일(2c5,2c5)을 구비하고 있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상하의 가이드레일 (2c5, 2c5)내에, 마찬가지로 상하단을 뒷부분 비스듬히 내측으로 절곡한 상하단을 삽입하면서, 상기 보조후판부(2c)의 배후에 양단측으로부터 연장플레이트(2c6, 2c6)를 진퇴 가능하도록 삽입한다. 또한 상기 연장플레이트(2c6, 2c6)에는 그 길이방향 중앙부를 따라 안내슬릿(2c7)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상기 보조후판부(2c)의 바깥단 중앙부에 절곡 형성한 안내돌기(2c8)가 삽입되며, 상기 연장플레이트 (2c6, 2c6)의 진퇴를 직선이 되도록 가이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장플레이트 (2c6, 2c6)는 책받침부(2)의 폭방향의 신축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페이지누름부재(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조후판부(2c)의 양측에 측방을 향해 진퇴 가능하도록 배치한 연장플레이트(2c6, 2c6)에, 각각 장착한다. 상기 각 페이지누름부재(4)는, 펼쳐진 책(B)의 페이지(p)를 바깥쪽으로부터 책받침부(2)와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도록 누르기 위한 누름용 소형 아암(4a)과, 그 선단에 구를 수 있도록 배치한 롤러(롤러부재)(4b)와,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4a)을 기복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이스부(4c)로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부(4c)는, 도 5,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육면체형상의 부재이며, 그 뒷면 상하에 상기 연장플레이트(2c6)의 상하단을 감싸는 포지편(抱持片; 4c1, 4c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포지편(4c1, 4c1)에 의해, 글자그대로 상기 연장플레이트(2c6)를 감쌈으로써, 상기 연장플레이트(2c6)상을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4c)의 뒷면중앙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장플레이트(2c6)의 뒷면측으로부터 상기 안내슬릿(2c7)을 통해 고정용 나사(4c2)를 삽입하고, 이것을 상기 암나사에 조임으로써, 상기 연장플레이트(2c6)에 있어서의 상기 베이스부(4c)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4c)에는, 상기 연장플레이트(2c6)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원형작동구멍(4c3)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 작동원주(4c4)를 삽입하고, 또한 그 작동원주(4c4)의 둘레측 중앙에 형성한 결합홈(4c7)에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4a)의 베이스부를 고정 설치한다. 그 누름용 소형 아암(4a)의 베이스부는, 그 베이스부(4c)의 해당하는 부위에 형성한 슬릿(4c8)을 통해 그 작동원주(4c4)의 결합홈(4c7)까지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원형작동구멍(4c3)에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앙에 상기 작동원주(4c4)를 삽입하고, 그 일단측에는 위치결정나사(4c5)를, 타단측에는 코일스프링(4c6)을 배치한다. 상기 위치결정나사(4c5)는, 이것을 상기 원형작동구멍(4c3)의 일단측으로부터 조여, 상기 작동원주(4c4)를 상기 원형작동구멍(4c3) 의 중앙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말할 것도 없이, 상기 원형작동구멍(4c3)의 내주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4c6)은 상기 원형작동구멍(4c3)내에 상기 위치결정나사 (4c5)와 반대측단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내측의 단부를 상기 작동원주(4c4)의 단부의 외주 근방의 부위에 결합하고, 타단을 베이스부(4c)에, 상기 원형작동구멍(4c3)의 바깥단근방에서 결합한다. 상기 코일스프링(4c6)은,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4a)을 엎드림 작동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배치한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원주(4c4)의 코일스프링(4c6)을 배치한 측의 단부중앙에는, 그 코일스프링(4c6)의 내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봉(4c9)의 안쪽단을 고정설치하고, 그 가이드봉(4c9)의 바깥단은 그 원형작동구멍(4c3)의 바깥단을 닫는 누름판(4c10)에 회동 가능하도록 맞닿게 한다. 상기 누름판(4c10)은, 비스(4c11, 4c11)로 베이스부(4c)에 고정한다.
상기 작동원주(4c4)는, 말할 것도 없이, 상기 원형작동구멍(4c3)내에서 회전동작이 가능한데, 특별히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코일스프링(4c6)의 작용력에 의해,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4a)의 엎드림 방향으로 넘어뜨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롤러(4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4a)의 선단에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부재(4a1)를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축부재(4a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한다. 이 롤러(4b)로는, 레이디얼 구름베어링을 채용하고, 그 외륜을 롤러외주로서 이용한 것이다. 이 외주는 매끄럽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간 지지부재인 지지핀(3)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책받침부(2)의 하방에 구성한 바닥판부(2b)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중앙후판부(2a)에 평행하게 세워 올린 것으로서, 글자그대로의 핀부재로 구성한 것이다. 바닥판부(2b)로부터의 세워올림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는 중앙이지만, 전후방향에서는 세팅할 책의 두께를 고려하여 그만큼 전방으로부터 세워 올린다. 대략 10mm정도 전방으로부터 세워 올린다.
또한 상기 책받침부(2)는, 도 1, 도 2,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앙후판부(2a)의 상단을 상기 스탠드부재(1)의 아암부재(1c)의 선단에 각도변경 가능하도록 장착한다.
상기 중앙후판부(2a)의 상단을 직각으로 후방 절곡하여 장착편(2a2)을 구성하고, 그 장착편(2a2)상에 U자형의 브라켓(2a3)을 고정설치하고, 또한 상기 브라켓(2a3)의 내측에 짧은 원기둥부재(2a4)를 삽입하고, 축부재(2a5)를 통해 상기 브라켓(2a3)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한다. 상기 축부재(2a5)는, 그 일단이 확대머리부이고, 타단측은 외주에 나선을 구비한 볼트부에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볼트부에 그립을 구비한 박스너트부재(2a6)를 나사 결합한다. 이 박스너트부재(2a6)를 느슨하게 하면, 상기 짧은 원주부재(2a4)는 회전가능해지고, 세게 조이면 회전할 수 없게 되어, 그 시점의 회동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짧은 원기둥부재 (2a4)의 양면에는 원호상으로 배열한 복수의 오목부(2a9, 2a9 )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이 상기 브라켓(2a3)의 양 내측으로 돌출시킨 돌기부(2a1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짧은 원기둥부재(2a4)의 회전정지상태는 보다 확실해진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짧은 원기둥부재(2a4)의 둘레측에는 결합볼트(2a7)를 세워 고정하고, 이 결합볼트(2a7)를 상기 아암부재(1c)의 선단에 형성한 결합구멍에 하방으로부터 삽입하고, 상방으로 돌출한 상기 결합볼트(2a7)에 그립붙이 박스너트(2a8)를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책받침부(2)를 스탠드부재(1)의 아암부재(1c)의 선단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상기 박스너트(2a8)를 느슨하게 하면, 상기 책받침부(2)는 상기 결합볼트(2a7)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조이면 현재의 방향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독서대에 의하면, 신체에 불편함이 있는 자가 침대에 누워 책을 읽을 때 이용하는 것도, 소파에서 편안히 쉬면서 책을 읽을 때 이용하는 것도, 혹은 컴퓨터에의 데이터 입력시에 데스크 사이드에서 자료를 유지시키는 경우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독서대에 의하면, 특히, 이것에 세팅한 책(B)의 페이지(p)를 넘길 때, 번거로운 조작이 불필요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독서대를 이용할 경우에는, 먼저 대상인 책(B)을 상기 책받침부(2)에 세팅한다. 이 때, 이 책(B)의 크기에 맞추어 보조후판부(2c)를 승강시키고, 그 높이를 조절한다. 책(B)이 작으면 낮은 위치로 낮추고, 크면 높은 위치로 끌어 올려 고정한다. 이 승강이동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박스너트(2c4, 2c4)를 느슨하게 하여 행하며, 그 고정은, 말할 것도 없이, 이것을 조임으로써 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대상인 책(B)을, 그 페이지(p)를 펼친 다음, 상방으로부터 상기 책받침부(2)의 중앙후판부(2a)의 전면을 미끄러지게 하여 하강시킨다. 상기 책(B)을 그 뒤가 상기 중앙후판부(2a)의 중앙부분을 하강하도록 하면서, 그 하단이 바닥판부 (2b)에 접할 때까지 하강시키면, 상기 책(B)의 전면중앙에 상기 지지핀(3)이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책(B)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배후는 상기 중앙후판부(2a)에서, 하부는 바닥판부(2b)에서, 전면중앙은 상기 지지핀(3)에서 각각 지지되는 상태로 된다.
또한, 그런 다음, 상기 보조후판부(2c)의 양측의 연장플레이트(2c6, 2c6)를 진퇴조작하여, 이것에 장착되어 있는 각 페이지누름부재(4)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즉, 그 각 누름용 소형 아암(4a)의 선단에 배치한 롤러(4b)가 상기 책(B)의 페이지 (p, p)의 바깥가장자리 부근을 확실하게 누를 수 있도록 위치 결정한다. 상기 연장플레이트(2c6, 2c6)의 후퇴조작만으로는 적절한 위치결정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각 페이지누름부재(4)의 베이스부(4c)를 더 움직여 적절히 위치 결정한다. 상기 페이지부(4c)는, 상기 연장플레이트(2c6)상을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것을 그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상기 고정용 나사(4c2)를 느슨하게 하여 행하며, 조여서 그 위치결정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페이지누름부재(4, 4)의 위치결정이 양호하게 행해지면, 각 누름용 소형 아암(4a, 4a)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절로 상기 롤러(4b, 4b)에 의해 상기 책(B)의 양 페이지(p, p)의 바깥가장자리 부근을 누른 상태로 된다.
각 페이지누름부재(4, 4)의 누름용 소형 아암(4a, 4a)은, 그 베이스부가 상기 베이스부(4c)의 원형작동구멍(4c3)에 배치한 작동원주(4c4)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원주(4c4)는 그 일단에 결합된 코일스프링(4c6)의 작용에 의해,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4a, 4a)을 엎드림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회동시켜져 있으며, 그 때문에,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4a, 4a)을 상기 코일스프링(4c6)의 작용력에 대항하여, 또한 이것을 초과하는 힘으로 일으키지 않는 한, 그 상태가 유지되고, 책(B)은 눌려진 상태가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책(B)을 세팅한 후에는, 상기 스탠드부재(1)의 지지기둥부재 (1b)에 있어서의 내측파이프(1b1)를 승강시켜 높이의 조절을 행하고, 또한 회전시켜 책받침부(2)의 방향을 조절한다. 적절한 높이 및 방향에서의 상기 내측파이프 (1b1)의 고정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링(1b3)을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상기 아암부재(1c)를 진퇴시켜, 상기 지지기둥부재(1b)로부터의 진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적절한 진출길이에서의 고정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접속수단(1c1)의 상단으로부터 조여져 있는 조절나사 (1c2)의 조임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책받침부(2)는, 상기 박스너트(2a8)를 느슨하게 하여 결합볼트 (2a7)를 중심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렇게 한 다음, 상기 박스너트 (2a8)를 조여, 그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너트부재(2a6)를 느슨하게 하면, 상기 짧은 원주부재(2a4)가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책받침부(2)의 전면의 기울기를 원하는 만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상기 박스너트부재(2a6)를 세게 조이면, 그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의 독서대의 책(B)을 세팅하고, 또한 독서를 하는 자에게 대응하는 적절한 상태로 각 부분을 조정한 후에는, 쾌적하게 독서를 행할 수 있다.
대상인 페이지(p)를 다 읽어 페이지(p)를 넘길 경우에는, 넘길 페이지(p)를 해당하는 측의 페이지누름부재(4)의 롤러(4b)로부터 중앙측에서 중앙방향으로 잡아당기듯이 하면서 그 롤러(4b)의 아래로부터 빼내고, 이어서 그 페이지(p)를 반대측으로 넘어뜨리고, 그 바깥가장자리를 반대측의 롤러(4b)와 이에 의해 눌려져 있는 페이지(p)와의 사이에 끼워 넣는다.
롤러(4b)에 눌려져 있는 페이지(p)는, 이것을 빼내기 위해 중앙측으로부터 잡아당긴 경우, 상기 롤러(4b)자체가 구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그 둘레측면이 매끄럽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이것을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페이지(p)를 반대측으로 넘어뜨려 반대측의 롤러(4b)와 이것으로 눌려져있는 페이지(p)와의 사이에 끼워 넣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롤러(4b)가 회전가능하고, 또한 그 둘레측면이 매끄럽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끼워넣기조작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페이지(p)를 넘겨 다음 페이지(p)로 이행하는 조작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독서대에 비해 매우 우수해진다.
독서를 마치고, 책(B)을 이 독서대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보조후판부(2c)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연장플레이트(2c6, 2c6)를 각각 바깥쪽으로 신장시키고, 이에 의해, 이것에 장착되어 있는 각 페이지누름부재(4, 4)를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책(B)의 바깥가장자리에 대한 이것에 의한 누름상태를 해제한다. 그런 다음, 상기 책(B)을 상방으로 끌어올리면, 그것으로 완료이다.
본 발명의 1의 독서대에 의하면, 스탠드부재를 목적에 따른 것으로 함으로써, 신체에 불편함이 있는 자가 침대에 누워 책을 읽을 때 이용하는 것도, 소파에서 편안히 쉬면서 책을 읽을 때 이용하는 것도, 혹은 책상에 앉아 책을 읽을 때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책의 상기 책받침부에의 세팅도 간단하고, 상기 책을 페이지를 펼친 다음, 상방으로부터 상기 책받침부의 전면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하강시키고, 그런 다음, 상기 책의 양측부를 각각 페이지누름부재로 누르도록 하면 된다. 세팅한 책의 제거도, 이상과 반대의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독서 중에는, 책은 페이지를 펼친 상태로 유지되고, 그 페이지가 독서를 하는 사람의 전면의 적당한 위치에 적당한 각도에서 위치하게 되므로, 편리하게 독서를 할 수 있다. 또한 펼쳐져 있는 페이지를 다 읽어, 세팅되어 있는 책의 페이지를 넘길 때에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다. 넘긴 페이지를 반대측으로 넘어뜨리고, 반대측의 페이지누름부재로 그 페이지를 간단하게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2의 독서대에 의하면, 이것에 세팅하는 책의 크기에 맞추어 폭을 넓힐 수 있으므로, 책의 세팅상태를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 및 4의 독서대에 의하면, 이것에 페이지를 펼친 상태에서 세팅한 책의 양 페이지의 바깥 가장자리를 페이지누름부재에 의해 양호하게 누를 수 있고, 페이지를 넘길 때 그 밖에, 그 누름용 소형 아암을 일으켜도 손을 떼면 원래로 되돌아가 양호하게 페이지를 누르게 된다.
본 발명의 5의 독서대에 의하면,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의 기복구동기구를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한 스프링작용을 얻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6의 독서대에 의하면, 상기 롤러부재의 둘레측면을 매끄럽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페이지를 넘길 때, 그 아래로부터의 페이지의 빼냄이나 그 아래에의 페이지의 삽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스탠드부재와,
    상기 스탠드부재에 지지되며, 펼쳐진 책의 뒤쪽을 받는 책받침부와,
    상기 책받침부의 중앙부에 배치한 페이지간 지지부재로서, 상기 책받침부에 배치한 책의 양측에 펼쳐진 페이지의 사이를 상기 책받침부와 이것으로 끼워 지지하도록 누르는 페이지간 지지부재와,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에 구성한 페이지누름부재로서, 각각 펼쳐진 책의 양측의 페이지를 양 바깥쪽으로부터 책받침부와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도록 누르는 누름용 소형 아암 및 그 선단에 구를 수 있도록 배치한 롤러부재로 구성한 페이지누름부재로 구성한 독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에 각각 폭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부를 구성하고, 상기 각 신축부에 상기 페이지누름부재를 장착한 독서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누름부재의 누름용 소형 아암을, 각각 상기 책받침부의 양측단부에, 이것에 배치한 책의 페이지를 누르는 방향의 스프링작용을 가진 기복기구를 통해 기복 가능하도록 장착한 독서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누름부재의 누름용 소형 아암을, 각각 상기 신축부에 상기 책받침부에, 배치한 책의 페이지를 누르는 방향의 스프링작용을 가진 기복기구를 통해 기복 가능하도록 장착한 독서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기구를 상기 신축부에 장착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신축부의 신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한 원형작동구멍과, 상기 원형작동구멍의 중앙에 삽입한 작동원주로서, 그 둘레측 중앙에 상기 누름용 소형 아암의 베이스부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결합홈을 구비한 작동원주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한 슬릿으로서, 베이스부를 상기 결합홈에 결합한 누름용 소형 아암이 상기 신축부의 축소방향을 향해 통과하기 위한 슬릿과, 상기 원형작동구멍내에, 일방의 바깥단으로부터, 상기 작동원주의 일단측을 위치결정하기 위해 조인 위치결정나사와, 상기 원형작동구멍내에 상기 페이지누름용 소형 아암을 엎드림 작동시키기 위해, 타방의 바깥단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일단을 베이스부의 일부에, 타단을 상기 작동원주의 타단측 외주 근방의 부위에 각각 결합한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측에 배치하며, 일단을 상기 작동원주의 중앙부에 고정설치하고, 타단을 상기 원형작동구멍을 덮는 누름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닿게 한 가이드봉과, 상기 원형작동구멍의 상기 위치결정나사를 조인 측과 반대측의 단부를 덮는 상기 누름판으로 구성한독서대.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의 둘레측면을 매끄럽게 구성한 독서대.
KR1020010030739A 2001-03-30 2001-06-01 독서대 KR200200769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98418A JP2002291538A (ja) 2001-03-30 2001-03-30 書見台
JP2001-098418 2001-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994A true KR20020076994A (ko) 2002-10-11

Family

ID=1895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739A KR20020076994A (ko) 2001-03-30 2001-06-01 독서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2291538A (ko)
KR (1) KR200200769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51B1 (ko) * 2008-02-26 2010-03-17 최현배 접이식 독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3766A (zh) * 2014-09-28 2014-12-24 无锡市翱宇特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沙发扶手电脑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2954U (ko) * 1977-09-17 1979-04-12
KR940004943U (ko) * 1992-08-11 1994-03-16 박국서 독서대
JPH0810054A (ja) * 1994-06-30 1996-01-16 Sanko:Kk 自動本めくり機
JPH0919325A (ja) * 1995-07-03 1997-01-21 Fujitsu Ltd 原稿スタンドと原稿スタンド付き電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2954U (ko) * 1977-09-17 1979-04-12
KR940004943U (ko) * 1992-08-11 1994-03-16 박국서 독서대
JPH0810054A (ja) * 1994-06-30 1996-01-16 Sanko:Kk 自動本めくり機
JPH0919325A (ja) * 1995-07-03 1997-01-21 Fujitsu Ltd 原稿スタンドと原稿スタンド付き電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51B1 (ko) * 2008-02-26 2010-03-17 최현배 접이식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91538A (ja) 200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2793B2 (ja) ベッド用可変高サイドレール
US2709818A (en) Table or the like for use on a bed
US11471346B2 (en) Long term care bed
US10537184B2 (en) Split adjustable mattress foundation for multiple users
US6941594B1 (en) Bed with relatively movable parts
KR20020076994A (ko) 독서대
JP5537221B2 (ja) 譜面台
CN210783400U (zh) 一种可移动伸缩折叠桌
KR20160115234A (ko)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US3207099A (en) Overbed table
US3091886A (en) Book holder
JP2006223738A (ja) ベッドテーブル
JP2005334433A (ja) ベッド装置
KR200310970Y1 (ko) 독서대
KR20080112525A (ko) 독서테이블
KR200320684Y1 (ko)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독서대
CN211722497U (zh) 一种折叠沙发床
KR100552005B1 (ko) 독서대가 부설된 상
JP2000106955A (ja) テーブル兼用書見器
GB2402616A (en) A bed convertible between a bunk bed and a convertible bed
JP4292516B2 (ja) テーブル等の脚部の高さ調節機構
CN213605124U (zh) 纠姿面板
US4070720A (en) Dual purpose home medical bed
JP2003047532A (ja) 可動載置台付き家具
JP6327743B2 (ja) ベッド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