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534A - 차량용 다중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중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534A
KR20020076534A KR1020010016451A KR20010016451A KR20020076534A KR 20020076534 A KR20020076534 A KR 20020076534A KR 1020010016451 A KR1020010016451 A KR 1020010016451A KR 20010016451 A KR20010016451 A KR 20010016451A KR 20020076534 A KR20020076534 A KR 20020076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ght
lens
housing
ins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국
Original Assignee
오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6534A/ko
Publication of KR20020076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53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01J1/2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intensity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being varied to equalise their effects at the detectors, e.g. by varying incidence angle
    • G01J1/2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intensity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being varied to equalise their effects at the detectors, e.g. by varying incidence angle using a variable element in the light-path, e.g. filter, polarising means
    • G01J1/24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intensity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being varied to equalise their effects at the detectors, e.g. by varying incidence angle using a variable element in the light-path, e.g. filter, polarising mean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2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intensity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being varied to equalise their effects at the detectors, e.g. by varying incidence angle using a variable element in the light-path, e.g. filter, polarising mean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dapted for automatic variation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9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pplied to measurement of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6Photodiod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다중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사량, 태양의 위치 및 일사조도를 감지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센서의 기능을 하나의 패키지 속에 내장하여 차량의 조립 및 사용에 편리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는, 기판과 반투과성 하우징과 오목렌즈와 2개의 광감지수단과 3개의 신호변환수단으로 구성된다. 하우징은 기판과 결합되고 위쪽에 창을 가진다. 오목렌즈는 하우징의 창에 설치된다. 하우징과 오목렌즈는 700nm 이상의 파장대의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킨다. 제1 광감지수단은 오목렌즈의 직하방향의 위치의 기판 위에 설치되고, 2개의 광다이오드로 구성된다. 제2 광감지수단은 제1 광감지수단의 옆쪽으로 그 기판 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광다이오드로 구성된다. 각각의 신호변환수단은 각각의 광다이오드로부터 전류신호를 받아 전압신호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은 이들 신호들을 처리하는 마이컴을 내장하여 부하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다중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Multiple light sensor for a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ing the vehicle using the sensor}
본 발명은 차량용 다중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사량, 태양의 위치 및 일사조도를 감지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실내온도 조절장치를 위한 일사량 감지 광센서와 전조등 제어를 위한 조도 감지 광센서가 도 1과 같이 별도로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조도 광센서와 일사량 광센서가 부설된 차량의 전면도이다. 종래의 일사량 광센서(10)와 조도 광센서(20)는 입사되는 빛에 따라 각각 전류신호를 출력한다.
도 2a는 종래의 조도 광센서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2b는 종래의 일사량 광센서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종래의 일사량 감지 광센서는 기판(11)과, 하우징(12)과, 적외선 영역을 투과시키는 광필터(13)와, 포토다이오드(15)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조도 광센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기판(21)과, 하우징(22)과, 가시광선 영역을 투과시키는 광필터(23)와, 포토다이오드(25)로 구성된다.
도 3a는 종래의 일사량 광센서와 차량 사이의 연결 블록도이고, 도 3b는 종래의 조도 광센서와 차량 사이의 연결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사량 광센서(10)를 통하여 흐른 전류는 2개의 저항(31, 32)으로 구성된 분압회로를 통하여 전압으로 바꾼다. 이 변환된 전압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34)에 의해 적절히 처리된다. 이러한 일사량 광센서(1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34)에 의해 차량 내부의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하면, 조도 광센서(20)를 통하여 흐른 전류는 2개의 저항(41, 42)와 OP-앰프(43)로 구성된 회로를 통하여 전압으로 바꾸어 사용된다. 이 변환된 전압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44)에 의해 적절히 처리된다. 이러한 조도 광센서(2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44)에 의해 전조등을 자동으로 점멸시킨다.
그러나, 종래에는 센서로부터 분압회로 또는 OP-앰프까지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약해지고 노이즈도 포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큰 전류를 흘려주어야 했는데, 이는 센서의 표면적이 커지는 부담을 준다. 뿐만 하니라 넓은 표면적의 센서를 2개나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전류신호이므로, 이를 처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반드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바꾸는 추가적인 회로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사량 센서와 조도 센서의 기능들을 하나의 패키지 속에 내장하여 차량의 조립 및 사용에 편리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의 출력신호를 전류신호, 전압신호 및 디지털 신호 중 차량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신호로 출력하도록 하여 설계 및 사용의 편의를 도모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센서의 출력신호를 전압신호 및 디지털 신호로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신호의 약화나 노이즈가 포함되는 등의 부작용을 현저하게 줄이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저전력의 소형 소자를 사용하여 부피를 현격하게 줄이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센서를 통하여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헤드램프와 미등을 점등 및 소등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센서를 통하여 일사량에 따라 에어콘의 세기를 적절히 제어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도 광센서와 일사량 광센서가 부설된 차량의 전면도.
도 2a는 종래의 일사량 광센서의 단면 구조도.
도 2b는 종래의 조도 광센서의 단면 구조도.
도 3a는 종래의 일사량 광센서와 차량 사이의 연결 블록도.
도 3b는 종래의 조도 광센서와 차량 사이의 연결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중 광센서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중 광센서의 집광 개념도.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중 광센서의 제1 광감지 유니트를 통하여 빛의 입사방향을 검출하는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중 광센서에 부가된 제1 신호변환기의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다중 광센서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다중 광센서의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차량전등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차내온도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a와 12b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의 차량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일사량 광센서20 : 조도 광센서
11, 21, 111, 121, 131 : 기판12, 22, 112, 122, 132 : 하우징
13, 23 : 광필터113, 123, 124, 133, 134 : 렌즈
15, 25, 115, 115a, 115b, 116, 125, 126, 135, 136 : 광다이오드
137 : 벽
31, 32, 41, 42, 142 : 저항141 : 커패시터
43, 143 : OP-앰프34, 44 : 마이크로프로세서
145 : AD 변환기146 : 스위치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는, 기판과, 그 기판과 결합되고, 위쪽에 창을 가지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그 창에 설치된 렌즈와, 그 렌즈의 직하방향의 위치의 그 기판 위에 설치되어 빛의 입사방향을 감별하는 제1 광감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에서, 그 하우징은 반투과성 하우징이며, 그 렌즈는 오목렌즈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에서, 그 하우징과 그 렌즈는 가시광선 파장대와 적외선 파장대는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이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에서, 그 하우징과 그 렌즈는 700nm 이상의 파장대의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이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에서, 그 제1 광감지수단은 제1 광감지기와, 그 제1 광감지기의 바로 옆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광감지기로 구성되며, 빛의 입사방향에 따라 그 제1 광감지기와 그 제2 광감지기는 크기가 서로 같거나 다른 전류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에서, 그 제1 광감지기와 그 제2 광감지기는 빛을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광다이오드이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는, 그 제1 광감지기로부터 전류신호를 받아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신호변환수단과, 그 제2 광감지기로부터 전류신호를 받아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신호변환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8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는, 그 제1 광감지수단의 옆쪽으로 그 기판 위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2 광감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9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에서, 그 제2 광감지수단은 빛을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광다이오드이다.
본 발명의 제10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의 하우징은, 그 제2 광감지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3 신호변환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는, 기판과, 그 기판과 결합되고, 위쪽에 제1 창과 제2 창을 가지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그 제1 창에 설치된 제1 렌즈와, 그 하우징의 그 제2 창에 설치된 제2 렌즈와, 그 제1 렌즈의 직하방향의 위치의 그 기판 위에 설치된 제1 광감지수단과, 그 제2 렌즈의 직하방향의 위치의 그 기판 위에 설치된 제2 광감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는, 그 하우징과 기판 사이의 내부를 수직으로 나누어 서로 격리시키는 비투과성 벽을 더 포함하며, 그 하우징은 비투과성 하우징이며, 그 제1 렌즈는 오목렌즈이며, 그 제2 렌즈는 볼록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본 발명의 제1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에서, 그 제1 렌즈는 적외선 파장대는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이며, 그 제2 렌즈는 가시광선 파장대와 적외선 파장대는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이다.
본 발명의 제1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에서, 그 제1 렌즈는 700nm 이상의 파장대의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이며, 그 제2 렌즈는 600nm 이상의 파장대의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이다.
본 발명의 제15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에서, 그 하우징은 반투과성 하우징이며, 그 제1 렌즈와 그 제2 렌즈는 오목렌즈이다.
본 발명의 제16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에서, 그 하우징과 그 제1 렌즈와 그 제2 렌즈는 가시광선 파장대와 적외선 파장대는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이다.
본 발명의 제17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에서, 그 하우징과 그 제1 렌즈와 그 제2 렌즈는 700nm 이상의 파장대의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이다.
본 발명의 제18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에서, 그 제1 광감지수단과 그 제2 광감지수단은 빛을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광다이오드이다.
본 발명의 제19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는, 그 제1 광감지수단으로부터 전류신호를 받아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신호변환수단과, 그 제2 광감지수단으로부터 전류신호를 받아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신호변환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0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는, 기판과, 그 기판과 결합되고, 위쪽에 복수개의 창들을 가지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그 각각의 창들에 각각 설치된 오목렌즈들과, 그 각각의 렌즈들의 직하방향의 위치의 그 기판 위에 각각 설치된 광감지수단들과, 그 각각의 광감지수단들로부터 각각 신호를 받아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각각 출력하는 신호변환수단들을 포함하며, 그 하우징과 그 모든 렌즈들은 700nm 이상의 파장대의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며, 그 모든 광감지수단들은 빛을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광다이오드이다.
본 발명의 제2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전등 제어방법은, 차량용 다중 광센서로부터 입력되고 있는 조도신호가 소정의 제1 문턱값 이하이면 제1 전등을 점등하는 제1 단계와, 그 조도신호가 소정의 제2 문턱값 이하이거나 와이퍼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되고 있는 와이퍼 신호가 소정의 제1 기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제2 전등을 점등하는 제2 단계와, 그 조도신호가 그 제1 문턱값보다 큰 소정의 제3 문턱값 이상이면 제1 전등을 소등하는 제3 단계와, 그 조도신호가 그 제2 문턱값보다 큰 소정의 제4 문턱값 이상이고 그 와이퍼 신호가 소정의 제2 기간 이상 입력되지 않았으면 제2 전등을 소등하는 제4 단계와, 그 제1 단계부터 그 제4 단계까지 끊임없이 반복하기 위하여 그 제1 단계로 진행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내온도 제어방법은, 차량용 다중 광센서의 제1 광감지수단으로부터 2개의 일사량 신호를 입력받는 제1 단계와, 그 일사량 신호에 의거하여 좌측의 일사량이 우측의 일사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일사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좌측 에어콘을 우측 에어콘보다 더 세게 동작시키는 제2 단계와, 그 일사량 신호에 의거하여 우측의 일사량이 좌측의 일사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일사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그 우측 에어콘을 그 좌측 에어콘보다 더 세게 동작시키는 제3 단계와, 그 일사량 신호에 의거하여 좌측의 일사량과 우측의 일사량이 같다고 판단되면 그 좌측 에어콘과 그 우측 에어콘을 같은 세기로 동작시키는 제4 단계와, 그 제1 단계부터 그 제4 단계까지 끊임없이 반복하기 위하여 그 제1 단계로 진행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 제어방법은, 차량용 다중 광센서의 제1 광감지수단으로부터 2개의 일사량 신호를 입력받는 제1 단계와, 그 일사량 신호에 의거하여 좌측의 일사량이 우측의 일사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일사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좌측 에어콘을 우측 에어콘보다 더 세게 동작시키는 제2 단계와, 그 일사량 신호에 의거하여 우측의 일사량이 좌측의 일사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일사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그 우측 에어콘을 그 좌측 에어콘보다 더 세게 동작시키는 제3 단계와, 그 일사량 신호에 의거하여 좌측의 일사량과 우측의 일사량이 같다고 판단되면 그 좌측 에어콘과 그 우측 에어콘을 같은 세기로 동작시키는 제4 단계와, 그 차량용 다중 광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신호가 소정의 제1 문턱값 이하이면 제1 전등을 점등하는 제5 단계와, 그 차량용 다중 광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신호가 소정의 제2 문턱값 이하이거나 와이퍼 신호가 소정의 제1 기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제2 전등을 점등하는 제6 단계와, 그 차량용 다중 광센서로부터 입력된 그 조도신호가 그 제1 문턱값보다 큰 소정의 제3 문턱값 이상이면 제1 전등을 소등하는 제7 단계와, 그 차량용 다중 광센서로부터 입력된 그 조도신호가 그 제2 문턱값보다 큰 소정의 제4 문턱값 이상이고 그 와이퍼 신호가 소정의 제2 기간 이상 입력되지 않았으면 제2 전등을 소등하는 제8 단계와, 그 제1 단계부터 그 제8 단계까지 끊임없이 반복하기 위하여 그 제1 단계로 진행하는 제9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중 광센서의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중 광센서의 하우징(112)은 반투과성 재질로 되어 있는데, 기판(111)과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렌즈(113)는 오목렌즈로서 하우징(112)의 위쪽 구멍에 정교하게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하우징(112)과 렌즈(113)는 가시광선 영역과 적외선 영역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빛은 현저하게 약화시키는 재질로 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대략 700nm 이상의 파장대를 가진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의 빛은 거의 투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만든다. 즉, 렌즈(113)는 오목렌즈의 광필터인 셈이다. 제1 광감지 유니트(115)는 렌즈(113)의 직하방향의 기판(111) 위에 설치된다. 제2 광감지 유니트(116)는 제1 광감지 유니트(115)의 옆쪽으로 기판(111) 위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제1 광감지 유니트(115)로는 빛의 일사량을 감지하고, 제2 광감지 유니트(116)로는 빛의 조도를 감지한다. 제1 광감지 유니트(115)는 일반적으로 700nm 이상의 파장 대역의 빛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2개의 광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제2 광감지 유니트(116)는 일반적으로 700nm 이상의 파장 대역의 빛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하나의 광다이오드로 구성된다. 이 제2 광감지 유니트는(116)는 우천시에도 작동할 수 있도록 보조신호를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중 광센서의 집광 개념도이다. 도 5에서처럼 빛은 시간과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입사된다. 여기서, 입사되는 빛에 대하여는 산란광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태양으로부터 오는 가장 강한 주된 빛을 생각한다. 렌즈(113)는 오목렌즈이므로, 입사된 빛의 초점거리를 길게 늘린다. 렌즈(113)와 제1 광감지 유니트(115) 사이의 거리는 렌즈(113)를 통과하여 집광된 빛의 초점이 대략 제1 광감지 유니트(115) 위에 놓이도록 설정된다. 제2 광감지 유니트(116)는 하우징(112) 내부에서 산란되어 약해진 빛을 감지함으로써 조도를 측정한다.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중 광센서의 제1 광감지 유니트를통하여 빛의 입사방향을 검출하는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1 광감지 유니트(115)는 인접하는 제1 광다이오드(115a)와 제2 광다이오드(115b)로 구성된다. 제1 광다이오드(115a)와 제2 광다이오드(115b)는 일반적으로 700nm 이상의 파장 대역의 빛에 반응하여 동작한다. 그리하여, 제1 광감지 유니트(455)를 통하여 빛의 일사방향을 알 수 있는데, 도 6a와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사방향에 따라 초점이 제1 광다이오드(115a)에 맺히기도 하고 제2 광다이오드(115b)에 맺히기도 한다. 따라서, 일사방향에 따라 제1 광다이오드(115a)와 제2 광다이오드(115b)의 출력값이 서로 다를 것이다. 이것을 통하여 일사방향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중 광센서에 부가된 제1 신호변환기의 회로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의 제1 광다이오드(115a)와 제2 광다이오드(115b)와 제2 광감지 유니트(116)에 각각 하나씩의 신호변환기를 부가하여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의 하나로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제2 실시예는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 및 설계에 무척 편리하다. 여기서는, 제1 광다이오드(115a)에 연결되어 전류신호를 아날로그 전압신호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신호변환기를 설명한다. 커패시터(141)와 저항(142)과 OP-앰프(143)로 구성된 제1 전류-전압 변환회로(140)는 제1 광다이오드(115a)의 전류신호를 입력받아 전압신호로 출력한다. 이 전압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5)는 이 아날로그 전압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1 스위치(146)는 제1 전류-전압 변환회로(140)의 전압출력신호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스위치이다. 제2 광다이오드(115b)에 연결되어 전류신호를 아날로그 전압신호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신호변환기와, 제3 광다이오드(116)에 연결되어 전류신호를 아날로그 전압신호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3 신호변환기의 회로의 구성은 제1 신호변환기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다중 광센서의 구조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중 광센서의 하우징(122)은 반투과성 재질로 되어 있는데, 기판(121)과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제1 렌즈(123)와 제2 렌즈(124)는 오목렌즈로서 각각 하우징(122)의 위쪽 구멍에 정교하게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하우징(122)과 제1 렌즈(123)와 제2 렌즈(124)는 가시광선 영역과 적외선 영역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빛은 현저하게 약화시키는 재질로 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대략 700nm 이상의 파장대를 가진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의 빛은 거의 투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만든다. 즉, 제1 렌즈(123)와 제2 렌즈(124)는 오목렌즈의 광필터인 셈이다. 제1 광다이오드(125)는 제1 렌즈(123)의 직하방향의 기판(121) 위에 설치되고, 제2 광다이오드(126)는 제2 렌즈(124)의 직하방향의 기판(121) 위에 설치된다. 제1 광다이오드(125)는 빛의 일사량을 감지하고, 제2 광다이오드(126)는 빛의 조도를 감지한다. 제1 광다이오드(125)와 제2 광다이오드(126)는 일반적으로 700nm 이상의 파장 대역의 빛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광다이오드이다.
위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빛은 시간과 위치에 따라 다양한각도로 입사된다. 여기서, 입사되는 빛에 대하여는 산란광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태양으로부터 오는 가장 강한 주된 빛을 생각한다. 제1 렌즈(123)와 제2 렌즈(124)는 오목렌즈이므로, 입사된 빛의 초점거리를 길게 늘린다. 제1 렌즈(123)와 제1 광다이오드(125) 사이의 거리는 제1 렌즈(123)를 통과하여 집광된 빛의 초점이 대략 제1 광다이오드(125) 위에 놓이도록 설정되고, 제2 렌즈(124)와 제2 광다이오드(126) 사이의 거리는 제2 렌즈(124)를 통과하여 집광된 빛의 초점이 대략 제2 광다이오드(126) 위에 놓이도록 설정된다.
<제4 실시예>
위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의 제1 광다이오드(125)와 제2 광다이오드(126)에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신호변환기를 각각 하나씩 부가하여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의 하나로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4 실시예는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 및 설계에 무척 편리하다. 제1 신호변환기는 제1 광다이오드(125)에 연결되어 전류신호를 아날로그 전압신호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제2 신호변환기는 제2 광다이오드(126)에 연결되어 전류신호를 아날로그 전압신호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 회로의 구성은 제2 실시예와 중복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5 실시예>
제4 실시예를 변형하여, 용도에 따라 렌즈와 광다이오드를 각각 3개 이상도 만들 수 있다. 또한, 각 렌즈의 광투과 영역도 적외선 영역부터 가시광선 영역과자외선 영역까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광다이오드에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신호변환기를 각각 하나씩 부가하여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의 하나로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제6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다중 광센서의 구조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중 광센서의 하우징(132)은 불투명 재질로 되어 있는데, 기판(131)과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제1 렌즈(133)와 제2 렌즈(134)는 각각 하우징(132)의 위쪽 구멍에 정교하게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제1 광다이오드(135)는 제1 렌즈(133)의 직하방향의 기판(131) 위에 설치되고, 제2 광다이오드(136)는 제2 렌즈(134)의 직하방향의 기판(131) 위에 설치된다. 제1 렌즈(133)와 제1 광다이오드(135)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부분과, 제2 렌즈(134)와 제2 광다이오드(136)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서로 격리되도록 그 사이를 벽(137)으로 막는다. 벽(137)은 빛을 투과하지 않는 재질로 되어 있다.
제1 렌즈(133)는 오목렌즈로서, 가시광선 영역과 적외선 영역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빛은 현저하게 약화시키는 재질로 되어 있다. 제1 렌즈(133)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700nm 이상의 파장대를 가진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의 빛은 거의 투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만든다. 즉, 제1 렌즈(133)는 오목렌즈의 광필터인 셈이다. 또한, 제2 렌즈(134)는 볼록렌즈로서, 적외선 영역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빛은 현저하게 약화시키는 재질로 되어 있다. 제2 렌즈(134)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600nm이상의 파장대를 가진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의 빛은 거의 투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만든다. 즉, 제2 렌즈(134)는 볼록렌즈의 광필터인 셈이다. 그리고, 제1 광다이오드(135)는 빛의 일사량을 감지하고, 일반적으로 700nm 이상의 파장 대역의 빛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광다이오드이다. 제2 광다이오드(136)는 빛의 조도를 감지하고, 일반적으로 700nm 이상의 파장 대역의 빛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광다이오드이다. 벽(137)은 일사량을 감지하기 위한 부분과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부분이 서로 격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위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빛은 시간과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입사된다. 여기서, 입사되는 빛에 대하여는 산란광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태양으로부터 오는 가장 강한 주된 빛을 생각한다. 제1 렌즈(133)는 오목렌즈이므로, 입사된 빛의 초점거리를 길게 늘린다. 제1 렌즈(133)와 제1 광다이오드(135) 사이의 거리는 제1 렌즈(133)를 통과하여 집광된 빛의 초점이 대략 제1 광다이오드(135) 위에 놓이도록 설정된다. 또한, 제2 렌즈(134)는 볼록렌즈이므로, 입사된 빛을 집광한다. 제2 렌즈(134)와 제2 광다이오드(136) 사이의 거리는 제2 렌즈(134)를 통과하여 집광된 빛의 초점이 대략 제2 광다이오드(136) 위에 놓이도록 설정된다.
<제7 실시예>
위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는 제6 실시예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의 제1 광다이오드(135)와 제2 광다이오드(136)에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신호변환기를 각각 하나씩 부가하여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전압신호와디지털 신호 중의 하나로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7 실시예는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 및 설계에 무척 편리하다. 제1 신호변환기는 제1 광다이오드(135)에 연결되어 전류신호를 아날로그 전압신호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제2 신호변환기는 제2 광다이오드(136)에 연결되어 전류신호를 아날로그 전압신호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 회로의 구성은 제2 실시예와 중복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8 실시예>
제6 실시예를 변형하여, 용도에 따라 렌즈와 광다이오드를 각각 3개 이상도 만들 수 있다. 또한, 각 렌즈의 광투과 영역도 적외선 영역부터 가시광선 영역과 자외선 영역까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 각각의 렌즈-광다이오드 쌍의 영역을 격리시키기 위하여 렌즈-광다이오드 쌍의 영역들 사이에 벽들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광다이오드에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신호변환기를 각각 하나씩 부가하여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의 하나로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제9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차량전등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9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의 조도에 따라 헤드램프와 미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S11에서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로부터는 조도신호를 입력받고, 와이퍼 제어장치로부터는 와이퍼 신호를 입력받는다. S12에서는 조도신호가 0.37V 이하인지 판단한다. S12에서조도신호가 0.37V 이하라고 판단되면, S13에서는 헤드램프를 점등하고 S14로 진행한다. 그러나, S12에서 조도신호가 0.37V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S14에서는 조도신호가 0.68V 이하인지 그리고 와이퍼 신호가 2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S14에서 조도신호가 0.68V 이하이거나 와이퍼 신호가 2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S15에서는 미등을 점등하고 S11로 진행한다. 그러나, S14에서 조도신호가 0.68V 이하도 아니고 와이퍼 신호가 2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지도 않았다고 판단되면, S16에서는 조도신호가 0.52V 이상인지 판단한다. S16에서 조도신호가 0.52V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S17에서는 헤드램프를 소등하고 S18로 진행한다. 그러나, S16에서 조도신호가 0.52V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S11로 진행한다. S18에서는 조도신호가 1.19V 이상인지 그리고 와이퍼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지 2분 이상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S18에서 조도신호가 1.19V 이상이고 와이퍼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지 2분 이상 되었다고 판단되면, S19에서는 미등을 소등하고 S11로 진행한다. 그러나, S18에서 조도신호가 1.19V 이상이 아니거나 와이퍼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지 2분 이상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11로 진행한다.
<제10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차량전등 차내온도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10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를 사용하여 외부의 일사량에 따라 차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제10 실시예는 에어콘 세트가 동작중일 때에 에어콘 세트를 제어하는 것이다. 에어콘 세트가 꺼져 있을 때에는 의미가 없다. 또한, 이러한 차량에 사용되는 에어콘은 좌측과 우측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듀얼 에어콘이다. S21에서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의 제1 광감지 유니트로부터 L-일사량 신호와 R-일사량 신호를 입력받는다. L-일사량 신호는 제1 광다이오드로부터 입력된 좌측의 일사량을 나타내는 신호이고, R-일사량 신호는 제2 광다이오드로부터 입력된 우측의 일사량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S22에서는 L-일사량 신호가 R-일사량 신호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L-일사량 신호가 R-일사량 신호보다 크다는 것은 좌측의 일사량이 우측의 일사량보다 크다는 것을 뜻한다. S22에서 좌측의 일사량이 우측의 일사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S23에서는 일사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좌측 에어콘을 우측 에어콘보다 더 세게 동작시키고 S21로 진행한다. 그러나, S22에서 좌측의 일사량이 우측의 일사량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S24에서는 R-일사량 신호가 L-일사량 신호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S24에서 우측의 일사량이 좌측의 일사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S25에서는 일사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우측 에어콘을 좌측 에어콘보다 더 세게 동작시키고 S21로 진행한다. 그러나, S24에서 우측의 일사량이 좌측의 일사량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이는 좌측의 일사량과 우측의 일사량이 같은 것이므로, S26에서는 좌측 에어콘과 우측 에어콘을 같은 세기로 동작시키고 S21로 진행한다.
<제11 실시예>
도 12a와 12b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의 차량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11 실시예는 제9 실시예와 제10 실시예를 합하여 동시에 에어콘 세트와 헤드램프 및 미등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이다. 즉, 제11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를 사용하여 외부의 일사량에 따라 차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동시에 외부의 조도에 따라 헤드램프와 미등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제11 실시예는 동작중인 에어콘 세트를 제어하는 것이므로, 제10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에어콘 세트가 꺼져 있을 때에는 의미가 없다. 또한, 이러한 차량에 사용되는 에어콘은 좌측과 우측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듀얼 에어콘이다.
S31에서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의 제1 광감지 유니트로부터 L-일사량 신호와 R-일사량 신호를 입력받는다. L-일사량 신호는 제1 광다이오드로부터 입력된 좌측의 일사량을 나타내는 신호이고, R-일사량 신호는 제2 광다이오드로부터 입력된 우측의 일사량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S32에서는 L-일사량 신호가 R-일사량 신호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L-일사량 신호가 R-일사량 신호보다 크다는 것은 좌측의 일사량이 우측의 일사량보다 크다는 것을 뜻한다. S32에서 좌측의 일사량이 우측의 일사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S33에서는 일사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좌측 에어콘을 우측 에어콘보다 더 세게 동작시키고 S37로 진행한다. 그러나, S32에서 좌측의 일사량이 우측의 일사량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S34에서는 R-일사량 신호가 L-일사량 신호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S34에서 우측의 일사량이 좌측의 일사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S35에서는 일사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우측 에어콘을 좌측 에어콘보다 더 세게 동작시키고 S37로 진행한다. 그러나, S34에서 우측의 일사량이 좌측의 일사량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이는 좌측의 일사량과 우측의 일사량이 같은 것이므로, S36에서는 좌측 에어콘과 우측 에어콘을 같은 세기로 동작시킨다. S37에서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로부터는 조도신호를 입력받고, 와이퍼 제어장치로부터는 와이퍼 신호를 입력받는다. S38에서는 조도신호가 0.37V 이하인지 판단한다. S38에서 조도신호가 0.37V 이하라고 판단되면, S39에서는 헤드램프를 점등하고 S40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S38에서 조도신호가 0.37V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S40에서는 조도신호가 0.68V 이하인지 그리고 와이퍼 신호가 2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S40에서 조도신호가 0.68V 이하이거나 와이퍼 신호가 2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S41에서는 미등을 점등하고 S31로 진행한다. 그러나, S40에서 조도신호가 0.68V 이하도 아니고 와이퍼 신호가 2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지도 않았다고 판단되면, S42에서는 조도신호가 0.52V 이상인지 판단한다. S42에서 조도신호가 0.52V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S43에서는 헤드램프를 소등하고 S44로 진행한다. 그러나, S42에서 조도신호가 0.52V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S31로 진행한다. S44에서는 조도신호가 1.19V 이상인지 그리고 와이퍼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지 2분 이상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S44에서 조도신호가 1.19V 이상이고 와이퍼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지 2분 이상 되었다고 판단되면, S45에서는 미등을 소등하고 S31로 진행한다. 그러나, S44에서 조도신호가 1.19V 이상이 아니거나 와이퍼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지 2분 이상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31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센서의 기능이 하나의 패키지 속에 내장되어 있어 차량의 조립 및 사용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의 출력신호를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차량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신호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어 설계 및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센서의 출력신호를 전압신호 및 디지털 신호로도 출력할 수 있어 신호의 약화나 노이즈가 포함되는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저전력의 소형 소자를 사용하여 면적이 작다. 또한, 이러한 센서를 통하여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헤드램프와 미등을 점등 및 소등할 수 있고, 일사량에 따라 에어콘의 세기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Claims (23)

  1. 기판과,
    상기 기판과 결합되고, 위쪽에 창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창에 설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의 직하방향의 위치의 상기 기판 위에 설치되어 빛의 입사방향을 감별하는 제1 광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반투과성 하우징이며,
    상기 렌즈는 오목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렌즈는 가시광선 파장대와 적외선 파장대는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렌즈는 700nm 이상의 파장대의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감지수단은,
    제1 광감지기와,
    상기 제1 광감지기의 바로 옆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광감지기로 구성되며;
    빛의 입사방향에 따라 상기 제1 광감지기와 상기 제2 광감지기는 크기가 서로 같거나 다른 전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감지기와 상기 제2 광감지기는 빛을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감지기로부터 전류신호를 받아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신호변환수단과,
    상기 제2 광감지기로부터 전류신호를 받아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신호변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감지수단의 옆쪽으로 상기 기판 위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2 광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감지수단은 빛을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감지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3 신호변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11. 기판과,
    상기 기판과 결합되고, 위쪽에 제1 창과 제2 창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창에 설치된 제1 렌즈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창에 설치된 제2 렌즈와,
    상기 제1 렌즈의 직하방향의 위치의 상기 기판 위에 설치된 제1 광감지수단과,
    상기 제2 렌즈의 직하방향의 위치의 상기 기판 위에 설치된 제2 광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기판 사이의 내부를 수직으로 나누어 서로 격리시키는 비투과성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비투과성 하우징이며,
    상기 제1 렌즈는 오목렌즈이며,
    상기 제2 렌즈는 볼록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적외선 파장대는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이며,
    상기 제2 렌즈는 가시광선 파장대와 적외선 파장대는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700nm 이상의 파장대의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이며,
    상기 제2 렌즈는 600nm 이상의 파장대의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반투과성 하우징이며,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는 오목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는 가시광선 파장대와 적외선 파장대는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는 700nm 이상의 파장대의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는 광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감지수단과 상기 제2 광감지수단은 빛을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감지수단으로부터 전류신호를 받아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신호변환수단과,
    상기 제2 광감지수단으로부터 전류신호를 받아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신호변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20. 기판과,
    상기 기판과 결합되고, 위쪽에 복수개의 창들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각각의 창들에 각각 설치된 오목렌즈들과,
    상기 각각의 렌즈들의 직하방향의 위치의 상기 기판 위에 각각 설치된 광감지수단들과,
    상기 각각의 광감지수단들로부터 각각 신호를 받아 전압신호와 디지털 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변환하여 각각 출력하는 신호변환수단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모든 렌즈들은 700nm 이상의 파장대의 빛은 투과시키고 그 외의 파장대는 차단하거나 심하게 감쇠시키며,
    상기 모든 광감지수단들은 빛을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중 광센서.
  21. 제1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로부터 입력되고 있는 조도신호가 소정의 제1 문턱값 이하이면, 제1 전등을 점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조도신호가 소정의 제2 문턱값 이하이거나 와이퍼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되고 있는 와이퍼 신호가 소정의 제1 기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제2 전등을 점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조도신호가 상기 제1 문턱값보다 큰 소정의 제3 문턱값 이상이면, 제1 전등을 소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조도신호가 상기 제2 문턱값보다 큰 소정의 제4 문턱값 이상이고 상기 와이퍼 신호가 소정의 제2 기간 이상 입력되지 않았으면, 제2 전등을 소등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1 단계부터 상기 제4 단계까지 끊임없이 반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계로 진행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전등 제어방법.
  22.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의 제1 광감지수단으로부터 2개의 일사량 신호를 입력받는 제1 단계와,
    상기 일사량 신호에 의거하여 좌측의 일사량이 우측의 일사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일사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좌측 에어콘을 우측 에어콘보다 더 세게 동작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일사량 신호에 의거하여 우측의 일사량이 좌측의 일사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일사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우측 에어콘을 상기 좌측 에어콘보다 더 세게 동작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일사량 신호에 의거하여 좌측의 일사량과 우측의 일사량이 같다고 판단되면, 상기 좌측 에어콘과 상기 우측 에어콘을 같은 세기로 동작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제1 단계부터 상기 제4 단계까지 끊임없이 반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계로 진행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내온도 제어방법.
  23.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용 다중 광센서의 제1 광감지수단으로부터 2개의 일사량 신호를 입력받는 제1 단계와,
    상기 일사량 신호에 의거하여 좌측의 일사량이 우측의 일사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일사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좌측 에어콘을 우측 에어콘보다 더 세게 동작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일사량 신호에 의거하여 우측의 일사량이 좌측의 일사량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일사량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우측 에어콘을 상기 좌측 에어콘보다 더 세게 동작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일사량 신호에 의거하여 좌측의 일사량과 우측의 일사량이 같다고 판단되면, 상기 좌측 에어콘과 상기 우측 에어콘을 같은 세기로 동작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차량용 다중 광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신호가 소정의 제1 문턱값 이하이면, 제1 전등을 점등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차량용 다중 광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신호가 소정의 제2 문턱값 이하이거나 와이퍼 신호가 소정의 제1 기간 이상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제2 전등을 점등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차량용 다중 광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조도신호가 상기 제1 문턱값보다 큰 소정의 제3 문턱값 이상이면, 제1 전등을 소등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차량용 다중 광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조도신호가 상기 제2 문턱값보다 큰 소정의 제4 문턱값 이상이고 상기 와이퍼 신호가 소정의 제2 기간 이상 입력되지 않았으면, 제2 전등을 소등하는 제8 단계와,
    상기 제1 단계부터 상기 제8 단계까지 끊임없이 반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계로 진행하는 제9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방법.
KR1020010016451A 2001-03-29 2001-03-29 차량용 다중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KR20020076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451A KR20020076534A (ko) 2001-03-29 2001-03-29 차량용 다중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451A KR20020076534A (ko) 2001-03-29 2001-03-29 차량용 다중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170U Division KR200244316Y1 (ko) 2001-05-15 2001-05-15 차량용 다중 광센서
KR2020010014171U Division KR200244317Y1 (ko) 2001-05-15 2001-05-15 차량용 다중 광센서
KR2020010014169U Division KR200244315Y1 (ko) 2001-05-15 2001-05-15 차량용 다중 광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534A true KR20020076534A (ko) 2002-10-11

Family

ID=2769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451A KR20020076534A (ko) 2001-03-29 2001-03-29 차량용 다중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65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72B1 (ko) * 2002-07-09 2004-11-18 주식회사 오토전자 차량용 광센서
KR100905769B1 (ko) * 2007-08-08 2009-07-02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차량용 광센서
KR101445662B1 (ko) * 2013-08-12 2014-10-01 주식회사 세원공조 냉동 탑차의 살균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72B1 (ko) * 2002-07-09 2004-11-18 주식회사 오토전자 차량용 광센서
KR100905769B1 (ko) * 2007-08-08 2009-07-02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차량용 광센서
KR101445662B1 (ko) * 2013-08-12 2014-10-01 주식회사 세원공조 냉동 탑차의 살균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5178A (en) Light sensor with diffuser and eye-like response
US6379013B1 (en) Vehicle equipment control with semiconductor light sensors
US6396040B1 (en) Ambient light sensor
JP4987697B2 (ja) グレアセンサを備えた減光可能なリアビュー組立体
CA2284496C (en) Control system to automatically dim vehicle head lamps
JPH07168144A (ja) 眩惑防止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3254897A (ja) 雨滴及び光検出装置、及び、オートワイパー装置
KR100543049B1 (ko) 조명 기구 조정 장치
KR100587479B1 (ko) 차량용 광센서
JP2006073535A (ja) 赤外線投光器および赤外線放射器ならびに夜間視認システム
JP3783451B2 (ja) 光センサ
KR100457972B1 (ko) 차량용 광센서
KR20020076534A (ko) 차량용 다중 광센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KR200244317Y1 (ko) 차량용 다중 광센서
KR200244315Y1 (ko) 차량용 다중 광센서
JPH05281032A (ja) 光学的検出装置
JP2001264161A (ja) 光センサの構造
KR200244316Y1 (ko) 차량용 다중 광센서
US20050248954A1 (en) Headlight for vehicles
KR100725909B1 (ko) 악천후 시 헤드램프 색 변경 및 밝기 조절장치
JP2004532766A (ja) 照明装置を自動的に切り換えるためのセンサユニット並びにセンサユニット用の結合媒体
KR101526761B1 (ko) 오토라이트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JPS6047737A (ja) 自動点灯制御装置
JP6102574B2 (ja) 光センサ
JPH0640286A (ja) 自動点消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