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341A - 타이어의 특성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특성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6341A
KR20020076341A KR1020027011327A KR20027011327A KR20020076341A KR 20020076341 A KR20020076341 A KR 20020076341A KR 1020027011327 A KR1020027011327 A KR 1020027011327A KR 20027011327 A KR20027011327 A KR 20027011327A KR 20020076341 A KR20020076341 A KR 20020076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information
vehicle
measured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헤르트요스트
헤스메르트울리히
폴친노르베르트
자우터토마스
반델헬무트
헤스베르너
리스-뮐러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claimed from PCT/DE2001/004857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53429A1/de
Publication of KR20020076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34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2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B60T8/1725Using tyre sensors, e.g. Sidewall Torsion sensors [SW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40/00Monitoring, detecting wheel/tire behaviour;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40/03Tir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36)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12)의 특성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12)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장치가 타이어에 장착되며, 정보의 측정을 위한 센서(20, 22)가 장착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특성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의 특성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PROPERTIES OF A TIRE}
차량의 타이어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차량에 부적합한 타이어가 장착된 경우 불안정한 주행 상태가 야기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응하는 전자 평가 장치를 통해 이 정보를 평가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런 과정은 모두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 상태 제어를 위한 주행 상태 제어 시스템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로킹 방지 제동 시스템(ABS/Anti-Lock Brake System), 가속시 미끄러짐 방지장치(ASR/Acceleration Slip Regulation) 및 전자 차체 안정화 프로그램(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이 알려져 있다. 또한 차량의 휠 각각의 휠 속도를 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이 측정된 휠 속도를 차량의 주행 상태 제어 및/또는 조절시 참작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종래 방식의 방법 및 시스템을 통해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종류의 방법 및 시스템을 더욱 개선하는 것이 교통 안전의 측면에서 요구되고 있다.
상술된 센서와 관련해 다수의 타이어 제작사들이 차세대 타이어로서 소위 지능형 타이어를 투입할 것이라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이런 타이어의 경우 새로운 센서 및 평가 장치가 직접 타이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타이어의 투입은 예를 들어 주행 방향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타이어에 발생하는 토크의 측정, 타이어 압력의 측정 또는 타이어 온도의 측정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을 허용한다. 이런 맥락에서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진행되며, 측정값 송신기로서 작용하는 전계선(electric field line)을 갖는 자성화된 면 또는 밴드를 각 타이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측정값 송신기는 휠 속도로 회전한다. 이에 상응하게 변환기는 차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타이어의 다양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내측 측정 신호와 외측 측정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의 회전은 원주 방향에서의 측정 신호 또는 측정 신호들의 변화하는 극성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내측 측정 신호 및 외측 측정 신호의 크기 및 시간적 변화를 근거로 예를 들어 휠 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특성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특성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음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한 블록 선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3은 타이어 측벽 센서로서 사용되는 제1 구조의 자기 구간을 갖는 타이어이다.
도4는 도3에 따른 타이어의 출력 신호에 대한 신호의 진행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2 구조의 자기 구간을 갖는 타이어이다.
도6은 도5에 따른 타이어의 출력 신호에 대한 신호의 진행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사용되는 제3 구조의 자기 구간을 갖는 타이어이다.
도8은 도7에 따른 타이어의 출력 신호에 대한 신호의 진행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10은 타이어 수명 측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기본적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타이어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장치가 타이어에 장착되고 정보의 측정을 위한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통해, 동일한 종류(generic)의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런 방식을 통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차량 주행 양상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타이어에서 저장된 정보에 따라서 타이어 주행 양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차량의 주행 양상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 정보는 제어 변수와 함께 또는 주행 상태 제어를 위한 제어 변수 자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정보 저장을 위한 장치가 타이어에 장착된 타이어 센서의 측정값 송신기의 변형을 통해 실현되며, 타이어 센서의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의 평가를 위해 주행 상태 제어 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통해, 이 실시예는 더욱 개선되었다. 종래 기술과 관련해 이미 설명된 바 있는 타이어 센서에는 자기 밴드가 장착되어 있다. 이 자기 밴드의 특징은 예를 들어 자기 구간의 코드화를 통해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센서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측면(flank)이 결여되도록 코드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자기 구간이 분할되어 있어 추가적인 측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 추가적 정보를 근거로 변경된 제어기 상태는 주행 상태 제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정보가 타이어의 슬립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을 통해 슬립 제어 시스템의 제어기 성능이 개선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조절 감도가 다양한 타이어 유형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정보가 타이어에 허용되는 최대 차량 종방향 속도를 나타내는 것이특히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을 통해 주행 안전성이 개선되는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겨울용 타이어의 경우 제어 장치 또는 조절 장치에 의해 겨울용 타이어에 대한 허용 최고 속도의 초과가 방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정보가 제조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의 제조 데이터도 주행 안전과 관련해 중요한 요소일 수 있으므로 주행 상태 제어시 바람직한 방식으로 참작될 수 있다.
이외에도 타이어가 해당 차량에 대해 허용되는지가 이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사항은 특히 타이어 크기와 관련해 적용되므로 허용되지 않는 타이어가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마모 상태가 이 정보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어의 마모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 정보는 바람직한 방식에 따라 평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경우 이 정보에 따라서 속도 제한 장치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런 속도 제한과 관련해,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서 해당 타이어에 허용되는 차량의 최대 속도가 결정된다는 것은 이미 언급된 바 있다. 하지만 속도 제한 장치는 예를 들어 제조 데이터 및 타이어의 마모 상태에 따라서도 바람직한 방식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이 정보에 따라서 도난 방지 장치가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이런 도난 방지 장치는, 타이어에서 저장된 정보를 통해 해당 차량에는 이 타이어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특히 유용하다.
또한 이 정보에 따라서 운전자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운전자는 이 정보를 통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타이어의 제조 데이터에 따라서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타이어와 견고하게 결합된 전자 메모리 요소가 정보의 저장을 위해 장착된다. 이런 메모리 요소는 예를 들어 전기적 소거형 프로그램 가능형의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로서 실현될 수 있다. 이 메모리 요소는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를 거쳐 타이어 제어 기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다. 이것은 다시 전송 인터페이스(transmission interface)를 통해 엔진 제어 시스템(예를 들어 CAN을 통해)과 통신할 수 있다. 이 엔진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엔진, 변속기 및/또는 제동 장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타이어의 메모리 요소에 저장된 타이어 고유의 정보가, 예를 들어 타이어 센서에 의해 측정된 다른 정보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점이 특히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타이어에서 임의의 방식으로 저장된 타이어 고유의 정보를 휠 베어링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와 함께 조합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휠 베어링 센서는, 예를 들어 휠 베어링의 회전하는 부품 내에 마이크로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실현된다. 하중과 가속도 및 회전수는 휠 베어링의 회전 부품에 장착된 이 마이크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이 데이터는 전자적으로 저장된 기본 패턴(basic pattern)과 비교된다. 또한 휠 베어링의 정적 부품에 마이크로 센서를 추가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휠 베어링의 회전 부품에 장착된 마이크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는 휠 베어링의 정적 부품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비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장점은 다음과 같다. 이 정보를 근거로 타이어의 적용 가능한 수명 모델이 결정되며, 타이어의 사용 기간 내에 타이어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값이 측정되며, 이 값이 수명 모델을 위한 입력값으로 사용되며, 타이어가 자신의 수명을 초과했는지가 수명 모델을 통해 결정된다. 따라서 주행 성능, 타이어의 부하 및 타이어의 특성에 따라서 타이어 교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동 간섭을 나타내는 변수가 발생될 수 있는데, 타이어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 이런 변수를 통해 참작된다. 마찬가지로 수명 모델에서 수명 측정시 타이어 온도도 참작될 수 있다.
유사한 종류의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장점은, 타이어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타이어에 저장되며, 이 정보는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이런 방식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장점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실현된다. 또한 다음에 기술되는 이 방법의 실시예에서도 각 시스템에 상응하는 장점 및 특이점이 설명된다.
이런 맥락에서 본 발명의 장점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차량의 주행 상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차량의 주행 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정보의 저장은 타이어에 배치된 타이어 센서의 변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 정보의 평가는 타이어 센서의 정보를 처리하는 주행 상태 제어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이 정보는 타이어의 슬립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정보가 타이어에 대해 허용되는 최대 차량 종방향 속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이 정보는 타이어의 제조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이어가 해당 차량에 대해 허용되는지가 이 정보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 정보에 따라서 타이어 마모 상태가 측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 정보에 따라서 속도 제한 장치가 활성화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 정보에 따라서 도난 방지 장치가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정보에 따라서 운전자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타이어에 견고하게 결합된 전기적 메모리 요소에 정보가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장점은, 이 정보를 근거로 타이어의 적용 가능한 수명 모델이 결정되며, 타이어의 사용 기간 내에 타이어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값이 측정되며, 이 값이 수명 모델을 위한 입력값으로 사용되며, 타이어가 자신의 수명을 초과했는지가 수명 모델을 통해 결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절 시스템 또는 제어 시스템에서 타이어 고유의 정보를 참작함으로써 주행 안전성을 현저히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인식을 근거로 한다. 특히 바람직한 장점은 타이어 고유의 정보가 예를 들어 휠 하중 또는 휠 속도를 나타내는 다른 정보와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블록 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센서장치(10)는 타이어(12) 내에 배치되며, 타이어(12)는 차량의 복수의 타이어를 나타낸다. 센서 장치(10)는 측정값의 평가를 위한 장치(14)와 연결되어 있다. 장치(14)는 조절 장치(16)와 연결되어 있으며, 평가 장치는 타이어(12)에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타이어(12)에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 장치는 타이어마다 상이하다. 센서 장치(10)의 센서는 타이어(12)의 타이어 고유의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값은 데이터의 평가를 위해 장치(14)에 계속 전달된다. 이 장치(14)에서는 예를 들어 센서 장치(14)의 정보를 근거로 타이어(12)의 슬립 상태가 측정된다. 이 변수, 즉 예를 들어 슬립 상태는 제어 장치(16)로 계속 전달되며, 여기에서 이 변수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과 함께 참작된다. 이 제어 장치(16)는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타이어(12)의 토크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영향은 예를 들어 엔진 간섭 및/또는 제동 간섭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각 단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S01: 정보의 측정.
S02: 슬립 상태의 측정.
S03: 주행 상태 제어에 슬립 상태를 참작하는 단계.
단계(S01)에서는 정보가 측정된다. 이 정보에는 타이어 고유의 정보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휠 하중과 관련된 정보 또는 예를 들어 휠 속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 단계(S01)에서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단계(S02)에서는 타이어의 슬립 상태가 측정된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이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예를 들어 최대 속도, 제조 데이터, 타이어 크기에 대한 정보 및/또는 타이어 마모에 대한 정보가 측정된다.
단계(S03)에서는 주행 상태 제어를 상응하게 변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슬립 상태가 참작된다. 단계(S02)에서 최대 속도가 측정되는 경우 예를 들어 단계(S03)에서는 최대 속도가 조절되도록, 즉 최대 속도 초과시 예를 들어 제동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주행 상태 제어 양상이 변형될 수 있다.
도3 내지 도8에서는 타이어 측벽에서의 자기 밴드의 다양한 형태 및 각각의 센서 출력 신호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3을 통해 타이어 센서 또는 타이어 측벽 센서의 기본적 작동 방식이 설명된다. 타이어(12)에는 바람직하게는 타이어(12)의 원주 방향으로 진행되는 전계선을 갖는 자성화된 면 구조물(밴드)(24, 26, 28, 30)이 포함되어 있다. 자성화는 구간별로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되지만 그 방향은 반대이다. 즉 극이 교차되는 형태로 자성화가 이루어진다. 자성화 밴드(24, 26, 28, 30)는 림(rim) 돌출부 및 타이어 접촉면 근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측정값 송신기로서 작용하는 밴드(24, 26, 28, 30)는 휠 속도로 회전한다. 측정값 수신기로서 작용하는 센서(20, 22)는 차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회전 방향이 서로 다른 두 개 또는 복수의 점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변환기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다른 방사상의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20)는 내측 신호(Si)를 수용하고 센서(22)는 외측 신호(Sa)를 수용한다.
도4에는, 내측 신호(Si) 및 외측 신호(Sa)에 대한 신호 진행이 도시되어 있다. 타이어(12)의 회전은,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에서의 측정 신호(Si, Sa)의 극성 변화를 통해 감지된다. 신호(Sa, Si)의 크기 및 시간적 변화를 통해 예를 들어 휠 속도가 계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신호(Sa, Si)의 진폭 변화 및 위상 변화를 근거로, 예를 들어 타이어의 비틀림에 영향을 미치는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또는 노면(34) 상에서의 타이어(12)의 접촉력과 같은, 휠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타이어(12)의 측벽 내에서 자기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타이어 고유의 정보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자기 패턴의 코드화에 대한 보기는 도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구간 내에서 신호(Sa)에 두 개의 측면이 결여되도록 코드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기 패턴이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복수의 자기 구간, 예를 들어 타이어 둘레에 분포된 48 개의 자기 구간으로 인해 복수의 코드화가 가능하다.
도6에는 변형된 신호(Sa)가 도시되어 있는데, 다른 신호(Si)는 도4에 도시된 신호(Si)와 동일하다.
자기 패턴의 다른 코드화 방법은 도7 및 도8에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하나 또는 복수의 자기 밴드를 분할함으로써 실현되는데, 밴드(26)는 다른 분할된 밴드에 비해 넓은 면을 차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가 발생된다.
하나의 처리 장치 내에서 이런 서로 상이한 신호 진행 양상은 변화된 제어기 상태로 인식된다. 이에 대해 두 가지 보기를 통해 설명된다.
신호(Sa, Si)에 모든 측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장착된 타이어가 여름용 타이어라고 인식된다. 이것을 근거로 비교적 약한 슬립 상태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문턱값은 낮게 세팅된다.
도6 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Sa및/또는 Si)에 편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계절용 타이어가 장착된 것으로 인식된다. 이것을 근거로 강한 슬립 상태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문턱값은 더 높게 세팅된다.
최적의 제어기 성능이 보장되도록, 즉 ASR 및 ESP의 경우 우수한 견인력 및 우수한 안정성이 보장되고 ABS의 경우 짧은 제동 거리가 보장되도록, 전술된 방식을 통해 제어 문턱값이 슬립 제어 알고리즘(구동 슬립 및 제동 슬립)에서 적용된다.
도9에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개관이 도시되어 있다. 타이어(12)가 장착된 차량(36)에는 타이어 제어기(38)가 포함되어 있다. 이 타이어 제어기는 인터페이스(예: CAN)를 통해 엔진 제어 시스템[예: ME7 또는 카트로닉(Cartronic)](40)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차량(36)의 엔진, 변속기 및 제동 장치를 나타내는 장치(42)와 엔진 제어 시스템(40) 사이에도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타이어(12)의 내부 또는 측면에는 타이어 고유의 정보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요소가 장착될 수 있다(예: EEPROM). 이 장치와 타이어 제어기(38) 사이에는 다른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타이어 고유의 코드화된 정보를 근거로 예를 들어 타이어 교체 시점이 인식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타이어(12)의 주행 성능이 저장된다. 타이어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예를 들어 주행 성능 및 타이어 하중과 같은 변수 및 타이어 고유의 데이터의 참작하에 요구되는 타이어 교체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도10에는 타이어 수명의 도달 시점이 측정되는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위한 시스템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이 운전되는 경우 스위치(44)는 변환 장치(46)를 통해 위치(0)에서 위치(1)로 변환된다. 이 경우 적분기(integrator)(48)로 측정값이 제공된다. 적분 결과는 타이어의 주행 시간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위치(50)에는 오프셋 값이 제공된다. 이 오프셋 값(offset value)은, 예를 들어 제동 간섭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타이어의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작이 발생되는 경우 제공된다. 또한 위치(52)에서는 예를 들어 타이어 온도에 따라서 비중화가 이루어진다. 적분기(48)의 출력값은 비교 장치(54)로 전달되는데, 이 비교 장치에서 출력값은 문턱값(56)과 비교된다. 비교 과정의 결과(58)를 통해 타이어 교체가 필요한지 또는 필요하지 않은지가 결정된다.
주행 성능 및 부하가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즉 주행된 거리, 가속도, 타이어 슬립 또는 타이어의 스키드(skid), 제동 간섭 등에 따라서 수명 모델을 통해 결정될 수 있도록, 도10에 따른 시스템이 작동한다. 위치(50)에 제공되는 오프셋 값 또는 위치(52)에서 이루어지는 비중화는 사용을 통해 각 타이어 유형에 적용되어야 하며, 제어기 내에서 영구적으로 저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기술은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범위 및 발명의 동등성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8)

  1. 차량(36)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12)의 특성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타이어(12)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장치가 타이어에 장착되고, 정보의 측정을 위한 센서(20, 2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20, 22)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차량(36)의 주행 상태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서(20, 22)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차량(36)의 주행 상태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의 저장을 위한 수단이 타이어(12)에 배치된 타이어 센서의 측정값 송신기(24, 26, 28, 30)의 변형을 통해 실현되고, 타이어 센서(20, 22)의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평가를 위한 주행 상태 제어 장치(16)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타이어(12)의 슬립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타이어(12)에 대해 허용되는 최대 차량 속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타이어(12)의 제조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어(12)가 해당 차량에 대해 허용되는지가 상기 정보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어의 마모 상태가 상기 정보에 따라서 측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속도 제한 장치가 상기 정보에 따라서 활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난 방지 장치가 상기 정보에 따라서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전자 정보가 상기 정보에 따라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어(12)와 결합된 전자 메모리 요소가 정보의 저장을 위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근거로 타이어(12)의 사용 가능한 수명 모델이 결정되고, 타이어(12)의 사용 기간 중에 타이어(12)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값이 측정되고, 상기 값이 수명 모델을 위한 입력값으로서 사용되고, 타이어가 자신의 수명을 초과했는지가 상기 수명 모델을 통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차량(36)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12)의 특성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타이어(12)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가 타이어에 저장되고, 상기 정보는 센서(20, 22)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센서(20, 22)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차량(36)의 주행 상태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센서(20, 22)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차량(36)의 주행 상태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장치가 타이어(12)에 배치된 타이어 센서의 측정값 송신기(24, 26, 28, 30)의 변형을 통해 실현되고, 정보의 평가는 타이어 센서(20, 22)의 정보를 처리하는 주행 상태 제어 장치(16)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타이어(12)의 슬립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타이어(12)에 대해 허용되는 최대 차량 속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타이어(12)의 제조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어(12)가 해당 차량에 대해 허용되는지가 상기 정보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어의 마모 상태가 상기 정보에 따라서 측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속도 제한 장치가 상기 정보에 따라서 활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난 방지 장치가 상기 정보에 따라서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5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전자 정보가 상기 정보에 따라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의 저장은 타이어(12)와 결합된 전자 메모리 요소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1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근거로 타이어(12)의 사용 가능한 수명 모델이 결정되고, 타이어(12)의 사용 기간 중에 타이어(12)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값이 측정되고, 상기 값이 수명 모델을 위한 입력값으로서 사용되고, 타이어가 자신의 수명을 초과했는지가 상기 수명 모델을 통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7011327A 2000-12-30 2001-12-21 타이어의 특성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63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65767.2 2000-12-30
DE10065767 2000-12-30
DE10128284A DE10128284B4 (de) 2000-12-30 2001-06-12 System und Verfahren zum Überwachen von Eigenschaften eines Reifens
DE10128284.2 2001-06-12
PCT/DE2001/004857 WO2002053429A1 (de) 2000-12-30 2001-12-21 System und verfahren zum überwachen von eigenschaften eines reif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341A true KR20020076341A (ko) 2002-10-09

Family

ID=766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327A KR20020076341A (ko) 2000-12-30 2001-12-21 타이어의 특성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076341A (ko)
DE (1) DE1012828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9384A1 (de) * 2002-08-28 2004-03-11 Volkswagen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Reifenkontrolle sowie Reifenkonstruktion selbst
DE10308174B4 (de) 2003-02-24 2010-01-14 Xtreme Technologies Gmbh Anordnung zur Debrisreduktion bei einer Strahlungsquelle auf Basis eines Plasmas
FR2855466A1 (fr) * 2003-05-28 2004-12-03 Renault Sa Procede de commande des moyens de pilotage d'un vehicule automobile.
DE10356136A1 (de) * 2003-12-02 2005-06-30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und System zur Erkennung und/oder Überwachung von Rädern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4016366B4 (de) * 2004-03-31 2012-02-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Überwachungssystem hinsichtlich der an einem Kraftfahrzeug verbauten Fahrzeugreifen
DE102009026845A1 (de) 2009-06-09 2010-12-16 Ifm Electronic Gmbh Mes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Reifenparameter
CN105599739B (zh) * 2016-02-02 2019-01-22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汽车爆胎处理系统
DE102016217684B4 (de) 2016-09-15 2020-01-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Erkennen von Funksignalen, die von elektronischen Radeinheiten an Rädern eines Fahrzeuges versandt werden, sowie Empfangseinrichtung für derartige Funksignale
DE102022207523A1 (de) 2022-07-22 2024-01-25 Zf Friedrichshafen Ag Steuersystem zum Betreiben eines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5810A (en) * 1963-06-26 1965-12-28 Goodyear Tire & Rubber Digital coded elastomeric article
DE4112738C2 (de) * 1991-04-18 2001-10-3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und/oder Regelung von Kraftfahrzeugsystemen
US5996892A (en) * 1996-03-27 1999-12-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ans and method of identifying objects using a zero contrast sensor
DE19620582A1 (de) * 1996-05-22 1997-11-27 Teves Gmbh Alfred Luftreifen
DE19854176A1 (de) * 1998-11-24 2000-05-31 Joergen Brosow Vorrichtung zur laufenden Kontrolle des Betriebszustands der Reifen von Kraftfahrzeu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28284A1 (de) 2002-07-11
DE10128284B4 (de)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6903B2 (en) Sensor transponder and procedure for measuring tire contact lengths and wheel load
EP16757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tyre load during the running of a vehicle
RU2317219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шины при движении автомобиля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80240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cornering angle of a tyre during the running of a vehicle
US79453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tyre load during the running of a motor vehicle
EP0887211B1 (en) Tire monitoring system
US7000462B2 (en) System for monitoring a vehicle with pneumatic tires, signal analysis method, and vehicle tire
JP2581758B2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に用いる回路構成
US7023334B2 (en) Method for assigning tire pressure measurement devices in a motor vehicle to wheel positions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tire pressure
US20030058118A1 (en) Vehicle and vehicle tire monitor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20020035568A (ko) 차량 타이어 제어에 의한 차량 동작 특성 제어 방법 및시스템
WO2005016670A1 (ja) センサ内蔵タイヤ及びタイヤ状態推定方法
US20050072223A1 (en) Device for combined detection of axle acceleration and wheel rotational speed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essure
KR20020081366A (ko) 차량의 주행 거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6973824B2 (en) Tire status detection system
KR20020079973A (ko) 차량의 하중 상태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6341A (ko) 타이어의 특성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5521579A (ja) 車両タイヤ状態のモニタ方法および装置
JP2006525175A (ja) タイヤ空気圧監視装置及びタイヤ空気圧の監視をするための方法
US70324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ecrease in tire air-pressure and program for judging decompression of tire
EP0970823A2 (en) Apparatus for identifying tyres and method thereof
KR20020081367A (ko) 차량의 견인력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3544149B2 (ja) タイヤ識別装置および方法
JP2004516981A (ja) タイヤの特性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20081368A (ko) 차량의 곡선 구간 주행 상태의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