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448A - 복합면을 갖는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몰드 및구조화면 물품과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면을 갖는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몰드 및구조화면 물품과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448A
KR20020075448A KR1020027011083A KR20027011083A KR20020075448A KR 20020075448 A KR20020075448 A KR 20020075448A KR 1020027011083 A KR1020027011083 A KR 1020027011083A KR 20027011083 A KR20027011083 A KR 20027011083A KR 20020075448 A KR20020075448 A KR 2002007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ube corner
machined
geometry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4654B1 (ko
Inventor
벤슨제럴드엠
스미스케네스엘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2007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of layered or coated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05Production of reflex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G02B5/124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plate or she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01Q15/18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comprising plurality of mutually inclined plane surfaces, e.g. corner refl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83Reflectors
    • B29L2011/0091Reflex refl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21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with component conforming to contour of nonplana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몰드 또는 시트 등의 구조화면 물품은 기계 가공된 기재(126)와 복제된 기재(116)를 포함하는 복합 기재(82)에 형성된다. 한 가지 실시예에서, 구조화면(100)은 복합 기재(82)의 큐브 코너 요소(132, 134)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화면(100)은 한 면은 기계 가공된 기재에 위치하고 다른 면은 복제된 기재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면을 구비한 기하학적 구조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기계 가공된 기재에 형성된 부분과 복제된 기재에 형성된 부분을 구비하는 복합면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면을 갖는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화면 물품 형성 방법은, 기계 가공된 기재(126)의 제1 표면에 기하학적 구조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1 펴면의 선택된 위치를 부동화시키는 단계와, 복합 기재(82)를 형성하기 위해 기계 가공된 기재의 복제된 기재(116)를 형성하는 단계와,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에 제2의 기하학적 구조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2 표면으로부터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면을 갖는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몰드 및 구조화면 물품과 그 제조 방법{A COMPOUND MOLD AND STRUCTURED SURFACE ARTICLES CONTAINING GEOMETRIC STRUCTURES WITH COMPOUND FA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본원에 사용된 특정 용어의 의미를 알려주는 명세서의 끝부분의 용어 해설을 참조하라.
재귀반사 시트, 기계식 패스너 및 연마 제품 등과 같은 다양한 최종 용례에서 미세 복제된 구조화면을 사용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이하의 명세서는 재귀반사 분야에 집중되어 있지만, 개시된 방법 및 물품이 미세 복제된 구조화면을 이용하는 그 밖의 분야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일반적으로, 큐브 코너 재귀반사 시트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전방면을 구비한 얇은 투명층과, 복수 개의 기하학적 구조를 구비하는 후방의 구조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기하학적 구조의 일부 또는 전부는 큐브 코너 요소로서 구성된 3개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큐브 코너 재귀반사 시트는 구조화면을 구비한 마스터 몰드를 먼저 제조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구조화면은 완성된 시트가 큐브 코너 피라미드를 구비하여야 하는지 또는 큐브 코너 공동을 구비하여야 하는지(또는 두가지 모두를 구비하여야 하는지)에 따라, 완성된 시트의 필요한 큐브 코너 요소의 기하구조 또는 그것의 네거티브(반전된) 복사물에 대응한다. 그 후, 상기 마스터 몰드는 통상의 니켈 전기 도금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기술을 이용하여 복제되어, 엠보싱, 압출 또는 주조-경화 등의 공정으로 큐브 코너 재귀반사 시트를 형성하는 도구를 형성한다. 미국 특허 제5,156,863호(프리콘 등)는 큐브 코너 재귀반사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도구를 형성하는 공정의 개요를 예시한다. 공지된 마스터 몰드 제조 방법으로는 핀-번들링 기술, 적층 기술 및 직접 가공 기술 등이 있다. 이들 기술의 각각은 그것만의 잇점과 한계를 갖는다.
핀-번들링 기술에서는, 일단부에 큐브 코너 요소 등의 기하 형상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 개의 핀이 조립되어 마스터 몰드를 형성한다. 미국 특허 제1,591,572호(스팀슨)와 제3,926,402호(히난)는 그 예를 예시한다. 상기 각 핀은 개별적으로 가공되므로, 핀-번들링은 하나의 몰드에 광범위한 큐브 코너 기하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작은 큐브 코너 요소(예컨대, 높이가 약 1 mm 미만인 정육면체의 큐브 코너)를 제조하는 데에는 비실용적인데, 그 이유는 정확히 가공된 후 번들로 배열되어 몰드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핀의 수가 많고 핀의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적층 기술에서는, 일단부에 형성된 기하 형상을 각각 구비하는 라미나로서알려진 복수 개의 판형 구조는 조립되어 마스터 몰드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적층 기술은 소정 크기의 몰드와 큐브 코너 요소의 경우 개별적으로 가공되는 부품의 수가 상당히 적기 때문에, 핀-번들링 기술에 비해 덜 노동 집약적이다. 그러나, 설계 유연성은 핀-번들링 기술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설계 유연성에 비해 불리하다. 적층 기술의 실시예를 미국 특허 제4,095,773호(린드너)과, 국제 공개 제WO 97/04939호(미무라 등)과, 1997년 7월 2일 "큐브 코너 시트의 몰드 및 그 제조 방법(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란 제목으로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제08/886,074호에서 찾을 수 있다.
직접 가공 기술에서는, 일련의 홈이진 측면들이 평탄한 기재의 평면에 형성되어 마스터 몰드를 형성한다. 한 가지 잘 알려진 실시예에서는, 3세트의 평행한 홈이 60°의 끼인각으로 서로 교차하여, 각각 정삼각형을 구비하는 큐브 코너 요소의 어레이를 형성한다[미국 특허 제3,712,706호(스탐)]. 다른 실시예에서는, 2세트의 평행한 홈이 60°보다 큰 각으로 서로 교차하고, 홈의 제3의 세트가 다른 2개의 세트의 각각과 60°보다 작은 각으로 교차하여, 짝을 이룬 경사진 큐브 코너의 어레이를 형성한다[미국 특허 제4,588,258호(후프만)]. 직접 가공 기술은 핀-번들링 기술이나 적층 기술을 사용하여 얻는 것보다 어려운 방식으로 매우 작은 큐브 코너 요소를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는데, 이는 후자의 기술들은 몰드를 구성하는 동안이나 그 밖의 시간에 서로에 대해 이동 또는 변위될 수 있고 서로 분리될 수도 있는 구성품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또한, 직접 가공 기술에서는 다수의 개개의 면들이 대개 절삭 공구의 연속 동작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개개의 면들은 몰드 제조공정 동안 내내 그 정렬을 유지하므로, 직접 가공 기술은 일반적으로 핀-번들링 기술이나 적층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구조화면에 비해 보다 균일하고 정확한 광역의 구조화면을 제조한다.
그러나, 직접 가공 기술의 주요한 결점은 제조 가능한 큐브 코너 기하 구조의 타입에 있어서 설계 유연성을 감소시켰다. 예로서, 앞서 참조된 스탐의 특허에 기술되어 있는 큐브 코너 요소의 최대 이론 총 광반사는 약 67 %이다. 상기 특허가 발행된 이후, 직접 가공 기술을 이용한 설계자가 이용 가능한 다양한 큐브 코너 설계를 크게 확장시킨 구조 및 기술들이 개시되었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4,775,219호(애플돈 등), 제4,895,428호(넬슨 등), 제5,600,484호(벤슨 등), 제5,696,627호(벤슨 등), 및 제5,734,501호(스미스)를 보라. 전술한 참조 문헌에 개시된 큐브 코너 설계의 일부는 특정 관찰 및 진입 기하 구조에서 67 %를 훨씬 상회하는 유효 노출값(aperture value)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바람직한 기하 구조" 또는 "PG" 큐브 코너 요소로 불리우는 모든 부류의 큐브 코너 요소는 아직까지는 공지의 직접 가공 기술로 얻을 수 없는 것으로 남아 있다. 한 가지 타입의 PG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하는 기재가 도 1의 평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큐브 코너 요소는 각각 평면도에서 3개의 정방형면과 6각형 윤곽을 갖는다.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PG 큐브 코너 요소중 하나를 굵은 윤곽선으로 강조하였다. 구조화면의 평면에 대해 경사진 비(非)이면 에지(굵게 강조된 6개의 에지 중 임의의 어느 한 에지)를 구비하기 때문에, 강조된 큐브 코너 요소는 PG 큐브 코너 요소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에지는 이웃하는 큐브 코너요소의 인접한 비이면 에지에 평행하다(굵게 강조된 상기 에지의 각각은 이웃하는 6개의 큐브 코너 요소의 비이면 에지에 평행할 뿐만 아니라 인접해 있다).
본원에는 직접 가공 기술을 이용하여 PG 큐브 코너 요소 등의 기하학적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에 따라 물품을 제조하는 몰드가 개시되고, 상기 물품은 하나 이상의 특별한 형상의 복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미세 복제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조화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재귀반사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하는 구조화면에 대한 구체적인 용례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한 가지 타입의 PG 큐브 코너 요소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구조화면의 평면도이고,
도 2는 기계 가공된 기재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기계 가공 작업 이후의 도 2에 도시된 기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예시된 기계 가공된 기재의 일부분의 근접해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합성 기재를 포함하는 조립채의 단면도이며,
도 6a는 도 6에 도시된 복합 기재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기계 가공 베이스 중 하나가 제거되어 있는 도 6에 도시된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8은 기계 가공된 기재 둘레의 블랭크 부분이 제거되어 있는 도 7에 도시된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복합 기재를 가공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제2 기계 가공 작업 이후의 도 8에 도시된 복합 기재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며,
도 12 내지 도 14는 경사진 PG 큐브 코너 요소를 구비하고,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로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구조화면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기계 가공된 기재의 평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기재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부동화면을 구비한 도 15에 도시된 기재의 단면도이며,
도 18은 상기 부동화면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는 도 17에 도시된 기재의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기재의 단면도이며,
도 20은 복합 기재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복합 기재를 기계 가공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기재의 단면도이고,
도 23은 제2 기계 가공 이후의 도 21에 도시된 복합 기재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편의상 동일한 요소를 지시하거나 동일한 기능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를 지시한다.
몰드 또는 시트 등의 구조화면이 마련된 물품은 기계 가공된 기재와 복제된 기재를 포함하는 복합 기재에서 형성된다. 한 가지 실시예에서, 구조화면은 복합 기재의 큐브 코너 요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화면은 복수 개의 면을 갖고 한 면은 기계 가공된 기재에 다른 면은 복제된 기재에 배치되는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기하학적 구조는 큐브 코너 요소 또는 PG 큐브 코너 요소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면들 중 적어도 일부는 기계 가공된 면에 형성된 일부분과 실질적으로 복제된 기재에 형성된 일부분을 구비하는 복합면을 포함한다. 변환선이 상기 기계 가공된 면에 배치된 복합면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복제된 기재에 형성된 일부분을 분리한다.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에 있는 복합면의 일부분과 상기 복제된 기재에 있는 복합면의 일부분은 대개 10°미만의 차이가 있는 각도 방위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는 복합 기재에 배치된 복수 개의 면을 구비하는 기하학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 기재는 구조화면을 구비하는 기계 가공된 기재와, 이 기계 가공된 기재와의 접촉 부분만을 따라 접합된 실질적으로 복제된 기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합 기재는 구조화면을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복제된 기재와, 상기 구조화면의 일부분만을 덮는 불연속 기계 가공된 기재를 포함한다. 또한, 이 복합 기재는 상기 구조화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면과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에 배치된 적어도 다른 하나의 면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복제된 기재와 기계 가공된 기재를 포함하는 복합 기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제된 기재는 구조화면과, 이 구조화면에 분리된 조각으로 배치되는 기계 가공된 기재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는 복제된 기재에 형성된 공동과, 복합 기재의 기계 가공된 기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계 가공되며 상기 공동과 경계를 이루는 복수 개의 피라미드를 구비하는 구조화면이 마련된 복합 몰드에 관한 것이다.
큐브 코너 요소와, 이들 요소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구조화면은, 큐브 코너 요소의 하나 이상의 면이 상기 큐브 코너 요소의 비이면 에지에서 종결되고, 상기 면은 상기 비이면 에지에 평행하지 않은 변환선의 대향 측면에 배치된 2개의 구성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큐브 코너 요소는 PG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각 비이면 에지에 대해 평행하지 않은 변환선의 대향 측면에 배치된 2개의 구성면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선은 복합 기재의 2개의 인접한 층 사이에서 계면을 포함한다. 이웃하는 큐브 코너 요소의 어레이에서, 어레이의 각 큐브 코너 요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큐브 코너 요소는 채용되는 직접 가공 기술로 인해 매우 작게(큐브 높이가 1 mm 보다 훨씬 작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면을 구비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화면이 마련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1 표면에 기하학적 구조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1 표면의 선택된 위치들을 부동화시키는 단계와; 복합 기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의 복제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1 표면에 대항하는 제2 표면에 제2 기하학적 구조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이웃하는 큐브 코너 요소의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2 표면으로부터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큐브 코너 요소는 PG 큐브 코너 요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조화면이 마련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1 표면에 기하학적 구조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1 표면의 선택된 위치들을 부동화시키는 단계와; 복합 기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의 복제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1 표면에 대항하는 제2 표면에 제2 기하학적 구조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 복수 개의 면을 구비한 기하학적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2 표면으로부터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에 배치되고 상기 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제된 기재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물품에 기하학적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은 2개의 기재 사이의 내측 계면을 따라 형성된 구조화면을 구비한 복합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기하학적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합 기재의 노출된 표면에 홈이진 측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하학적 구조는 상기 내측 계면의 일부와 상기 홈이진 측면의 일부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조화면(도 9 및 도 10 참조)을 제조하는 데 유용한 조립체(20)를 예시한다. 이 조립체(20)는 제1 접합층(26)에 의해 제1 가공 베이스(24)에 접합되는 블랭크(22)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블랭크(22)는 표면(32) 위로 연장하는 일련의 기준 패드(30a, 30b, 30c, 30d, 30e, 30f)(통틀어서 30으로 칭함)와 데크(deck)(27)를 포함하는 연속 구조이다. 한 가지 실시예에서, 데크(27)의 높이(34)는 기준 패드(30)의 높이(36)와 거의 동일하다. 기준 패드(30)의 수는 용례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변형례에서, 데크(27)와 기준 패드(30)는 도 2에 도시된 연속 블랭크(22)이기 보다는 제1 가공 베이스(24)에 접합되는 분리된 요소일 수 있다.
블랭크(22)는 가공 이후에 현저한 변형이 없고 실질적인 버링 가공이 필요 없으면서 표시, 절삭 또는 그 밖의 기계 가공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는 기계 가공된 면이나 다른 기재에 있는 그 복제물이 유효한 광학 반사기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을 보증한다. 블랭크(22)는 구리, 니켈, 알루미늄, 아크릴 또는 그 밖의 폴리머 재료 등의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적절한 기재 재료에 대해서는 이하에 더 설명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서, 블랭크(22)는 두께가 약 0.030 인치인 얇은 금속 판재이다.
블랭크(22)는 에폭시, 왁스, 열성형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 등과 같은 적절한 접합층(26)을 이용하여 제1 가공 베이스(24)에 접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가공 베이스(24)는 두께가 약 2.54 cm(약 1인치)인 금속판이다. 제1 가공 베이스(24)는 비교적 얇은 블랭크(22)를 지지하고, 이후의 가공 작업에 대한 기준면(38)을 제공한다. 이후의 전기 도금 작업을 위해서는 조립체(20)가 원형 형상인 것이 좋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4는 블랭크(22)의 데크 부분(27)에 기계 가공된 기재(28)를 형성하는 가공 작업을 보여준다. 절삭 도구(40a, 40b, 40c)(통틀어서 40으로 칭함)가 데크(27)를 따라 이동하여 기계 가공된 기재(28)의 구조화면(50)을 형성하고, 절삭 도구와 기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이동시켜 홈이진 측면을 형성한다(도 5 참조). 절삭 도구(40a)는 기준 패드(30c, 30f)의 각각에 기준 홈(44c, 44f)를 형성하고, 절삭 도구(40b)는 기준 패드(30a, 30d)의 각각에 기준 홈(44a, 44d)를 형성하며, 절삭 도구(40c)는 기준 패드(30b, 30e)의 각각에 기준 홈(44b, 44e)를 형성한다. 기계 가공된 기재(28)의 중심과 동심인 원형 기준 홈(46a, 46b, 46c, 46d, 46e, 46f)이 각 기준 패드(30)에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도 7에 예시된 절삭 작업을 수행하는 데 복합 기재(82)의 배치를 돕기 위해, 수정된 블랭크(22')의 에지에 기준 표시(43)를 형성한다.
각 도구(40)는 재료를 통해 진행할 때 한 쌍의 대향하는 홈이진 측면보다는 홈이진 측면을 형성하는 소위 "반각(half-angle)" 도구로 묘사되어 있지만, 이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홈이진 측면 중 하나는 실질적으로 수직하다(도 5 참조). 절삭 도구(40)는 기준면(38)에 의해 형성된 x-y 기준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선(42a, 42b, 42c)을 따라서 직접 가공 공정에 맞춰서 이동하므로, 각 홈이진 측면도 또한 상기 기준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것을 보장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축선(42a, 42b,42c)의 각각은 상기 기준 패드(30) 중 2개와 교차한다. 축선(42a, 42b, 42c)을 신중하게 위치 설정하고 공구의 방위를 신중하게 선택하여 홈이진 측면의 거의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3개의 절삭 도구가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의 절삭 도구가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하라. 절삭 도구는 다이아몬드 또는 그 밖의 적절하게 단단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기계 가공된 면은 많은 공지의 재료 제거 기술, 예컨대 그 자신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커터를 틸트시키고 기재의 표면을 따라 천천히 이송시키는 밀링; 고속으로 회전하는 휠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물의 외주부에 다이아몬드 등의 커터를 장착한 후 기재의 표면을 따라 천천히 이송시키는 플라이 컷팅(fly-cutting); 다이아몬드 등의 비회전 커터를 기재의 표면을 따라 천천히 이송시키는 룰링(ruling); 절삭날 또는 에지를 구비한 회전 휠을 기재의 표면을 따라 천천히 이송시키는 연삭 중 임의의 어느 한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플라이 컷팅과 룰링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가공 작업 동안에 주변에 대해 절삭 도구나 기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이송되는지는 결정적인 것은 아니다. 가능하다면 반각 도구에 비해 전각(Full-angle) 절삭 도구가 바람직하며, 이는 전각 절삭 도구가 파손되기 더 어렵고 더 큰 가공율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끝으로, 필요한 광학적 또는 기계적 효과를 얻기 위해, 곡선부(들)를 구비한 절삭 도구를 개시된 실시예에서 사용하여 평탄하지 않은(곡선) 표면 또는 면을 제공한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기계 가공된 기재(28)에서 가공된 구조화면(50)의 확대도이다. 구조화면(50)은 3면이 1조로 배열되어 큐브 코너 피라미드(56)를 형성하는 면들(54)을 포함한다. 돌출부(58)가 구조화면(50)의 큐브 코너 피라미드(56)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돌출부(58)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측면(60), 거의 수직한 3개의 표면(61), 그리고 상부 표면(62)을 구비한다. 돌출부(58)의 거의 수직한 표면(61)은 구조화면(50)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공정에 따라 더 크거나 작은 범위로 수직으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질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큐브 코너 피라미드(56)는 기계 가공된 기재의 약 50%를 차지하고, 돌출부(58)는 상기 기재의 나머지 50%를 차지한다.
그 후, 구조화면(50)을 세정하고 부동화시킨다. 부동화 단계는 이후에 복제되는 기재(70)(도 6 참조)가 분리될 수 있도록 릴리스 층을 도포하거나 구조화면(50)을 수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블랭크(22)는 구리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고, 구조화면(50)은 중크롬산칼륨 또는 그 밖의 부동화액으로 부동화될 수 있다. 블랭크(22)가 아크릴 또는 기타 폴리머 재료로 구성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릴리스 층을 형성하는 데 증기 코팅되거나 화학 증착된 은이 사용될 수 있다. 기계 가공된 기재(28) 및 복제된 기재(70) 용으로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부동화 단계는 수정될 수 있다.
복제된 기재(70)를 구조화면(50)에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돌출부(58)의 상부 표면(62)이 처리된다. 한 가지 실시예에서, 상부 표면(62)은 연마된다. 평탄화 공정, 플라이 컷팅 또는 그 밖의 다양한 공정을 이용하여 상부 표면(62)을 연마할 수 있다.
도 6 및 도 6a는 기계 가공된 기재(28) 및 기준 패드(30) 위에서 복제된 기재(70)를 형성한 이후에 얻어지는 조립체(81)를 예시한다. 전기 도금, 필러 물질의 캐스팅 및 그 밖의 다양한 기술로 복제된 기재(70)를 형성할 수 있다. 복제된 기재(70)의 두께는 설계 선택의 문제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제된 기재(70)의 두께는 필요한 큐브 코너 요소의 높이의 약 2배이다.
도 6a에 잘 예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부동화 및 연마 단계로 인해, 복제된 기재(70)는 돌출부(58)의 상부 표면(62)을 따라 구조화면(50)에 부착되지만, 피라미드(56)의 부동화면과 돌출부(58)의 측면(60, 61)을 따라서 부착되지는 않는다. 복제된 기재(70)의 일부분은 기계 가공된 기재(28)를 향해 돌출하여 복합 기재(82)를 형성한다(도 9 참조). 제2 가공 베이스(74)가 복제된 기재(78)의 후방면(76)에 적절한 접합층(78)을 이용하여 접합된다. 제1 가공 베이스(24)와 유사하게, 제2 가공 베이스(74)는 이후의 가공 단계에 도움이 되는 기준면(80)을 포함한다. 제1 가공 베이스(24)와 접합층(26)은 이 공정에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아서, 조립체(20)로부터 제거된다.
도 7은 복제된 기재(70)에 선택적으로 접합되는 수정된 블랭크(22')[기계 가공된 기재(28) 및 기준 패드(30)]를 포함하는 조립체(81)의 사시도이다. 복제된 기재(70)는 접합층(78)에 의해 제2 가공 베이스(74)에 접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수정된 블랭크(22')의 후방면(71)은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조립체(81)에 매설된 복합 기재(82) 및 기준면(30)은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복합 기재(82)의 주변(P1, P2, P3, P4)에 일련의 4개의 절삭부를 형성하여, 기계 가공된 기재(28)를 둘러싸는 수정된 블랭크(22')의 부분이 조립체(81)로부터제거될 수 있게 한다. 복합 기재(82)의 위치를 설정하는 데 기준 표시(43)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부동화층은 이러한 폐기물의 제거를 돕는다. 블랭크(22) 및 복제된 기재(70)가 금속으로 구성되는 실시예에서, 기계 가공된 기재(28)를 둘러싸는 블랭크(22)의 부분은 복제된 기재(70)로부터 벗겨질 수 있는 얇은 층이다.
도 8은 복합 기재(82)를 둘러싸는 블랭크(22)의 부분이 제거되어 있는 수정된 조립체(83)의 사시도이다. 표면(85)은 복제된 기재(70)의 일부분이다. 표면(85) 위로 연장하는 표면(90)은 기계 가공된 기재(28)의 뒷면이다. 기준 패드(30)의 복제물(84a, 84b, 84c, 84d, 84e, 84f)(통틀어서 84로 칭함)은 표면(85)에 공동을 형성한다. 기준 패드 복제(84a, 84d)는 각각 평행한 리지(ridge)(86a, 86d)를 구비하고, 기준 패드의 복제물(84b, 84e)은 각각 평행한 리지(86b, 86e)를 구비하며, 기준 패드 복제(84c, 84f)는 각각 평행한 리지(86c, 86f)를 구비한다(통틀어서 86으로 칭함). 각 기준 패드의 복제물(84)은 복합 기재(82)의 중심과 동심인 원을 형성하는 리지(88a, 88b, 88c, 88d, 88e, 88f)(통틀어서 88로 칭함)를 각각 구비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지(86, 88)의 상부는 일반적으로 표면(85)과 동일한 평면에 있다.
도 9는 기계 가공된 기재(28)의 뒷면(90)에서 수행되는 가공 단계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합 기재(82)는 기계 가공된 기재(28)와, 분리되지 않는 복제된 기재(70)를 포함한다. 구조화면(50)과 복제된 기재(70) 사이의 계면(92)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계면(92)에서의 접합은 연마된돌출부(58)의 상부 표면(62)으로 한정된다. 부동화층은 피라미드(56) 또는 돌출부(58)의 측면(60, 61) 등과 같은 계면(92)의 나머지 부분을 따라 부착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시킨다.
그 후, 도구(101)를 안내하기 위한 기준점으로서 리지(86, 88)를 사용하여 기계 가공된 기재(28)의 뒷면(90)에 도 4에 예시된 가공 단계를 수행한다. 도구(101)는 반각 도구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투명한 재료 또는 반투명 재료로부터 기계 가공된 기재(28) 및/또는 복제된 기재(70)를 형성하는 실시예에서, 또는 기계 가공된 기재(28)와 복제된 기재(70) 사이의 계면을 복합 기재(82)의 주변(P1, P2, P3, P4)을 따라 볼 수 있는 실시예에서는, 기준 패드의 복제물(84)이 필요하지 않다. 즉, 기준 패드의 복제물(84)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도구(40a, 40b, 40c)를 배열할 수 있다. 기계 가공된 기재(28)가 금속 등의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기준 패드의 복제물(84)[및 구체적으로는 리지(86)]은 도 9에 예시된 가공 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정확한 기준점을 제공한다.
3개의 축선(42a, 42b, 42c)을 따라 절삭부가 형성된 후, 기계 가공된 기재(28) 중 폐기부(94)는 떨어지거나 제거되어, 복제된 기재(70)에 큐브 코너 공동(118)이 남겨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구(101)는 복제된 기재(70)를 절삭하여, 복제된 기재(70)가 복제 또는 성형된 부분과 기계 가공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 가공된 기재(28)의 분리된 조각 또는 돌출부(58)의 말단부 또는 상부 표면(62)은 복제된 기재(70)에 접합된다. 돌출부(58)의 바닥 또는 기단부는 큐브 코너 피라미드(120a)를 형성하도록 가공된다. 기계 가공된 기재(28)의 돌출부(58)는 복제된 기재(70)에 매설된 채로 남겨진다. 기계 가공된 기재(28)의 모든 폐기부(94)가 복제된 기재(70)로부터 제거되면, 큐브 코너 피라미드(120a)와 큐브 코너 공동(118)은 PG 큐브 코너 요소(도 10 참조)의 어레이를 구비하는 기하학적 구조화면(100)을 형성한다.
도 10은 홈이진 측면이 모두 형성된 이후에, 복합 기재(82)의 기하학적 구조화면(100)을 보여준다. 각 큐브 코너 공동(118)은 3개의 복제된 면(116a, 116b, 116c)을 구비하고, 각 큐브 코너 피라미드(120a)는 3개의 기계 가공된 면(126a, 126b, 126c)을 구비하며, 이들은 서로에 대해 거의 상호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큐브 코너 피라미드(120a)의 3개의 면이 실질적으로 공동(118)의 인접한 면(116)과 정렬되는 경우, 그리고 상기 공동(118)이 공동의 배향을 갖는 경우, 큐브 코너 피라미드(120a)의 3개의 면은(개별적으로 고려했을 때) "절두된" 큐브 코너 피라미드를 형성한다. 이러한 피라미드는 구조화면의 평면에 "기초 삼각형"을 형성하는 3개의 비이면 에지를 정확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큐브 코너 피라미드(120a)의 3개의 면(126a, 126b, 126c)은 인접한 큐브 코너 공동(118)의 가장 가까운 면(116)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가공된다. 그 결과, 새로운 큐브 코너 공동(132)는 각각 하나의 복제된 큐브 코너 공동(118)과, 그에 이웃하는 기하학적 구조(120a)로부터 각각 기계 가공된 하나의 면(126)을 포함한다. 도면 부호(132a)는 굵은 윤곽선으로 상기 큐브 코너 공동(132)의 하나를 보여준다. 큐브 코너 공동(132) 중 하나의 소정의 면은, 복제된 기재(70)에 형성된 큐브 코너 공동의 하나의 면과 기계 가공된 기재(28)에 가공된 면(126a, 126b,126c) 중 하나를 포함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큐브 코너 공동(118)의 면(116)이 복제된 기재(70)에 가공된다. 따라서, 각 큐브 코너 공동(132)은 실질적으로 복제된 기재(70)에 성형 또는 복제된 부분과 변환선(130)으로 분리되는 기계 가공된 기재(28)에 가공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복합면을 포함한다. 변환선(130)은 기계 가공된 기재(28)와 복제된 기재(70) 사이의 경계 또는 계면을 따라 놓인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구조화면에 형성된 새로운 큐브 코너 피라미드(134)를 식별할 수 있다. 각 큐브 코너 피라미드(134)는 하나의 기하학적 구조(120a), 즉 큐브 코너 피라미드와, 그에 이웃하는 각 큐브 코너 공동(118)의 하나의 면을 포함한다. 큐브 코너 피라미드(134) 중 하나의 각 면은, 복제된 기재(70)의 공동(118) 중 하나의 면(116)과 기계 가공된 기재(28)로부터 형성된 구조(120a)의 가공된 면을 포함하는 복합면이다. 도면 부호(134a)는 굵은 윤곽선으로 상기 큐브 코너 피라미드(134)의 하나를 보여준다. 피라미드(134)의 최상위 말단 또는 피크에 기준점(122)이 배치되는 것을 유의하라. 큐브 코너 피라미드(134)와 큐브 코너 공동(132)은 양자 모두 기준 평면(x-y)에 대해 평행하지 않은 큐브 코너 요소의 비이면 에지에서 종결되는 면을 구비하므로, 모두 PG 큐브 코너 요소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조화면의 평면도이다. 변환선(130)은 PG 큐브 코너 요소, 즉 큐브 코너 공동(132)와 큐브 코너 피라미드(134)의 식별을 돕기 위해 다른 선보다 얇게 그려져 있다. 상기 PG 큐브 코너 요소의 복합면은 복제된 기재(70)로부터 기계 가공된 기재(28)의 분리된 조각을 분리시키는 변환선(130)의 대향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하며, 상기 분리된 조각은 상기 복제된 기재에 접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모든 변환선(130)은 이 실시예의 경우 x-y 평면과 동일 평면에 있는 변환 평면이라 불리우는 공동 평면에 놓인다. 기계 가공된 기재(28)에 가공된 구조화면의 면들은 변환 평면의 일측에 배치되고, 복제된 기재(70)에 가공된 면들은 다른측에 배치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기계 가공된 큐브 코너 물품은 그 자체가, 기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경우 위로부터 입사하는 빛과[큐브 코너 공동(132)에 의해] 아래에서 입사하는 빛 양자에 대해서 재귀반사 물품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기재의 조성에 따라 복합면의 반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구조화면에 알루미늄, 은 또는 금 등의 얇은 정반사 코팅이 도포될 수 있다. 빛이 아래에서 입사하는 경우, 내부 전반사를 제공하는 계면을 위해 반사 코팅이 회피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복합 기재는 통상의 복제 기술을 이용한 몰드의 다수 생산을 통해 또는 직접적으로 최종 용도의 재귀반사 물품이 제조되는 몰드로서 사용되는 것이 보다 일반적이다. 상기 복합 기재로부터 제조된 각 몰드 또는 그 밖의 물품은, 대개 큐브 코너 요소의 비이면 에지에서 종결되는 하나 이상의 면을 구비한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면은 변환선의 대향 측면에 배치된 2개의 구성면을 포함하며, 상기 변환선은 상기 비이면 에지에 대해 평행하지 않다. 도 10 및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변환선(130)은 x-y 평면과 일치하는 변환 평면에 놓이는 반면, PG 큐브 코너 공동(132) 및 PG 큐브 코너 피라미드(134) 양자 모두에 대해 굵은선으로 도시된 비이면 에지는 x-y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또한, 상이한 깊이로 기재에 홈이진 측면을 형성함으로써, 변환선이 전부 동일한 평면에 놓이지는 않는 표면을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절삭 도구의 세부사항과, 홈이진 표면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이 절삭 도구가 다른 면에 정확히 정렬되는 각도에 따라, 변환선은 매우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많은 용례에서 변환선은 최소화되는 인공물이지만, 그 밖의 용례에서 변환선은 부분적으로 투명한 물품 등의 필요한 광학적 결과물을 얻는데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변환선의 형태는 "복합면을 구비한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화면 물품과 그 제조 방법(Structured Surface Articles Containing Geometric Structures with Compound Fac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란 제목으로 본원과 동일자로 공동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9/515,120호(대리인 처리 번호 제54222USA1A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합 기재(82)와 전술한 가공 기술을 이용하여 매우 다양한 구조화면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PG 큐브 코너 요소는 구조화면의 x-y 기준 평면에 직교하는 대칭 축선을 각각 갖는다. 일반적으로, 큐브 코너 요소는 대략 상기 대칭 축선을 따라 상기 큐브 코너 요소에 입사하는 빛에 반응하여 가장 높은 광학 효율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큐브 코너 요소에 의해 재귀반사되는 빛의 양은 입사각이 대칭 축선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줄어든다. 도 12는 구조화면(136)의 평면도로서, 이 구조화면은 도 12의 PG 큐브 코너 요소가 그 대칭 축선이 구조화면의 법선에 대해 틸트되도록 모두 경사져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x-y평면을 따라 연장하는 도 11에 도시된 구조화면과 유사하다. 도 12의 각 PG 큐브코너 공동(146)에 대한 대칭 축선은 +z 방향(페이지로부터 나오는 방향)의 수직 성분과 +y 방향의 횡성분을 갖는 y-z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놓인다. 도 12의 PG 큐브 코너 피라미드(148)에 대한 대칭 축선은 -z 방향과 -y 방향 성분을 갖는 반대 방향을 향한다. 면(136)의 제조에 있어서는, 단면이 거의 삼각형인 돌출부의 형상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삼각형이기 보다는 이등변 삼각형인 복합 기재가 사용된다.
구조화면(136)에는 4개의 별개 타입의 큐브 코너 요소가 나타난다. 즉, 복제된 기재(70)에 형성되고 평면도에서는 삼각형 윤곽을 나타내는 절두된 큐브 코너 공동과; 기계 가공된 기재(28)의 분리된 조각에 가공된 면을 구비하고 삼각형 윤곽을 갖는 절두된 큐브 코너 피라미드와; 복합면을 구비하고 육각형 윤곽을 갖는 PG 큐브 코너 공동; 그리고 역시 복합면을 구비하고 육각형 윤곽을 갖는 PG 큐브 코너 피라미드가 나타난다. 복제된 기재(70)에 형성된 대표적인 큐브 코너 공동이 도 12에서 굵은 윤관선(140)으로 식별되며, 기계 가공된 기재(28)에 가공된 대표적인 큐브 코너 피라미드가 굵은선(142)으로 식별된다. 변환선(144)은 성형 또는 복제된 면으로부터 가공된 면을 분리시키며, 상기 변환선(144)은 모두 x-y 평면에 평행한 변환 평면에 놓인다. 다른 실시예에서, 변환선은 변환 평면에 평행하게는 놓이지난 동일 평면에 놓이지는 않는다. 공동(140) 및 피라미드(142)로부터 선택된 면들은 경사진 PG 큐브 코너 요소, 구체적으로는 경사진 PG 큐브 코너 공동(146)과 경사진 PG 큐브 코너 피라미드(148)를 형성한다. 앞의 경우와 같이, 기준점(122)은 x-y 평면 위에 배치된 국소 팁 또는 피크를 동일하다고 간주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화면(136a)을 보여주며, 유사한 특징부는 도 12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추가 접미어 "a"가 부가된다. 도 13에 도시된 PG 큐브 코너 요소는 구조화면(136a)의 법선에 대해 경사져 있지만, 도 12에 도시된 PG 큐브 코너 요소에 비하면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각 PG 큐브 코너 공동(146a)에 대한 대칭 축선은 y-z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배치되고, +z 방향의 수직 성분과 -y 방향의 횡성분을 갖는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화면을 보여주며, 유사한 특징부는 도 12와 동일한 도면 부호에 추가 접미어 "b"가 부가된다. 도 14에 도시된 PG 큐브 코너 요소도 또한 경사져 있지만,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PG 큐브 코너 요소와는 달리, 그 경사도가 평면도에서 각 PG 큐브 코너 요소의 윤곽선이 대칭의 거울상 평면을 갖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큐브 코너 공동은 +z, +y, 및 -x 방향의 성분을 갖는 대칭 축선을 각각 갖는다. 변환선(144)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도 12)은 각각 60°미만의 끼인각을 단지 하나만 갖는 이등변 삼각형이고, 변환선(144a)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도 13)은 각각 60°를 초과하는 끼인각을 단지 하나만 갖는 이등변 삼각형이며, 변환선(144b)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도 14)은 부등변 삼각형임을 유의하라. 변환선(144a)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의 끼인각의 경우 각도의 대표적인 값은 각각 (70, 70, 40);(80, 50, 50); 및 (70, 60, 50) 이다.
전술된 실시예는 비대칭 진입 경사도를 갖는 것과(즉, 시트의 평면에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관련이 있다. 또한, 도 15 내지 도 23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짝을 이룬 큐브 코너 구조와 같이 대칭 진입 경사도를 갖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기계 가공된 기재(200)를 보여준다. 이 기계 가공된 기재(200)는 제1 접합층(204)에 의해 제1 가공 베이스(202)에 접합된다. 축선(207)에 평행한 2세트의 홈(206, 208)은 가공된 표면(212)을 형성하는 도구(201a, 201b)를 사용하여 각각 형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가공된 표면(212)은 4개가 한조로 배열되는 면(213)을 포함하고, 이들 면은 정점 또는 기준점(215)을 갖는 4면 피라미드(210)을 형성한다. 4면 피라미드(210)는 열(217, 222, 224)로 배열된다. 그 밖의 기하학적 구조(211)도 또한 홈(206, 208)으로 형성된다.
그 후,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계 가공된 표면(212)을 세정하고 부동화시킨다. 부동화 단계는 이후의 복제된 기재(214)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도 20 참조), 기계 가공된 표면(212)에서 표면 변형(216)을 만들거나 릴리스 층을 도포하는 것(통틀어서 "부동화된 표면"이라 칭함)을 포함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서, 부동화된 표면은 기계 가공된 표면(212)의 일부분에만 형성된다.
도 18 및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하학적 구조(211)의 일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기계 가공된 표면(212)에 추가의 홈(220a, 220b, 220c)(통틀어서 220으로 칭함)을 도구(201c)를 사용하여 축선(207c)에 평행하게 형성한다. 또한, 홈(220)은 표면 변형(216)의 일부를 제거하여, 복제된 기재(214)가 기계 가공된 표면(212)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한다. 도 19에 잘 예시된 바와 같아, 부동화된 표면(216)은 평탄한 구역(228) 또는 측벽(230)을 따라 존재하지 않지만, 면(213)의 부동화된 표면(216)은 그대로 있다.
도 20은 기계 가공된 기재(200') 위에서 복제된 기재(214)를 형성한 후에 얻어지는 조립체(232)를 예시한다. 전기 도금, 필러 재료의 캐스팅 및 그 밖의 다양한 기술로 복제된 기재(21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전의 부동화 단계로 인해, 복제된 기재(214)는 평탄한 구역(228) 또는 측벽(230)에 부착되지만, 부동화된 표면(216)을 따라 부착되지는 않는다. 복제된 기재(214)의 일부분(234)이 표면(228, 230)을 따라서 기계 가공된 기재(200')를 향해 돌출하여 접합된다. 제2 가공 베이스(250)가 복제된 기재(214)의 뒷면(252)에 적절한 접합층(254)을 이용하여 접합된다. 제1 가공 베이스(202)와 유사하게, 제2 가공 베이스(250)는 이후의 가공 단계에 도움을 주는 기준면(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제1 가공 베이스(202) 및 접합층(204)은 공정에서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아서, 조립체(232)로부터 제거된다. 제2 가공 베이스(250)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뒷면(260)을 가공하는 동안 복합 기재(236)를 지지한다.
도 21 및 도 22는 복합 기재(236)의 뒷면(260)에서 수행되는 가공 단계를 예시한다. 홈(268a, 268b, 268c)은 도구(272a, 272b, 272c)를 사용하여 축선(270a, 270b, 270c)을 따라 형성된다. 홈(268a, 268b, 268c)은 복제된 기재(214) 안으로 연장한다. 폐기 부분(274)은 부동화층(216) 때문에 복제된 기재(214)에 접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3개의 축선(270)을 따라 홈(268)을 제조한 후, 폐기 부분(274)은 떨어지거나 제거되어, 복제된 기재(214)에 4면 공동(276)이 남겨진다.
그러나, 복합 기재(236)의 분리된 조각 또는 부분(278, 280)은 복제된 기재(214)에 표면(230)을 따라 접합된다. 이 부분(278, 280)의 바닥 또는 기단부는 가공되어 3면 피라미드(282)를 형성한다. 기계 가공된 기재(200')의 부분(278, 280)은 복합 기재(236)의 복제된 기재(214) 부분에 매설된 채로 유지된다. 복합 기재(236)의 폐기 부분(274)이 모두 복제된 기재(214)로부터 제거되면, 전부 드러나는 4면 공동(276), 3면 피라미드(282) 및 4면 공동(276)이 PG 큐브 코너 요소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기하학적 구조화면(290)을 형성한다.
기계 가공된 기재(200') 및/또는 복제된 기재(214)를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형성하는 실시예, 또는 기계 가공된 기재(200')와 복제된 기재(214) 사이의 계면을 복합 기재(236)의 주변을 따라 볼 수 있는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예시된 바와 같은 기준 패드가 필요하지 않다. 즉, 기준 패드에 의존하지 않고도 도구를 배열할 수 있다. 기계 가공된 기재(200')이 금속 등의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기준 패드는 도 21에 예시된 가공 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정확한 기준점을 제공한다.
도 23은 모든 홈이진 측면이 형성된 이후의 기하학적 구조화면(290)을 예시한다. 이러한 기하 구조로 인해 구조화면에 2개의 상이한 타입의 PG 큐브 코너 요소가 만들어진다. 큐브 코너 피라미드(296)은 면(g)과, 변환선(a, b)에 의해 각각 분리되는 복합면(h, h', i, i')을 구비한다. 큐브 코너 피라미드(298)은 면(j)과, 변환선(c, d)에 의해 각각 분리되는 복합면(k, k', l, l')을 구비한다. 면(g, j)은 3개 이상의 측면을 갖는 다각형이다. 따라서, 도 23의 평면도에서 보면, 큐브코너 피라미드(296, 298)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육각형 윤곽을 갖기 보다는 각각 점선으로 도시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홈(272c)의 깊이가 모두 동일한 실시예에서, 큐브 코너 요소(296, 298)는 대칭 진입 경사도를 제공하는 대향하거나 짝을 이룬 큐브 코너 요소이다. 또한, 큐브 코너 요소의 평면도의 직사각형 윤곽은 종횡비에 따라 정사각형 윤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큐브 코너 요소는 필요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경사지거나 경사지지 않을 수 있다. 다이아몬드 형태의 돌출부 형상을 재단한 후, 홈이진 측면(g, h, i, j, k, l)의 방위를 필요한 경사 각도에 일치시킴으로써, 보다 크거나 작은 각도로 경사진 큐브 코너 요소를 만들어낸다. 만약, 캔팅(canting)이 이용되면, 상기 짝을 이루는 쌍은, 미국 특허 제4,588,288호(후프만), 제5,812,315호(스미스 등) 및 제5,822,121호(스미스 등)에서 설명된 원칙을 지키면서, 구조화면을 구비한 물품이 확장된 진입각의 범위에 걸쳐서 보여질 수 있도록 재귀반사 경사도가 넓어질 수 있다.
가파르게 경사진 측벽과 이후에 가공되는 면 사이의 각도는 대개 10°를 초과하고, 일반적으로 약 10°내지 약 45°의 범위에 있으므로, 본 발명의 가공 공정 동안에 절삭 도구는 비교적 많은 양의 재료를 제거한다. 그 후, 어느 한 가공 단계 중에 또는 모든 가공 단계 중에 공동 또는 돌출부에 더 많은 재료를 남겨놓아서 유익하지 못하게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공구의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홈이진 측면의 일부가 이와 같이 변형된 기계 가공된 기재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이점으로는 절삭 도구가 덜 마모된다는 것이다. 또한, 변형된 기계 가공된 기재를 양각/음각 몰드가 이후에 그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는 마스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변형된 기계 가공된 기재에 대한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는 "복합면을 구비한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화면 물품과 그 제조 방법"란 제목으로 본원과 동일자로 공동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09/515,120호(대리인 처리 번호 제54222USA1A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큐브 코너 요소는, 물품에 의해 재귀반사된 빛을 미국 특허 제4,775,219호(애플던 등)에 교시된 바람직한 패턴 또는 발산 프로파일로 분산시키도록 개별적으로 재단될 수 있다. 예컨대, PG 큐브 코너 요소를 구성하는 복합면은, 큐브 코너 요소의 다른면과 서로 직교하는 방위와 소량으로, 예컨대 작은 각분(arc-minute)으로 차이가 나는 방위의 반복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는 "홈의 반각 오차(groove half-angle error)"로 알려진 양만큼 상호 직교하는 면을 만드는 각도와 다른 각도로 홈이진 측면(궁극적으로 변환선 아래에서 완성 몰드의 면이 될 뿐만 아니라 변환선 위에서 완성 몰드의 면이 됨)을 가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도되는 홈의 반각 오차는 ±20 각분 미만이며 대개 ±5 각분 미만이다. 일련의 연속 평행한 홈이진 측면은, abbaabba... 또는 abcdabcd(여기에서, a, b, c, d는 고유의 양의 값 또는 음의 값) 등과 같은 홈의 반각 오차의 반복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서, 변환 평면 위의 완성 몰드에서 면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홈의 반각 오차의 패턴은, 변환 평면 아래의 완성 몰드에서 면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홈의 반각 오차와 짝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기계 가공된 기재 및 복제된 기재의 각 복합면의 일부는 실질적으로 서로 각을 이루어 배열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한 세트의 면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패턴은 다른 세트의 면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패턴과 다를 수 있으며, 이 경우 변환 평면 아래의 면은 소정 패턴의 논제로(non-zero) 각도 오차를 포함하고, 변환 평면 위의 면은 실질적으로 각도 오차가 없거나 상이한 패턴의 논제로 오차를 포함한다. 후자의 경우, 기계 가공된 기재 및 복제된 기재의 각 복합면의 일부분은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각을 이루어 배열되지 않을 것이다.
유익하게는, 상기 기재는 양각/음각 몰드가 이후에 그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는 마스터 기재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평면도에서는 큐브 코너 요소의 일반 형상이 동일하지만 면의 형상이 약간 다르다. 이러한 자(子)몰드 중 하나는 복합면을 구비하는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복합면은 그 구성면들이 정렬되고 모두 큐브 코너 요소의 나머지 면에 대해 상호 직교한다. 다른 자몰드는 복합면을 구비하는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복합면은 그 구성면들이 정렬되지만 큐브 코너 요소의 나머지 면과 직교하는 것과는 구별될 수 있다. 또 다른 자몰드는 그 구성면이 비정렬된 복합면을 구비하는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든 자몰드는 최소량의 재료가 가공에 의해 제거된 하나의 마스터 몰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몰드 기재의 작업 표면은 임의의 적절한 물리적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선택 기준에는 최종 몰드 표면의 바람직한 크기와, 홈 표면을 절삭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의 각도 및 이송의 정확성이 포함된다. 작업 표면은 각각 횡치수 및/또는 큐브 높이가 바람직하게는 약 25 ㎛ 내지 1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25 ㎛ 내지0.25 mm인 2개의 큐브 코너 요소보다 큰 최소 횡치수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작업 표면은 한 측면이 수 인치인 정사각형이며, 4 인치(10 cm)의 측면이 표준이다. 전체 구조화면 위에 형성된 표면과 정합하는 홈을 보다 용이하게 절삭하기 위해, 보다 작은 치수를 이용할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약 0.5 내지 2.5 mm 일 수 있다. (본원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면 이에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보다 얇은 베이스에 얇은 기재를 설치하여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완성 몰드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이후에 타일식 재귀반사 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큰 타일식 몰드를 생산하는 공지의 타일링 장치에서 용접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재귀반사 시트 등과 같은 재귀반사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기계 가공된 기재의 구조화면은 전기 주조 기술 또는 그 밖의 통상적인 복제 기술을 이용하여 복제될 수 있는 마스트 몰드로서 사용된다. 구조화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크기, 기하 구조 또는 방위가 다른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종종 해당 분야에서 "스탬퍼(stamper)"라고 불리우는 복제물의 구조화면은 큐브 코너 요소의 음각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 복제물은 재귀반사 제품을 형성하는 몰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적절한 복제물을 나란히 조립하여, 타일식 재귀반사 시트를 형성하는 데 유용할 정도로 충분히 큰 타일식 몰드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일반적이다. 그 후, 예컨대 전술된 바와 같은 큐브 코너 요소의 어레이를 구비한 예비 성형 시트를 엠보싱하거나 유체 물질을 몰드에 캐스팅함으로써, 재귀반사 시트를 내부 물질로서 제조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8-309851호 및 미국 특허 제4,601,861(프리콘)을 참조하라. 별법으로서, PCT 출원 제WO 95/11464호(벤슨 쥬니어 등)와 미국 특허 제3,684,348호에 교시된 바와 같이 예비 성형 필름에 대해 큐브 코너 요소를 캐스팅하거나, 예비 성형 필름을 예비 성형 큐브 코너 요소에 적층시킴으로써, 재귀반사 시트가 층상 제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시트는 니켈을 마스트 몰드 상에 전해 침적하여 형성된 니켈 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기 주조 몰드는 몰드의 패턴을 두께가 약 500 ㎛이고 굴절률이 약 1.59인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에 엠보싱하는 스탬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약 175 내지 200 ℃의 온도에서 프레싱이 수행되는 경우, 프레스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몰드 기재는 일반적으로 2개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이전의 기재로부터의 복제에 의해 구조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복제된 기재와 그렇지 않는 벌크 기재로 분류될 수 있다. 벌크 몰드 기재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재료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버(burr)의 형성없이 깨끗하게 가공될 수 있고 홈의 형성 이후에 치수의 정확도가 유지되는 임의의 물질을 포함한다. 기계 가공 가능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다양한 재료가 이용될 수도 있다. 아크릴은 플라스틱 물질의 예이며, 알루미늄, 황동, 무전해 니켈 및 구리는 유용한 금속의 예이다.
이후에 가공되지 않는 복제된 몰드 기재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재료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이전의 구조화면에 대하여 신뢰할 만한 충실도를 유지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한다.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등과 같이 열 엠보싱되거나 캐스팅되는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전해 니켈 또는 니켈 합금 등의 금속도 도한 적절하다.
그 구조화면이 이후에 가공되는 복제된 몰드 기재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재료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재료는, 이전의 구조화면에 대한 신뢰할 만한 충실도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다이아몬드 가공에도 적합한 저신축성 또는 저팽창성, 저응력 등의 물리적 특성을 가져야 한다. 아크릴(PMMA) 등의 플라스틱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는 열 엠보싱에 의해 복제된 후, 다이아몬드 가공된다. 적절한 경질의 또는 연질의 금속으로는 전착된 구리, 무전해 니켈,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성물 등이 있다.
이러한 몰드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조되는 재귀반사 시트에 대해 유용한 시트 재료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이고, 내구성이 있으며, 내후성이 있고, 필요한 형상으로 쉽게 성형 가능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재료의 예로는 일반적으로 굴절률이 약 1.5 이고 롬 앤드 하스(Rohm and Haas)의 플렉시글라스 수지 등의 아크릴; 굴절률이 약 1.6인 열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및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방사선 경화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계 이오노머('술린'이란 이름으로 시판); 폴리에스터; 및 아세트산 부티르산 셀룰로오스 등이 있다. 대개 가압 및 가열 조건하에서 성형 가능한 임의의 광투과성 재료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재귀반사 시트를 형성하는 데 적절한 그 밖의 재료는 미국 특허 제5,450,235호(스미스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시트는 필요에 따라 착색제, 염료, UV 흡수제 또는 그 밖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환경에서는 받침층(backing layer)을 구비한 재귀반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받침층은 전반사 원리에 따라 빛을 반사시키는 재귀반사 시트용으로 유용하다. 적절한 받침층은 개시된 재귀반사 시트와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유색 물질을 포함하는 임의의 투명 또는 불투명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배킹 물질로는 알루미늄 시트; 아연 도금된 철; 폴리메틸메타클레이트,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폴리불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등의 폴리머 물질; 및 상기한 그리고 그 외의 물질로 제조되는 다양한 라미네이츠 등이 있다.
상기 받침층 또는 시트는 격자 패턴 또는 반사 요소에 적합한 그 밖의 임의의 형태로 밀봉될 수 있다. 반사 요소의 어레이 상의 별개의 위치에서 용접, 접착제 또는 열밀봉 등의 많은 방법을 사용하여 밀봉시킬 수 있다(예컨대, 미국 특허 제3,924,928호 참조). 흙 및/또는 습기 등의 오염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고 큐브 코너 요소의 반사 표면에 인접한 공기 공간을 보호하기 위해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물에 추가의 강도 또는 조도가 필요하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티레이트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받침층이 사용될 수 있다. 최종 재귀반사 물질의 유연도에 따라, 이 물질은 압연되거나 스트립 또는 그 밖의 적절한 디자인으로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재귀반사 물질은 접착제 및 릴리스 시트로 뒤를 대어서,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그 밖의 체결 수단을 사용하는 추가의 단계 없이 임의의 기판에 사용하기에 유용하게 될 수 있다.
<선택된 용어의 해설>
"이웃하는 큐브 코너 요소의 어레이"는 그에 접하는 모든 인접한 큐브 코너 요소와 함께 있는 소정의 큐브 코너 요소를 의미한다.
"복합면"은 서로 아주 가까운 2개 이상의 구별 가능한 면("구성면"이라고 칭함)으로 이루어진 면을 의미한다. 상기 구성면은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있지만,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필요한 광학 효과를 얻기 위해 서로에 대해 비교적 소량(약 10°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미만)으로 병진 및/또는 회전 오프셋될 수 있다.
"복합 기재"는 구조화면을 갖는 기계 가공된 기재와, 적어도 이 기계 가공된 기재와의 계면부를 따라 접합되는 복제된 기재(통틀어서 "층"이라고 칭함)로 형성되는 기재를 의미한다. 복합 기재의 하나 이상의 층은 불연속할 수 있다.
"큐브 코너 공동"은 큐브 코너 요소로서 배열된 3개의 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가 정해지는 공동을 의미한다.
"큐브 코너 요소"는 서로 협동하여 빛을 재귀반사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바람직한 위치로 빛을 향하게 하는 3개의 면의 세트를 의미한다. 또한, "큐브 코너 요소"는 그 자체가 빛을 재귀반사하지 않거나 그렇지 않으면 바람직한 위치로 빛을 향하게 하지 않지만, 만약 적절한 기재에 복제된다면(양각 또는 음각으로) 빛을 재귀반사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바람직한 위치로 빛을 향하게 하는 3개의 면의 세트를 형성하는 3개의 면의 세트를 포함한다.
"큐브 코너 피라미드"는 큐브 코너로서 배열된 3개 이상의 측면을 구비하는소정량의 물질을 의미한다.
"큐브 높이"는 기재에 형성되거나 형성 가능한 큐브 코너 요소에 있어서, 기재에 수직한 축선을 따라 큐브 코너 요소의 부분 사이의 최대 거리를 의미한다.
큐브 코너 요소의 "이면 에지(dihedral edge)"는 큐브 코너 요소의 3개의 면 중 하나의 에지로서, 동일한 큐브 코너 요소의 다른 2개의 면 중 하나와 접하는 에지이다. 대상 큐브 코너 요소에 따라, 구조화면의 임의의 특정 에지는 이면 에지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하라.
"직접 가공"은 전형적으로는 기재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선을 따라 절삭 도구를 천천히 이송시켜, 기재의 평면에 하나 이상의 홈이진 측면을 형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면"은 실질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의미한다.
"기하학적 구조"는 복수 개의 면을 갖는 돌출부 또는 공동을 의미한다.
"홈"은 홈의 축선을 따라 신장되고, 2개의 대향하는 홈이진 측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가 형성되는 공동을 의미한다.
"홈이진 측면(groove side surface)"은 하나 이상의 절삭 도구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직선형 동작으로 기재를 가로질러 천천히 이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표면 또는 일련의 표면을 의미한다. 상기 동작은 절삭 도구가 실질적으로 직선형 경로를 따라 전진하는 동시에 회전하는 플라이 컷팅 기술을 포함한다.
큐브 코너 요소의 "비이면 에지"는 큐브 코너 요소의 3개의 면 중 하나의 에지로서, 상기 큐브 코너 요소의 이면 에지가 아닌 것이다. 대상 큐브 코너 요소에따라, 구조화면의 임의의 특정 에지는 비이면 에지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하라.
"PG 큐브 코너 요소"는 "바람직한 기하 구조"의 큐브 코너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준 평면을 따라 연장하는 큐브 코너 요소의 구조화면과 관련하여 정의된다. 본 출원에서는, PG 큐브 코너 요소는 하나 이상의 비이면 에지, 다시 말해서 (1) 기준면에 평행하지 않고; (2) 이웃하는 큐브 코너 요소의 인접한 비이면 에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비이면 에지를 갖는 큐브 코너 요소를 의미한다. 3개의 반사면이 모두 직사각형(정사각형 포함)인 큐브 코너 요소는 PG 큐브 코너 요소의 한 가지 예이다.
"돌출부"는 그 보통의 일반적인 의미를 가지며, 피라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피라미드"는 정상에서 만나는 3개 이상의 측면을 갖는 돌출부를 의미하며, 절두형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평면"은 한 그룹의 인접한 큐브 코너 요소 또는 그 밖의 기하학적 구조 부근의 평면에 가까이 있는 평면 또는 그 밖의 표면을 의미하며, 상기 큐브 코너 요소 도는 기하학적 구조는 상기 평면을 따라 배치된다.
"재귀반사성"이란 경사지게 입사한 빛이 그 입사 방향에 역평행한 방향 또는 거의 역평행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광원에 또는 그 부근에 있는 관찰자가 반사된 빛을 알아챌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표면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구조화"는 다양한 방위로 배열된 복수 개의 별개의 면을 구비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큐브 코너 요소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대칭 축선"은 큐브 코너의 정점을 향하고 큐브 코너 요소의 3개의 면에 대해 동일한 예각을 형성하는 벡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큐브 코너 요소의 광학 축선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변환선"은 복합면의 구성면을 분리하는 선 또는 그 밖의 긴 특징부를 의미한다.
"폐기 조각"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버려지는 복합 기재의 부분을 의미한다.
본 원에 참조된 모든 특허 및 특허 출원은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Claims (37)

  1. 복합 기재에 배치된 복수 개의 면을 구비하는 기하학적 구조로서, 상기 복합 기재는 기계 가공된 기재와 실질적으로 복제된 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에 위치하고 상기 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복제된 기재에 위치하는 것인 기하학적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기하학적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 중 하나 이상은 복합면을 포함하고, 이 복합면의 일부는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에 위치하며, 복합면의 일부는 상기 복제된 기재에 위치하는 것인 기하학적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 상의 복합면 부분은 상기 복제된 기재 상의 복합면 부분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것인 기하학적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 상의 복합면 부분과 상기 복제된 기재 상의 복합면 부분은 10°미만으로 차이가 나는 각도 방위를 갖는 것인 기하학적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면은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 상의 부분과 상기 복제된 기재 상의 부분을 분리하는 변환선을 갖는 것인 기하학적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면은 큐브 코너 요소의 비이면 에지에서 종결되고, 상기 변환선은 비이면 에지에 평행하지 않는 것인 기하학적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육각형과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형상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윤곽을 갖는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기하학적 구조.
  9. 제1항에 기술된 복수 개의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몰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기하학적 구조는 복수 개의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몰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큐브 코너 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PG 큐브 코너 요소인 것인 몰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큐브 코너 요소는 복제된 기재에 형성된 공동과 기계 가공된 기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피라미드를 포함하는 구조화면의 부분인 것인 몰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 코너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대향하는 방위로 배열되는 것인 몰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 코너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지고, 짝을 이루는 큐브 코너 요소를 형성하는 것인 몰드.
  15. 제11항의 몰드로부터 한 번 이상 복제하여 제조되는 재귀반사 물품.
  16. 구조화면을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복제된 기재와, 이 구조화면의 일부 만을 덮는 불연속 기계 가공된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화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면과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면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기하학적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복합 기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구조는 큐브 높이가 약 1 mm 미만인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면과 하나 이상의 다른 면은 큐브 코너 요소의 이면 에지에 평행하지 않는 변환선의 대향측에 배치되는 것인 복합 기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면과 하나 이상의 다른 면은 변환선의대향측에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모든 변환선은 기준 평면에 평행한 것인 복합 기재.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구조는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육각형과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형상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윤곽을 갖는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기재.
  20. 실질적으로 복제된 기재와 기계 가공된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제된 기재는 구조화면을 구비하며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는 상기 구조화면에서 분리된 조각으로 배치되는 것인 복합 기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화면은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된 조각은 이 공동에 인접한 복수 개의 피라미드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 기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피라미드 및 공동은 대칭의 진입 경사도와 관련이 있는 큐브 코너 요소를 형성하는 것인 복합 기재.
  23. 제20항의 복합 기재로부터 한 번 이상 복제하여 제조되는 큐브 코너 물품.
  24. 물품에 기하학적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2개의 기재 사이의 내측 계면을 따라 형성된 구조화면을 구비한 복합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복합 기재의 노출된 표면에 홈이진 측면을 형성하여, 내측 계면 부분과 홈이진 측면 부분을 포함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형성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구조는 큐브 코너 요소 또는 PG 큐브 코너 요소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형성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기재 제공 단계는 2개의 기재 중 하나 이상의 기재의 표면을 부동화시키는 단계와, 부동화된 표면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형성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구조 형성 단계는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큐브 코너 요소의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형성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 코너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지고, 대향하는 방위로 배열되는 것인 형성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기재 중 하나 이상의 기재에 하나 이상의 기준표시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형성 방법.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진 측면은 공동 평면에 평행한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것인 형성 방법.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기재 제공 단계는
    제1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1 기재의 제1 표면에 복수 개의 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면 위에서 제2 기재를 복제물로서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형성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에 복수 개의 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평행한 v형 홈의 2개 이상의 교차 세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형성 방법.
  33.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진 측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2개의 기재 중 하나의 기재의 분리된 조각을 다른 기재 상에 형성하고, 내측 계면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분리된 조각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형성 방법.
  34. 제24항에 있어서, 재귀반사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기하학적 구조를 복제하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형성 방법.
  3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진 측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3면 기하학적 구조 및 4면 기하학적 구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복수개의 기하학적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형성 방법.
  36. 복수 개의 면을 갖는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화면 물품의 형성 방법으로서,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1 표면에 복수 개의 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복합 기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계 가공된 기재의 복제된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기계 가공된 기재의 제2 표면에 복수 개의 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기계 가공된 기재에 배치된 제1 면과 복제된 기재에 배치된 제2 면을 적어도 구비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기계 가공된 기재의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형성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구조는 각각 큐브 코너 요소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기하학적 구조의 하나이며, 상기 큐브 코너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대향하는 방위로 배열되는 것인 형성 방법.
KR1020027011083A 2000-02-25 2000-08-29 복합면을 갖는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몰드 및구조화면 물품과 그 제조 방법 KR100654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15,978 US8728610B2 (en) 2000-02-25 2000-02-25 Compound mold and structured surface articles containing geometric structures with compound fa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09/515,978 2000-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448A true KR20020075448A (ko) 2002-10-04
KR100654654B1 KR100654654B1 (ko) 2006-12-07

Family

ID=2405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083A KR100654654B1 (ko) 2000-02-25 2000-08-29 복합면을 갖는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몰드 및구조화면 물품과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8728610B2 (ko)
EP (1) EP1257401B1 (ko)
JP (1) JP4588959B2 (ko)
KR (1) KR100654654B1 (ko)
CN (1) CN100354098C (ko)
AT (1) ATE298656T1 (ko)
AU (1) AU2000270860A1 (ko)
DE (1) DE60021121T2 (ko)
WO (1) WO2001062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8610B2 (en) * 2000-02-25 2014-05-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und mold and structured surface articles containing geometric structures with compound fa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884371B2 (en) 2003-03-06 2005-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retroreflective sheeting and articles
WO2005065430A2 (en) 2003-12-31 2005-07-21 Microfabrica Inc. Electrochemical fabrication methods for producing multilayer structures including the use of diamond machining in the planarization of deposits of material
PL2238485T3 (pl) * 2008-01-14 2022-04-19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flektor odblaskowy do użytku w zastosowaniach ekranów dotykowych i układach do wykrywania położenia
US20110216411A1 (en) * 2010-03-05 2011-09-08 David Reed Patterned sheeting with periodic rotated patterned regions
TWI453927B (zh) * 2011-06-29 2014-09-21 Ind Tech Res Inst 多重反射結構以及光電元件
US9719206B2 (en) 2012-09-14 2017-08-01 Under Armour, Inc. Apparel with heat retention lay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50116812A (ko) * 2013-02-11 2015-10-16 오라폴 아메리카스 인코포레이티드 육각모 반사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D765427S1 (en) 2013-03-11 2016-09-06 Under Armour, Inc. Upper body garment with areas of interior surface ornamentation
USD758745S1 (en) 2013-03-11 2016-06-14 Under Armour, Inc. Lower body garment with outer surface ornamentation
USD766599S1 (en) 2013-03-11 2016-09-20 Under Armour, Inc. Lower body garment with inner surface ornamentation
US20150130651A1 (en) * 2013-11-10 2015-05-14 Chris Mogridge Passive Radar Activated Anti-Collision Apparatus
USD810323S1 (en) * 2014-02-04 2018-02-13 Federico Gigli Tile
CN104133259A (zh) * 2014-07-04 2014-11-05 西南科技大学 基于基片组装技术的逆反射膜
EP3231578A4 (en) * 2014-12-10 2018-08-22 Toppan Printing Co., Ltd. Embossed sheet and decorative sheet
US10925268B1 (en) * 2015-03-13 2021-02-23 Ray D. Flasco Inside corner cubic surface reflector fishing lure
USD791981S1 (en) * 2015-07-17 2017-07-11 Arktura Llc Architectural panel
USD814460S1 (en) 2016-05-14 2018-04-0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ata storage device
USD811391S1 (en) * 2016-05-14 2018-02-27 Wets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ata storage device
JP6911134B2 (ja) 2017-02-14 2021-07-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微細構造を製造するためのエンドミル加工法、微細構造を含むツール、及び微細構造
US10723299B2 (en) * 2017-05-18 2020-07-28 Srg Global Inc. Vehicle body components comprising retroreflector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US20180337460A1 (en) * 2017-05-18 2018-11-22 Srg Global Inc. Vehicle body components comprising retroreflectors and their methods of manufacture
CN111247460A (zh) 2017-08-29 2020-06-05 艾利丹尼森公司 用于基于投影机的显示系统的回射片
CN114689098B (zh) * 2020-06-18 2024-01-16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超声旋转编码器
USD993637S1 (en) * 2020-09-30 2023-08-01 Rivian Ip Holdings, Llc Tile with pattern
CN112621894B (zh) * 2020-12-04 2022-09-13 广东工业大学 一种回复反射器阵列加工方法及装置
US11124932B1 (en) * 2021-04-30 2021-09-21 Mark Joseph O'Neill Retroreflective traffic stripe for both dry and wet weather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0790A (en) 1943-02-09 Optical reflecting material
US1194294A (en) 1916-08-08 Emil gottfried johastsobt
US1591572A (en) 1925-02-05 1926-07-06 Jonathan C Stimso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central triple reflectors
GB423464A (en) 1932-12-31 1935-02-01 Gustave Leray Improvements in light reflectors
GB441319A (en) 1933-12-21 1936-01-16 Gustave Lera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ght reflectors
US2407680A (en) 1945-03-02 1946-09-17 Minnesota Mining & Mfg Reflex light reflector
US3190178A (en) 1961-06-29 1965-06-22 Minnesota Mining & Mfg Reflex-reflecting sheeting
US3924929A (en) 1966-11-14 1975-12-09 Minnesota Mining & Mfg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
US3417959A (en) 1966-11-14 1968-12-24 Minnesota Mining & Mfg Die for forming retro-reflective article
US4208090A (en) 1967-03-24 1980-06-17 Amerace Corporation Reflector structure
US3922065A (en) 1968-05-31 1975-11-25 Minnesota Mining & Mfg Cube-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
US3649153A (en) 1969-11-04 1972-03-14 Peter E Brudy Faceted core
US3632695A (en) 1970-03-05 1972-01-04 Reflex Corp Canada Ltd Making a combined lens and reflector
US3741623A (en) 1970-08-14 1973-06-26 Reflex Corp Canada Ltd Combined lens and reflector
US3689346A (en) 1970-09-29 1972-09-05 Rowland Dev Corp Method for producing retroreflective material
US3684348A (en) * 1970-09-29 1972-08-15 Rowland Dev Corp Retroreflective material
US3810804A (en) 1970-09-29 1974-05-14 Rowland Dev Corp Method of making retroreflective material
US3712706A (en) 1971-01-04 1973-01-23 American Cyanamid Co Retroreflective surface
US3811983A (en) 1972-06-23 1974-05-21 Rowland Dev Corp Method for producing retroreflective sheeting
US3873184A (en) 1973-02-16 1975-03-25 Amerace Esna Corp Reflector with interspersed angled reflex elements
US3926402A (en) 1973-04-24 1975-12-16 Amerace Corp Pin having nonaligned cube axis and pin axis and bundle of such pins
US3924928A (en) 1975-03-12 1975-12-09 Robert C Trimble Attachment for reflectors for spoke wheels
US4025159A (en) 1976-02-17 1977-05-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ellular retroreflective sheeting
US4066236A (en) 1976-06-25 1978-01-03 Beatrice Foods Co. Cube corner type retroreflector bodies and molds made therewith
US4066331A (en) 1976-06-25 1978-01-03 Beatrice Foods Co. Cube corner type retroreflectors with improved cube corner unit relationships
US4095773A (en) 1976-11-18 1978-06-20 Beatrice Foods Co. Subassemblies for cube corner type retroreflector molds
US4349598A (en) 1976-12-01 1982-09-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incidence angle retroreflective material
US4149304A (en) 1977-09-12 1979-04-17 Brynjegard Olaf G Method of making rolls for forming radar reflective surfaces
US4202600A (en) 1978-04-24 1980-05-13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Diced retroreflective sheeting
DE2825536A1 (de) 1978-06-10 1979-12-20 Benteler Werke Ag Als wandelement ausgebildeter wassergekuehlter kasten fuer einen schmelzofen
US4576850A (en) 1978-07-20 1986-03-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aped plastic articles having replicated microstructure surfaces
US4668558A (en) 1978-07-20 1987-05-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aped plastic articles having replicated microstructure surfaces
US4582885A (en) 1978-07-20 1986-04-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aped plastic articles having replicated microstructure surfaces
US4243618A (en) 1978-10-23 1981-01-06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retroreflective sheeting
JPS57138510A (en) 1981-02-20 1982-08-26 Toshiba Corp Machining method of part having three dimensional curved surface
US4498733A (en) 1982-07-02 1985-02-12 Amerace Corporation Reflector structure
US4478769A (en) 1982-09-30 1984-10-23 Amerace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an embossing tool with an optically precise pattern
US5156863A (en) 1982-09-30 1992-10-20 Stimsonite Corporation Continuous embossing belt
US4601861A (en) 1982-09-30 1986-07-22 Amerac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embossing a precision optical pattern in a resinous sheet or laminate
US4588258A (en) 1983-09-12 1986-05-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ube-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wide angularity in multiple viewing planes
US4618518A (en) 1984-08-10 1986-10-21 Amerace Corporation Retroreflective sheeting and methods for making same
CH670137A5 (de) 1985-03-06 1989-05-12 Fischer Ag Geor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undnockenwelle.
US4726706A (en) 1986-06-02 1988-02-23 Attar Adil H Reflective pavement marker
US4938563A (en) 1986-11-21 1990-07-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efficiency cube corner retroflective material
US4775219A (en) 1986-11-21 1988-10-04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Cube-corner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tailored divergence profiles
JPS63306824A (ja) 1987-06-02 1988-12-14 Shizuoka Seiki Co Ltd 電解加工による仕上げ加工方法
US4801193A (en) 1988-03-04 1989-01-31 Reflexite Corporation Retroreflective sheet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895428A (en) 1988-07-26 1990-01-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efficiency retroreflective material
US5183597A (en) * 1989-02-10 1993-02-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olding microstructure bearing composite plastic articles
US5175030A (en) * 1989-02-10 1992-12-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icrostructure-bearing composite plastic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JPH07106625B2 (ja) * 1989-03-10 1995-11-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US5122902A (en) * 1989-03-31 1992-06-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roreflective articles having light-transmissive surfaces
US5171624A (en) * 1990-06-01 1992-12-15 Reflexite Corporation Retroreflective microprismatic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117304A (en) 1990-09-21 1992-05-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roreflective article
JP2984127B2 (ja) 1991-12-18 1999-11-29 光洋精工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ス製ころ及びその製造方法
DE4242264C2 (de) 1992-12-15 1994-09-22 Gubela Sen Hans Erich Körper oder Bauteil mit einer Mikrodoppeltripel aufweisenden Oberfläch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Körpers oder Bauteils
US5657126A (en) * 1992-12-21 1997-08-12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Nebraska Ellipsometer
US5648145A (en) * 1993-09-10 1997-07-15 Reflexite Corporation Fire-resistant, retroreflective structure
JP3561975B2 (ja) 1993-09-16 2004-09-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金属部品の製造方法
EP0724739B1 (en) 1993-10-20 1999-09-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aised zone retroreflective cube corner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DE69429924T2 (de) * 1993-10-20 2002-08-22 Minnesota Mining & Mfg Direktmechanisch hergestellter stufenstrukturierter retroreflektiver würfelecken-körper und herstellungsverfahren
US5614286A (en) * 1993-10-20 1997-03-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nformable cube 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DE69411936T2 (de) 1993-10-20 1999-04-08 Minnesota Mining & Mfg Ultraflexible retroreflektive würfeleckige zusammengetzte folie und herstellungsverfahren
US5600484A (en) 1993-10-20 1997-02-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achining techniques for retroreflective cube corner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759468A (en) * 1993-10-20 1998-06-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aised zone retroreflective cube corner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450235A (en) 1993-10-20 1995-09-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exible cube-corner retroreflective sheeting
CA2173231A1 (en) * 1993-10-20 1995-04-27 Gerald M. Benson Asymetric cube corner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DE4429080C1 (de) 1994-08-17 1996-02-08 Technoglas Neuhau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ismen, insbesondere Mikroprismen
DE4429683C1 (de) 1994-08-22 1996-03-21 Gubela Sen Hans Erich Körper oder Bauteil eines strangförmigen Tripelreflektors und/ oder Werkzeugelements zur Abformung von Tripelreflektoren
US5565151A (en) * 1994-09-28 1996-10-15 Reflexite Corporation Retroreflective prism structure with windows formed thereon
JP2802484B2 (ja) * 1995-06-12 1998-09-24 明和グラビア株式会社 色彩や濃度が変化する装飾シート
EP0822881B1 (en) 1995-04-26 2009-08-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aser imaging ablation method
JPH08309851A (ja) 1995-05-17 1996-11-26 Idemitsu Petrochem Co Ltd エンボスパターンを有する面状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及び装置
DE69629685T2 (de) 1995-06-09 2004-06-17 Minnesota Mining And Mfg. Co., Saint Paul Retroflektierender, würfeleckiger körper mit ungleichseitigen basisdreiecken
US5657162A (en) * 1995-07-26 1997-08-12 Reflexite Corporation Retroreflective articles with multiple size prisms in multiple locations
CN1068822C (zh) 1995-07-28 2001-07-25 日本碳化物工业株式会社 微棱镜母型的制造方法
US5706132A (en) 1996-01-19 1998-01-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al orientation retroreflective sheeting
US6083607A (en) * 1996-10-18 2000-07-04 Nippon Carbide Kogyo Kabushiki Kaisha Triangular pyramidal cube corner type retroreflective sheet
US6021559A (en) 1996-11-01 2000-0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of making a cube corner article master mold
US5734501A (en) 1996-11-01 1998-03-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ly canted retroreflective cube corner article
DE19755061C2 (de) 1996-12-19 2003-04-3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wendung eines Verfahrens zur Beschichtung und Bearbeitung bei einem Bremsenbauteil sowie zugehöriges Bremsenbauteil
WO1998056966A1 (en) 1997-06-12 1998-12-17 Purdue Research Foundation Corner cube arrays and manufacture thereof
EP1017557B1 (en) * 1997-07-02 2004-12-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ube corner sheeting mol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U5356898A (en) 1997-07-02 1999-01-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troreflective cube corner sheeting, molds therefore, and methods of making thesame
EP2244110A3 (en) 1999-04-07 2011-01-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ld with structured surface and retroreflective article made using the mold
US6540367B1 (en) 1999-04-07 2003-04-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uctured surface articles containing geometric structures with compound fac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8728610B2 (en) * 2000-02-25 2014-05-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und mold and structured surface articles containing geometric structures with compound fa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437749B2 (ja) 2005-01-06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ーナーキューブアレ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23847A (ja) 2003-08-12
EP1257401A1 (en) 2002-11-20
US20130148201A1 (en) 2013-06-13
US8728610B2 (en) 2014-05-20
AU2000270860A1 (en) 2001-09-03
US20030143378A1 (en) 2003-07-31
ATE298656T1 (de) 2005-07-15
CN100354098C (zh) 2007-12-12
US8852722B2 (en) 2014-10-07
US8394485B2 (en) 2013-03-12
US20110149395A1 (en) 2011-06-23
DE60021121D1 (de) 2005-08-04
WO2001062461A1 (en) 2001-08-30
US20050147796A1 (en) 2005-07-07
CN1452542A (zh) 2003-10-29
DE60021121T2 (de) 2006-05-11
EP1257401B1 (en) 2005-06-29
JP4588959B2 (ja) 2010-12-01
KR100654654B1 (ko)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654B1 (ko) 복합면을 갖는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몰드 및구조화면 물품과 그 제조 방법
US7384161B2 (en) Structured surface articles containing geometric structures with compound fac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3677042B2 (ja) 再帰反射性コーナキューブ物品とその製作方法
KR100501050B1 (ko) 재귀 반사성 큐브 코너 제품을 형성하는 주형에 사용하는 복수개의 박판의 제조 방법, 주형 및 그 주형으로 형성된 제품
KR100573526B1 (ko) 큐브 코너형 시트 성형 몰드와 그것의 제조 방법
KR100574610B1 (ko) 큐브 코너형 재귀 반사 시트, 그것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 및 그 몰드의 제조 방법
JP2002509495A (ja) 再帰反射性キューブコーナーシートの型、その型を形成する薄板およびその薄板の製造方法
KR100608530B1 (ko) 복합면을 갖춘 기하학적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