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388A -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조절 화합물 및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조절 화합물 및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388A
KR20020075388A KR1020027008569A KR20027008569A KR20020075388A KR 20020075388 A KR20020075388 A KR 20020075388A KR 1020027008569 A KR1020027008569 A KR 1020027008569A KR 20027008569 A KR20027008569 A KR 20027008569A KR 20020075388 A KR20020075388 A KR 20020075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ancer
animal
bone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리패드에스바그와트
제프리에이맥키
색캄뭉쿤
Original Assignee
시그널 파머슈티컬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492,939 external-priority patent/US6291456B1/en
Priority claimed from US09/611,156 external-priority patent/US6331562B1/en
Application filed by 시그널 파머슈티컬스 인크 filed Critical 시그널 파머슈티컬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2007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38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2Ophthalmic agents for cata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0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311/0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 C07D311/1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substituted in position 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docri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mmu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ncology (AREA)
  • Psychiatr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에스트로겐 수용체(ER)를 통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뿐만 아니라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개시하며, 화학식 I에서 R1, R2, R3, n 및 p는 본 원에 정의한 바와 같다. 특정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ER-α에 비해 ER-β에 대한 선택적 조절인자이다. ER-β를 우선적으로 발현하는 세포 및/또는 조직을 포함하여, 상기를 발현하는 세포 및/또는 조직에서 상기 ER-β를 조절하는 방법을 또한 개시한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에스트로겐 관련 증상들, 예를 들어 유방암, 고환암, 골다공증, 자궁내막증, 심혈관 질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전립선 비대증, 비만, 전립선 암종, 일과성 열감, 피부 효과, 기분 전환, 기억력 상실, 요실금, 탈모, 백내장, 선천적인 호르몬 불균형, 및 환경적 화학물질에의 노출과 관련된 불리한 생식력 영향의 치료 방법을 또한 개시한다.

Description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조절 화합물 및 조절 방법{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ON OF ESTROGEN RECEPTORS}
본 출원은 1998년 12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 출원 제 60/114,472 호의 이점을 청구하며, 1999년 12월 30일자로 출원된 PCT/US99/31290, 1999년 12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 09/475,776 호 및 2000년 1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 09/492,939 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상기 출원들은 각각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에스트로겐 호르몬은 여성과 남성 모두의 조직에 대해 광범위한 효과를 갖는다. 다수의 이러한 생물학적 효과는 골 밀도의 유지, 심혈관 보호, 중추 신경계(CNS) 기능, 및 기관계의 노화 작용으로부터의 보호를 비롯하여 긍정적이다. 그러나, 상기 긍정적인 효과 이외에, 에스트로겐은 또한 암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유방 및 자궁내막의 강력한 생육 인자이다.
최근까지, 에스트로겐은 세포에서 단일 에스트로겐 수용체(ER)에 결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하기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단순한 시각은 제 2 ER(ER-β)이 클로닝되고(원래의 ER은 ER-α라 명명함) 상기 ER 반응을 조절하는 보조 인자가 발견되었을 때 크게 변하였다. 리간드들은 2 개의 상이한 ER에 결합하며, 상기 ER들은 조직 특이적인 보조-활성인자 및/또는 보조-억제인자의 존재 하에 유전자의 조절 영역에서 에스트로겐 반응 요소에 또는 다른 전사 인자들에 결합한다. ER-α 및 ER-β, 및 그의 보조 인자들의 조직 특이적인 발현과 함께 ER 신호화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현재는 ER 리간드들이 조직 특이적인 방식으로 에스트로겐의 긍정적인 효과를 모방하거나 부정적인 효과를 차단하는 에스트로겐 작용물질 및 길항물질로서 작용할 수 있음이 인식되고 있다. 이는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또는 SERM이라 칭하는 전혀 새로운 약물 군의 발견을 낳았다. 이러한 약물은 암과 골다공증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 및 신경퇴행성 질환, 예를 들어 알쯔하이머 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상당한 잠재력을 갖는다.
골 재흡수 질병, 예를 들어 골다공증은 광범위한 집단이 앓고 있는 쇠약성 질환이며 이에 대해서는 단지 제한된 치료만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골다공증은 미국에서 50 대 이상 여성의 약 50% 및 상기 남성의 약 10%가 앓고 있다. 골다공증에 걸린 개인에서, 증가된 골 질량 손실로 부러지기 쉬운 뼈가 만들어지고, 그 결과 골 균열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다른 골 재흡수 질병들, 예를 들어 파제트 병 및 전이성 골암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낸다.
뼈는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세포를 함유하는 살아있는 조직이다. 건강한 개인에서, 조골세포에 의해 만들어지는 골량은 파골세포에 의해 제거되거나 재 흡수되는 양에 의해 균형을 이룬다. 골-재 흡수 질병을 앓고 있는 개인에서는 상기 2 가지 유형의 세포 작용간에 불균형이 존재한다. 추정 상 상기와 같은 불균형의 가장 널리 알려진 예는 폐경후 여성들이 경험하는 골 재흡수의 급속한 증가이다. 이러한 가속화된 골 손실은 폐경과 관련된 에스트로겐 결핍에 기인한다. 그러나, 에스트로겐 손실이 어떻게 증가된 골 재흡수를 일으키는 지에 대한 기전은 오래동안 논쟁이 되어왔다.
최근에, 연구자들은 골 재 흡수 시토킨, 예를 들어 인터류킨-1(IL-1) 및 종양 괴사 인자(TNF)의 증가가 폐경 후 골 손실의 원인이 될 수도 있고(Kimble et al., J. Biol. Chem. 271:28890-28897, 1996), 이러한 시토킨의 억제제가 설치류에서 난소제거에 따른 골 손실을 부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Pacifici, J. Bone Miner Res. 11:1043-1051, 1996)을 제안하였다. 더욱이, 에스트로겐의 중단은 쥐의 골수 및 골 세포에 의한 IL-6 분비를 증가시키며(Girasole et al., J. Clin. Invest. 89:883-891, 1992; Jilka et al., Science 257:88-91, 1992; Kimble et al., Endocrinology 136:3054-3061, 1995; Passseri et al., Endocrinology 133:822-828, 1993), IL-6에 대한 항체는 에스트로겐-고갈된 마우스에서 발생하는 파골세포 전구체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며(상기 Girasole et al.), 난소절제에 따른 골 손실은 IL-6가 결핍된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는 발생하지 않음이 보고되었다(Poli et al., EMBO J. 13:1189-1196, 1994).
골 손실을 늦추는 기존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에스트로겐, 비스포스포네이트, 칼시토닌 및 랄록시펜과 같은 화합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장기적인 치료에 사용되며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치료는 전형적으로는 파골세포의 형성을 감소시키기 보다는 성숙한 파골세포의 활성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은 파골세포의 세포소멸을 유도하는 반면, 칼시토닌은 파골세포를 수축시켜 골 표면으로부터의 탈착을 일으킨다(Hughes et al., Nat. Med. 2:1132-1136, 1996; Jilka et al., Exp. Hematol. 23:500-506, 1995). 유사하게,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파골세포 활성을 감소시키고, 그의 형태를 변화시키며, 파골세포의 세포소멸을 증가시킨다(Parfitt et al., J. Bone Miner 11:150-159, 1996; Suzuki et al., Endocrinology 137:4685-4690, 1996).
시토킨은 또한 각종 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전립선 암과 관련하여 연구자들은 IL-6이 자가분비/측분비 성장 인자이고(Seigall et al., Cancer Res. 50:7786, 1999), 종양의 생존을 향상시키며(Okamoto et al., Cancer Res. 57:141-146, 1997), IL-6 중화 항체가 세포 증식을 감소시킴(Okamoto et al., Endocrinology 138:5071-5073, 1997; Borsellino et al., Proc. Annu. Meet. Am. Assoc. Cancer Res. 37:A2801, 1996)을 보였다. 유사한 결과들이 다발성 골수종(Martinez-Maza et al., Res. Immunol. 143:764-769, 1992; Kawano et al., Blood 73:517-526, 1989; Zhang et al., Blood 74:11-13, 1989; Garrett et al., Bone 20:515-520, 1997; 및 Klein et al., Blood78:1198-12-4, 1991), 신장 세포 암종(Koo et al., Cancer Immunol. 35:97-105, 1992; Tsukamoto et al., J. Urol. 148:1778-1782, 1992; 및 Weissglas et al., Endocrinology 138:1879-1885, 1997), 및 자궁 경부 암종(Estuce et al., Gynecol. Oncol. 50:15-19, 1993; Tartour et al., Cancer Res. 54:6243-6248, 1994; 및 Iglesias et al., Am. J. Pathology 146:944-952, 1995)과 관련하여 IL-6에 대해 보고되었다.
더욱 또한, IL-6은 관절염, 특히 아주반트-, 콜라겐- 및 항원-유발된 관절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Alonzi et al., J. Exp. Med. 187:146-148, 1998; Ohshim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5:8222-8226, 1998; 및 Leisten et al., Clin. Immunol. Immunopathol 56:108-115, 1990), 항-IL-6 항체가 관절염의 치료에 대해 보고되었다(Wendling et al., J. Rheumatol. 20:259-262, 1993). 또한, 에스트로겐은 마우스에서 실험적인 자가면역 뇌척수염 및 콜라겐-유발된 관절염의 억제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Jansson et al., Neuroimmunol. 53:203-207, 1994).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에스트로겐은 세포에서 단일 에스트로겐 수용체(ER)와 결합하고, 이에 의해 형태적 변화를 일으켜 열 쇽 단백질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수용체가 각종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에서 소위 에스트로겐 반응 요소에 이량체로서 결합함은 이미 추정되었다. 더욱이, 약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소 분자 리간드가 에스트로겐의 ER에 대한 결합과 경쟁하여 상기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발현되는 각 조직에서 길항물질로서 또는 작용물질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겼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리간드들은 전통적으로 순수한 길항물질 또는 작용물질로서 분류되어 왔다. 이는 더 이상 옳은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오히려, 현재 에스트로겐은 유전자 발현을 통해 세포 약물학을 조절하며 상기 에스트로겐 효과는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2 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즉 ER-α와 ER-β가 존재한다. 유전자 조절에 대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효과는 ER의 에스트로겐 반응 요소(ERE)에의 직접 결합-"전형적인 경로"(Jeltsch et al., Nucleic Acids Res. 15:1401-1414, 1987; Bodine et al., Endocrinology 139:2408-2057, 1998), ER의 다른 전사 인자들, 예를 들어 NF-κB, C/EBP-β 또는 AP-1에의 결합-"비 전형적인 경로"(Stein et al., Mol. Cell Biol. 15:4971-4979, 1995; Paech et al., Science 277:1508-1510, 1997; Duan et al., Endocrinology 139:1981-1990, 1998)에 의해서, 및 이온 채널 수용체를 수반하는 비-게놈적 효과(Watters et al., Endocrinology 138:4030-4033, 1997; Improta-Brear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6:4686-4691, 1999; Gu et al., Endocrinology 140:660-666, 1999; Beyer et al., Eur. J. Neurosci. 10:255-262, 1998)를 통해서 매개될 수 있다.
최근 수년에 걸친 진보는 ER이 보조-활성인자(예: SRC-1, CBP 및 SRA) 및 보조-억제인자(예: SMRT 및 N-CoR)와 관련 있으며, 이들은 또한 조직-특이적이고 리간드-특이적인 방식으로 ER의 전사 활성을 조절함을 밝혔다. 또한, 현재 증거는 대다수의 에스트로겐 조절된 유전자들이 전형적인 에스트로겐 반응 요소를 갖지 않음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ER은 상기 유전자의 조절에 중요한 전사 인자들과 상호작용한다. ER에 의해 그의 활성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진 전사 인자들의 예로는 AP-1, NF-κB, C/EBP 및 Sp-1이 있다.
ER 신호화의 복잡성뿐만 아니라 ER 및 그의 보조 인자를 발현하는 다양한 유형의 조직에 대해서, 현재 ER 리간드는 더 이상 순수한 길항물질 또는 작용물질로서 간단히 분류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인자"(SERM)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졌다. SERM은 ER에 결합하지만, 상이한 조직 및 상이한 유전자 상에서 에스트로겐의 작용물질로서 또는 길항물질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ERM으로서 작용하는 가장 널리 공지된 약물들 중 2 개가 타목시펜과 랄록시펜이다. 이들 2 가지 화합물뿐만 아니라 다른 SERM에 대한 연구가 현재 진행중이며, 많은 경우에 SERM의 그의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그의 생물학적 활성과 상관되지 않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신규의 ER 조절인자의 선별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리간드-결합 분석은 조직-선택성과 작용물질/길항물질 작용을 구별하지 못하였다.
보다 최근에, 제 2 에스트로겐 수용체인 ER-β가 동정되고 클로닝되었다(Katzenellenbogen and Korach Endocrinology 138, 861-2(1997); Kuip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3, 5925-5930, 1996; Mosselman et al., FEBS Lett. 392, 49-53, 1996). ER-β, 및 ER-α라 칭하는 고전적인 ER은 리간드 결합 도메인과 카복시-말단 수행 도메인(∼56% 아미노산 일치율)에서 현저하게 상이한 아미노산 서열, 및 아미노-말단 수행 도메인에서 단지 20%의 상동성을 갖는다. 이는 일부 리간드들이 하나의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다른 것에 비해더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상기 두 수용체의 리간드-의존적인 형태 변화 및 보조 인자들과의 상호작용 결과 단일 리간드의 매우 상이한 생물학적 작용이 생성될 것이다. 즉, ER-α에 대한 작용물질로서 작용하는 리간드는 ER-β에 대한 길항물질로서 매우 잘 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의 예가 문헌[Paech et al., Science 277, 1508-1510, 1997]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서, 에스트로겐은 ER-α의 존재 하에서 AP-1 부위를 활성화시키지만, ER-β의 존재 하에서는 상기 동일한 부위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랄록시펜(Eli Lilly & Co.)과 타목시펜 및 ICI-182,780(Zeneca Pharmaceuticals)은 ER-β를 통해 AP-1 부위를 자극하지만, ER-α의 존재 하에서는 상기 부위를 억제한다. 또 다른 예가 문헌[Sun et al., Endocrinology 140, 800-4, 1999]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서, 테트라하이드로크리센의 R,R-에난티오머가 ER-α에 대한 작용물질이지만, ER-β에 대해서는 경쟁적인 길항물질인 반면에, S,S-에난티오머는 상기 두 수용체 모두에 대한 작용물질이다.
더욱 또한, ER-α 및 ER-β는 모두 양호한 ER-β 항체의 결여로 인해 RT-PCR 또는 동일 반응계 하이브리드화에 의해 우세하게 분석 시 중복 및 상이한 조직 분포 모두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들 중 일부는 논의의 여지가 있으며, 이는 ER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 분석되는 종들(래트, 마우스, 인간) 및/또는 단리된 제 1 세포의 분화 상태에 기인할 수 있다. 매우 종종 조직은 ER-α와 ER-β 모두를 발현하지만, 수용체들은 상이한 세포 유형에 편재된다. 또한, 일부 조직(예를 들어 신장)은 독점적으로 ER-α를 함유하는 반면, 다른 조직들(예를 들어, 자궁,뇌하수체 및 부고환)은 ER-α을 매우 우세하게 나타낸다(Couse et al., Endocrinology 138, 4613-4621, 1997; Kuiper et al., Endocrinology 138, 863-870, 1997). 대조적으로, 높은 수준의 ER-β를 발현하는 조직으로는 전립선, 고환, 난소 및 뇌의 특정 영역이 있다(Brandenberger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83, 1025-8, 1998; Enmark et al., J. Clinic. Endocrinol. Metabol. 82, 4258-4265, 1997; Laflamme et al., J. Neurobiol. 36, 357-78, 1998; Sar and Welsch, Endocrinology 140, 963-71, 1999; Shughrue et al., Endocrinology 138, 5649-52, 1997a; Shughrue et al., J. Comp. Neurol. 388, 507-25, 1997b).
ER-α(Korach, Science 266, 1524-1527, 1994) 및 ER-β(Krege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5, 15677-82, 1998) 녹아웃 마우스의 개발은 ER-β가 상이한 조직에서 상이한 작용을 가짐을 추가로 입증한다. 예를 들어, ER-α 녹아웃 마우스(암컷 및 수컷)는 불임이고, 암컷은 성적인 수용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수컷은 전형적인 수컷-공격적인 행동을 갖지 못한다(Cooke et al., Biol. Reprod. 59, 470-5, 1998; Da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4, 12786-12791, 1997; Korach, 1994; Ogaw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4, 1476-81, 1997; Rissman et al. Endocrinology 138, 507-10, 1997a; Rissman et al., Horm. Behav. 31, 232-243, 1997b). 더욱이, 이들 동물의 뇌는 여전히 야생형 동물과 유사한 패턴으로 에스트로겐에 대해 반응하며(Shughrue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4, 11008-12, 1997c), 에스트로겐은 여전히 기계적 손상에 의해 야기된 혈관 손상을 억제한다(Iafrati et al., Nature Med. 3, 545-8, 1997). 대조적으로, ER-β가 결여된 마우스는 정상적으로 발육하며, 번식력이 있고, 정상적인 성적 행동을 나타내지만, 야생형 마우스보다 그 정도들이 모두 작고(Krege et al., 1998), 정상적인 유방 발육을 가지며 정상적으로 젖을 분비한다. 번식력의 감소는 감소된 난소 효율의 결과인 것으로 여겨지며, ER-β는 난소에서 우세한 ER의 형태이며, 이는 성숙 난포의 과립막에 편재된다.
요약하면, 에스트로겐 길항물질 또는 작용물질로서 작용하는 화합물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에스트로겐-관련된 증상들, 예를 들어 뇌, 골, 심혈관계, 피부, 모낭, 면역계, 방광 및 전립선과 관련된 증상들의 치료에 중요한 약학적 유용성이 인정되었다(Barkhem et al., Mol. Pharmacol. 54, 105-12, 1998; Farhat et al., FASEB J. 10, 615-624, 1996; Gustafsson, Chem. Biol. 2, 508-11, 1998; Sun et al., 1999; Tremblay et al., Endocrinology 139, 111-118, 1998; Turner et al., Endocrinology 139, 3712-20, 1998). 또한, 다양한 유방 및 비-유방 암 세포가 ER을 발현하며 특정한 에스트로겐 길항물질에 대한 표적 조직으로서 작용함이 개시되어 있다(Brandenberger et al., 1998; Clinton and Hua, Crit. Rev. Oncol. Hematol. 25, 1-9, 1997; Hata et al., Oncology 55 Suppl 1, 35-44, 1998; Rohlff et al., Prostate 37, 51-9, 1998; Simpson et al., J Steroid Biochem Mol Biol 64, 137-45, 1998; Yamashita et al., Oncology 55 Suppl 1, 17-22, 1998).
ER-β의 최근의 동정과, ER-α 및 ER-β가 상이한 생물학적 역할을 갖는다는 인식에 따르면, ER-선택적인 조절인자는 유사하게 중대한 임상적 유용성을 가질 것이다. ER-β는 전립선, 방광, 난소, 고환, 폐, 소장, 혈관 내피, 및 뇌의 다양한부분들을 포함한 다수의 조직에서 강하게 발현되기 때문에, ER-β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화합물은 다양한 질병 또는 증상들, 예를 들어 전립선 암, 고환암, 심혈관 질병, 신경 퇴행성 질환, 요실금, CNS, GI 관 질환, 및 골 및 다른 암의 치료에 임상적으로 중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들은 ER-α를 함유하는 조직에 대해서 최소의 효과를 가질 것이며, 따라서 상이한 부작용 프로파일을 나타낼 것이다.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은 다양한 이로운 효과들(예를 들어 골 보호, 심혈관 효과, 일과성 열감, 치매, 골 대사의 방지 등)을 갖지만, 상기와 같은 요법은 또한 역효과(예를 들어 유방 및 자궁내막 암, 혈전증 등)도 갖는다. 이러한 역효과들 중 일부는 ER-α 또는 ER-β 특이적인 기전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ER-β 길항물질 또는 작용물질은 ER-α 길항물질 또는 작용물질에 비해 상이한 치료 프로파일을 나타낼 것이며, 높은 수준의 ER-β를 발현하는 조직에서 우선적으로 유리할 것이다(Nilsson et al., TEM 9, 387-395, 1998; Chang and Prins, The Prostate 40, 115-124, 1999). 더욱 또한, 다수의 연구자들은 환경적 화학물질과 피토에스트로겐이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생물학적 반응을 촉발시킴으로써 ER-β와 우선적으로 상호작용함을 보였다(Kuiper et al., Endocrinology 139, 4252-4263, 1998). 따라서, ER-β를 길항하는 화합물이 또한 화학물질과의 상호작용을 조절하고, 건강, 생식 능력 등에 영향을 미치는데 중요할 것이다.
최근에, ER과 상호작용하는 다수의 스테로이드 및 비 스테로이드성 화합물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타목시펜은 원래 항-에스트로겐으로 개발되었고 유방암의 치료에 사용되었지만, 보다 최근에는 자궁, 골 및 심혈관계에서 부분적인 에스트로겐 작용물질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랄록시펜은 SERM으로서 제안된 또 다른 화합물로, 골다공증의 치료에 승인되었다.
랄록시펜의 동족체가 또한 보고되었다(Grese et al., J. Med. Chem. 40:146-167, 1997).
쿠마린-기재 화합물에 대해서, 다수의 구조들이 제안되었다: Roa et al. Synthesis 887-888, 1981; Buu-Hoi et al., J. Org. Chem. 19:1548-1552, 1954; Gupta et al., Indian J. Exp. Biol. 23:638-640, 1985; 공개된 PCT 출원 WO96/31206; Verma et al., Indian J. Chem. 32B:239-243, 1993; Lednicer et al., J. Med. Chem. 8:725-726, 1965; Micheli et al., Steroids 5:321-335, 1962; Brandt et al., Int. J. Quantum Chemistry; Quantum Biol. Symposia 13:155-165, 1986; Wani et al., J. Med. Chem. 18:982-985, 1975; Pollard et al., Steroids 11:897-907, 1968.
따라서, 당해 분야에는 일반적으로 에스트로겐 길항물질 및 작용물질, 및 보다 구체적으로 시토킨, 특히 IL-6을 억제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뿐만 아니라 상기의 용도와 관련된 방법이 필요하다. ER-β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화합물이 또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시키며, 다른 관련 이점들을 제공한다.
발명의 요약
간단히,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에스트로겐 길항물질 및/또는 작용물질, 이들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뿐만 아니라 에스트로겐-관련된 증상들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증상들은 하기에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비 제한적으로 비만, 유방암, 골다공증, 자궁내막증, 심혈관 질병, 전립선 암, 폐경 증후군, 모발 손실(탈모), II형 당뇨병, 알쯔하이머병, 요실금, GI 관 질환, 정자형성, 손상 후 혈관 보호, 자궁내막증, 학습 및 기억력, CNS 효과, 혈장 지질 수준, 여드름, 백내장, 다모증, 다른 충실성 종양(예를 들어 결장, 폐, 난소, 흑색종, CNS 및 신장), 다발성 골수종 및 림프종이 포함된다.
보다 특정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인터류킨-6(IL-6)과 같은 시토킨의 억제 화합물 및 이와 관련된 증상의 치료 방법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증가된 시토킨 수준과 관련된 증상의 치료에는 비 제한적으로 암, 관절염 및 골 재흡수 질병의 치료, 특히 골다공증과 관련하여 파골세포 형성의 감소 및/또는 시토킨 생산의 차단 방법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입체 이성체, 전구약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갖는다:
상기 식에서,
R1, R2, R3, n 및 p는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광범위한 치료 및 예방 용도에 대해 유용성을 가지며, 골 재흡수와 관련된 다양한 질병의 치료뿐만 아니라 암 및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치료가 필요한 동물(인간 포함)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ER-β를 발현하는 세포 및/또는 조직을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세포 및/또는 조직을 조절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예를 들어 골, 방광, 자궁, 난소, 전립선, 고환,부고환, 위장(GI) 관, 신장, 유방, 심장, 혈관벽, 면역계, 폐, 뇌하수체, 해마상 융기 및 시상 하부의 세포 및/또는 조직은 ER-β를 ER-α보다 우선적으로 발현한다.
더욱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에스트로겐 관련 증상의 치료가 필요한 온혈 동물에게 상기 동물에게 투여하기 적합한 약학 조성물로서 제형화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상기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전형적인 실시태양에서, 에스트로겐 관련 증상은 유방암, 골다공증, 자궁내막증, 심혈관 질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전립선 비대증, 비만, 전립선 암, 폐경 증후군, II형 당뇨병, 알쯔하이머병, 요실금, GI 관 질환, 정자형성, 손상 후 혈관 보호, 자궁내막증, 학습 및 기억력, CNS 효과, 혈장 지질 수준, 여드름, 다모증, 다른 충실성 종양(예를 들어 결장, 폐, 난소, 고환, 흑색종, CNS 및 신장),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 전립선 암종, 비만, 일과성 열감, 피부 효과, 기분 전환, 기억력 상실, 및/또는 환경적 화학물질에의 노출과 관련된 불리한 생식력 영향이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시토킨, 예를 들어 IL-6 및 GM-CSF의 억제가 필요한 동물에서 상기 시토킨을 억제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암 치료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태양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자명해질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몇몇 태양들을 보다 상세히 개시하는 다양한 참고문헌들을 열거하였으며, 이들 문헌은 본 발명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에스트로겐 길항물질 및 작용물질, 및 시토킨 억제 화합물, 및 보다 구체적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베타(ER-β) 활성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약학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1B는 각각 IL-6 및 GM-CSF의 생산을 억제하는 전형적인 본 발명 화합물의 활성을 예시한다.
도 2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활막세포에서 IL-6 생산을 억제하는 전형적인 본 발명 화합물의 활성을 예시한다.
도 3은 유방암 증식을 억제하는 전형적인 본 발명 화합물의 활성을 예시한다.
도 4는 전립선 암 세포주를 억제하는 전형적인 본 발명 화합물의 활성을 예시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스트로겐 길항물질 및/또는 작용물질로서 활성을 갖는 화합물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상기와 같은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와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스트로겐 길항물질 및/또는 작용물질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광범위한 에스트로겐 관련 증상의 치료에 유용성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치료"란 용어는 에스트로겐 관련 증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치료 및/또는 예방제로서 투여할 수 있다. 에스트로겐 "작용물질"은 ER에 결합하고 하나 이상의 조직에서 에스트로겐 작용을 모방하는 화합물인 반면, "길항물질"은 ER에 결합하고 하나 이상의 조직에서 에스트로겐의 작용을 억제하는 화합물이다. 더욱이, "에스트로겐-관련된 증상"이란 용어는 상승 또는 억제된 수준의 에스트로겐,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인자(SERM), ER-α 또는 ER-β와 관련된 임의의 증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또한 에스트로겐-관련된 증상들, 예를 들어 비 제한적으로 유방암, 골다공증, 자궁내막증, 심혈관 질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 암종, 비만, 일과성 열감, 피부 효과, 기분 전환, 기억력 상실, 전립선 암, 폐경 증후군, 모발 손실(탈모), II형 당뇨병, 알쯔하이머병, 요실금, GI 관 질환, 정자형성, 손상 후 혈관 보호, 자궁내막증, 학습 및 기억력, CNS 효과, 혈장 지질 수준, 여드름, 백내장, 다모증, 다른 충실성 종양(예를 들어 결장, 폐, 난소, 고환, 흑색종, CNS 및 신장), 다발성 골수종, 백내장, 림프종, 및 환경적 화학물질에의 노출과 관련된 불리한 생식력 영향의 치료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인자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ER-β에 선택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태양에서, 상기 화합물은 골다공증,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는 암, 암의 복합 치료(예를 들어 탁솔 시스플라틴 또는 화학요법과의 치료), 여성의 부인과 건강 문제, 및 환경적 화학물질에의 노출로부터 발생하는 건강상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그의 입체 이성체, 전구약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n은 0, 1, 2, 3 또는 4이고;
p는 0, 1 또는 2이고;
R1은 비 치환되거나 치환된 C6-12아릴, C7-12아릴알킬, C3-12헤테로사이클 또는 C4-16헤테로사이클알킬이고;
R2는 NRaRb이며, 여기에서 Ra및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C1-8알킬, C6-12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이고, C1-6알킬, 할로겐, C1-6알콕시, 하이드록시 및 카복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3 개 이하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R2는 하기 화학식의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이고:
(상기 식에서,
m1및 m2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m1및 m2가 모두 0인 것은 아니며,
A는 CH2, O, S 또는 NH이고,
Z는 할로겐, C1-8알킬, C6-12아릴, C7-12아릴알킬, C3-12헤테로사이클 및 C4-16헤테로사이클알킬 중에서 선택된 0, 1, 2 또는 3 개의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치환체를 나타내고, 이때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상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의 인접 원자 상의 수소 원자와 함께 이중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R3는 수소, R4, C(=O)R4, C(=O)OR4, CONHR4, CONR4R5또는 SO2NR5R5이고;
R4및 R5는 독립적으로 C1-8알킬, C6-12아릴, C7-12아르알킬, 또는 O, NR6및 S(O)q중에서 선택된 2 개 이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이고, 이때 상기 각 그룹들은 R7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며 q는 0, 1 또는 2이고;
R6은 수소 또는 C1-4알킬이고;
R7은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C1-6알킬, C1-4알콕시, C1-4아실옥시, C1-4티오, C1-4알킬설피닐, C1-4알킬설포닐, (하이드록시)C1-4알킬, C6-12아릴, C7-12아르알킬, COOH, CN, CONHOR8, SO2NHR8, NH2, C1-4알킬아미노, C1-4디알킬아미노, NHSO2R8, NO2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이고, 이때 각 경우의 R8은 독립적으로 C1-6알킬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C6-12아릴"은 탄소수 6 내지 12의 방향족 잔기이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C6-12아릴은 비 제한적으로 페닐, 테트랄리닐 및 나프탈레닐 중에서 선택된다.
"C7-12아르알킬"은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렌이고, 지방족과 방향족 단위를 모두 갖는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C7-12아르알킬은 비 제한적으로 벤질, 에틸벤질(즉, -(CH2)2페닐), 프로필벤질 및 이소부틸벤질 중에서 선택된다.
"C3-12헤테로사이클"은 한 종류 이상의 원자로 구성된 고리를 함유하고, 탄소수 3 내지 12인 화합물, 예를 들어 비 제한적으로 피롤릴, 푸라닐, 티에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피라졸릴, 피롤리디닐,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및 푸리닐이다.
"C4-16헤테로사이클알킬"은 C1-8알킬에 결합된 C3-12헤테로사이클을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C1-8알킬"은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된 탄소쇄이고, 비 제한적으로 메틸, 에틸 및 n-프로필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C1-x알킬"은 동일한 의미를 가지나, 단 "x"는 8 개 미만의 탄소수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C1-6알킬이다.
"치환된" C1-x알킬, C6-12아릴, C7-12아르알킬, C3-12헤테로사이클 또는 C4-16헤테로사이클알킬 잔기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치환체로 치환된 C1-x알킬, C6-12아릴, C7-12아르알킬, C3-12헤테로사이클 또는 C4-16헤테로사이클알킬 잔기이다.
"치환체"는 할로겐, -OH, -R', -OR', -COOH, -COOR', -COR', -CONH2, -NH2, -NHR', -NR'R', -SH, -SR', -SOOR', -SOOH 및 -SOR' 중에서 선택된 잔기이며, 각각의 경우에 R'는 독립적으로 비 치환되거나 치환된 C1-8알킬, C6-12아릴, C7-12아르알킬, C3-12헤테로사이클 및 C4-16헤테로사이클알킬 중에서 선택된다.
"할로겐"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R2의 A는 CH2이고, m1은 1이고, m2는 0 또는 1이며, 이들을 각각 하기 화학식 (i) 및 (ii)로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i) 및 (ii)에서, 수소 원자를 임의의 Z 치환체(들)가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의 임의의 원자 상에 있고 화학식 I의 결합 지점이 탄소 또는 질소 원자를 통해 존재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도시하지 않았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Z가 존재하는 화학식 (i) 및 (ii)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태양에서,R2는 하기 화학식 (iii) 내지 (vi)를 포함한다:
상기 식들에서,
Z는 예를 들어 메틸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R2의 A는 O 또는 NH이고, m1은 1이고, m2는 0 또는 1이며, 이들을 각각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vii) 및 (viii)로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i) 및 (ii)에서와 같이, 화학식 (vii) 및 (viii)에서 수소 원자를 임의의 Z 치환체(들)가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의 임의의 원자 상에 있고 화학식 I의 결합 지점이 탄소 또는 질소 원자를 통해 존재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도시하지 않는다.
상기 도시된 화학식들 이외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인접한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와 함께 이중 결합을 형성할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vii)에 대해서, 상응하는 불포화된 동족체로 하기 화학식 (ix), (x) 및 (xi)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R1은 비 치환되거나 치환된 페닐이고,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를 갖는다:
상기 식에서,
X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R2, R3, n 및 p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3는 수소이고, 하기 화학식 III을 갖는다:
상기 식에서,
R1, R2, n 및 p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II 및 III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V를 갖는다:
상기 식에서,
A, X, Z, m1, m2, n 및 p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IV의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m1, m2및 p는 1이고, A는 CH2이고, 임의의 Z 치환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n은 2이고,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를 갖는다:
상기 식에서,
X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환체를 나타낸다.
보다 특정한 실시태양에서, X는 (a)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b) 단일 치환체, 예를 들어 파라 위치의 단일 치환체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화합물은 비 제한적으로 하기 화학식 VIa 및 VIb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VIb에서 X는 할로겐, 예를 들어 불소 또는 염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p는 0이고,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II를 갖는다:
상기 식에서,
R1, R2, R3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VII의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R1은 비 치환되거나 치환된 페닐이고,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VIII를 갖는다:
상기 식에서,
X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환체를 나타내고,
R2, R3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R3는 수소이고, 하기 화학식 IX를 갖는다:
상기 식에서,
R1, R2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VIII 및 IX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X를 갖는다:
상기 식에서,
A, X, Z, m1, m2및 n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X의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m1및 m2는 1이고, A는 CH2이고, 임의의 Z 치환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n은 2이고,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XI를 갖는다:
상기 식에서,
X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환체를 나타낸다.
보다 특정한 실시태양에서, X는 (a)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b) 단일 치환체, 예를 들어 파라 위치의 단일 치환체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화합물은 비 제한적으로 하기 화학식 XIa 및 XIb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XIb에서 X는 할로겐, 예를 들어 불소 또는 염소를 나타낸다.
p가 0인 실시태양에서, 특히 R3가 수소이고 쿠마린 고리의 4번 위치의 페닐 그룹이 파라 치환된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은 ER-α에 비해 ER-β에 대한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공지된 기법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개시된 합성 경로에 의해서 유기 합성 숙련가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전형적인 화합물을 하기 반응식 1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반응식 1은 R3가 메틸 또는 수소이고, R2가 화학식 I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R3위치에서의 추가의 치환은 적합하게 치환된 페놀을 사용하여, 또는 유기 합성 분야에 공지된 기법을 사용하여 하이드록실 그룹(R3가 H인 경우)의 후속적인 전환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R2가 NRaRb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반응식 1의 끝에서 두 번째 단계에서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대신에 상응하는 아미노 클로라이드 RaRbN(CH2)nCl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형적인 화합물(R3가 수소이고 R2가 피페리드-1-일인 경우)을 하기 반응식 2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입체 이성체에 대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키랄 중심을 가질 수 있으며, 라세메이트, 라세미 혼합물 및 개별적인 에난티오머 또는 디아스테레오머로서 나타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모든 이성체 형태들은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더욱 또한, 화학식 I 화합물의 결정성 형태들 중 일부가 다형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화학식 I 화합물들 중 일부가 또한 물 또는 다른 유기 용매와의 용매화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매화물도 유사하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하기의 이론에 얽매이려는 것은 아니지만, 골 재흡수 질병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시토킨 생산의 차단 및/또는 파골세포 형성의 억제에 의해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시토킨 IL-6은 이미 파골세포의 형성을 유도하는 중요한 인자임이 입증되었다(상기 Girasole et al.; 상기 Jilka et al.(1992); 상기 Jilka et al.(1995); 상기 Kimble et al(1995); 상기 Pacifici et al.; 및 상기 Passeri et al.). 다른 연구자들은 IL-6에 대한 중화 항체, 안티센스 올리고 또는 샌트(Sant) 5 길항물질의 투여가 난소절제된 마우스의 지주 골의 파골세포 수(Devlin et al., J. Bone Miner 13:393-399, 1998; 상기 Girasole et al.; 상기 Jilka et al.(1992); 및 Schiller et al., Endocrinology 138:4567-4571, 1997), 상아질을 재흡수하는 인간 거대 세포의 능력(Ohsaki et al., Endocrinology 131:2229-2234, 1993; 및 Reddy et al., J. Bone Min. Res. 9:753-757, 1994) 및 정상적인 인간 골수 배양액 중의 파골세포의 형성을 감소시킴을 입증하였다. 또한,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전사 인자 NF-κB 및 C/EBPβ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IL-6 프로모터 활성을 하향조절함이 밝혀졌다(Stein et al., Mol. Cell Biol. 15:4971-4979, 1995).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자극 인자(GM-CSF)는 파골세포성 전구체 세포의 증식에 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인간 또는 마우스 골수 세포 또는 말초 혈액 세포의 장기간 배양액에서, GM-CSF는 파골세포의 형성을 증진시킨다(Kurihara et al., Blood 74:1295-1302, 1989; Lorenzo et al., J. Clin. Invest. 80:160-164, 1987; MacDonald et al., J. Bone Miner 1:227-233, 1986; 및 Shinar et al., Endocrinology 126:1728-1735, 1990). 폐경후 여성 또는 에스트로겐 요법을 중단한 여성으로부터 단리된 골수 세포는 폐경전 여성의 세포보다 더 높은 수준의 GM-CSF를 발현하였다(Bismar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80:3351-3355, 1995). GM-SCF의 발현은 또한 정형외과 이식물이 부식된 환자에서 골 재흡수 파골세포의 조직 분포와 관련이 있음이 입증되었다(Al-Saffar et al., Anatomic Pathology 105:628-693, 1996).
또한, 항-IL-6 항체에 의해 IL-6의 작용을 차단하면 실시예 8의 인간 골 세포 공동 배양 시스템에서 파골세포 형 세포들의 형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시스템은 고정화된 인간 조골세포 및 전단구 세포주 U937을 포함하며, 이들을 동일한 조직 배양 웰에서 공동 배양시킨다. 적합한 배양 조건 하에서 상기 조골세포는 상기 전단구 세포 상에서 작용하여 파골세포형 세포로의 분화를 일으키는 IL-6를 분비한다. 따라서, 상기 공동 배양 시스템은 뼈의 생리적 환경을 보다 가깝게 반영하며, IL-6의 생산을 차단하여 파골세포를 활성화 및 형성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화합물의 효능에 대한 기능적 판독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은 실시예 8의 공동 배양 시스템에서 IL-6의 생산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또한, 항-GM-CSF 항체는 파골세포형 세포의 형성을 감소시키며, 에스트로겐은 실시예 8의 공동 배양 시스템에서 GM-CSF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에스트로겐이 파골세포 형성에 대해 억제 효과를 발휘하고 IL-6 및 GM-CSF 생산의 차단을 통해 작용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따라서, IL-6 및/또는GM-CSF 생산을 차단하거나 파골세포의 형성과 작용을 억제하는, 또는 이들 모두로 작용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골 재흡수 질병의 치료에 유용하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시토킨은 또한 각종 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립선 암과 관련하여, 연구자들은 IL-6이 자가분비/측분비 생육 인자이고(상기 Seigall et al.), 종양의 생존을 향상시키며(상기 Okamoto et al., Cancer Res. 1997), IL-6 중화 항체가 세포 증식을 감소시킴(상기 Okamoto et al., Endocrinology 1997; 상기 Borsellino et al.)을 보였다. IL-6는 또한 다발성 골수종(상기 Martinez-Maza et al.; 상기 Kawano et al.; 상기 Zhang et al.; 상기 Garrett et al.; 및 상기 Klein et al.), 신장 세포 암종(상기 Koo et al.; 상기 Tsukamoto et al.; 및 상기 Weissglas et al.), 및 자궁 경부 암종(상기 Estuce et al.; 상기 Tartour et al.; 및 상기 Iglesias et al.)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함이 보고되었다.
IL-6은 또한 관절염, 특히 아주반트-, 콜라겐- 및 항원-유발된 관절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상기 Alonzi et al.; 상기 Ohshima et al.; 및 상기 Leisten et al.), 항-IL-6 항체가 관절염의 치료에 대해 보고되었다(상기 Wendling et al.). 또한, 에스트로겐은 마우스에서 실험적인 자가면역 뇌척수염 및 콜라겐-유발된 관절염의 억제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상기 Jansson et al.).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들은 골 재흡수 질병들, 일반적으로 비 제한적으로 골다공증, 전이성 골암 및 고칼슘혈증, 정형외과 이식물에 의한 골분해성 장애, 파제트병, 및 부갑상선기능항진증과 관련된 골 손실의 치료 방법을 포함한다. IL-6과 관련된 다른 증상들에는 다양한 암과 관절염이 포함된다. 대표적인 암으로는 유방암, 전립선암, 결장암, 자궁내막암, 다발성 골수종, 신장 세포 암종 및 자궁경부 암종이 있다. 관절염 증상에는 아주반트-, 콜라겐-, 세균- 및 항원-유발된 관절염, 특히 류마티스성 관절염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에스트로겐 길항물질 및/또는 작용물질로서 작용하며, 광범위한 에스트로겐-관련 증상의 치료에 유용성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치료란 용어는 에스트로겐 관련 증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치료 및/또는 예방제로서 투여할 수 있다. 에스트로겐 "작용물질"은 ER에 결합하고 하나 이상의 조직에서 에스트로겐 작용을 모방하는 화합물인 반면, "길항물질"은 ER에 결합하고 하나 이상의 조직에서 에스트로겐의 작용을 억제하는 화합물이다. 더욱이, "에스트로겐-관련된 증상"이란 용어는 상승 또는 억제된 수준의 에스트로겐,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인자(SERM) 또는 ER과 관련된 임의의 증상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ER은 ER-α 및/또는 ER-β뿐만아니라, ER과 상당히 유사한 임의의 동형체, 돌연변이 및 단백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또한 에스트로겐-관련된 증상들, 예를 들어 비 제한적으로 유방암, 골다공증, 자궁내막증, 심혈관 질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 암종, 비만, 일과성 열감, 피부 효과, 기분 전환, 기억력 상실, 전립선 암, 폐경 증후군, 모발 손실(탈모), II형 당뇨병, 알쯔하이머병, 요실금, GI 관 질환, 정자형성, 손상 후 혈관 보호, 자궁내막증, 학습 및 기억력, CNS 효과, 혈장 지질 수준, 여드름, 백내장, 다모증, 다른 충실성 종양(예를 들어 결장, 폐, 난소, 흑색종, CNS 및 신장),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 및 환경적 화학물질에의 노출 과 관련된 불리한 생식력 영향 또는 선천적인 호르몬 불균형의 치료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에스트로겐 작용물질인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피임; 폐경 증후군의 완화; 절박유산 또는 습관성 유산의 예방; 월경불순의 완화; 이상 자궁 출혈의 완화; 자궁내막증의 경감; 난소 발육 도움; 여드름의 치료; 여성 체모의 과도한 성장(다모증)의 감소; 심혈관 질병의 예방 및 치료; 죽상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 양성 전립선 과형성 및 전립성 암종 비만의 치료; 및 산후 유즙 분비의 억제에 유용하다. 이러한 약제들은 또한 혈장 지질 수준에 유리한 효과를 가지며, 그 자체로서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치료와 예방에 유용하다. 에스트로겐 길항물질인 화합물은 예를 들어 유방 및 난소 조직에 항에스트로겐제로서 유용하며 따라서 유방 및 난소암의 치료와 예방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치료가 필요한 동물에게 관심의 질병 또는 증상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함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치료"란 용어(또는 "치료하는"과 관련된 용어)는 화합물을 전형적으로 적합한 전달 비히클 또는 약제와 함께 질병 또는 증상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거나(예를 들어 예방학적 투여) 또는 질병 또는 증상의 징후를 나타내는(예를 들어 치료학적 투여) 동물에게 투여함을 의미한다. 더욱이, "유효량"이란 어구는 소정의 시간 후에 목적하는 효과를 발생시키는 화합물의 용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골 재흡수 질병과 관련하여, 유효량은 위약 처리된 동물과 통계학적으로 상이한 골 질량을 생성시킨다. 유사하게, 암 및 관절염에 대해서, 유효량은 암 또는 관절염 조직에 목적하는 효과를 생성시키기에 충분한 양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투여함을 포함한다. 화학식 I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전형적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독성 유형의 염, 예를 들어 유기산(예를 들어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또는 톨루엔설폰산), 무기산(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또는 인산) 및 아미노산(예를 들어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과의 염이다. 이들 염을 통상적인 기술을 갖는 화학자들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통상적인 제제 형태, 예를 들어 캡슐, 미세캡슐, 정제, 과립, 분말, 트로키, 환제, 좌약, 주사액, 현탁액 및 시럽 형태로 경구 또는 비경구로 동물(인간 포함)에게 투여할 수 있다. 적합한 제형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통상적인 유기 또는 무기 첨가제, 예를 들어 부형제(예: 슈크로즈, 전분, 만니톨, 솔비톨, 락토오즈, 글루코즈, 셀룰로즈, 활석, 인산 칼슘 또는 탄산 칼슘), 결합제(예: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즈, 폴리프로필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라틴, 아라비아 검, 폴리에틸렌글리콜, 슈크로즈 또는 전분), 붕해제(예: 전분, 카복시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 저 치환된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중탄산 나트륨, 인산 칼슘 또는 시트르산 칼슘),윤활제(예: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경질 무수 규산, 활석 또는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풍미제(예: 시트르산, 멘톨, 글리신 또는 유기 분말), 보존제(예: 벤조산 나트륨, 중아황산 나트륨, 메틸파라벤 또는 프로필파라벤), 안정제(예: 시트르산, 시트르산 나트륨 또는 아세트산), 현탁제(예: 메틸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분산제(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희석제(예: 물) 및 베이스 왁스(예: 코코아 버터, 바셀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의약 조성물 중의 유효 성분의 양은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수준; 예를 들어 경구 및 비 경구 투여 모두에 대해서 단위 용량당 약 0.1 내지 100 ㎎일 수 있다.
유효 성분을 대개는 인간 환자에서 하루에 1 내지 4 회, 0.1 내지 100 ㎎의 단위 투여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을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의학적 상태 및 투여 유형에 따라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용량은 인간 환자에서 0.25 내지 25 ㎎이다. 하루에 1 회 용량이 바람직하다.
약제 화학자들은 하나 이상의 이용 가능한 수소 그룹을 갖는 생리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에스테르의 형태로 흔히 투여함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 예를 들어 에스트라디올에 관한 문헌은 다수의 상기와 같은 에스테르들의 예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에스테르는 체 내에서 대사적으로 절단되며, 실제 약물은 하이드록시 화합물 자체인 것으로 여겨진다. 약학 분야에는 에스테르 그룹을 적합하게 선택하여 화합물의 작용 속도 또는 지속 기간을 조절함이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전구약물이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포함된다. 전구약물은 상기를 환자에게 투여할 때 생체 내에서 화학식 I 화합물을 방출하는 임의의 공유 결합된 담체이다. 전구약물을 일반적으로는 통상적인 조작에 의해 또는 생체 내에서 절단되어 모 화합물을 얻는 방식으로 작용기들을 변경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전구약물은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 그룹(R3가 H일 때)이 환자에게 투여 시 절단되어 하이드록시 그룹을 형성하는 임의의 그룹에 결합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염은 상기 화합물 자체 또는 그의 에스테르들 중 임의의 것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약제 화학에 종종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 수소산, 요오드화 수소산, 나프탈렌설폰산, 메탄설폰산 및 톨루엔설폰산과 같은 시약을 포함하는 설폰산, 황산, 질산, 인산, 타르타르산, 피로황산, 메타인산, 숙신산, 포름산, 프탈산, 락트산 등, 가장 바람직하게는 염산, 시트르산, 벤조산, 말레산, 아세트산 및 프로피온산과 같은 무기 또는 유기산과의 염이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염기성 그룹을 함유하는 약제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대개 산 부가염의 형태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매우 종종 산 부가염의 형태로 투여한다. 상기 염은 편의상 유기 화학에 통상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적합한 산, 예를 들어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염은 적당한 온도에서 높은 수율로 신속히 형성되며, 종종 상기 화합물을 합성의 최종 단계에서 적합한 산 세척에 의해 단지 단리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염 형성 산을 적합한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알칸올, 케톤 또는 에스테르에 용해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유리 염기 형태가 바람직한 경우, 상기를 통상적인 실시에 따라 기본 최종 세척 단계로부터 단리시킨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전형적인 제조 기법은 유리 염기를 적합한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분자체 위에서와 같이 상기 용액을 철저히 건조시킨 후에 상기를 통해 염화 수소 기체를 발포시키는 것이다.
인간에게 투여되는 본 발명 화합물의 용량은 다소 광범위하게 가변적이며 주치의의 판단에 따른다. 화합물을 염의 형태로, 예를 들어 라우레이트(상기의 염 형성 잔기는 감지할 정도의 분자량을 갖는다)의 형태로 투여하는 경우 상기 화합물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화합물의 유효 투여율의 일반적인 범위는 약 0.05 내지 약 100 ㎎/일이다. 바람직한 투여율 범위는 약 0.25 내지 약 25 ㎎/일이다. 물론, 화합물의 1 일 용량을 하루에 다양한 시간으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종종 실용적이다. 그러나, 임의의 소정의 경우에, 투여되는 화합물의 양은 유효 성분의 용해도, 사용되는 제형 및 투여 경로와 같은 인자들에 따라 변할 것이다.
본 발명 화합물의 투여 경로는 중요하지 않다. 상기 화합물들은 소화관으로부터 흡수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편의상 화합물을 경구 투여하는 것이 대개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을 주어진 상황에서 경우에 따라 경피적으로, 또는 직장에 의한 흡수를 위해 좌약으로서 투여하는 것도 동등하게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대개는 상기 화합물의 존재로 인해 본 발명에 중요하고 새로운 실시태양들인 약학 조성물로서 투여한다. 통상적인 유형의 모든 조성물들, 예를 들어 정제, 츄잉정, 캡슐, 용액, 비경구 용액, 트로키, 좌약 및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다. 조성물을 1 일 용량 또는 1 일 용량의 편리한 분획을, 단일 정제 또는 캡슐 또는 편리한 액체 부피일 수 있는 용량 단위로 함유하도록 제형화한다.
임의의 화합물들을 정제, 캡슐 등으로 쉽게 제형화할 수 있으며; 수용성 염, 예를 들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부터 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조성물들을 모두 약제 화학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캡슐을 화합물을 적합한 희석제와 혼합하고 적합한 양의 혼합물을 캡슐에 충전시켜 제조한다. 통상적인 희석제는 다수의 상이한 종류의 전분, 분말화된 셀룰로즈, 특히 결정성 및 미정질 셀룰로즈, 당, 예를 들어 프럭토즈, 만니톨 및 슈크로즈, 곡분 및 유사한 식용 분말과 같은 불활성 분말 물질을 포함한다.
정제를 직접 압착, 습식 과립화 또는 건식 과립화에 의해 제조한다. 이들 제형은 대개 화합물뿐만 아니라 희석제, 결합제, 윤활제 및 붕해제를 포함한다. 전형적인 희석제의 예로는 다양한 유형의 전분, 락토오즈, 만니톨, 카올린, 인산 칼슘 또는 설페이트, 무기 염, 예를 들어 염화 나트륨 및 분말화된 당이 있다. 분말화된 셀룰로즈 유도체가 또한 유용하다. 전형적인 정제 결합제는 전분, 젤라틴 및 당, 예를 들어 락토오즈, 프럭토즈, 글루코스 등과 같은 물질이다. 천연및 합성 검, 예를 들어 아라비아 검, 알기네이트, 메틸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이 또한 편리하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틸셀룰로즈 및 왁스가 또한 결합제로서 작용한다.
정제 제형에서 정제와 펀치가 다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형적으로는 윤활제가 필요하다. 상기 윤활제는 활석, 마그네슘 및 스테아르산 칼슘과 같은 활주 고체, 스테아르산 및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 중에서 선택된다. 정제 붕해제는 습윤시 팽윤하여 정제를 파괴시키고 화합물을 방출시키는 물질이다. 여기에는 전분, 점토, 셀룰로즈, 알긴 및 검이 있다. 보다 특히, 예를 들어 옥수수 및 감자 전분, 메틸셀룰로즈, 아가, 벤토나이트, 목재 셀룰로즈, 분말화된 천연 스폰지, 양이온 교환 수지, 알긴산, 구아 검, 시트러스 펄프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즈뿐만 아니라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정제를 종종 풍미 및 밀폐제로서 당으로, 또는 정제의 분해 성질을 개질시키기 위한 필름 형성 보호제로 코팅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을 또한 츄잉정으로서, 현재 당해 분야에 잘 확립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량의 상쾌한 맛의 물질, 예를 들어 만니톨을 제형에 사용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화합물을 좌약으로서 투여하고자 하는 경우, 전형적인 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코코아 버터가 전통적인 좌약 베이스이며, 왁스를 첨가하여 그의 융점을 약간 상승시킴으로써 개질시킬 수도 있다. 특히 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수 혼화성 좌약 베이스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화합물의 효과를 적합한 제형에 의해 지연 또는 연장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화합물의 서서히 용해되는 펠릿을 제조하여 정제 또는 캡슐에 또는 서방성 이식 가능한 장치로서 혼입시킬 수 있다. 상기 기법은 다수의 상이한 용해율을 갖는 펠릿을 제조하고 캡슐을 상기 펠릿들의 혼합물로 충전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정제 또는 캡슐을 예견 가능한 기간 동안 용해를 저지하는 필름으로 코팅시킬 수 있다. 심지어 비 경구 제제를, 화합물을 단지 혈청 중에서만 서서히 분산되도록 하는 유질 또는 유화된 비히클에 용해 또는 현탁시킴으로써 오래 작용하게 만들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제공된다.
요약하면, 실시예 1 내지 11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화합물들의 합성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2는 IL-6의 생산을 차단하는 화합물의 능력에 대해 분석하기 위한 인간 골 세포 공동 배양 시스템을 개시한다. 실시예 13은 실시예 12의 인간 골 공동 배양 시스템에서 분석 시 본 발명의 전형적인 화합물의 활성을 개시한다. 실시예 14 내지 21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화합물의 활성을 입증하는 추가적인 실험 데이터를 제공한다.
실시예 1
2-(4-하이드록시벤질아세톤)-5-메톡시페놀
3-메톡시페놀(50 g, 0.40 몰),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71 g, 0.46 몰) 및 ZnCl2(174 g, 1.28 몰)의 혼합물에 POCl3(100 ㎖, 1.6 몰)를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65 ℃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빙 수(2 ℓ)에 붓고, 얼음이 용융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등명한 상등액을 경사분리시키고 잔사를 물(1 ℓ)로 세정하고 EtOAc와 물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MgSO4)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생성된 오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20% EtOAc/n-헥산)에 의해 정제시켜 백색 고체로서 2-(4-하이드록시벤질아세톤)-5-메톡시페놀(34.1 g, 33% 수율)을 수득하였다: 융점 137-140 ℃.
실시예 2
2-(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벤질아세톤)-5-메톡시페놀
CH2Cl2(50 ㎖) 중의 2-(4-하이드록시벤질아세톤)-5-메톡시페놀(10 g, 0.038몰), NEt3(6 ㎖, 0.042 몰)의 혼합물에 트리이소프로필실릴클로라이드(9 ㎖, 0.042 몰)를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2 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잔사를 EtOAc와 H2O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층을 NaOH(1 N), HCl(1 N)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MgSO4)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켰다. 잔사를 n-헥산으로 처리하여 백색 고체로서 2-(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벤질아세톤)-5-메톡시페놀(6.2 g, 38% 수율)을 수득하였다: 융점 66-68 ℃.
실시예 3
3-페닐-4-(4-하이드록시벤질)-7-메톡시쿠마린
CH3CN(50 ㎖) 중의 2-(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벤질아세톤)-5-메톡시페놀(4 g, 9.6 밀리몰), K2CO3(4 g, 29 밀리몰)의 혼합물에 페닐 아세틸클로라이드(2.3 ㎖, 14 밀리몰)를 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2 시간 동안 환류 하에 교반하고, H2O(0 ℃)(500 ㎖)에 붓고 EtOAc(2x)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MgSO4)시키고 여과및 농축시켰다. 잔사를 Et2O와 교반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재결정(EtOH)시켜 백색 고체로서 3-페닐-4-(4-하이드록시벤질)-7-메톡시쿠마린(0.88 g, 15% 수율)을 수득하였다: 융점 235-236 ℃.
실시예 4
3-페닐-4-[4-(2-{피페린-1-일})에톡시]-벤질-7-메톡시쿠마린
3-페닐-4-(4-하이드록시벤질)-7-메톡시쿠마린(0.50 g, 1.39 밀리몰), K2CO3(0.58 g, 4.18 밀리몰), 2-클로로에틸피페리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0.41 g, 2.22 밀리몰) 및 아세톤(50 ㎖)의 혼합물을 6 시간 동안 가열환류시켰다. 용매를 고체로 농축시키고 이를 EtOAc와 H2O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 층을 NaOH(1H),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MgSO4)시키고, 여과 및 농축시켰다. 잔사를 HCl(EtOAc 중의 20%)과 교반하고 고체를 여과시켜 3-페닐-4-[4-(2-{피페린-1-일})에톡시]-벤질-7-메톡시쿠마린(0.57 g, 87% 수율)을 수득하였다: 융점 171-172 ℃.
실시예 5
3-페닐-4-[4-(2-{피페린-1-일})에톡시]-벤질-7-하이드록시쿠마린
3-페닐-4-[4-(2-{피페린-1-일})에톡시]-벤질-7-메톡시쿠마린(0.10 g, 0.20 밀리몰), HOAc(빙초산)(15 ㎖) 및 HBr(48%, 15 ㎖)의 혼합물을 48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EtOAc(120 ㎖) 및 NaOH(1 N, 120 ㎖) 사이에 분배시키고, 수성 층을 EtOAc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수성 층을 산성화시키고(농 HCl, pH 1-2) 여과하여 3-페닐-4-[4-(2-{피페린-1-일})에톡시]-벤질-7-하이드록시쿠마린(0.88%, 99% 수율)을 수득하였다: 융점 160-161 ℃
실시예 6
3-(4-플루오로페닐)-4-[4-(1-메틸피페리딜-3-옥시)]-벤질-7-하이드록시쿠마린
CH2Cl23 ㎖ 중의 3-(4-플루오로페닐)-4-[(4-하이드록시페닐)메틸]-7-메톡시-2H-크로멘-2-온(0.27 g,0.72 밀리몰) 용액을 3-하이드록시-1-메틸피페리딘(0.42 g, 3.6 밀리몰), 트리페닐포스핀(0.94 g, 3.6 밀리몰) 및 디에틸 아조디카복실레이트(0.65 g, 3.6 밀리몰)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 ℃에서 8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HBr(48%, 수성)과 빙초산의 1:1 용액 4 ㎖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90 ℃에서 12 시간 동안 가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생성 잔사를 포화 수성 NaHCO310 ㎖로 중화시켰다. 수성 혼합물을 CH2Cl2(3 x 15 ㎖)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건조(MgSO4)시키고 이어서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물(106 ㎎, 32%)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SiO2, CH2Cl2/MeOH, 10:1)에 의해 정제시킨 다음 단리하였다.
한편으로, 3-(4-플루오로페닐)-4-[(4-하이드록시페닐)메틸]-7-메톡시-2H-크로멘-2-온을 PPh3 및 디에틸 아조디카복실레이트(DEAD)의 존재 하에서 하기 에난티오머 (a) 및 (b) 중 하나와 반응시킨 다음 HBr/HOAc와 반응시켜 상응하는 에난티오머성 생성물을 수득한다:
실시예 7
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POCl315 ㎖ 중의 3-메톡시페놀(2.5 g, 20.14 밀리몰), 4-하이드록시벤조산(3.2 g, 23.16 밀리몰) 및 ZnCl2(8.78 g, 64.44 밀리몰) 용액을 65 ℃로 2 시간 동안 가온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 수(100 ㎖)에 부었다. 수성 층을 CH2Cl2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건조(MgSO4)시키고 이어서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 회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3.93 g, 80%)(LC/MS=244(M+H+))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8
3-(4-클로로페닐)-4-(4-하이드록시페닐)-7-메톡시-2H-크로멘-2-온 2
DMF 20 ㎖ 중의 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케톤(2.6 g, 10.65 밀리몰), 4-클로로페닐아세트산(4.0 g, 23.43 밀리몰), K2CO3(4.4 g, 31.95밀리몰), 카보닐디이미다졸(3.8 g, 23.43 밀리몰)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1 g)의 현탁액을 90 ℃에서 5 시간 동안 가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H2O 150 ㎖에 붓고 30 분간 교반하였다.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모으고 정제된 목적 생성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이어 단리시켰다(2.1 g, 52%, LC/MS=379(M+H+)).
실시예 9
3-(4-클로로페닐)-7-메톡시-4-[(4-(2-피페리딜에톡시)페닐]-2H-크로멘-2-온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4에 개시된 바와 같이 3-(4-클로로페닐)-4-(4-하이드록시페닐)-7-메톡시-2H-크로멘-2온으로부터 제조하였다(LC/MS=492(M+H+)).
실시예 10
3-(4-클로로페닐)-7-하이드록시-4-[(4-(2-피페리딜에톡시)페닐]-2H-크로멘-2-온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3-(4-클로로페닐)-7-메톡시-4-[4-(2-피페리딜에톡시)페닐]-2H-크로멘-2온으로부터 제조하였다(LC/MS=476(M+H+)).
실시예 11
추가의 전형적인 화합물들
본 발명에 개시한 과정들에 의해, 표 1의 화합물들을 제조할 수 있다.
(계속)
(계속)
실시예 12
인간 골 세포 공동 배양 시스템
대사성 골 질환의 증거가 없는 환자의 정상적인 성인 대퇴부 골로부터 조골세포의 생성을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Kung Sutherland et al., Osteoporosis International 5:335-343, 1995; Wong et al., J Bone Miner 5:803-813, 1990). 골 단편들로부터 결합 조직과 혈액을 제거하고 28 mM HEPES, pH 7.4, 10% FCS, 1.1 mM CaCl2, 2 mM 글루타민 및 1% 항생제-항진균제가 보충된 햄의 F12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4 주간 배양하였다. 융합 시, 세포를 수확하고 네오마이신 내성 유전자 및 인유두종 바이러스(HPV18) E6 및 E7 혼합유전자를 함유하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pLXSN)를 사용하여 고정화시켰다(International Journal of Oncology 6:167-174, 1995). 상기 고정화된 조골세포를 G418(600 ㎍/㎖)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선별하였다.
인간 U937 단핵세포 세포주(일련의 희석에 의해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세포로부터 클로닝시킨 것)를 10% FCS 및 1% 항생제-항진균제를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유지시켰다.
공동 배양 시스템을 하기와 같이 확립시켰다. 인간 조골세포를 5 x 103세포/웰의 밀도로 96-웰 디쉬에 도말하였다. RPMI 배지 중의 U937 세포(5 x 104세포/웰)를 상기 조골세포 위에 층상화시켰다. 파골세포형 세포의 형성을 100 nM PMA에 의해 유도하였다. 파골세포형 세포의 형성에 대한 IL-6(Sigma) 및 GM-CSF(Pharmingen)에의 화합물 또는 중화 항체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화합물 또는 항체를 PMA 첨가 30 분 전에 가하였다. 배양을 96 시간 후에 멈추고 조직화학적 또는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3
인간 골 공동 배양에서 전형적인 화합물의 활성
실시예 5의 화합물(즉 표 1의 1 번 화합물)을 실시예 12의 인간 골 공동 배양 시스템에서 분석하고 IL-6 및 GM-CSF에 대해 각각 10 nM 및 38 nM의 IC50을 가짐을 밝혔다.
실시예 14
HOB 세포에서 IL-6 및 GM-CSF 생산에 대한 전형적인 화합물의 활성
인간 조골세포(HOB)를 보통의 HOB 배지(28 mM HEPES, pH 7.4, 10% FCS, 1.1 mM CaCl2, 2 mM 글루타민 및 1% 항생제-항진균제가 보충된 햄의 F12) 중에 7 x 103세포/웰의 밀도로 96-웰 디쉬에 도말하였다. 다음 날, 상기 세포를 화합물 1 또는 비히클(0.2% DMSO)로 30 분간 처리한 후에 IL-1β(1 ng/㎖) 및 TNF-α(10 ng/㎖)의 배합물을 가하였다. 배양을 18 내지 24 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배양 배지 중의 IL-6 및 GM-CSF 수준을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ELISA 키트(Endogen, Cambridge, M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를 IL-6 억제에 대해 도 1A에, GM-CSF 억제에 대해 도 1B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은 또한 디에틸스틸베스트롤(DES)과 랄록시펜에 대한 비교 데이터를 제공한다.
실시예 15
RA 세포에서 IL-6 생산에 대한 전형적인 화합물의 활성
1 차 류마티스성 관절염 활액세포를 2 mM 글루타민, 1% 항생제-항진균제 및 10% 숯-스트립핑시킨 FCS가 보충된 페놀-레드 비 함유 DMEM 중에 8 x 103세포/웰의 밀도로 96-웰 디쉬에 도말하였다. 다음 날, 상기 세포를 1 번 화합물 또는 비히클(0.2% DMSO)로 30 분간 처리한 후에 IL-1β(2 ng/㎖) 및 TNF-α(2 ng/㎖)의 배합물을 가하였다. 배양을 18 내지 24 시간 동안 계속했다. 배양 배지 중의 IL-6 수준을 상술한 바와 같이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Endogen ELI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뿐만 아니라 DES 및 랄록시펜에서의 비교 활성을 도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유방암 세포의 증식에 대한 전형적인 화합물의 활성
MCF-7 유방 암종 세포를 1% 항생제, 0.05% β-머캅토에탄올, 0.01% 에탄올아민, 0.42 ng/㎖의 나트륨 셀레나이트 및 5% 숯-스트립핑시킨 FCS를 함유하는 페놀-레드 비 함유 DMEM:F-12(1:1) 배지 중에 5 x 103세포/웰의 밀도로 24-웰 디쉬에 도말하였다. 다음 날 1 번 화합물 및 비히클(0.2% DMSO)을 가하고 매 48 시간 마다 새로운 배지를 공급하였다. 배양을 9 일 후에 멈추고 Cyquant 키트(Molecular Probes, Eugene, OR)를 사용하여 증식을 분석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를, 타목시펜과 랄록시펜뿐만 아니라 에스트라디올을 갖는 상기의 배합물에 대한 비교 데이터를 포함하여 도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전립선 암종 세포의 증식에 대한 전형적인 화합물의 활성
DU-145 전립선 암종 세포를 얼(Earl)의 균형 염, 1% 항생제-항진균제, 2 mM 글루타민, 0.1 mM 불필수 아미노산, 1 mM 나트륨 피루베이트 및 10% 숯-스트립핑된 FCS를 함유하는 페놀-레드 비 함유 MEM 이글 배지 중에 2 x 103세포/웰의 밀도로 96-웰 디쉬에 도말하였다. 다음 날 1 번 화합물 및 비히클(0.2% DMSO)을 가하고 매 48 시간 마다 새로운 배지를 공급하였다. 배양을 5 일 후에 멈추고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Cyquant 키트를 사용하여 증식을 분석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를 DES에 대한 비교 데이터와 함께 도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고체 상 ER 결합 분석
인간 에스트로겐 수용체(ER-α 및 ER-β)에 대한 결합을 문헌[McGuire, Cancer Res. 38:4289-4291, 1978]에 따라, 고상3H-에스트라디올 경쟁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간단히, 인간 재조합 ER-α(15 nM) 또는 ER-β(50 nM)를 96-웰 미세적정 플레이트의 웰에 고정화시켰다. ER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결합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30 nM3H-에스트라디올과 경쟁 평가하였다. 표 2에 나타낸 이 실험의 결과는 3 회 이상의 상이한 실험들의 평균을 나타낸다. 비교 화합물들을 얻어진 결과의 타당성을 보증하기 위해서 각 분석의 통합 부분으로서 동시에 시험하였다.
고상 ER 결합
Ki(nM)
수용체 분석 1 번 화합물(HCl 염) 타목시펜시트레이트 랄록시펜HCl 에스트라디올
ER-α 1.4 72 0.4 0.8
ER-β 7.3 173 13 2.5
타목시펜, 랄록시펜 및 에스트라디올에 대한 결합 데이터는 이들 화합물의 공개된 문헌 값에 상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1 번 화합물(HCl 염의 형태)의 ER-α와 ER-β에 대한 결합을 17β-에스트라디올, 타목시펜 시트레이트 및 랄록시펜 HCl의 결합과 비교하였다. 1 번 화합물은 ER-α와 ER-β에 대해 높은 친화성(에스트라디올과 유사함)으로 결합한다. ER-β에 대한 친화성이 ER-α에 대한 값보다 약간 낮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대부분의 ER 리간드들에 대해 전형적이다.
실시예 19
자궁 불안정성
본 발명에 논의된 바와 같이,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인자 또는 SERM으로서 작용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SERM은 미숙한 래트 자궁 생체분석(Robertson et al., Biol. Reprod. 54:183-196, 1996; Medlock et al., Biol. Reprod. 56:1239-1244, 1997; Martel et al., Endocrinology 139:2486-2492, 1998; Hyder et al., Cancer Cells 120:165-171, 1997) 및 난소절제된 래트 자궁 생체분석(Sato et al., FASEB J. 10905-912, 1996; Ruenitz et al., Bone 23:537-542, 1998; Luo et al., Endocrinology 139:2645-2656, 1998; Ke et al., Bone 20:31-39, 1997)과 같은 승인된 분석에서 평가 시 자궁 불안정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들 분석은 모두 자궁의 습윤 및 건조 중량에 대한 특정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며 조직학적 데이터를 제공한다.
1 번 화합물을 에스트로겐 및 랄록시펜-HCl과 나란히 피하 투여를 사용하여 3 일 미숙 래트 자궁 생체분석으로 시험하였다(상기 Medlock et al.). 에스트로겐은 자궁 중량을 4.5 배 증가시켰으며, 이는 보고된 문헌 값이다(Ashby et al., Regul. Toxicol. Pharmacol. 25:226-231, 1997; 상기 Medlock et al.). 랄록시펜 HCl은 1 ㎎/㎏ 용량에서 자궁 중량을 50% 까지 증가시켰으며, 이는 또한 공개된 데이터(상기 Ashby et al.)와 일치한다. 1 번 화합물은 자궁 중량을 대략 30% 증가시켰는데, 이는 비히클-처리된 동물(즉 PEG-400)과 통계학적으로 다르지 않다. 랄록시펜 HCl과 1 번 화합물은 모두 종형의 용량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SERM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된다.
1 번 화합물을 또한 난소절제된 래트에서 28 일 자궁 생체 분석으로 17β-에스트라디올 및 랄록시펜 HCl과 나란히 시험하였다(상기 Ke et al.). 상기 3 개의 화합물을 모두 피하 주입에 의해 매일 투여하였다. 에스트로겐은 자궁 중량을 550%까지 증가시킴으로써 난소절제에 의해 야기된 자궁 중량 손실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개된 데이터와 일치한다(Grese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4:14105-14110, 1997; 상기 Ashby et al.; 상기 Ke et al.). 랄록시펜 HCl은 이미 보고된 약 70%의 자궁 중량 증가를 야기시켰다(상기 Grese et al. 및 Ashby et al.). 1 번 화합물은 자궁 중량을 약 40% 증가시켰으며, 이는 랄록시펜 HCl-매개된 중량 증가보다 통계학적으로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1 번 화합물이현저한 자궁 불안정성을 나타내지 않는, 미숙 래트 자궁 생체분석의 데이터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암 및 골다공증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병과 신경퇴행성 질병, 예를 들어 알쯔하이머 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상당한 잠재성을 갖는다.
실시예 20
비교 시험
1 번 화합물을 문헌[Lednicer et al., J. Med. Chem. 8:725-726, 1965]의 화합물에 대해 시험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문헌은 소문난 에스트로겐 길항물질로서 쿠마린-기재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화합물들 중 하나(즉 표 IV의 화합물 20, 이후부터 "L-20")는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LC/MS(M+H)+=414).
화합물 "L-20"
상기 화합물을 실시예 18의 ER 결합 분석 및 IL-6 활성에 대한 실시예 12의 인간 골 공동 배양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38에 대해 시험하였다. 이들 실험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ER 결합 분석 IL-6 활성
ER-α(Ki, μM) ER-β(Ki, μM) (IC50, μM)
화합물 38 0.69 1.56 0.175
"L-20" >10 >10 >1
실시예 21
U2OS 골육종 세포에서의 ER-선택성
인간 U2OS 골육종 세포(ATCC)를 표준 분자 생물 기법을 사용하여 각각 인간의 완전 길이 ER-α 또는 ER-β에 대한 발현 벡터로 안정하게 형질감염시켰다. 높은 수준의 ER-α 또는 ER-β mRNA를 발현하는 안정한 서브클론들을 생성시켰다. ER-α 및 ER-β의 발현을 RNase 보호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모 U2OS 세포는 임의의 측정 가능한 양의 ER-α 또는 ER-β를 발현하지 못했다.
세포를 숯-스트립핑된 송아지 태아 혈청을 갖는 페놀 레드 비함유 배지에서 웰 당 8000 세포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도말하였다. 24 시간 후에, 세포를 비히클(0.2% DMSO) 또는 지시된 농도(0.2% DMSO 중의)의 시험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30 분 후에 세포들을 10 ng/㎖의 IL-1β 및 10 ng/㎖의 TNF-α로 자극하였다. 24 시간 후에, 배지 상등액을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시토킨(IL-6) 생산에 대해 분석하였다. 비히클(0.2% DMSO) 존재 하의 시토킨 생산을 100%로 정하였다.
다수의 본 발명의 전형적인 화합물들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의 시험 화합물들에 대한 상기 분석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이 표에서, 활성을 DMSO 대조군(100%)에 대한 50% 억제에 의해 계산된 IC50으로서 나타낸다.
시토킨에 대한 전형적인 SERM의 효과
화합물 U2OS IL-6ER-αIC50(nM) U2OS IL-6ER-βIC50(nM) U2OS IL-6ER-부재IC50(nM)
"L-20" >1000 >1000 >1000
17β 에스트라디올 0.03 0.016 >1000
랄록시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 10,000 >1000
4-하이드록시-타목시펜 0.3-3 >1000 >1000
화합물 16 325 51 >1000
화합물 38 >1000 165 >10,000
상기 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화합물들(예를 들어, 화합물 16 및 38)은 ER-α에 비해 ER-β에 대해 특이성을 나타낸 반면, 종래 기술 화합물(17-β-에스트라디올 제외)은 ER-β에 비해 ER-α 선택성이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들을 예시를 목적으로 본 원에 개시하였지만, 다양한 변경들을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로부터 이탈됨없이 수행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청구의 범위를 제외하고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79)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그의 입체 이성체, 전구약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상기 식에서,
    n은 0, 1, 2, 3 또는 4이고;
    p는 0이고;
    R1은 비 치환되거나 치환된 C6-12아릴, C7-12아릴알킬, C3-12헤테로사이클 또는 C4-16헤테로사이클알킬이고;
    R2는 NRaRb이며, 여기에서 Ra및 Rb는 독립적으로 수소, C1-8알킬, C6-12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이고, C1-6알킬, 할로겐, C1-6알콕시, 하이드록시 및 카복실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3 개 이하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거나; 또는
    R2는 하기 화학식의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이고:
    (상기 식에서,
    m1및 m2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m1및 m2가 모두 0인 것은 아니며,
    A는 CH2, O, S 또는 NH이고,
    Z는 할로겐, C1-8알킬, C6-12아릴, C7-12아릴알킬, C3-12헤테로사이클 및 C4-16헤테로사이클알킬 중에서 선택된 0, 1, 2 또는 3 개의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치환체를 나타내고, 이때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상의 임의의 수소 원자는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의 인접 원자 상의 수소 원자와 함께 이중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R3는 수소, R4, C(=O)R4, C(=O)OR4, CONHR4, CONR4R5또는 SO2NR5R5이고;
    R4및 R5는 독립적으로 C1-8알킬, C6-12아릴, C7-12아르알킬, 또는 O, NR6및 S(O)q중에서 선택된 2 개 이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이고, 이때 상기 각 그룹들은 R7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내지 3 개의 치환체로 임의로 치환되며 q는 0, 1 또는 2이고;
    R6은 수소 또는 C1-4알킬이고;
    R7은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C1-6알킬, C1-4알콕시, C1-4아실옥시, C1-4티오, C1-4알킬설피닐, C1-4알킬설포닐, (하이드록시)C1-4알킬, C6-12아릴, C7-12아르알킬, COOH, CN, CONHOR8, SO2NHR8, NH2, C1-4알킬아미노, C1-4디알킬아미노, NHSO2R8, NO2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이고, 이때 각 경우의 R8은 독립적으로 C1-6알킬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비 치환되거나 치환된 C6-12아릴인 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R1이 비 치환되거나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R1이 비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5. 제 3 항에 있어서, R1이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6. 제 5 항에 있어서, R1이 4-할로페닐, 4-메틸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4-트리플루오로페닐, 3-할로페닐, 2-할로페닐, 2,4-디할로페닐, 3,4-디할로페닐이고, 이때 할로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인 화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비 치환되거나 치환된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8. 제 7 항에 있어서, R1이 비 치환되거나 치환된 피리디닐 또는 티오페닐인 화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비 치환되거나 치환된 C7-12아릴알킬인 화합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R1이 비 치환되거나 치환된 벤질인 화합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비 치환되거나 치환된 C3-12헤테로사이클 또는 C4-16헤테로사이클알킬인 화합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n이 2인 화합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n이 0, 1, 3 또는 4인 화합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R3가 수소인 화합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R3가 C(=O)(C1-8알킬) 또는 C(=O)(C6-12아릴)인 화합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R3가 C(=O)O(C1-8알킬), SO2NH2또는 CONH2인 화합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R2가 하기 화학식의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인 화합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m1및 m2가 1인 화합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A가 CH2인 화합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R2가 피페리딘-1-일인 화합물.
  21. 제 18 항에 있어서, A가 O인 화합물.
  22. 제 21 항에 있어서, R2가 모르폴린-4-일인 화합물.
  23. 제 17 항에 있어서, m1이 1이고 m2가 0인 화합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A가 CH2이고 R2가 0 또는 1 Z 치환체로 치환된 이미다졸리딘-2-일인 화합물.
  25. 제 17 항에 있어서, R2가 0 또는 1 Z 치환체로 치환된 이미다졸-1-일 또는 이미다졸-2-일인 화합물.
  26. 제 1 항에 있어서, R2-(CH2)n-O- 잔기가 페닐 고리의 4 번 위치에 결합된 화합물.
  27. 제 1 항에 있어서, R2-(CH2)n-O- 잔기가 페닐 고리의 3 번 위치에 결합된 화합물.
  28.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29.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상기 식에서,
    X는 하나 이상의 페닐 치환체를 나타낸다.
  30. 제 28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31. 제 29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32. 제 3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상기 식에서,
    X는 할로겐이다.
  33. 제 1 항의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34. 시토킨 억제가 필요한 동물에게 유효량의 제 33 항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시토킨을 억제하는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시토킨이 IL-6인 방법.
  36. 제 34 항에 있어서, 시토킨이 GM-CSF인 방법.
  37. ER-β를 발현하는 세포를 유효량의 제 1 항의 화합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세포에서 ER-β를 조절하는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세포가 ER-α에 비해 ER-β를 우선적으로 발현하는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세포가 골, 방광, 자궁, 난소, 전립선, 고환, 부고환, 위장관, 신장, 유방, 눈, 심장, 혈관벽, 면역계, 폐, 뇌하수체, 해마상 융기 또는 시상하부 세포인 방법.
  40. ER-β를 발현하는 조직을 유효량의 제 1 항의 화합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조직에서 ER-β를 조절하는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조직이 ER-α에 비해 ER-β를 우선적으로 발현하는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조직이 골, 방광, 자궁, 난소, 전립선, 고환, 부고환, 위장(GI) 관, 신장, 유방, 눈, 심장, 혈관벽, 면역계, 폐, 뇌하수체, 해마상 융기 또는 시상하부의 조직인 방법.
  43. 에스트로겐 관련 증상의 치료가 필요한 동물에게 유효량의 제 33 항의 약학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증상의 치료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에스트로겐 관련 증상이 유방암, 골다공증, 자궁내막증, 심혈관 질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 암종, 비만, 일과성 열감, 피부 효과, 기분 전환, 기억력 상실, 전립선 암, 폐경 증후군, II형 당뇨병, 알쯔하이머병, 요실금, GI 관 질환, 정자형성, 손상 후 혈관 보호, 자궁내막증, 학습 및 기억력, CNS 효과, 혈장 지질 수준, 여드름, 다모증, 충실성 종양,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 탈모, 백내장, 선천적인 호르몬 불균형, 또는 환경적 화학물질에의 노출과 관련된 불리한 생식력 영향인 방법.
  45. 골 재흡수 질병의 치료가 필요한 동물에게 유효량의 제 33 항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상기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46. 제 39 항에 있어서, 골 재흡수 질병이 골다공증인 방법.
  47. 제 39 항에 있어서, 골 재흡수 질병이 전이성 골암, 정형외과 이식물에 의한 골 분해성 장애, 파제트 병, 또는 부갑상선기능항진증과 관련된 골 손실인 방법.
  48. IL-6와 관련된 암의 치료가 필요한 동물에게 유효량의 제 35 항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상기 암을 치료하는 방법.
  49. 제 48 항에 있어서, 암이 유방암, 전립선암, 결장암, 자궁내막암, 다발성 골수종, 신장 세포 암종 또는 자궁경부 암종인 방법.
  50. 관절염의 치료가 필요한 동물에게 유효량의 제 33 항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상기 관절염을 치료하는 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관절염이 류마티스성 관절염인 방법.
  52. ER-β를 발현하는 세포를 유효량의 제 1 항의 화합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세포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세포가 골, 방광, 자궁, 난소, 전립선, 고환, 부고환, 위장관, 신장, 유방, 눈, 심장, 혈관벽, 면역계, 폐, 뇌하수체, 해마상 융기 또는 시상하부의 세포인 방법.
  54.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5.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염:
  56.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7.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염:
  58.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9. 치료 유효량의 제 54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60. 시토킨 억제가 필요한 동물에게 유효량의 제 59 항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시토킨을 억제하는 방법.
  61. 제 60 항에 있어서, 시토킨이 IL-6인 방법.
  62. 제 60 항에 있어서, 시토킨이 GM-CSF인 방법.
  63. ER-β를 발현하는 세포를 유효량의 제 54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세포에서 ER-β를 조절하는 방법.
  64. 제 63 항에 있어서, 세포가 ER-α에 비해 ER-β를 우선적으로 발현하는 방법.
  65. 제 64 항에 있어서, 세포가 골, 방광, 자궁, 난소, 전립선, 고환, 부고환,위장관, 신장, 유방, 눈, 심장, 혈관벽, 면역계, 폐, 뇌하수체, 해마상 융기 또는 시상하부 세포인 방법.
  66. ER-β를 발현하는 조직을 유효량의 제 54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조직에서 ER-β를 조절하는 방법.
  67. 제 66 항에 있어서, 조직이 ER-α에 비해 ER-β를 우선적으로 발현하는 방법.
  68. 제 67 항에 있어서, 조직이 골, 방광, 자궁, 난소, 전립선, 고환, 부고환, 위장(GI) 관, 신장, 유방, 눈, 심장, 혈관벽, 면역계, 폐, 뇌하수체, 해마상 융기 또는 시상하부의 조직인 방법.
  69. 에스트로겐 관련 증상의 치료가 필요한 동물에게 유효량의 제 59 항의 약학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증상의 치료 방법.
  70. 제 69 항에 있어서, 에스트로겐 관련 증상이 유방암, 골다공증, 자궁내막증, 심혈관 질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 암종, 비만, 일과성 열감, 피부 효과, 기분 전환, 기억력 상실, 전립선 암, 폐경 증후군, II형 당뇨병, 알쯔하이머병, 요실금, GI 관 질환, 정자형성, 손상 후 혈관 보호, 자궁내막증, 학습 및 기억력, CNS 효과, 혈장 지질 수준, 여드름, 다모증, 충실성 종양,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 탈모, 백내장, 선천성 호르몬 불균형, 또는 환경적 화학물질에의 노출과 관련된 불리한 생식력 영향인 방법.
  71. 골 재흡수 질병의 치료가 필요한 동물에게 유효량의 제 59 항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상기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72. 제 65 항에 있어서, 골 재흡수 질병이 골다공증인 방법.
  73. 제 65 항에 있어서, 골 재흡수 질병이 전이성 골암, 정형외과 이식물에 의한 골 분해성 장애, 파제트 병, 또는 부갑상선기능항진증과 관련된 골 손실인 방법.
  74. IL-6와 관련된 암의 치료가 필요한 동물에게 유효량의 제 61 항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상기 암을 치료하는 방법.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유방암, 전립선암, 결장암, 자궁내막암, 다발성 골수종, 신장 세포 암종 또는 자궁경부 암종인 방법.
  76. 관절염의 치료가 필요한 동물에게 유효량의 제 59 항의 조성물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동물에서 상기 관절염을 치료하는 방법.
  77. 제 76 항에 있어서, 관절염이 류마티스성 관절염인 방법.
  78. ER-β를 발현하는 세포를 유효량의 제 54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상기 세포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방법.
  79. 제 78 항에 있어서, 세포가 골, 방광, 자궁, 난소, 전립선, 고환, 부고환, 위장관, 신장, 유방, 눈, 심장, 혈관벽, 면역계, 폐, 뇌하수체, 해마상 융기 또는 시상하부의 것인 방법.
KR1020027008569A 1999-12-30 2000-12-29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조절 화합물 및 조절 방법 KR200200753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577699A 1999-12-30 1999-12-30
US09/475,776 1999-12-30
US09/492,939 2000-01-27
US09/492,939 US6291456B1 (en) 1998-12-30 2000-01-27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on of estrogen receptors
US09/611,156 2000-07-06
US09/611,156 US6331562B1 (en) 1998-12-30 2000-07-06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on of estrogen receptors
PCT/US2000/035671 WO2001049673A2 (en) 1999-12-30 2000-12-29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on of estrogen recep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388A true KR20020075388A (ko) 2002-10-04

Family

ID=2741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569A KR20020075388A (ko) 1999-12-30 2000-12-29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조절 화합물 및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246814B1 (ko)
JP (1) JP2003519219A (ko)
KR (1) KR20020075388A (ko)
CN (1) CN1281598C (ko)
AT (1) ATE289300T1 (ko)
AU (1) AU781282B2 (ko)
CA (1) CA2396059A1 (ko)
DE (1) DE60018215T2 (ko)
DK (1) DK1246814T3 (ko)
ES (1) ES2238034T3 (ko)
HK (1) HK1058521A1 (ko)
IL (1) IL150463A0 (ko)
PT (1) PT1246814E (ko)
WO (1) WO200104967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504A (ko) * 2000-07-28 2002-02-04 실버스타인 아써 에이. 백내장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O5271709A1 (es) * 2000-01-12 2003-04-30 Pfizer Prod Inc Composiciones y procedimientos para el y tratamiento de afecciones que responden a estrogenos
EP1281710A1 (en) * 2001-08-03 2003-02-05 CHIESI FARMACEUTICI S.p.A. 2H-1-benzopyran derivativ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7148252B2 (en) * 2001-10-03 2006-12-12 Signal Pharmaceuticals, Llc Use of benzopyranones for treating or preventing a primary brain cancer or a brain metastasis
IL161325A0 (en) 2001-11-19 2004-09-27 Lilly Co Eli Substituted benzopyrans as selective estrogen receptor-beta agonists
AU2005202072B2 (en) * 2001-11-29 2008-10-23 Gtx, Inc.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ndrogen-deprivation induced conditions
EA200400744A1 (ru) * 2001-11-29 2005-02-24 Джи Ти Икс, ИНК. Предупреждение и лечение остеопороза, вызванного депривацией андрогенов
US7524866B2 (en) 2001-11-29 2009-04-28 Gtx, Inc.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ndrogen—deprivation induced osteoporosis
NZ536291A (en) * 2002-04-19 2006-09-29 Signal Pharm Inc Benzopyranone compounds, compositions thereof, and methods of treatment therewith
US7091235B2 (en) * 2002-10-15 2006-08-15 Signal Pharmaceuticals, Llc Benzopyranone compounds, compositions thereof,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cancer
US7674783B2 (en) * 2002-11-22 2010-03-09 Dimera Inc. Estrogen beta receptor agonists to prevent or reduce the severity of cardiovascular disease
DE602004016150D1 (de) 2003-04-21 2008-10-09 Lilly Co Eli Substituierte benzopyrane als selektive antagonisten am östrogenrezeptor-beta
US7279499B2 (en) 2003-04-21 2007-10-09 Eli Lilly And Company Substituted benzopyrans as selective estrogen receptor-beta agonists
US7098340B2 (en) 2003-05-14 2006-08-29 Warner Lambert Company Llc Benzyl sulfonamide derivatives
CN1890235A (zh) * 2003-09-15 2007-01-03 西格诺药品有限公司 苯并吡喃酮化合物,其组合物以及用其进行治疗的方法
JP2008528495A (ja) * 2005-01-21 2008-07-31 ジヤンセン・フアーマシユーチカ・ナームローゼ・フエンノートシヤツプ イオンチャンネル開口薬としての新規なクマリン誘導体
WO2008002490A2 (en) * 2006-06-23 2008-01-03 Radius Health, Inc. Treatment of vasomotor symptoms with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EP3106159A1 (en) 2010-05-12 2016-12-21 Radius Health, Inc. Therapeutic regimens
WO2012047617A1 (en) 2010-09-28 2012-04-12 Radius Health, Inc. Selective androgen receptor modulators
CA2943611A1 (en) 2014-03-28 2015-10-01 Duke University Method of treating cancer using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US9421264B2 (en) 2014-03-28 2016-08-23 Duke University Method of treating cancer using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CN105801544A (zh) * 2016-04-18 2016-07-27 中国药科大学 3-芳基-4-芳香胺-香豆素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医药用途
CN105801543B (zh) * 2016-04-18 2019-08-02 中国药科大学 4-芳香胺-香豆素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医药用途
SG11201811225RA (en) 2016-06-22 2019-01-30 Radius Health Inc Ar+ breast cancer treatment methods
CN106727637A (zh) * 2016-12-27 2017-05-31 郑州郑先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白内障的西药组合物及其用途
CN106492204A (zh) * 2016-12-27 2017-03-15 郑州郑先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白内障的药物组合物
KR102557321B1 (ko) 2017-01-05 2023-07-18 래디어스 파마슈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Rad1901-2hcl의 다형 형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6202A (en) * 1996-01-11 1998-03-10 Novo Nordisk A/S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US5883118A (en) * 1996-01-11 1999-03-16 Nova Nordisk A/S Prostatic carcinoma
CA2241623A1 (en) * 1996-01-11 1997-07-17 Novo Nordisk A/S Use of 3,4-diphenyl chromans for the manufacture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r prophylaxis of menopausal symptoms
WO2000039120A2 (en) * 1998-12-30 2000-07-06 Signal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on of estrogen recept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504A (ko) * 2000-07-28 2002-02-04 실버스타인 아써 에이. 백내장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46814B1 (en) 2005-02-16
ATE289300T1 (de) 2005-03-15
JP2003519219A (ja) 2003-06-17
WO2001049673A3 (en) 2001-12-06
WO2001049673A2 (en) 2001-07-12
AU781282B2 (en) 2005-05-12
DE60018215D1 (de) 2005-03-24
IL150463A0 (en) 2002-12-01
PT1246814E (pt) 2005-07-29
CA2396059A1 (en) 2001-07-12
AU3077101A (en) 2001-07-16
CN1437591A (zh) 2003-08-20
CN1281598C (zh) 2006-10-25
HK1058521A1 (en) 2004-05-21
DE60018215T2 (de) 2006-02-09
EP1246814A2 (en) 2002-10-09
DK1246814T3 (da) 2005-05-30
ES2238034T3 (es) 2005-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1562B1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on of estrogen receptors
EP1140889B1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on of estrogen receptors
EP1246814B1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on of estrogen receptors
US6291456B1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on of estrogen receptors
US6620838B1 (en) Benzopyrazone compounds, compositions thereof, and methods of treatment therewith
EP1355906B1 (en) 2h-1-benzopyran derivativ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CN100436440C (zh) 苯并吡喃酮化合物、其组合物以及其治疗方法
CA2270113A1 (en) Novel cis-3,4-chroman derivatives useful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estrogen related diseases or syndromes
JP2001502706A (ja) エストロゲン関連病あるいは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に有用な新規トランス―3,4クロマン誘導体
JP2001502711A (ja) エストロゲン関連疾患又は症候群の予防又は治療において有用な新規のシス―3、4―クロマン誘導体
EP1229036A1 (en) 2H-1-benzopyran derivativ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AU9733501A (en) Novel cis-3,4-chroman derivatives useful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estrogen related diseases or syndromes
AU9734501A (en) Novel cis-3,4-chroman derivatives useful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estrogen related diseases or sydndro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