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318A - 산업시설에서의 정전기 검출 및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업시설에서의 정전기 검출 및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318A
KR20020073318A KR1020020047771A KR20020047771A KR20020073318A KR 20020073318 A KR20020073318 A KR 20020073318A KR 1020020047771 A KR1020020047771 A KR 1020020047771A KR 20020047771 A KR20020047771 A KR 20020047771A KR 20020073318 A KR20020073318 A KR 20020073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c electricity
humidity
temperature
voltage generating
generat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5261B1 (ko
Inventor
김병삼
Original Assignee
김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삼 filed Critical 김병삼
Priority to KR10-2002-0047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261B1/ko
Publication of KR2002007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12Measuring electrostatic fields or voltage-potent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48Temperature 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시설에서의 정전기 검출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업현장에서 온도, 습도, 장비 운전등의 요인으로 발생되는 정전기를 실시간 검출하여 데이타화하여 저장하고 이상 발생시 정전기를 제거할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으며
산업현장에 전위센서에 의한 정전기, 온습도 센서에 의한 온도, 습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물리량을 CPU 및 PC에 입력하면 이를 연산하고 연산된 정전기 발생량에 따라 고압발생 제어부가 정전기를 제거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자동화 하면서도 정전기, 온도, 습도의 물리량을 측정하여 데이터로 저장하고 정전압에 이상발생시에는 자동으로 제전시스템을 구동시켜 정전기를 제거할수 있게 됨은 물론 수분과 에어를 분사시켜 항온 및 항습의 기능을 동시에 구비할수 있게 되는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산업시설에서의 정전기 검출 및 제어시스템 { Electro-ststic Detector and control System }
본 발명은 산업시설에서의 정전기 검출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업현장에서 습도, 온도, 장비 운전등의 요인으로 발생되는 각 지점의 정전기를 검출하여 CPU 또는 PC에서 입력하고 자동 연산하여 정전기 발생지역의 정전기를 제거하고 데이터화하는 정전기 검출 및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 현장내의 온도와 습도, 장비등의 운전상태에 따라 정전기가 발생되고 동 정전기는 제품의 생산에 불량 발생의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전자제품, LCD, 반도체 조립공장에서 정전기의 발생은 부품생산 및 생산 제품의 치명적인 불량요인을 초래하게 되고, 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어 작업장 내의 정전기를 검출하고 이를 제거하게 되며 항온, 항습을 유지하게된다.
종래에는 산업현장의 정전기 발생지점에 정전기 측정장비와 온도계 및 습도계를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정전기 제거를 위하여 고압발생을 제어하는 +, - 이온량을 수동으로 조절하여 정전기를 제거하는 전원반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수시로 온도, 습도, 정전기의 발생상태를 측정하여 정전기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고 정전기 발생시에는 전원반의 +, - 이온량을 조절하여 정전기를 제어하게 되므로서 각종의 고가 장비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설치되면서도 데이터 수집을 통한 실시간 정전기 발생량을 수집할수 없고 정전기 제거를 위하여 전원반을 상시 ON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므로 전력의 소비가 많고, 또 작업공정상 정전기 발생요인 및 제어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영세사업장의 경우에는 장비구입과 운용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으로 전자관련제품에서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생산제품의 불량발생의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작업현장의 정전기 발생지점에 전위센서와 온습도 센서를 이용한 정전기와 온도 및 습도의 검출장치를 설치하고 전위센서에서 검출된 정전기와 온도,습도를 CPU 또는 PC에 입력시켜 이를 연산하고 제전장치인 고압발생제어부에는 절전기능의 제어기를 구비하여 정전기의 발생량을 측정하여 CPU에서 자동연산과 제어회로에 데이터화하면서 제전장치인 고압발생제어부가 동작되도록 하여 정전기를 제거하며 정전기로 인한 생산제품의 불량발생시 불량범위 발생시간, 불량 발생지점을 확인할 수 있는 정전기검출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블럭도
도2는 종래의 정전기 검출블럭도
도3은 종래의 정전기 제어블럭도
본 발명은 전위센서에 의한 정전기와 온습도 센서에 의한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물리량을 CPU 및 PC에 입력하고 입력된 정전기, 온도, 습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발생량에 따라 정전기를 제어하는 고압발생제어부가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정전기 검출수단은 전위센서를 통하여 10V∼30KV까지의 정전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전기량은 키보드나 RS485 또는 RS232를 입력수단으로 통신케이블을 통하여 메인 CPU 또는 PC에 전달되어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온도와 습도는 전위센서에서 검출되고, 온·습도량을 RS485 또는 RS232를 입력수단으로 통신케이블을 통하여 메인 CPU 또는 PC에 전달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검출되어 저장된 물리량(정전기량, 온도, 습도량)은 메인 CPU 또는 PC에 저장되고, 연산프로그램에서 연산처리되어 모니터링이 가능한 디지털화된 데이터로 변환되며 변환된 데이터는 워드파일로 저장되면서 CPU 또는 PC에서 정전기량, 온도, 습도량의 설정지점에 이르게 되면 정전기 제거를 지시하는 명령을 보내게 되고, 동 명령을 전달받은 제전장치인 고압발생제어부는 +, - 이온량에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이온을 발생시키게 되고, 전위센서는 제전되는 정전기량을 측정하여 CPU 또는 PC에 전달하여 앞에서와 같이 입력이 이루어지므로서 이온 발생량을 조절하게 되는 과정이 반복으로 이루어지고 실시간 정전량의 측정과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 제전장치인 고압발생제어부에 이온블로어, 노즐, 에어건을장착하고 이를 제어하므로서 이온블로어에서의 이온 분사, 노즐에 의한 수분의 분사 또는 에어건을 통한 에어의 분사로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산업시설에서 설치하여 정전압 및 온도와 습도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구체적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PC화면의 Setting Voltage에 정전압의 상하범위를 설정하게되면 우측의 그래프에는 산업현장의 전위센서에서 측정된 정전압은 실시간 그래프에 표시되면서 Read Voltage에 실시간 정전압이 표시되고 데이터는 PC에 자동으로 저장된다.
또 설정된 정전압이 상하범위를 벗어나 이상이 발생하면 Reae Voltage에 표시되면서 관리자에 이메일로 전송되고, 제전장치인 고압발생제어부를 동작시켜 이온블로어가 동작하여 정전기를 제거하게 된다.
또, 온습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와 습도는 하방의 그래프에 실시간 표시되고 그 데이터는 PC에 자동으로 저장된다.
또 온·습도에 이상이 발생되면 관리자는 고압발생제어부를 동작시켜 노즐을 통하여 수분을 분사 시키거나 에어건을 통하여 에어를 분사시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항온 항습을 유지하고 그 데이터는 PC에 자동으로 저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정전압 및 온·습도의 변화 발생시간 발생범위를 데이터화하여 관리할수 있어 정전기의 발생요인을 확인할수 있고 정전압과 온·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수 있게 되므로서 산업현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정전기로 인한 불량요인을 해소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수동의 정전기 제거시스템의 문제점인 역대전 현상을 방지하고, 시설과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업현장 및 사무실에서 정전기 및 온·습도의 물리량을 실시간 측정하여 데이터로 저장할수 있게 되고 정전압에 이상 발생시는 자동으로 제전시템을 구동시켜 정전기를 제거할수 있게 되므로서 전력의 낭비를 줄일수 있게 되고, 정전기와 항온, 항습의 기능이 동시에 구비할수 있게 되므로, 경제성이 뛰어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전위센서에 의한 정전기와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여 검출된 물리량을 CPU 및 PC에 입력하여 이를 연산하고 연산된 정전기 발생량에 따라 고압발생제어부가 정전기를 제어하는 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한 산업시설에서의 정전기 검출 및 제어시스템
KR10-2002-0047771A 2002-08-13 2002-08-13 산업시설에서의 정전기 검출 및 제어시스템 KR100505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771A KR100505261B1 (ko) 2002-08-13 2002-08-13 산업시설에서의 정전기 검출 및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771A KR100505261B1 (ko) 2002-08-13 2002-08-13 산업시설에서의 정전기 검출 및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318A true KR20020073318A (ko) 2002-09-23
KR100505261B1 KR100505261B1 (ko) 2005-08-03

Family

ID=2772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771A KR100505261B1 (ko) 2002-08-13 2002-08-13 산업시설에서의 정전기 검출 및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2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026B1 (ko) * 2005-02-18 2006-09-25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실시간 정전기 측정장치
KR101943768B1 (ko) * 2017-12-13 2019-01-30 주식회사 네오스마트 대상자 맞춤형 대전방지 솔루션
KR102642989B1 (ko) * 2023-03-09 2024-03-05 주식회사 지에스에프솔루션 정전기 예측을 통한 웨이퍼 이송 로봇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31B1 (ko) 2015-02-25 2016-09-23 주식회사 이에스지케이 가스누출에 의한 주택의 화재폭발 예방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8981A (ja) * 1989-05-12 1990-12-11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KR19980054169U (ko) * 1996-12-31 1998-10-07 오상수 차량용 도어의 정전기 제거장치
JP2000340390A (ja) * 1999-05-24 2000-12-08 Convenience Green Mart:Kk 静電気の発生を防ぐ装置
JP3657906B2 (ja) * 2001-11-12 2005-06-08 株式会社東芝 静電気センサを搭載したディスク記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026B1 (ko) * 2005-02-18 2006-09-25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실시간 정전기 측정장치
KR101943768B1 (ko) * 2017-12-13 2019-01-30 주식회사 네오스마트 대상자 맞춤형 대전방지 솔루션
KR102642989B1 (ko) * 2023-03-09 2024-03-05 주식회사 지에스에프솔루션 정전기 예측을 통한 웨이퍼 이송 로봇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5261B1 (ko)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633B1 (ko)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E69921602D1 (de) Auf einem multivariablen statistischen modell basierendes system zur darstellung des betriebs einer stranggiessanlage und detektion bevorstehender durchbrüche
US20090249128A1 (en) Predictive diagnostics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reliability
US10002514B2 (en) Machine tool having function of monitoring sealing of control panel
KR20170046139A (ko) 프로그래밍가능한 논리 제어기 기반 시스템 및 제어된 환경에서 공기를 샘플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232894B1 (ko) 벨트 컨베이어 타입 정량공급기의 결함허용을 위한 제어 방법
KR20020073318A (ko) 산업시설에서의 정전기 검출 및 제어시스템
Xi-Hu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etector control system for the BESIII drift chamber cosmic ray test
JPWO2018185836A1 (ja) 大気圧プラズマ装置
US70660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purity levels in an enclosed printing press environment
KR100630409B1 (ko) 실시간 정전기 검출 제전 장치
WO2018120167A1 (zh) 机器人、机器人底座稳定性的监测控制方法及系统
KR200385373Y1 (ko)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정전기 검출 제전 시스템
CN111796560A (zh) 工厂运转支持系统和工厂运转支持方法
CN110926792A (zh) 多工况加载的切削液集中过滤系统可靠性试验装置及方法
Stevenson et al. A plasma process monitor/control system
CN109688684A (zh) 一种离子风机的监控方法及装置
US20140048289A1 (en) Fire pump system and system controller
CN204965229U (zh) 一种数控机床内恒温湿控制装置
KR101486015B1 (ko) 덕트 무게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23661A (ko) 먼지 관리 시스템
CN109840713A (zh) 集成精益生产系统
CN105424083A (zh) 一种真空电弧喷涂镀设备数据采集系统及方法
RU2744045C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ддержания уровня азота для шкафов сухого хранения
WO2017019062A1 (en) Protecting a computing device from environmental issues in an en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