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688A -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688A
KR20020072688A KR1020010012657A KR20010012657A KR20020072688A KR 20020072688 A KR20020072688 A KR 20020072688A KR 1020010012657 A KR1020010012657 A KR 1020010012657A KR 20010012657 A KR20010012657 A KR 20010012657A KR 20020072688 A KR20020072688 A KR 20020072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xing
container collection
belt
collec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455B1 (ko
Inventor
이춘식
Original Assignee
이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식 filed Critical 이춘식
Priority to KR10-2001-001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455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모음판넬을 링벨트로 이동시켜서 정지실린더에 의하여 작동하는 차단판을 사용하여 용기모음판넬을 정지하고, 상,하부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하는 상,하부가압판으로 가 고정하여 용기모음판넬의 양측 부분을 클램프이동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하는 핀클램프를 사용하여 용기조정핀으로 용기모음판넬을 양측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므로 용기모음판넬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상,하부가압판을 상,하부고정판에 설치된 상,하부 클램프실린더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 { Device For Fixing The Food Containing Bowl }
본 발명은 일회용 용기를 절단하기 전에 위치를 고정하여 주도록 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모음판넬을 링벨트로 이동시켜서 정지실린더에 의하여 작동하는 차단판을 사용하여 용기모음판넬을 정지하고, 상,하부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하는 상,하부가압판으로 가 고정하여 용기모음판넬의 양측 부분을 클램프이동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하는 핀클램프를 사용하여 용기조정핀으로 용기모음판넬을 양측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므로 용기모음판넬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상,하부가압판을 상,하부고정판에 설치된 상,하부 클램프실린더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서 음식문화가 발전되어짐에 따라 간단하고 편리하게 음식을 보관하고, 이동하면서 먹을 수 있으면서 보관한 용기는 폐기하도록 하는 일회용 도시락 용기, 음식보관용기 및 휴대용 라면용기등이 개발되어져서 대중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일회용용기(이하, 음식보관용기라함)들의 재질은 주로 스티로폼(Styrofoam) 혹은 연질의 열가소성재질을 갖는 프라스틱수지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일회용 음식보관용기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제조공정을 다양하게 개발하여서 생산성을 높이는 추세이고, 일반적인 제조방법을 살펴 보면, 스티로폼 혹은 합성수지재의 판넬(이하, 용기모음판넬이라함)을 상부 금형과 하부금형을 갖는 열프레스로 가압하여 판넬에 다수개의 음식보관용기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모음판넬을 절단날을 갖는 프레스에 진입시켜서 각각 음식보관용기의 연결부분 및 모서리부분(이하 용기슬러지부라 함)을 제거시킨 후에 각각의 음식보관용기가 쉽게 손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상태로 가공한 후 손으로 인출하여서 그 이후에는 수작업으로 음식보관용기를 일일이 분리하여서 제조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회용 음식용기 제조장치를 살펴 보면, 용기모음판넬을 프레스가공으로 다수의 음식보관용기를 형성한 후 각각의 개별적인 용기로 분리하기 위하여 절단장치를 사용하여서 일시에 모두 연결부분과 모서리부분을 제거시킨 상태에서 사람이 손으로 용기모음판넬을 잡아당겨서 소정의 장소에 이송시켜 적층시킨 후에 분리하여서 음식보관용기를 제조하므로 음식보관용기의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아니라 정밀하고 규격화된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특히, 용기모음판넬을 절단함에 있어서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는 별도의 장치가 없이 작업을 진행하므로 조립오차가 커지게 되어 정밀하게 절단되는 일회용기를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모음판넬을 링벨트로 이동시켜서 정지실린더에 의하여 작동하는 차단판을 사용하여 용기모음판넬을 정지하고, 상,하부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하는 상,하부가압판으로 가 고정하여 용기모음판넬의 양측 부분을 클램프이동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하는 핀클램프를 사용하여 용기조정핀으로 용기모음판넬을 양측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므로 용기모음판넬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상,하부가압판을 상,하부고정판에 설치된 상,하부 클램프실린더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보관용기 제조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모음판넬을 프레스 가공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모음판넬을 용기고정핀으로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모음판넬을 가압하는 상,하부가압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링벨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모음판넬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보관용기 제조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용기공급조절장치 B : 용기고정장치
C : 용기절단장치 D : 슬러지분리 및 수거장치
E : 음식보관용기 적재장치
F : 컨베이어 이송장치
1 : 용기모음판넬 2 : 음식보관용기
101 : 체인 112 : 상부실린더
116 : 상부베어링 118 : 가이드축
120 : 상부가압판 124 : 하부실린더
132 : 하부가압판 140 : 상부클램프실린더
144 : 상부고정판 146 : 상부걸림부재
148 : 하부걸림부재 150 : 하부클램프실린더
152 : 하부고정판 154 : 벨트로울러
158 : 링벨트 160 : 벨트이동실린더
162 : 벨트이동판 164 : 벨트이동축
166 : 정지실린더 170 : 차단판
172 : 지지봉 174 : 고정체
178, 182 ; 상,하부가이더
이러한 목적은, 용기모음판넬을 용기고정핀으로 저면에서 관통하여 용기모음판넬의 위치를 잡아주고, 체인을 사용하여 용기모음판넬을 이송하는 용기고정장치와; 상기 용기모음판넬의 용기연결부를 미세하게 잔류시킨 상태로 절단날로 절단하는 용기절단장치와; 상기 음식보관용기의 모서리부분인 용기슬러지부를 슬러지가압핀으로 제거하여서 슬러지수거부에서 수거하도록 하는 슬러지분리 및 수거장치와; 상기 용기모음판넬에 타격판으로 타격을 가하여 분리된 음식보관용기를 안치판에 적층하는 음식보관용기 적재장치를 구비하는 음식보관용기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용기고정장치는, 상기 용기모음판넬을 링벨트로 수평으로 이송하고, 링벨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벨트조절수단과; 상기 링벨트에 의하여 이송되는 용기모음판넬을 정지실린더의 실린더축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이송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차단판과; 상기 링벨트에 의하여 이송되어져 온 상기 용기모음판넬의 음식보관용기를 저면과 상측에 각각 형성된 용기고정요홈 및 용기고정돌부로 상,하측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하부가압판과; 상기 상,하부가압판의 배면에 결합된 상,하부고정판에 상,하부실린더축이 고정되어서 상,하부가압판을 상,하로 작동하도록 하는 상,하부실린더와; 상기 상,하부실린더의 양측으로 형성된 상,하부베어링의 안내를 받아서 이동하고 상,하부가압판의 동작을 보조 가이드하는 상,하부가이드축과; 상기 상,하부가압판에 의하여 고정된 용기모음판넬의 양측 부분에 핀고정부재에 고정된 상기 용기고정핀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측에서 용기모음판넬을 눌러서 용기고정핀으로 관통하여 고정하는 클램핑수단과; 상기 체인의 상,하부에는 상,하부가이더홈에 끼워진 체인의 돌출부를 지지하여서 상,하부 유동을 방지한 상태로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부가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보관용기 제조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모음판넬을 프레스 가공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모음판넬을 용기고정핀으로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모음판넬을 가압하는 상,하부가압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링벨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모음판넬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보관용기 제조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용기모음판넬(1)을 용기고정핀(27a)으로 저면에서 관통하여 용기모음판넬(1)의 위치를 잡아주고, 체인(101)을 사용하여 용기모음판넬(1)을 이송하는 용기고정장치(B)와; 상기 용기모음판넬(1)의 용기연결부(1a)를 미세하게 잔류시킨 상태로 절단날(48)로 절단하는 용기절단장치(C)와; 상기 음식보관용기(2)의 모서리부분인 용기슬러지부(1b)를 슬러지가압핀(60)으로 제거하여서 슬러지수거부(66)에서 수거하도록 하는 슬러지분리 및 수거장치(D)와; 상기 용기모음판넬(1)에 타격판(86)으로 타격을 가하여 분리된 음식보관용기(2)를 안치판(94)에 적층하는 음식보관용기 적재장치(E)를 구비하는 음식보관용기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용기고정장치(B)는, 상기 용기모음판넬(1)을 링벨트(158)로 수평으로 이송하고, 링벨트(158)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벨트조절수단(160)과; 상기 링벨트(158)에 의하여 이송되는 용기모음판넬(1)을 정지실린더(166)의 실린더축(168)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이송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차단판(169)과; 상기 링벨트(158)에 의하여 이송되어져 온 상기 용기모음판넬(1)의 음식보관용기(2)를 저면과 상측에 각각 형성된 용기고정요홈(122) 및 용기고정돌부(134)로 상,하측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하부가압판(120)(132)과; 상기 상,하부가압판(120)(132)의 배면에 결합된 상,하부고정판(144)(152)에 상,하부실린더축(114)(126)이 고정되어서 상,하부가압판(120)(132)을 상,하로 작동하도록 하는 상,하부실린더(112)(124)와; 상기 상,하부실린더(112)(124)의 양측으로 형성된 상,하부베어링(116)(128)의 안내를 받아서 이동하고 상,하부가압판(120)(132)의 동작을 보조 가이드하는 상,하부가이드축(118)(130)과; 상기 상,하부가압판(120)(132)에 의하여 고정된 용기모음판넬(1)의 양측 부분에 핀고정부재(127)에 고정된 상기 용기고정핀(127a)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측에서 용기모음판넬(1)을 눌러서 용기고정핀(127a)으로 관통하여 고정하는 클램핑수단(170)과; 상기 체인(101)의 상,하부에는 상,하부가이더홈(180)(184)에 끼워진 체인(101)의 돌출부를 지지하여서 상,하부 유동을 방지한 상태로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부가이더(178)(1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조절수단(160)은, 상기 링벨트(158)를 일정한 간격을 회전시켜 주도록 로울러고정축(156)에 대하여 회전하는 벨트로울러(154)와; 상기 상기 링벨트(158)의 상측 부분 저면에 상,하로 이동하여 이송하는 용기모음판넬(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벨트이동축(164)과; 상기 벨트이동축(164)를 고정하는 벨트이동판(162)과; 상기 벨트이동판(162)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벨트이동실린더(16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수단(170)은, 상기 용기고정핀(127a)이 끼워지고, 용기모음판넬(1)을 가압하는 핀고정홈(125a)이 형성되는 핀클램프(125)와; 핀클램프(125)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172)과; 상기 지지봉(172)을 고정하는 결합체(174)와; 상기 결합체(172)의 저면에 고정된 이동축(176)으로 상기 핀클램프(125)를 상,하로 작동하는 클램프이동실린더(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고정판(144)(152)의 저면과 상측면에는 각각 상,하부걸림부재(146)(148)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걸림부재(146)(148)에 걸려지는 상,하부걸림턱부(121)(147)을 상기 상,하부가압판(120)(132)에 형성하여서 상,하부가압판(120)(132)을 상기 상,하부고정판(144)(152)에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 보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작동 상태를 살펴 보도록 한다. 미도시된 열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여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용기연결부(1a) 및 용기슬러지부(1b)가 형성되는 상태로 가압하여서 음식물 등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개의 음식보관용기(2)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음식보관용기(2)가 프레스된 용기모음판넬(1)은 상기 용기공급조절장치(A)의 컨베이어벨트(10)를 따라서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용기고정장치(B)로 진입하여 이송하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10)는 회동축(6)(8)에 의하여 이동하게 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0)를 따라서 이동하는 용기모음판넬(1)은, 로울러고정축(156)에 고정된 벨트로울러(154)에 의하여 회전하는 링벨트(158)로 전달되어져서 계속하여 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링벨트(158)는, 상기 벨트조절수단(160)인 벨트이동실린더(161)가 상측으로 작동하여서 벨트이동판(162)에 고정된 벨트이동축(158)을 상측으로 밀어 올려주어서 링벨트(158)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주고, 이 링벨트(158)를 따라 이동하는 용기모음판넬(1)을 약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이송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모음판넬(1)의 이송이 진행되는 것을 적절한 위치에서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정지실린더(166)의 실린더축(168)에 의하여 작동하는 차단판(170)으로 용기모음판넬(1)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동이 정지된 상기 용기모음판넬(1)을 상기 용기고정장치(B)의 하부가압판(132)과 상기 상부가압판(120)이 상,하부실린더(112)(124)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하여서 용기고정요홈(122)과 용기고정돌부(134)가 각각 용기모음판넬(1)의 음식보관용기(2)의 요홈부에 진입하여 위치를 가 고정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용기모음판넬(1)의 위치를 가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링벨트(158)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므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벨트이동실린더(161)가 원 상태로 복귀하면서, 벨트이동축(164)에 지지되어 상승되어져 있던 링벨트(158)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용기모음판넬(1)의 저면과 마찰이 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4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수단(170)인 클램프이동실린더(123)의 작동에 의하여 고정체(174)에 결합된 지지봉(172)에 의하여 핀클램프(125)가 하측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용기모음판넬(1)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용기고정핀(127a)에 가압하여 끼워주므로 상기 용기모음판넬(1)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모음판넬(1)의 위치를 용기고정핀(127a)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모음판넬(1)을 가 고정하고 있던 상기 상,하부가압판(120)(132)은 상기 상,하부실린더(112)(124)의 작동에 의하여 원 상태로 복귀 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고정핀(127a)을 상측에서 가압하는 핀클램프(125)에는 핀고정홈(125a)이 길게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용기고정핀(127a)의 하부는 핀고정부재(127)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고, 상기 핀고정부재(127)는 체인(101)에 연결된 상태로 용기고정핀(127a)에 고정된 상기 용기모음판넬(1)을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용기고정핀(127a)은 핀고정부재(127)에 고정된 상태로 체인(10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용기고정장치(B)로 부터 상기 음식보관용기 적재장치(E)까지 용기모음판넬(1)을 양측 부분을 용기고정핀(127a)으로 고정시킨 상태로 다시 저면을 통하여 상기 음식보관용기 적재장치(E)로 부터 상기 용기고정장치(B)로 복귀 되면서 지속적으로 순환되어진다.
즉, 상기 용기고정핀(127a)을 고정하는 체인(101)은, 용기이송체인장치(F)의 체인이송모터(98)을 동력을 받아서 구동벨트(100)로 전달하여 감속장치(102)에 큰 동력을 변환하고, 변환된 동력으로 상기 체인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체인(10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이더홈(180)(184)에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어져서 상,하측으로 유동을 방지하는 상,하부가이더(178)(182)에 의하여서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어진다.
한편, 상기 용기고정핀(127a)에 고정된 상기 용기모음판넬(1)은, 상기 체인(101)을 따라서 다음 장치로 이송하게 되고, 계속하여 다음 용기모음판넬(10)이 진입하기 전에 상기 클램프이동실린더(123)의 상승동작에 의하여 상기 핀클램프(125)는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용기고정핀(127a)은, 용기모음판넬(1)의 양측 부분 만을 잡은 상태로 체인(101)에 의하여 이송하므로 용기모음판넬(1)의 중간부분에서 절단공정 및 슬러지 게거공정, 타격공정 및 용기적재공정등이 진행 되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절단장치(C)로 이송하여져 온 용기모음판넬(1)은, 가압실린더(36)의 이동축(38)에 고정된 고정판(44)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절단금형판(46)의 저면에 형성된 절단날(48)을 사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보관용기(2)가 서로 인접하여 있는 경계 부분인 용기연결부(1a)를 절단하여서 절단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용기연결부(1a)를 모두 절단하여 절단면(1a)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모음판넬(1)에서 각각의 음식보관용기(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약간의 부착력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잔류된 용기연결부(1a)를 가지도록 상기 절단날(48)을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계속 이송하여 상기 슬러지분리 및 제거장치(D)로 용기모음판넬(1)을 이송하도록 하고, 상기 용기모음판넬(1)이 소정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체인(101)을 정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정지신호를 감지하여서 상기 작동실린더(5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서 작동축(54)을 작동하고, 이 작동축(54)에 고정된 가압핀고정판(59)을 작동하여서 슬러지가압핀(60)으로 상기 용기모음판넬(1)의 용기슬러지부(1b)를 가압하여서 하측으로 밀어서 제거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슬러지부(1b)가 하측으로 배출되어서 슬러지수거부(66)에 모아주도록 하고, 미도시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기슬러지부(1b)가 제거되어지면, 음식보관용기(2) 사이의 공간에 슬러지제거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정을 마친 용기모음판넬(2)은, 체인(101)에 고정된 용기고정핀(127a)을 따라서 이동하여서 음식보관용기 적재장치(E)로 이동하게 되고, 소정의위치에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78)의 가이드축(82)을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타격판(86)에 의하여 용기고정핀(127a)에 고정된 가장자리부분을 제외한 음식보관용기(2)들이 모여있는 부분이 절단면을 따라서 절단되어 분리되어지면서 상기 안치판(94)에 적재되어진다.
한편, 상기 에어공급호스(84)로 부터 에어를 공급받는 타격판(86)의 에어공급구멍(88)을 통하여 상기 용기모음판넬(1)이 정전기에 의하여 타격판(86)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에어를 불어주게 된다.
상기 용기모음판넬(1)이 안치판(94)에 안치되기 전에 상기 슬러지분리 및 수거장치(D)의 하부 공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벨트(70)에 안치된 받침용판지(76)가 모터(72)의 동력을 받아서 벨트(74)를 통하여 회전하고, 안내레일(68)의 안내를 받아서 이송벨트(70)에 의하여 우측으로 이송되어져서 안치판(94)의 가장 저면에 받침용판지(76)가 한 개가 안치되어 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안치판(94) 상에 받침용판지(76)가 한 장 안치된 상태로 링크작동실린더(92)가 작동하여서 링크(90)를 중심축(96)에 대하여 오므려주게 되면, 상기 안치판(94)이 상측으로 상승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안치판(94)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모음판넬(1)이 타격판(86)에 의하여 가장자리가 분리된 상태로 하나씩 적재되어지면서 안치판(94)이 링크(90)의 작동에 의하여 하측으로 일정거리 만큼 이송하여서 상기 안치판(94)에 미리 셋팅된 소정갯수(20개정도)의 용기모음판넬(1)이 적층되어지면 미도시된 센서가 신호를 발생하여서 작업자가 받침용판지(76)에 안치된 가장자리가 제거된 용기모음판넬(1)을다른 작업 장소로 이송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타격판(86)에 의하여 음식보관용기(2)들이 붙어 있는 중심부분이 제거되고, 상기 용기모음판넬(1)의 가장자리 부분이 용기고정핀(127a)에 고정된 용기모음판넬(1)의 가장자리 부분은 체인(101)이 180°반전하여 복귀되면서 용기고정핀(127a)으로 부터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한 작업은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진행되어지면서 상기 용기모음판넬(1)을 프레스가공하고 절단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용기모음판넬을 링벨트로 이동시켜서 정지실린더에 의하여 작동하는 차단판을 사용하여 용기모음판넬을 정지하고, 상,하부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하는 상,하부가압판으로 가 고정하여 용기모음판넬의 양측 부분을 클램프이동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하는 핀클램프를 사용하여 용기조정핀으로 용기모음판넬을 양측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므로 용기모음판넬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하고, 상,하부가압판을 상,하부고정판에 설치된 상,하부 클램프실린더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4)

  1. 용기모음판넬(1)을 용기고정핀(127a)으로 저면에서 관통하여 용기모음판넬(1)의 위치를 잡아주고, 체인(101)을 사용하여 용기모음판넬(1)을 이송하는 용기고정장치(B)와; 상기 용기모음판넬(1)의 용기연결부(1a)를 미세하게 잔류시킨 상태로 절단날(48)로 절단하는 용기절단장치(C)와; 상기 음식보관용기(2)의 모서리부분인 용기슬러지부(1b)를 슬러지가압핀(60)으로 제거하여서 슬러지수거부(66)에서 수거하도록 하는 슬러지분리 및 수거장치(D)와; 상기 용기모음판넬(1)에 타격판(86)으로 타격을 가하여 분리된 음식보관용기(2)를 안치판(94)에 적층하는 음식보관용기 적재장치(E)를 구비하는 음식보관용기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용기고정장치(B)는, 상기 용기모음판넬(1)을 링벨트(158)로 수평으로 이송하고, 링벨트(158)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벨트조절수단(160)과;
    상기 링벨트(158)에 의하여 이송되는 용기모음판넬(1)을 정지실린더(166)의 실린더축(168)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이송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차단판(169)과;
    상기 링벨트(158)에 의하여 이송되어져 온 상기 용기모음판넬(1)의 음식보관용기(2)를 저면과 상측에 각각 형성된 용기고정요홈(122) 및 용기고정돌부(134)로 상,하측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상,하부가압판(120)(132)과;
    상기 상,하부가압판(120)(132)의 배면에 결합된 상,하부고정판(144)(152)에상,하부실린더축(114)(126)이 고정되어서 상,하부가압판(120)(132)을 상,하로 작동하도록 하는 상,하부실린더(112)(124)와;
    상기 상,하부실린더(112)(124)의 양측으로 형성된 상,하부베어링(116)(128)의 안내를 받아서 이동하고 상,하부가압판(120)(132)의 동작을 보조 가이드하는 상,하부가이드축(118)(130)과;
    상기 상,하부가압판(120)(132)에 의하여 고정된 용기모음판넬(1)의 양측 부분에 핀고정부재(127)에 고정된 상기 용기고정핀(127a)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측에서 용기모음판넬(1)을 눌러서 용기고정핀(127a)으로 관통하여 고정하는 클램핑수단(170)과;
    상기 체인(101)의 상,하부에는 상,하부가이더홈(180)(184)에 끼워진 체인(101)의 돌출부를 지지하여서 상,하부 유동을 방지한 상태로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부가이더(178)(1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조절수단(160)은, 상기 링벨트(158)를 일정한 간격을 회전시켜 주도록 로울러고정축(156)에 대하여 회전하는 벨트로울러(154)와; 상기 상기 링벨트(158)의 상측 부분 저면에 상,하로 이동하여 이송하는 용기모음판넬(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벨트이동축(164)과; 상기 벨트이동축(164)를 고정하는 벨트이동판(162)과; 상기 벨트이동판(162)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벨트이동실린더(16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수단(170)은, 상기 용기고정핀(127a)이 끼워지고, 용기모음판넬(1)을 가압하는 핀고정홈(125a)이 형성되는 핀클램프(125)와; 핀클램프(125)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172)과; 상기 지지봉(172)을 고정하는 결합체(174)와; 상기 결합체(172)의 저면에 고정된 이동축(176)으로 상기 핀클램프(125)를 상,하로 작동하는 클램프이동실린더(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고정판(144)(152)의 저면과 상측면에는 각각 상,하부걸림부재(146)(148)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걸림부재(146)(148)에 걸려지는 상,하부걸림턱부(121)(147)을 상기 상,하부가압판(120)(132)에 형성하여서 상,하부가압판(120)(132)을 상기 상,하부고정판(144)(152)에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
KR10-2001-0012657A 2001-03-12 2001-03-12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 KR100431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657A KR100431455B1 (ko) 2001-03-12 2001-03-12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657A KR100431455B1 (ko) 2001-03-12 2001-03-12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688A true KR20020072688A (ko) 2002-09-18
KR100431455B1 KR100431455B1 (ko) 2004-05-14

Family

ID=2769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657A KR100431455B1 (ko) 2001-03-12 2001-03-12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120A (ko) * 2008-09-26 2011-06-22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올레핀 중합용 촉매 성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041A (ko) * 1989-06-29 1991-01-29 윤상수 고단백 계란 분말
DE4113568C1 (ko) * 1991-04-25 1992-05-21 Curt 8122 Penzberg De Niebling
KR0131550B1 (ko) * 1994-07-27 1998-04-13 이춘식 튜브용기용 튜브 성형장치
US5945137A (en) * 1995-06-28 1999-08-31 Fuji Photo Film Co., Ltd. Disk produc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hoto film cassette
DE19803300C1 (de) * 1998-01-29 1999-08-12 Illig Maschinenbau Adolf Vorrichtung zum Übergeben von Stapeln aus tiefgezogenen Behältern aus thermoplastischer Kunststoffoli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120A (ko) * 2008-09-26 2011-06-22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올레핀 중합용 촉매 성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1455B1 (ko) 200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80262C1 (ru) Способ термического формования полых изделий, имеющих основание из листа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EP0398044B1 (en) Pivoting workpiece removal device
CN108145987A (zh) 一种自动盖帽热合机
KR101011716B1 (ko) 고속 슬라이서의 절편 스테킹장치
KR101909154B1 (ko) 원라인 절단 면취기
KR100431455B1 (ko) 음식보관용기 고정장치
KR101977713B1 (ko)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0388846B1 (ko) 음식보관용기 제조시스템
CN110899791B (zh) 一种ic卡铣槽机和铣槽方法
CN112917880B (zh) 一种断路器外壳的生产设备
CN210758141U (zh) 珍珠棉托盘加工设备及加工生产线
CN107696393A (zh) 手机钢片自动塑化系统
KR100431456B1 (ko) 음식보관용기 적재장치
CN211362552U (zh) 一种高效模切机自动收纸系统
CN217432303U (zh) 一种自动连续分条切纸机
CN219928864U (zh) 一种玩具电机转子运输装置
CN214352849U (zh) 一种分切石塑地板的收料装置
CN219429028U (zh) 喂料设备
CN216228223U (zh) 一种轴承套圈进料装置
CN213107131U (zh) 一种用于行李箱生产的原料输送装置
CN218019774U (zh) 勺子中转装置
CN219728664U (zh) 一种美甲切片包装机
JP2634468B2 (ja) 熱成形機用製品集積装置
CN109384028B (zh) 制品杯盒整理堆叠机构
KR100455757B1 (ko) 캘린더 고정클립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