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455A - 분배 탭에서 음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분배 탭에서 음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455A
KR20020071455A KR1020020011244A KR20020011244A KR20020071455A KR 20020071455 A KR20020071455 A KR 20020071455A KR 1020020011244 A KR1020020011244 A KR 1020020011244A KR 20020011244 A KR20020011244 A KR 20020011244A KR 20020071455 A KR20020071455 A KR 20020071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beverage
correction device
compensating device
enhan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스탈디부르노
Original Assignee
켈리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켈리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켈리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2007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45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 B67D1/1466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the valve shutter being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iq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2001/1494T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compensator from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의 흐름 방향으로 배향된 원추형 후방 헤드(11) 및 탭 개폐용 셔터(21) 방향으로 배향된 전방 원통형 동체(12)가 제공되고, 유출구를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라 음료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음료의 유출 도관의 원추대형 부재를 따라 위치하여 분배 탭에서 음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정 장치(1)는 최소한 두개의 소형 덕트(13,14)를 포함하며, 보정장치의 외부 표면(15)에 형성된 각 덕트(13,14)에 대응하는 유입구(131,141)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보정 장치(1)의 원통형 동체(12)의 자유단(17)과 일체가 되는 유출 영역(16)에서 합류되는 최소한 두개의 수렴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통형 동체(12)의 자유단(17)에서 부분적으로 혼합되게 하여, 유출하는 음료의 와류 및 난류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Description

분배 탭에서 음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An enhanced compensating device for regulating the flow of drinks in dispensing taps}
본 발명은 분배 탭에서 음료(특히, 맥주와 같은 탄산 음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보정 장치에는 음료의 흐름 방향으로 배향된 원추형의 전방 헤드 및 탭 개폐용 셔터 방향으로 배향된 후방 원통형 동체가 제공된다. 원추형 헤드는 음료의 유출 도관의 원추대형 부재를 따라 위치하며, 보정 장치에 작용하는 명령 기관의 작용을 통해 유출구의 크기를 적절히 변화시키면서 음료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후방 원통형 동체는 조절 조작을 위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보정 장치의 축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들 공지의 보정 장치의 유형에는 또한 음료의 흐름이 될 수 있으면 난류가 되지 않게 하며, 거품이 이는 것을 막고(탄산 음료의 경우) 가능한 층류가 될 수 있도록 소형 세로 홈이 제공되며, 이 세로 홈은 보정 장치의 원통형 동체의 자유단에서 끝나며 보정 장치의 외부 표면을 따라 등거리로 형성된다.
그러나, 주지해야 할 점은 최소한의 조건하에서, 다시 말해서, 홈을 따라 흐르는 음료의 유속이 완벽하게 평형을 이루지 못하면 탭으로부터 음료가 배출될 때 와류가 발생하기 쉽다는 것이다.
그 밖의 해결 방법으로 보정 장치에 중심축의 구멍과 이어지는 측면 구멍들이 제공되는 것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음료의 유동이 완벽하게 평형을 이루지 못하게 되고, 음료가 탭으로부터 배출될 때 여전히 와류가 발생되는 경향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정 장치의 특정한 구조를 이용하여 분배 탭에서 음료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음료의 유출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강화형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첨부된 청구 범위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와 같은 유리한 구조를 갖는 보정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음료를 유출하는 동작 상태에서 본 발명의 보정 장치를 포함하는, 맥주에 이용할 수 있는 분배 탭의 수직단면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탭 및 보정 장치의 정지 상태에서 도 1의 맥주 분배 탭의 수직단면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맥주 분배 탭의 횡단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보정 장치의 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탭 16: 유출 영역
17: 자유단 21: 셔터
211: 셔터 헤드 24: 조절 레버
13,14: 덕트 131,141: 유입구
132,142: 유출구
도 1 내지 도 4(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화형 보정 장치(1)는 음료의 흐름 방향으로 배향된 원추형 후방 헤드(11) 및 탭(2) 개폐용 셔터(21) 방향으로 배향된 전방 원통형 동체(12)를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음료의 유출 도관의 원추대형 부재(22)를 따라 위치한 원추형 헤드(11)는 보정 장치 상에 장착된 시트(26)에 개재된 부속물(25)에 작용하는 조절 레버(24)의 작동에 의해(도 3 참조) 음료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출구를 적당히 변화시키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원통형 동체(12)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보정 장치(1)의 축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특징적으로, 본 발명의 보정 장치(1)는 최소한 두개의 소형 덕트(13,14)를 포함하며, 덕트(13,14)는 보정 장치(1)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각 덕트에 대응하는 유입구(131,141)로부터 시작하여 보정 장치(1)의 원통형 동체(12)의 자유단(17)과 일체가 되는 유출 영역(16)에서 합류하면서 수렴하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유출 영역(16)의 단면이 소형 덕트(13,14)의 단면보다 크므로, 유출 영역(16)에서 합류되는 최소한 두개의 수렴류가 형성되어 유출하는 음료를 부분적으로 혼합하고 제어할 수 있어, 와류 및 난류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보정 장치(1)에는 또한 난류 및 와류를 보다 감소시키기 위해, 음료를 유출시키기 위한 오픈 상태에서 셔터(21)의 헤드(211)(바람직하게는 헤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모따기 헤드(211) 유형)의 일부분이 유출 영역(1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홈(18)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출 영역(15)의 단면은 소형 덕트(13,14)의 단면보다 크다.
이것은 소형 덕트(13,14)의 말단이 보정 장치(1)의 원통형 동체(12)의 자유단 상(17)에 바로 형성된 각 덕트에 대응하는 유출구(132,142)에서 형성되도록 하여 쉽게 얻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132,142)는 소형 덕트(13,14)가 점선으로 도시된 지점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전술한 셔터(21)에 의해 도 1에서 분명하게 도시된 것처럼 음료의 유출 방향으로 유출 영역(16)의 하류 흐름을 발생되어, 바깥쪽은 탭(2)의 도관벽(23)에 의해, 안쪽은 셔터(2)의 외형에 의해 한정되는 도넛형 챔버(5)를 지나 유출된다.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많은 연구와 시험 결과에 따르면, 이것이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한 바람직한 해법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첨부한 도면에 의하면 소형 덕트(13,14)의 말단은 홈(16)의 단면에 대응하여단면이 증가하는 유출 영역(16)에서 음료의 흐름이 합류되고, 셔터(21)의 헤드(211)에 의해 정면의 모양이 정해지는 보정 장치(1)의 말단(17)에서 형성되며, 도넛형 챔버(5)를 따라 흘러 최적의 요구 조건하에 탭(2)의 꼭지(27)로부터 유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떠한 난류 및 와류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음료(특히, 맥주와 같은 취급이 까다로운 탄산 음료)의 최적 유출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렇게 고안된 본 발명은 발명의 사상의 범위를 일탈함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모든 구성 요소는 기술적으로 동등한 구성요소로 대체가 가능하다.
실제의 경우, 치수뿐 만 아니라 사용되는 물질도 필요에 따라 무엇이든 가능하다.

Claims (7)

  1. 음료의 흐름 방향으로 배향된 원추형 후방 헤드(11) 및 탭 개폐용 셔터(21) 방향으로 배향된 전방 원통형 동체(12)가 제공되고, 유출구를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라 음료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음료의 유출 도관의 원추대형 부재를 따라 위치하여 분배 탭에서 음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정 장치(1)는 최소한 두개의 소형 덕트(13,14)를 포함하며, 보정장치의 외부 표면(15)에 형성된 각 덕트(13,14)에 대응하는 유입구(131,141)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보정 장치(1)의 원통형 동체(12)의 자유단(17)과 일체가 되는 유출 영역(16)에서 합류되는 최소한 두개의 수렴류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통형 동체(12)의 자유단(17)에서 부분적으로 혼합되게 하여, 유출하는 음료의 와류 및 난류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난류 및 와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음료를 유출시키기 위한 오픈 상태에서 상기 셔터(21)의 헤드(211)의 일부분이 상기 유출 영역(1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홈(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헤드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보정 장치(1)가 모따기 헤드(211) 유형의셔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영역(16)의 단면이 상기 소형 덕트(13,14)의 단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영역(16)의 단면이 상기 소형 덕트(13,14)의 단면보다 크고, 바깥쪽은 상기 탭(2)의 도관벽(23)에 의해, 안쪽은 상기 셔터(21)의 외형에 의해 한정되는 도넛형 챔버(5)를 지나 음료의 유출 방향으로 하류 흐름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덕트(13,14)의 말단이 상기 보정 장치(1)의 원통형 동체(12)의 자유단(17)에 형성된 상기 각 덕트(13,14)에 대응하는 유출구(132,142)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132,142)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KR1020020011244A 2001-03-05 2002-03-04 분배 탭에서 음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KR200200714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RN2001A000019 2001-03-05
IT2001RN000019A ITRN20010019A1 (it) 2001-03-05 2001-03-05 Compensatore perfezionato per regolare il flusso di bevande in rubinetti di erogazi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455A true KR20020071455A (ko) 2002-09-12

Family

ID=1145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244A KR20020071455A (ko) 2001-03-05 2002-03-04 분배 탭에서 음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238941B1 (ko)
KR (1) KR20020071455A (ko)
AT (1) ATE254088T1 (ko)
DE (1) DE60200085T2 (ko)
ES (1) ES2210220T3 (ko)
IT (1) ITRN20010019A1 (ko)
PT (1) PT1238941E (ko)
RU (1) RU2002106201A (ko)
TR (1) TR200400174T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5850A3 (fr) * 2004-01-08 2005-10-04 Vervenne & Van Belle S A Dispositif de freinage pour circuit a biere.
GB2415763B (en) * 2004-07-02 2008-07-09 Diageo Ireland A dispenser tap
GB2416755B (en) * 2004-07-30 2007-01-03 Scottish & Newcastle Plc Beverage dispensing tap
ITMI20060086U1 (it) * 2006-03-10 2007-09-11 Tof S R L Rubinetto per la spillatura di bevande gassate,dotato di un compensatore perfezionato
GB2436558A (en) * 2006-03-30 2007-10-03 Simon Robert Miller Beverage dispense valve
AU2007201231A1 (en) 2006-03-30 2007-10-18 Scotsman Beverage Systems Limited Beverage Dispense Valve
US8656952B2 (en) * 2010-09-29 2014-02-25 Perlick Corporation Beverage faucet and flow reducer
ITTO20120246A1 (it) * 2012-03-19 2013-09-20 Indesit Co Spa Valvola per l'erogazione di una bevanda, in particolare di un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di uso domestico
ITTO20120244A1 (it) * 2012-03-19 2013-09-20 Indesit Co Spa Valvola per l'erogazione di una bevanda, in particolare di un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di uso domestico
ITTO20120245A1 (it) * 2012-03-19 2013-09-20 Indesit Co Spa Valvola per l'erogazione di una bevanda, in particolare di un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di uso domestico
ITTO20120247A1 (it) * 2012-03-19 2013-09-20 Indesit Co Spa Valvola per l'erogazione di una bevanda, in particolare di un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di uso domestico
ES2535131T3 (es) * 2012-03-19 2015-05-05 Indesit Company S.P.A. Válvula de dispensación de bebida, en particular para un aparato frigorífico de uso doméstico
EP2641865A3 (en) * 2012-03-19 2013-11-20 Indesit Company S.p.A. Beverage dispensing valve, in particular for a household refrigeration appliance
DE102014105554A1 (de) * 2014-04-17 2015-10-22 Cmb Schankanlagen Gmbh Kompensatorzapfhahn
CN105135024B (zh) * 2015-08-11 2018-07-06 塔罗斯控股有限公司 一种龙头
DE102016113535A1 (de) 2016-07-22 2018-01-25 Cmb Schankanlagen Gmbh Zapfhahn mit verbessertem Kompens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9170A (en) * 1959-08-11 Liquid dispensing apparatus
DE1909562A1 (de) * 1969-02-26 1970-09-17 Ostertag Dipl Ing Dieter Dynamischer Druckminderer zum Einbau in die Bierleitung bei Fassbier-Schankanlagen
GB8403950D0 (en) * 1984-02-15 1984-03-21 Southern Ind Croydon Ltd Restrictor for liquid dispensing tap
GB8403949D0 (en) * 1984-02-15 1984-03-21 Southern Ind Croydon Ltd Liquid dispensing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085D1 (de) 2003-12-18
ITRN20010019A1 (it) 2002-09-05
RU2002106201A (ru) 2003-09-20
ATE254088T1 (de) 2003-11-15
DE60200085T2 (de) 2004-07-22
PT1238941E (pt) 2004-04-30
EP1238941B1 (en) 2003-11-12
TR200400174T4 (tr) 2004-02-23
ES2210220T3 (es) 2004-07-01
EP1238941A1 (en)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1455A (ko) 분배 탭에서 음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강화형 보정 장치
US11305242B2 (en) Water carbonation unit and continuous water carbonation method
US7513398B2 (en) Beverage dispense valve
EP1786722B1 (en) Beverage dispensing tap with spouts for the liquid and the foam
US5816456A (en) Laminar flow filler spout
US5538028A (en) Throttling and diffusing dispensing valve
GB2436558A (en) Beverage dispense valve
US3322151A (en) Fluid mixing valve having a flow metering insert
KR20220047716A (ko) 전자동 커피 머신용 우유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EP1832547A1 (en) Tap for carbonated drinks, equipped with a perfected compensator
US20230332388A1 (en) Stream regulator
JP6873398B2 (ja) 水栓装置
JP6636382B2 (ja) 炭酸飲料の注出装置
RU280864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спенивания молока, а такж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лочной пены
IE20060250U1 (en) Beverage dispense valve
JP2019218143A (ja) 飲料注出コック、弁棒および飲料ディスペンサ
IES20060250A2 (en) Beverage dispense valve
JP2021173112A (ja) 水栓装置
IES84844Y1 (en) Beverage dispense valve
WO1998003812A1 (en) Throttling and diffusing dispensing valve
US20090121479A1 (en) Device For Use in a Dispen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